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과 실태

        송정윤(Song Jung yoon),장은섭(Jang Eun seob)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90 No.-

        쓰기의 사고 과정은 학습의 사고 과정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로 인해 쓰기는 학습을 위한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학습의 도구로써 쓰기는 범교과적 글쓰기, 내용 영역 글쓰기 등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는데, 본고에서는 쓰기가 학습의 전략적 도구로 활용된다는 측면에 주목하여 “학습을 위한 쓰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제까지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국내 연구들은 1)이의 개념을 정립하는 연구들, 2)학습을 위한 쓰기를 적용한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학습을 위한 쓰기가 학습의 실행 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학습을 위한 쓰기를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3학년 학생 5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내용교과인 사회와 과학에서 수행하는 쓰기에 대해 물었으며, 크게 1)학습을 위한 쓰기를 활용하는 것의 유용성, 적합한 쓰기 유형 등에 대한 인식, 2)내용교과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쓰기 유형, 빈도, 길이, 학습을 위한 쓰기 활용의 실제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묻는 내용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첫째, 다수의 중학생들은 학습을 위한 쓰기를 유용한 학습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제활용에 있어서도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수업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학습을 위한 쓰기 유형은 빈 칸 채우기, 짧은 답(단어, 문장) 적기, 수업 내용/교과서 요약하기와 같은 기계적 쓰기 활동이었으며, 완성된 글의 형태는 한 학기에 1-2회 정도만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응답자들은 사회와 과학교과에서 학습을 위한 쓰기 수행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불만족, 매우 불만족)’보다 ‘만족한다(만족, 매우만족)’는 경향을 보였으나, ‘60%’ 정도의 학생들이 ‘보통’이라는 응답을 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을 위한 쓰기가 다양화되어야 하며, 고차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유형의 쓰기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어야 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쓰기가 교수학습 방법으로써 가지는 가장 큰 강점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인지 작용을 유도하여 종합적, 분석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극대화시켜 준다는 점이므로 다양한 쓰기의 형태를 각 교과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목표에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을 위한 쓰기의 가치와 활용방안에 대해 알수 있도록, 쓰기의 도구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활용 방안에 대한 지도가 국어 교과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실행 측면에서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입장을 먼저 살펴보았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또 다른 수업 주체인 교사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조사, 교재 분석과 수업의 관찰을 통해 학습을 위한 글쓰기가 수행 실태 분석이 이뤄진다면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결과를 축적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thinking process of writing is similar to the thinking process of learning. As writing is able to used to tool of learning. This article used a term ‘writing to learn’ instead of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contents area writing’ or ‘academic writing’. Major preceding researches focused on 1)making concept of ‘writing to learn’ and 2)verify effectiveness of writing to learn’. However there were lack in consideration that how students percept value and practice of ‘writing to learn’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ed students perception and practice of writing to learn in scene of a school. The number of the subjects was 518 students of middle school(8 graders and 9 graders).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n 1) perception : necessity of writing to learn, the most suitable writing type of writing to learn, and 2) practice : writing type frequently used in content area department, frequency of writing, length of writing, and efficiency of writing to lear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1) substantial number of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at writing to learn is useful method to learn and they responded that writing to learn is really helpful for them. 2) mechanical uses of writing such as filling the blank, writing an short answer, and summarizing a textbook is usually used in the class. And 3) positive answers were superior in numbers than negative answers about practice of ‘writing to learn’ that they did, but 60% students answered “normal” ‘Writing to learn’ had the advantage that maximized synthetic, analytic and creative thinking as load active cognition. So We should focus on the necessity of writing to learn and a wide variety of utilizing metho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other subjects. Focusing in student’s perception, this article have a different signification from preceding researches. Studies about teacher’s perception of “writing to learn” and analysis of textbook and class lesson should be go on, they will be a systematic approach to “writing to learn”

      • KCI등재

        초,중,고등학생의 글쓰기 어려움에 대한 인식 연구

        송정윤 ( Jung Yoon Song ),김경환 ( Kyoung Hwan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생들이 겪는 글쓰기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글쓰기 도중 겪는 어려움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였고, 질적 분석을 통해 글쓰기의 어려움으로 크게 ``내용 생성하기에 대한 막막함``, ``내용 구성하기와 관련한 어려움``, ``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 ``"주어진" 쓰기에 대한 부담감``, ``과제 장르에 따른 어려움``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생들이 글쓰기의 어려움으로 가장 많은 호소한 것은 ``내용 생성하기에 대한 막막함``과 ``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었다. 둘째, 많은 학생들이 자신들이 자주 수행하는 쓰기 장르를 전제로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이는 초등학교(일기 쓰기)와 고등학교(논술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글쓰기 어려움은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 관계 속에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제언하였다. 첫째, 교사 중심의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쓰기 지도를 지양하고, 학생 필자가 겪고 있는 글쓰기 어려움에 대해 면밀한 분석한 후 이에 대한 지도가 이뤄져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글쓰기의 어려움을 줄여주기 위해 쓰기 과제를 학생들의 수준과 학교급간 지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제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what they experienced difficulty in their writing process. For this study, it us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the results of survey were coded by two researchers. The coding categorized were cognitive factor in writing process, writing assignment factor and affective·behavioral·environmental factor.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perceptions of difficulty in writing process were not a segmental action. It was just a complex action. Second, many students stated that generating contents was the greatest difficult. Third, the writing difficulty was apt to appear according to the genre that the students often performed. For example, it was a diary in case of a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kewise middle school students focused on a book report, a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essay. As result, we propose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solving writing difficulties.

      • KCI등재

        교과서 내 쓰기 영역 단원의 학습활동 활용 실태 연구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송정윤 ( Jung Yoon Song ),안상희 ( Sang Hee Ah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2 한국어문교육 Vol.11 No.-

        이제까지의 교과서 학습활동 선행 연구물들은 교육과정이나 학습목표에 따른 학습활동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연구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정작 수업시간에 국어 교과서 내 쓰기 영역 단원의 학습활동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연구물은 미비했다. 따라서 학습활동을 교사와 학생이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국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교과서 쓰기 단 원 학습활동 수행정도와 학습내용에 대해 조사하고, 둘째, 쓰기 단원 학습활 동의 ``실제 쓰기 활동`` 수행에 있어 교7의 어려움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토대로 교사 인터뷰와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쓰기 단원에서 교사와 학생의 실제 학습활동 수행 정도와 ``기사문쓰기`` 단원의 학습활동을 통해 교사가 가르친 내용과 학생이 배운 내용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고 학습활동과 함께 ``실제 쓰기 활동``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들을 통해 제언하고 싶은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단원의 학습활동 중 실제 쓰기 활동을 반드시 학교 현장에서 교수학습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교과서를 개발, 편찬하는 데 있어 쓰기 단원의 학습활동을 전략 중심으로만 구성하지 말고 반드시 실제 쓰기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게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쓰기 단원을 일상생활과 괴리되는 장르 위주로 만들지 말고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보다 밀접하며 흥미를 지날 수 있는 장르 및 주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ctual condition of ``learning activity`` use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writing unit We examined teachers and students` learning activity use in writing classes. And we researched the teach` difficulties of teaching ``whole writing activity`` in writing classes. We had an interview with 3 teachers and did a survey targeting 119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interview and the survey, we could know the actual condition of learning activity use in writing classes and how important ``whole writing activity`` is. This research shows three suggestions as following. First the practical work of writing activity is very irr4ntant in writing classes. Sozor4 writing wit should include the certain activities which implement whole writing activity in Korean language textbook. Third, writing unit should be comprised of various genres and topics which are related learners` real life and their interests.

      • KCI등재

        도해 조직자의 활용이 중학생 독자의 독해에 미치는 영향

        송정윤 ( Jung Yoon Song ),배재성 ( Jae Seong Bae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3 No.-

        본 연구는 도해 조직자가 중학생 독자의 독해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 질적으로 살펴보았다. 도해 조직자가 유형과 독자의 독해 수준에 따라 사실적ㆍ추론적 이해에 미친 효과 유무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독자가 인식한 독해 조직자의 활용 효과의 구체적 양상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도해 조직자의 활용 방식에 따른 긍정적 효과는 참여형 집단의 사실적 이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상 수준 독자들에게서는 도해 조직자에 의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 수준에서는 참여형 집단의 사실적 이해 점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대다수 학생들은 도해 조직자를 읽기 전ㆍ중ㆍ후 한 시점에만 활용하기보다 읽기 과정 전반에 걸쳐 중복적으로 활용했으며, 도해 조직자의 도움 여부에 대해서도 두 집단(제시형, 참여형)의 대부분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읽기 전략으로써 도해 조직자를 활용할 때는 학습자의 독해 수준과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텍스트 난도에 따라 도해 조직자의 활용이 달라져야 한다. 셋째, 교과서 구성과 교수ㆍ학습 지도에 있어 읽기 전ㆍ후에 주로 배치된 도해 조직자의 제시 위치와 활용 시점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and using of Graphic Organizer on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graphic organizer appeared in learner generated organizer group and in low-level reading comprehension group on literal comprehension (not on inference comprehension).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used graphic organizer throughout reading processes. And both group(group of author provided organizer and group of learner generated organizer) said that could get the positive effects of graphic organizer on comprehension. Based on these results, reader factors and text difficulty should be considered providing graphic organizer for reading strategy. And there is a need to rethink the location of graphic organizer when using the supplement to reading and consisting the textbook for comprehension.

      • KCI등재

        중학생의 쓰기 막힘 경험에 대한 설문 연구(1) -쓰기 막힘의 기본 실태를 중심으로-

        이순영 ( Soon Young Lee ),송정윤 ( Jung Yoon Song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8

        이 설문 연구에서는 중학생 123명의 응답을 통해 쓰기 막힘의 기본 실태(경험 여부, 빈도, 강도)를 확인하고, 쓰기 막힘과 필자의 특성(쓰기 능력과 태도) 간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중학생에게 쓰기 막힘은 매우 보편적인 경험이었고,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쓰기 막힘의 빈도와 강도도 높았다. 90% 이상의 학생들이 쓰기 막힘 문제의 해소를 희망하고 있으나, 대부분 이에 대한 교육적 지원은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쓰기 능력, 쓰기 태도, 쓰기 막힘의 ``상하 수준``에 따라 대부분의 문항에서 응답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쓰기 막힘의 수준이 높은 필자는 쓰기 능력, 쓰기 효능감, 쓰기 태도도 모두 낮아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반면에 성별과 학년에 따라서는 쓰기 막힘의 수준을 비롯한 대부분의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문항 간 상관 분석을 통해 문항의 영역과 세부 문항별로 일정한 양상을 확인하고 쓰기 막힘의 해석과 관련된 쟁점 사항을 확인하였다. 쓰기 막힘의 경험 여부, 경험 빈도, 경험 강도에 관한 문항 간에는 중상 수준의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쓰기 능력·태도와 쓰기 막힘 영역의 문항 간에는 일정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아 개별 학생이 경험하는 쓰기 막힘의 수준과 타 변인들과의 관계가 선형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urvey study investigated variou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lated to writing blocks by 123 middle school students` repons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This study, first, found out that 82% of students had experienced writing block and over 40% reported the level and frequency of their writing block was high. Over 90% students hoped to overcome writing blocks; however, most of them had not received any educational support. Second, high/low groups in writing block showed different responses in most questions in the survey. Most high blockers usually had other writing difficulties, such as low writing ability, writing attitude, and self-confidency as writers, so need to professional support. Third, responses from four questions in the section of writing block had clear and attentive correlations each other; however, other 10 questions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Some implications and issues were suggested to enhance the interpretations of students` writing blocks and to promote further stud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반논문 : 국어과 예비교사들의 수업 설계에 대한 인식 연구

        배재성 ( Jae Seong Bae ),송정윤 ( Jung Yoon So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econdary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on instruction desig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he instruction design. For these purposes, 63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urvey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or instruction design activities i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hey tended to recognize that the most essential part of instruction design is to set the teaching method to fit the student level. Meanwhile, they faced variou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he instruction design. To solve these problems, they were required practical program associated with school practices i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design in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KLE were sugges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