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기 자녀의 어머니 성격특성과 양육효능감이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지연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의 어머니 성격특성과 양육효능감이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인천 및 충남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재원 중이 만 3세~5세 자녀를 둔 어머니 5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 안창규와 이경임(1996)이 수정․번안한 간편 NEO 인성검사 척도, 성지현과 백지희(2011)가 1~7세 영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타당화한 한국판 양육효능감 척도(K-EGSCP), Doh와 Falbo(1999)의 Parental Protectiveness 척도와 Thomas와 Chess(1977)의 종단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척도들을 기초로 천희영(1992)이 국내에 맞게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한 김나희, 박보경, 도현심(2012)의 과보호적․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의 어머니 성격특성의 각 하위요인, 양육효능감 그리고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과보호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성격특성 중 신경증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성격특성 중 외향성, 성실성, 친화성, 개방성 그리고 인지적 요인인 양육효능감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적 양육행동과 신경증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향성, 친화성, 개방성, 인지적 요인인 양육효능감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 자녀의 어머니 성격특성이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성격특성 중 신경증은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실성은 통제적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 자녀의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인지적 요인인 양육효능감은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기 자녀의 어머니 성격특성과 양육효능감이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성격특성 중 신경증과, 인지적 요인인 양육효능감이 과보호적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양육행동은ㅜ신경증, 성실성, 양육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양육효능감이 추가적으로 높으면 어머니의 성격특성 중 신경증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의 어머니 성격특성과 양육효능감이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을 뿐 아니라 일반적 특성(모의 교육정도, 자녀성별)을 통계적으로 통제 한 후 어머니의 개인 내적특성인 성격특성의 각 하위요인과 인지적 특성인 양육효능감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parenting efficacy on overprotective and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s of the mother with infant childrens. Also,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personality, parenting efficacy, and overprotective and controlling parenting. A total of 519 mothers whose children aged from 3 to 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on their personalities, their parenting efficacy, and their overprotective and controlling parent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imple, multi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and mother 's personality traits. In addition, outward, sincerity, affinity, openness, and cognitive factor of mother '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efficacy.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and neurosis, and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xtroversion, affinity, openness and cognitive factor.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neuroticism among mother '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verprotective and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and sincer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Third, as a result of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gnitive factor of mother 's parent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verprotective and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Fourt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neuroticism and cognitive factor of parenting 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in mothers' , And mothers' education level, neuroticism, sincerity, and parenting 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arenting efficacy, the lower the neuroticism among the moth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 강박장애 환자의 삶의 질의 관련요인

        송지연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강박장애 환자의 삶의 질이 어떠하며, 환자들의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정신장애 환자들의 삶의 질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근래에 증가되고는 있지만 실제적으로 강박장애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물며, 특히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된 몇몇 요인들보다 더 다양한 요인들과 삶의 질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체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강박장애 환자 25명, 정상통제집단 25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측정하여 MANOVA를 통해 비교하였으며,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이 포함된 설문지와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한 후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삶의 질의 모든 영역(신체적 건강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관계적 영역, 환경적 영역)과 삶의 질 총점에서 강박장애 환자의 삶의 질이 정상통제집단에 비해 저하되어 있었으며, 환자들의 삶의 질은 사회경제적지위(SES), YBOCS점수, BDI점수, 심리적 불편감(distress), TCI검사의 하위척도인 위험회피, 자율성, 연대감의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들의 삶의 질 영역에서 신체적 영역은 심리적 불편감으로, 심리적 영역은 자율성을 통해 설명될 수 있었으며, 사회관계적 영역은 BDI점수로, 환경적 영역은 사회경제적지위와 BDI점수로, 그리고 삶의 질 총점은 BDI점수로 설명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강박장애 환자의 삶의 질이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으며, 인구학적 변인들보다는 주로 임상적 변인과 심리사회적 변인들을 통해 보다 더 많이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linical, cognitive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the quality of life(QOL) in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Twenty-five OCD patients and 25 healthy normal contr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the assessment of QOL,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Brief Version(WHOQOL-BREF) was used. The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Y-BOC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Beck Anxiety Invent(BAI) were administered for the measurement of clinical syndromes in OCD patients. A variety of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administered for the measurement of cognitive functions in OCD patients. In addition,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Coping Checklist and Symptom Checklist-90 were administered for the assessment of psychosocial functions in OCD patients. The results showed that OC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all areas of QOL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s, a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CD patients are less satisfied with the qualities of their lives than the controls.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 directedness/cooperativeness measured by TCI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QOL, whereas Y-BOCS, BDI, distress and harm avoidance measured by TCI were associated with QOL in OCD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s and QOL in OCD patien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istress, self-directedness, BDI and Socio-Economic Status are important predictors for QOL in OCD pati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rious factors including OCD syndroms, depression, distress and self-directedness influence the QOL in OCD patients. Therefore, the treatment strategy for OCD patients should focus both on the symptom relief and the enhancement of psychosocial functions.

      • 기독교학교의 학생들을 위한 성경적상담 : 서울,경기지역 기독교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송지연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Education has been a crucial part in Christianity. Since God was so affectionate toward Korea, He sent missionaries and let them establish institutes to educate His unenlightened people. Those mission schools were more than just formal schools; they were established to preach the gospel and to teach how to serve with the love of God. However, the present mission schools almost lost their identities. They intensively teach their students to be the winner on the race of the exam-hell, while the fundamental aim of mission schools degenerated as the subordinate one. A student refused to attend service at a mission school, crying for his noble freedom of religion, and many sympathized with his assertion. In this variated situation, educators, who take part in mission schools, should retrieve the identity of mission schools and move away from the formal service to substantial Christianity education. Particularly, the counselling service in school is getting more important nowadays, and several psychological assessments and psychological-approaching counselling are becoming prevalent. The problem is, the counselling service in mission schools also approaches in the same way as the other institutes, despite their Christian identities. Counselling in mission schools needs to be firmly based on the biblical approaches in accordance with their Christian identities and the purpose to preach gospel. Nevertheless, still the most students in mission schools never encounter the biblical-approaching counselling, according to the survey on students in 6 mission schools. Thus I focus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iblical approaches in counselling at mission schools, and thesis on the outcome of biblical counselling based on several cases. Since mission schools officially hold service and teach Christianity as a normal subject, it was quite natural to apply biblical approaches in counselling. Although there were some students never been to church, they didn't feel uncomfortable with talking about Jesus Christ and the Bible, because they have been already familiar with Christianity through religious classes and service. This factor affects positively to apply biblical approaches in counselling. Furtherm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urpose of biblical counselling is identical with that of preaching gospel in mission schools. Biblical counselling not only leads Christian students to be more faithful, but also provides great opportunities to preach the gospel to non-Christian students. Based on the thesis, I find out that the biblical counselling can substantively apply to anti-Christian students in mission schools, not limited to Christian students in church. "...until we all reach unity in the faith and in the knowledge of the Son of God and become mature, attaining to the whole measure of the fullness of Christ." (Ephesians 4:13) shows the exact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Also "We proclaim him, admonishing and teaching everyone with all wisdom, so that we may present everyone perfect in Christ." (Colossians 1:28) represents the object of biblical counselling. As two verses above explain, the ultimate aim of biblical counselling in mission schools is to set students steadfast in faith and to be completed in Jesus Christ. I desire this thesis be helpful to establish the biblical counselling in mission schools and other ordinary schools as well. 기독교의 역사 가운데 교육은 큰 부분을 차지해 왔다. 하나님은 특별히 한국 땅을 사랑하셔서 선교사님을 보내시고 하나님의 백성들을 무지에서 깨울 수 있는 교육기관을 세우도록 하셨다. 현재 존재하고 있는 기독교학교는 단순히 기독교 정신을 갖고 있는 학교가 아니다. 예수님의 복음을 전하고 사랑을 실천하도록 교육하는 학교였다. 그러나 한국의 부흥과 발전이 나타남에 따라 기독교학교는 그 정체성을 잃어버렸다. 다른 일반학교들과 다를 바 없이 입시경쟁에서 승리하게 하는 교육만을 강조하고 하나님의 말씀 전파와 교육은 형식만 갖추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종교의 자유를 외치며 기독교학교에서 진행되는 예배를 거부하는 학생이 생겨났고 그 학생의 주장이 옳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많아졌다. 이러한 때에 기독교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자들은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을 다시 찾고, 형식에 그치는 예배에서 벗어나 진정한 기독교 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깨어있어야 한다. 특히 학교상담의 강조성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여러 가지 심리검사와 심리적 접근 상담으로 학생들의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기독교학교도 일반학교와 마찬가지로 일반심리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기독교 학교는 복음을 전하기 위한 목적과 더불어 상담도 성경적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로 6개의 기독교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 아직도 학교상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기독교 학교의 학생들도 성경적 상담을 접해보지 않은 경우들이 많았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기독교 학교에서 성경적 상담을 적용해보고 싶었고, 실제로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상담사례를 통해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기독교 학교는 공식적으로 예배와 성경수업이 진행되며 예수님의 복음을 전하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이러한 기독교적 교육과 함께 성경적 상담을 적용하기에 많은 장점을 갖고 있었다. 기독교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교회를 다니는 학생들도 있고, 다니지 않는 학생들도 있지만 다니지 않는 학생들에게 예수님의 이야기를 꺼내는 것이 어색하지 않았고 성경말씀을 전하는 것도 부담스러워 하지 않았다. 그것은 예배와 성경수업을 통해 이미 학습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분이 성경적 상담을 적용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기독교 학교에서 성경적 상담을 적용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기독교 학교의 복음 전파 목적과 성경적 상담의 목적이 동일하다는 것이다. 성경적 상담은 믿는 자에게 신앙적 성숙을 주지만 믿지 않는 자에게는 복음을 전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성경적 상담은 신앙인 뿐 아니라 불신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과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이 논문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경 에베소서 4장 13절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리니”는 기독교 교육의 목적을 잘 설명해주는 말씀이다. 또한 골로새서 1장 28절의 말씀 “우리가 그를 전파하여 각 사람을 권하고 모든 지혜로 각 사람을 가르침은 각 사람을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자로 세우려 함이니”는 성경적 상담의 목적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 두 말씀에서 보듯이 온전한 사람을 만들고 완전한 자로 세우는 것이 기독교 학교에서 성경적 상담이 이루어져야 하는 온전한 목표 일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많은 기독교 학교에서 성경적 상담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더 나아가 일반 학교에서도 이루어지기를 소망한다.

      • 기업성장단계 및 R&D역량단계별 지원정책의 차별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전라북도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송지연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contribution of SMEs and an expansion of their roles to the national economy grows, the government are making efforts to develop policies to strengthen SMEs' competitiveness. The development of competent and high-technical SMEs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vitalization of the national econom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hould fulfill their roles for creating employment effects and self-sustaining industrial structures and it carry over into a virtuous cycle of economic structure. In order for SMEs and venture firms to grow into medium-sized enterprises and mid-sized enterprises to grow into large corporations, and to contribute to job creation, vitalization of local economies, and national economic growth, appropriate support polic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companies are requir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orporate demands for policy support by considering not only the corporate growth stage but also the R&D capacity stage, focusing on the four major industries of Jeollabuk-do, and propose differentiated policies according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stage of the company and the R&D capacity stage have a distinctive effect on the company's demand for policy support. Most start-ups and simple production companies have high demands for programs that are urgently needed to promote new businesses such as start-ups and product planning. It was found that companies with a mature stage of growth need demands related to external factors of products and new market development such as design, exhibitions, consult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human resource support by R&D capacity stage or business growth stag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mand for policy support for each of the four major industries differs according to the business growth stage and R&D capacity stage. This is because for each industries has different issue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are affected by differences in value chain, infra and innovation capacity. As such,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policy support that is required in each stage according to the stage of business growth and R&D capacity of S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imely policy in stage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upport policy, a differentiated support policy considering the R&D capacity as well as the corporate growth stage is required, and various suppor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the various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compan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anticipate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that are the beneficiaries of the policy and to reflect demands actively, to have a differentiated & on demand policy portfolio by region, industry, business growth stage, and R&D capacity stage.

      •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송지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barrier to career path,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by personal characteristic of each unemployed married woma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employed married woman's barrier to career path and career aspiration on the career determination; therefor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tudy Question 1 : How barrier to career path,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are different by personal characteristic of each unemployed married woman (age, unemployment duration, educational background, family monthly income, number of children, partner's response to the employment)? Study Question 2 : How barrier to the career path and career determination of unemployed married woman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Study Question 3 : How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of unemployed married woman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Study Question 4 : How barrier to the career path and career determination of unemployed married woman effect on the career determination? To solve out above questions, The sample of unemployed married women were selected from 10 vocational training centers and Jeju wo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tests on barrier to the career path,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were implemented. A SPSS for Window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implement the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barrier to the career path,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by personal characteristics (age, unemployment duration, educational background, family monthly income, number of children, partner's response to the employment) of unemployed married women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Second, the barrier to career path and career determination of unemployed married woman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7 of lower factors in the barrier to career path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termined level', the lower factors of career determination at significant level. Third, the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of unemployed married woman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3 of lower factors in the career aspir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termined level', the lower factor of career determination at significant level. Forth, the barrier to career path and career aspiration of unemployed married women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areer determination; and the "difficulty in decision making" of barrier to the career path and "efforts aspiration" of career aspiration had shown to be the greatest influences to all factors of career determination. Based on abov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arrier to career paths,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by personal characteristic of each unemployed married woman and the barrier to career paths and career aspiration of unemployed married women were deeply related to their career determinations. Therefore, the counseling program considering personal characteristic of each unemployed married woman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against the barriers to the career and increase their career aspirations; and these programs should be used in employment counseling center and home. Also, the support for consistent between home and work should be based for unemployed married women to find their jobs. To achieve this, creating social culture can be important motive; thus, the employment policy for women that keeps pace with flow of changed society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employed married woman's barriers to their career paths and career aspirations on their career aspiration; and study can provide the data to understand unemployed married women who want to find the job during their employment consultations. And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e woman's sustainable economic activity. 본 연구는 미취업 기혼여성의 개인적 특성별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 미취업 기혼여성의 개인적 특성(연령, 경력단절기간, 학력, 가계 월소득, 자녀 수, 취업에 대한 배우자 반응)별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포부와 진로결정수준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4 :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는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하는 10개 직업훈련기관 및 제주여성인력개발센터의 미취업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진로포부 그리고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취업 기혼여성의 개인적 특성(연령, 경력단절기간, 학력, 가계 월소득, 자녀 수, 취업에 대한 배우자 반응)별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진로장벽 7개의 하위 요인은 진로결정수준의 하위 요인인 ‘결정된 수준’에 모두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포부와 진로결정수준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진로포부 3개의 하위 요인은 진로결정수준의 하위 요인인 ‘결정된 수준’에 모두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는 진로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진로장벽의 ‘의사결정의 어려움’ 요인과 진로포부의 ‘노력포부’ 요인이 진로결정수준 모든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취업 기혼여성의 개인적 특성별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는 진로결정수준에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취업 기혼여성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진로장벽을 예방하고 진로포부를 높일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취업 상담 현장과 가정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미취업 기혼여성들의 취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가정양립을 위한 지원이 바탕이 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회문화를 조성하는 것 역시 중요한 동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변화된 사회의 흐름을 맞춰갈 수 있는 여성을 위한 일자리 정책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미취업 기혼여성의 취업 상담과정에서 취업을 원하는 미취업 기혼여성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여성의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을 위해 추진해야 하는 정책의 기초자료 제공에 그 의의가 있다.

      •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취업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지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발달장애인에게 취업이란 자립생활을 돕고 빈곤을 탈출하게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현실적으로 발달장애인은 인지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취업될 가능성이 적으며 타 장애 영역과 비교하였을 때 그 고용률이 매우 열악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달장애인 취업의 성공적 요인들을 밝히고자 여러 연구들이 선행되었는데, 대부분의 연구가 인구학적 요인, 근로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뿐 장애수용이나 자기효능감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을 포함시킨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나 장애인의 심리적 요인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기본적으로 장애를 수용하는 과정이 성공적이어야 취업욕구를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내적요인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장애수용과 자기효능감을 발달장애인의 심리적 요인으로 보고 각 요인들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취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16년도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의 자료에서 성인 발달장애인 337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성별은 남자가 62.9%로 여자 37.1% 보다 많았으며 연령은 15-29세가 45.7%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58.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배우자 유무에서는 배우자가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88.7%로 배우자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보다 많았다. 또한 장애유형에서는 지적 장애가 93.2%로 자폐성 장애 6.8% 보다 많았으며, 장애 등급에서는 3급이 40.7%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중복장애 여부는 중복장애 없음이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91.4%로 중복장애 있음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보다 많았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취업 여부를 살펴본 결과 미취업자가 241명(71.5%)으로 취업자 96명(28.5%)보다 많았으며, 독립변수인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 평균 점수는 2.69점, 매개변수인 발달장애인의 자기효능감 평균 점수는 1.78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장애수용과 자기효능감이 차이를 보였는데, 장애등급이 낮으면 장애수용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에서는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고, 장애등급이 낮으면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발달장애인의 취업여부에 따른 일반적 특성 및 장애수용,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발달장애인의 성별이 남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한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수용에서는 발달장애인 취업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취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장애수용은 자기효능감에, 자기효능감은 취업여부에, 그리고 장애수용은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수용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이 투입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실질적으로 더 많은 발달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 유도를 위해서는 장애수용을 높일 수 있는 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 한다. 특히 발달장애인 청소년 때부터 자신을 올바르고 긍정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교수와 지원 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또한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자기효능감을 제고시키기 위해 사회적응훈련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작업 중심의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동시에 자조집단을 활성화시켜 발달장애 단체의 육성 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인 종합적 욕구조사를 바탕으로 서비스 욕구조사 단계에서 발달장애인의 개별적 심리 상태 및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개별 맞춤형 취업준비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발달장애인의 취업 활성화를 위해, 관련 기관 간 보다 실질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적극적인 취업 유도 전략을 수립하고, 장애수용도가 높아진 발달장애인이 한국장애인 고용공단과 같은 공공기관의 취업준비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 다섯째,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취업준비프로그램에 대한 심리적 접근성을 높여 더 많은 발달장애인의 참여를 이끌어내야 하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언을 통해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지원하는 현실적인 프로그램의 실행, 법과 제도들이 확립되기를 기대해본다.

      • 아동 노동 문제에 기반한 글로벌 관계 수업 실행연구

        송지연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아동 노동 문제를 기반으로 글로벌 관계 수업을 계획-실행-성찰의 순 환적 과정에 따라 실행하였다. 수업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학생들이 갖고 있는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한 사전 지식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은 제3세계 아동들의 삶을 어느 정도 알고 있었고, 둘째,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한 사전 지식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 과를 반영하여 아동 노동 문제와 나의 관계를 인식하도록 수업을 계획하였다. 수업은 3 차에 걸쳐 7차시로 ‘아동 노동의 실태 파악하기’, ‘아동 노동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 파악 하기’, ‘아동 노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파악하기’로 구성되었다. 수업 종료 후 소감문 및 면담 등을 통해 학생들이 아동 노동 문제와 나의 관계를 어 떻게 인식했는지 파악한 결과 첫째, 학생들은 자신과 노동을 하는 아동과의 관계에 대 한 이해도가 낮았고, 그에 따라 아동 노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 하지 못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아동 노동 문제 해결에 대하여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으 며 그 이유를 자신은 어리고, 개인의 힘은 미미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셋째, 학생들 은 자신과 아동 노동 문제의 관계를 파악하여 아동 노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Interdependence and interconnectedness are gradually deepening with globalization, and we have connections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world are also closely related to us. To solve the world problem, we need a global citizenship that recognizes connections that we have with the world. In this study, global connections class was implemented using child labor issues. In order to make a lesson plan, surveyed prior knowledge of the issue of child labour. According to the survey, first, students knew a little about the lives of children in the Third World. Second, students do not know specifically about child labour issues. It was reflected in the class according to the pre-survey. First, the connections between child labour and students was recognized. So, using the materials of everyday life, they found out that they were part of the world's network. Second,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lives of working children. For this purpose, statistics on child labor, interview data, and photo data were utilized to identify how many children work around the world and the causes of child labour problems. The class repeated the plan-implementation-reflection process. In the first class, the students knew the meaning of child labour and identified the status of child labour. After the first class, the students expressed sympathy and compassion for the working children. It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not buy products produced from child labour to solve child labour problems. The students thought that child labour problems should be solved, but they did not recognize the connections between child labour and their life. In the second class, the causes of child labour problems were identified. Students searched various reading materials, videos and data to find out the cause of child labour problems. Poverty is the cause of child labour problems, which are in a vicious circle due to an unfair global system. And they found out how the unfair world system works. Through the second class, students found the cause of child labour problems, but found it difficult to figure out how their consumption affected the unfair global system. In the third class, students figured out how to solve child labour problems. The students figured out how people tried to solve child labour problems. Through the third class, students wer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child labour problems. In addition, students said they would not use products produced from child labour to solve child labour problems, but would purchase fair trade. Through the Global connections lesson, students understood the unfamiliar child labour problem. The students found that children were working hard and were physically and mentally damaged. The students presented a way to solve the child labour problem and made a pledge to implement it. However, there were also difficulties in global connections classes.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global connections. Because the global connections, such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ir lives and the lives of children who are working, and the connection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is too complex and invisible. As a result, some students said they should help children by purchasing products produced from child labour. It was also difficult to come up with concrete ways to solve child labour problems. There are cases where simulation lessons are given to simplify complex global connections, but they have limitations that can distort real society.

      • 도시 공공미술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파빌리온을 중심으로

        송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ffectiveness as urban public art by analyzing the temporary pavilion,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existential method of modern people living in the city,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In contemporary art, pavilions began to be installed in the yards of art institutions such as art museums through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by breaking down the solid walls of modernist art since 2000. The pavilion project, which was derived from the art museum, is now being introduced into a city-based, regional public art project. As such, until the pavilion functions as a work of art in various cities around the world and as a public art that can express local issues, the existing public art has undergone dynamic discourse changes. The history of the evolution of public art, which has given rise to numerous classification criteria since its inception in the 1960s, such as 'Art in Urban Design', 'Art as a Public space', and 'Art in the Public interest', is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efforts to overcome problems that have been raised at each point of change. can be understood as The researcher wants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avilion project, which is popular in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is showing a different path from public art in the situation where public art still remains a problem to be solved. In order to consider the fundamental problems of existing public art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public art as an alternativ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way of existence of modern people living in the physical place of the city. The place theory of Edward Relph, a human geographer, who showed excellent insight in analyzing modern landscapes, and the postmodern social theory of sociologist Michel Maffesoli can be introduced as meaningful methodologies in this study. For Ralph, place is the source of human existence. Place experience is a process of concretely experiencing the everyday world of life, and this constitutes human existence. Ralph points out that modern people live an “rootedness life” that is alienated from places as they create and experience places through a conventional and closed attitude without seeing the essence of a place made up of various elements. However, the method of human existence rooted in a fixed place as argued by Ralph is transformed into a dynamic rooted existence through the instantaneous experience of the community level of Mapesoli's postmodern society. Although place is still necessary for human existence, as the transit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individual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group takes place,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existing on the premise of place becomes more important. A new approach to the public can be derived through urban life in which various identities of individuals activated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temporarily and sporadically take root. In this way, a new direction of public art can be derived through the existential way of modern people who live an ambivalent life of wandering and sedentary life. Urban public art should be a place where various identities of individuals can be activated by becoming a member of a tribe as human instinct to be consumed in the whole. This is a 'floating territory' that organically connects cities by forming temporary tribes. The change in the way of existence of modern people living in the city, which can be seen through the two theorists, is the transition of discourse from the physical place to the community from the early public art where the principle of 'site-specific' was applied to the recent 'new genre public art'. You can relate it to what happened.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pavil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ility, temporaryness, and flexibility, freeing from physical constraints and matching with the city of the world where various social and cultural depth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The pavilion, which developed along with the exposition, has acquired status as a work of art that is more than a functional architecture, and has deepened its publicness to embrace the city's diverse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ccordingly, through the case of the Serpentine Gallery in London, the beginning of the art pavilion, the 'site-specific' and The possibility of 'new genre public art' as public art encompassing all was considered. Next, after the art pavilion of the art museum, the pavilion project, which became popular in the city, tried to derive its utility as an urban public art.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thesis is 《Seoul is Art Museum》, which carried out public art projects in various regions of Seoul, and 《Anyang Public Art Project: APAP》, which opened a new horizon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public art centered on Anyang ,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in partnership with MoMA PS1, analyzed the pavilion of 《Young Architect Program: YAP》 in its correlation with the city to derive its utility as an urban public art. As the pavilion creates a place that reflects the essence of the place, such as location, landscape, and community, which appear differently in each region, coexistence with the city could be seen. The nature of 'place-specific' public art that forms the identity of the city's unique place in the pavilion is a place that reflects 'power of consciousness' rather than giving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by reducing the place to good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buildings. A place open to various individuals and groups in this way becomes a place with the inherent potential of Mapezoli's 'floating territory'. In this case, the pavilion is a variable 'site-specific' public art that seeks circulation of the city rather than occupying a plac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easy installation and removal, unlike public art that applies the existing 'place-specific' principle. Although it is an architectural medium, the characteristic that it does not have a distinct function and purpose has the peculiarity of providing an experience of works using the body and easy collaboration with other genres. In addition, various activities that induce participation using the viewer's body serve as a venue for activating the individual's diverse identities as a pluralistic subject who constantly moves and lives, unlike the existing public art. These physical and sensory experiences form a tac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s, and the small group formed at this time functions as an element that organically connects the city, and the pavilion becomes a 'floating territory'. Through this, the pavilion shows the aspect of a “new genre public art” centered on community participation, while presenting a new direction as an urban public art that is open to anyone, rather than limiting the subject to local residents. Based on this study on the existence of modern people living on the premise of the cit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urban public art aspect of the pavilion that could be developed in various cities and regions around the world. Also, the utility at the city level that could be realized through the medium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buildings was considered and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specific background until the pavilion, which was a medium for architectural expansion, was illuminated as urban public art, as well as its potential as public art, as well as urban public art by showing alternative steps to existing architecture in the ambiguous realm of architecture. It is meaningful that it considered the point to be directed.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direction of urban public art derived in this way can also suggest the direction of public art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동시대 미술의 영역에서 주목받고 있는 임시 건축물 파빌리온을 도시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실존 방식을 통해 분석하여 도시 공공미술로서의 유효성을 도출하고 그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시대 미술에 있어 파빌리온은 2000년 이후부터 모더니즘 미술의 견고한 벽을 허물고 대중과의 소통 가능성을 통해 미술관과 같은 예술기관의 마당에 설치되기 시작했다. 미술관으로부터 파생된 파빌리온 프로젝트는 이제 시 단위로 진행되는 지역 중심의 공공미술 프로젝트에도 도입되고 있다. 파빌리온이 세계 다양한 도시에서 예술작품이자 지역의 쟁점을 표출할 수 있는 공공미술로 기능하기까지 기존의 공공미술은 역동적인 담론의 변화를 거쳐 왔다. ‘도시 계획 속의 미술(Art in Urban Design)’, ‘공공장소로서의 미술(Art as Public Place)’, ‘공적 관심의 미술(Art in Public Interest)’ 등 1960년대 태동부터 수많은 분류 기준을 낳은 공공미술의 변천사는 변화의 지점마다 제기되어 온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발전사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아직까지도 공공미술이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있는 상황 속에서 세계 여러 도시를 중심으로 성행중인 파빌리온 프로젝트가 이전까지 공공미술과는 다른 행보를 보여주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기존 공공미술의 근원적인 문제점을 고찰하고 대안으로서 새로운 공공미술의 방향성 제시를 위해서는 도시라는 물리적 장소를 기반으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실존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모던 경관 분석에 뛰어난 통찰을 보였던 인문지리학자 에드워드 랠프(Edward Relph)의 장소론과 사회학자 미셸 마페졸리(Michel Maffesoli)의 포스트모던 사회론은 본 연구에 있어 유의미한 방법론으로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랠프에게 있어 장소는 인간 실존의 근원이다. 장소경험은 일상적인 생활세계를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과정이며 이는 곧 인간의 실존을 이룬다. 랠프는 현대인들이 다양한 요소들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장소의 본질을 보지 않고 관습적이고 폐쇄적인 태도를 통해 장소를 창조하고 경험함에 따라 장소로부터 소외되는 ‘뿌리 뽑힌 삶’을 살아간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랠프가 주장했던 고정적인 장소에 뿌리박힌 인간의 실존 방식은 마페졸리의 포스트모던 사회의 공동체 차원의 순간적인 경험을 통한 실존인 ‘역동적인 뿌리내림’으로 전환된다. 인간의 실존에 있어 장소는 여전히 필요한 것이지만 장소와 개인의 관계에서 장소와 집단의 관계로의 이행이 일어남에 따라 장소를 전제로 현존하는 타자와의 관계가 더욱 중요해진 것이다. 이제 도시적 삶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활성화된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들이 일시적이면서 산발적으로 뿌리내림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방랑과 정주라는 양가적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실존 방식을 통해 공공미술의 새로운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시의 공공미술은 전체 속에서 소모 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으로써 부족의 일원이 되어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이이어야 한다. 또한 도시 공공미술은‘떠 있는 영토’로서 일시적인 부족들을 형성하여 도시를 유기적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두 이론가를 통해 알 수 있는 도시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실존 방식의 변화는 ‘장소-특수성’의 원칙이 적용된 초기의 공공미술에서부터 최근의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로 물리적 장소에서 공동체로 담론의 이행이 일어난 것과 연관지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배경으로 가변성, 임시성, 융통성이라는 특성을 가진 파빌리온이 물리적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회·문화적 심층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세계의 도시와 상응을 이루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에 주목하고자 한다. 박람회와 함께 발전한 파빌리온은 기능적인 건축 이상의 예술작품으로서 지위를 획득하고 도시의 다양한 개인과 공동체를 포용할 수 있는 공공성을 함께 심화해왔다. 나아가 아트 파빌리온의 시초인 런던의 서펜타인 갤러리의 사례를 통해 지역 주민, 그 지역을 생활권으로 삼는 사람들, 한시적으로 머무는 관광객 모두를 아우르면서 도시와 그들을 이어주고 있는 모습을 통해 ‘장소-특수성’과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모두를 아우르는 공공미술로서 가능성을 고찰해보았다. 이어서 미술관의 아트 파빌리온 이후 도시를 중심으로 성행하게 된 파빌리온 프로젝트의 도시 공공미술로서 효용성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본 논문은 국내 서울의 다양한 지역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한《『서울은 미술관』》과 안양시를 중심으로 공공미술을 통한 도시재생에 새로운 지평을 연《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APAP》,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MoMA PS1과 파트너를 맺어 진행하는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YAP》의 파빌리온을 도시와의 상관성 속에서 분석하여 도시 공공미술로서 효용성을 도출하고자 했다. 파빌리온은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위치, 경관, 공동체와 같은 장소의 본질을 성찰한 장소를 창출함에 따라 도시와 상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파빌리온의 그 도시만의 장소 정체성을 형성하는 ‘장소-특정적’공공미술의 성격은 임시 건축물의 특성을 통해 장소를 재화로 환원하여 구별적 특징을 부여하는 것이 아닌 ‘의식의 힘’을 반영한 장소를 만들기를 실천한다. 이처럼 다양한 개인과 집단을 향해 개방된 장소는 곧 마페졸리의 ‘떠 있는 영토’의 가능성을 내재한 장소가 된다. 이 때 파빌리온은 기존의 ‘장소-특정적’원칙을 적용한 공공미술과 달리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특성을 통해 장소를 점유하는 것이 아닌 도시의 순환을 꾀하는 가변적인‘장소-특정적’공공미술이다. 건축 매체이면서도 뚜렷한 기능과 목적을 가지지 않는다는 특성은 신체를 이용한 작품 경험을 선사하고 타 장르와의 협업이 용이하다는 특이점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관람자의 신체를 이용한 참여를 유도하는 다양한 활동들은 기존의 공공미술과 달리 끊임없이 이동하며 살아가는 다원적 주체로서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을 활성화시키는 장이 된다. 이러한 물리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은 관람자들 간의 촉각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이 때 형성된 소규모 집단이 도시를 유기적으로 이어주는 요소로 기능하며 파빌리온은 ‘떠 있는 영토’가 된다. 이를 통해 파빌리온은 공동체의 참여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의 측면을 보이면서도 대상을 지역 주민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닌 누구에게나 열린 도시 공공미술로서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해준다. 이렇게 파빌리온은 방랑과 정주라는 양가적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실존적 태도를 통해 도출된 공공미술의 새로운 방향성과 도시의 공공미술은 전체 속에서 소모 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으로써 부족의 일원이 되어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이이어야 한다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임시 건축물이라는 매체 특성을 통해 실현할 수 있었던 도시차원의 효용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모호했던 건축의 영역에서 기존 건축의 대안적 행보를 보여줌에 따라 건축의 확장을 이루는 매체였던 파빌리온이 도시 공공미술로 조명받기까지의 구체적인 배경과 공공미술로서의 가능성, 나아가 도시 공공미술이 지향해야할 지점을 고찰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이렇게 도출된 도시 공공미술의 지향점은 추후 공공미술의 방향성 또한 제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