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緖의 詩歌에 나타난 창작의식 고찰

        송재연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夢漢零稿>에 수록된 한시와 가사 작품을 문집의 기록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왕족 李緖가 詩歌를 통 해 드러내고자 했던 의식세계를 고찰해 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李緖의문집 <夢漢零稿>에는 그가 지은 <述懷 > 시 1수와 가사 <樂志歌>, 珍城守 綿의 한시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역모에 휩쓸려 귀양을 갔던 왕족의 삶 과 의식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논의의 결과 李緖는 한시 작품을 통해서 유배생활의 감회를 표출하고 있고, <樂志歌>를통해서는 유배가 끝난 후의 삶의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樂志歌>는 자신이 왕족으로서 겪어야 할 운명을 예감하고, 隱逸的 삶을 지향함으로써다시는 세파에 휩 쓸려 불행을 겪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이는 곧 역모로인한 유배에서 풀려났을 때 왕족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은거 하나밖에 없다는 왕족만의 특수한 상황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은거지인 昌平이라는 향유공간과 관련지어 <樂志歌>를 살펴보면 그 창작의식 속에는 작가 자신이 살아가야 할 공간의 구성원들과 친밀감을쌓아가고자 하는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층 지식인으로서 공유하는 도학적 이념 과가치관을 가사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지역의 지식인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돈독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학문 수양을 통해 얻은 성리학 이념을 후학을 비롯한 백성들에게 교화하는 역할도 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o clarify aspects and meanings of Siga(詩歌) written by Yi seo(李緖) on the basis of Monghanyounggo(夢漢零稿) of records and literature, suchas Chinese poetry and Gasa(歌辭). Yi seo(李緖) wrote Chinese poetry <Sulhoe(述懷)> and Gasa <Nakgiga(樂志歌)>. These will have a great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life andconsciousness of royal family by considering the creative consciousnes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he express the emotion of the exile in hischinese poetry and provide direction and goals in life wnich rescind his exilein <Nakgiga(樂志歌)>. He have a premonition of his fate which will undergo asa royal family, and aimed life in seclusion. And he can express a willingnessnot to suffer from misfortune was swept away in so many hardships. This showsa particular situation that there is only one way in which royal family can selectwhen he was released from his exile caused by the conspiracy. And if we lookat in relation with a retiring place, Changpeong(昌平), we can find that hewrote a <Nakgiga(樂志歌)> with the intention of making friends with the locals. He can form of sympathy and keep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ntellectuals,by expressing ideas of ethics and values which shared as upper intellectualsin Gasa <Nakgiga(樂志歌)>. Furthermore, he can teach pupils and people withideas of ethics which gained through the study of ethics.

      • KCI등재

        예안 사족 申甲俊 詩歌의 도학적 특성과 의의

        송재연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8 No.-

        이 논문은 경상도 예안에 세거했던 申甲俊이 시가를 창작하는 데 배경이 되었던 학문적 원천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城西幽稿 소재 시가의 창작양상과 도학적 특성을 고찰하여 퇴계학이라는 학문적 배경 속에서 그의 시가 창작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하고자 작성된 것이다. 申甲俊은 예안에 세거했던 한미한 향촌사족이었지만, 그의 향리인 예안은 퇴계학의 본향이라고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李滉은 그가 宦路에 나갔던 기간을 빼고 생애의 대부분을 이곳에서 보냈고, 만년에는 도산서당을 지어 학문을 연마하며 후학 양성에 전념했기 때문에 爲己之學의 학풍을 지닌 많은 문인들이 배출될 수 있었다. 李滉의 사후에는 趙穆이 뒤를 이어 스승의 학문을 계승하며 학파를 형성하는 한편,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한 眞城李氏나 光山金氏 등의 가문에서 家學으로 퇴계학을 계승하면서 학맥이 이어지게 된다. 17ㆍ18세기에 들어서는 眞城李氏와 光山金氏 가문이 예안 내에서 실질적인 유력가계로 대두되었는데, 특히 眞城李氏 가문의 李滉 후손들은 그의 학문을 家學으로 삼아 문집을 간행하고, 언행록을 편찬하며, 문도록을 간행하는 일에 진력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申甲俊은 光山金氏 金時粲과 眞城李氏 李家淳과 교유하며 퇴계학의 영향을 받았고, 시조 <陶山十二曲>에 대한 관심도 깊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학문적 원천과 관심을 토대로 다수의 시조, 가사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의 시가 작품에 구현된 도학적 면모와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는데, 먼저 예안 지역 내 李滉의 遺痕 확인과 尊仰心의 발현을 들 수 있다. 시가를 통해 巨儒 李滉의 자취가 남아있는 ‘예안’의 지역 공간이 가지는 도학적 含意를 드러내는 동시에 李滉에 대한 尊仰心과 그가 體得했던 理趣를 재현하여 이를 예안 지역 유력 사족들과 함께 향유했는데, 이를 통해 향촌사족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는 동시에, 우리말 노래인 시조와 가사를 통해 퇴계학의 이념을 더욱 宣揚함으로써 사족층의 교화와 결속에도 기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修己와 講學의 勸戒를 통한 대학적 세계관의 구현을 들 수 있다. 申甲俊은 三綱五倫과 같은 실천윤리보다는 愼獨, 修身, 守分과 같은 심성 수양, 학문 연마와 관련된 문제를 우리말 노래로 형상화했는데, 이는 당대 예안 지역에서는 실천윤리를 통해 향촌민을 규제하는 것보다는 향촌사족으로서 자신을 수양하는 것이 더욱 緊切하다는 대학적 세계관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his creation in relation to Toegye Studies by deriving the academic sources that led to the creation of Siga(시가) by Shin Gapjun, who lived in Yean, and by examining the aspects of his creation and the Neo-Confucian characteristics embodied in his Siga. Although Shin Gapjun was a humble Hyangchon Sajok who lived in Yean, Yean, his hometown, is the home of Toegye Studies. As is well known, Yi Hwang spent most of his life here except for the period when he was in office, and in his later years, he dedicated himself to cultivating his students in Dosanseodang. Therefore, many disciples who succeeded Wigijihak(위기지학) were able to be produced here. After Yi Hwang's death, Jo mok inherited his teacher's studies and formed a school, while succeeding Toegye Studies from a family of Jinsung Yi and Gwangsan Kim to a family's studie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descendants of Yi Hwang used his studies as a family education to publish literary works, compile records of his words and deeds, and and publish lists of his disciples. Under these circumstances, Shin Gapjun was influenced by Toegye Studies by interacting with Kim Sichan and Yi Gasun, and his interest in Dosansibigok(도산십이곡) and other literary works written by Yi Hwang also deepened. Based on these academic sources and interests, he created a number of literary works, Sijo and Gasa. The Neo-Confucian aspects and characteristics embodied in his literary work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he first is to identify the traces of Yi Hwang in the Yean area and to show respect for him. Shin Gapjun revealed the meaning of Yean's traces, while recreating the respect for Yi Hwang and the reason he realized through his Siga, and enjoyed it with the people of Yean Sajok. By doing so, he was able to solidify his position as Hyangchon Sajok,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 to the enlightenment and solidarity of the Sajok by further enhancing the ideology of Toegye Studies through Korean songs. The second is the embodiment of Ta Hsueh(대학)-based view of the world by encouraging the cultivation of mind and academic performance. Shin Gapjun embodies problems related to mental training and academic performance in Siga rather than practical ethics,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reflects the perception that training oneself as Hyangchon Sajok is more important than regulating the people through practical ethics in the Yean area of the time.

      • 국내산 석량종 풋콩의 형태학적인 특성과 성분분석

        송재연,안길환,김철재 선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2000 자연과학논총 Vol.3 No.-

        풋콩종자 중 석량품종의 형태학적인 특성과 일반성분을 분석하여 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과제를 수행하였다. 풋콩의 생협장은 3립이 6.25cm, 2립이 5.76cm, 1립이 4.75cm로서 고품질 기준인 4.5cm를 넘었으나 생협폭은 3립만이 1.32cm로 1.3cm인 기준을 통과하였다. 생협색은 진녹색 (-a 값, 11.84) 이었고, 모용색 은 회백색 (줄기) 또는 연갈색 (생협)이었다. 2-3립협율은 72.82% 이었다. 풋콩의 일반성분은 수분, 65.5%; 단백질, 15.3%; 탄수화물, 12.7%; 지질, 4.5%; 회분, 2.0% 이었 다. 회분은 Ca, 59.7mg/l00g 풋콩 Fe, 4.0mg/100g; p, 0.4mg/100g; Na, 1.9mg/100g; K, 571.8mg/100g; Mg, 102.7mg/100g 이었다. In this report, morphological character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Seokryang variety of Glycine max (L.) Merrill were evaluated. Length of 3-seed-pod, 2-seed-pod, and I -seed-pod were 6.25, 5.76, and 4.75cm, respectively, which passed the length criterion of high quality, 4.5cm. Width of 3-seed-pod was 1.32cm, whereas others were less than 1.3cm, the width criterion of high Quality. The color of pod, pubescence on pod, and pubescence on stem was fresh-green (-a value, 11.84), light-brown, and gray, respectively. The ratio of 2- or 3-seeds-pod to the total pod was 72.8296. The composition of seeds was moisture, 65.5%; protein, 15.3%; carbohydrate, 12.7%; lipid, 4.5%; ash, 2.0%.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ash were Ca, 59.7mg/100g seeds; Fe, 4.0mg/100g; P, 0.4mg/100g; Na, 1.9mg/100g; K, 571.8mg/100g; Mg, 102.7mg/100g.

      • ATM망에서 다중화된 MPEG 비디오소스의 동적 대역폭 할당

        송재연,이상엽,하창국,김장복,Song, Jae-Yeon,Lee, Sang-Yeop,Ha, Chang-Guk,Kim, Jang-Bok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7 No.6

        본 논문에서는 ATM 망에서 다중화된 VBR MPEG 비디오소스 전송시 QoS를 보장하는 실시간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시간 처리를 위해 다중화소스를 일정시간으로 나눈 '측정구간별로 나누어서 단일 비디오 소스에 사용하였던 선형예측 방법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만족할만할 셀 손실율을 얻지 못할 경우 QoS를 보장하기 위한 대역폭 할당방법으로 과할당과 재할당의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성이 서로 다른 네 가지 비디오 소스를 랜덤하게 다중화시켜 생성한 랜덤 다중화소스와, 프레임내 I 픽쳐의 배열을 고려해서 생성시킨 GOP 다중화소스를 만들어 모의실험을 하였고 이를 통해 선형예측 방법의 성능평가와 과할당 및 재할당방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과할당방법과 재할당 방법 모두 측정구간을 1.8초 이상으로 하면 0.9이상의 대역폭 이용계수값에서 목표 CLR을 만족하면서 낮은 COR(Cell Over Rate)을 얻을 수 있었고, 특히 COR의 경우 재할당방법이 같은 조건하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bandwidth allocation scheme of multiplexed VBR MPEG video sequences over ATM network. In order to real time processing, multiplexed source is estimated by linear-prediction per measurement period. If the result CLR value were not sufficient, we proposed a overallocation method and a reallocation one to guarantee QoS. We used two kinds of sources, one is random multiplexed source made of foot different video sources, the other is the one considered the arrange of I frame in the sequence. With those sources, we analyzed the linear prediction, compared overallocation with reallocation method. As a result, in both schemes, the objected CLR value is achieved, the sufficient value COR under 10% when mp is over 1.8 sec, the utilization is over 0.9. Especially, the COR value of the reallocation scheme is better at the same condition.

      • KCI등재

        가사 <천대별곡(天臺別曲)>에 구현된 자연의 형상과 의미

        송재연 문학과환경학회 2021 문학과 환경 Vol.20 No.1

        This thesis was written to clarify Chae deug-gi’s literary life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literary works of his contemporaries, including the records of writings abour him, and to investigate the shape and meaning of nature embodied in the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The life of Chae deug-gi, who lived in a short life of 40 years, cannot be said to be smooth. Although he had better talents than others, he lost his parents early and was not able to learn until he was 15 years old. He was highly motivated to study, so he mastered astronomy, geography, and medicine, including the Book of Changes, but failed to achieve his reputation through the past. Furthermore, due to the political reality caused by the Manchu invasion, he gave up his career in government and chose to live a life of seclusion in nature, free from worldly disputes. Chae deug-gi moved to Jacheondae in Sangju via Seonyudong and Mujisan Mountain, where his life in hiding was closely related to his literary activities, including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creation. He built a pavilion Muwoojung here, enjoyed the change of scenery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seasons, and lived a leisurely life enjoying the music and building poetry while exploring the surrounding natural wonders. However, as he headed to Shenyang to take care of Prince Sohyeon and Prince Bongnim, he was forced to leave the Jacheondae, expressing his feelings in the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In the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the author leaving for Shenyang, China, in response to the king's order, was embodied in the natural wonders of the Jacheondae, where he was his hermitage. He chose to abandon everything in the world, so he had to have a great affection for nature, but he was amazed by the real natural scenery around the Jacheondae and recognized it as an ideological nature with his ideals and ideologies. Most of all, however, the meaning of the natural space in which Cheondaebyeolgog(천대별곡) is perfunctory could be seen as a hermitage and a resting place. The patriotism, which is embodied in the latter half of the work, is also meaningful as a justification for fulfilling his duties as a servant and returning to his hiding place. This can also be meaningful as a homecoming in that it has been recommended to appear in government posts several times after returning to Josun, but has continued to enjoy learning and elegance without responding to all. 이 논문은 채득기의 문집 소재 <행장>과 <묘지명>을 비롯하여 교유인물의 한시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의 문학적 생애를 밝히고, 이와 관련하여 가사 <천대별곡>에 구현된 자연의 형상과 의미를 규명하고자 작성된 것이다. 40여년의 짧은 생을 살았던 채득기의 삶은 순탄했다고 볼 수 없다. 어려서 남보다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부모를 일찍 여의고 15세가 되어서야 학문을 배울 수 있었다. 학문에 대한 의욕이 높아서 주역 을 비롯한 천문, 지리, 의학 등에 통달했지만, 과거를 통한 입신양명도 이루지 못했다. 게다가 병자호란으로 야기된 정치현실로 인해 그는 출사(出仕)를 포기한 채 속세의 시비와 영욕에서 벗어난 은일적 삶을 선택하였다. 채득기는 속리산 동북쪽 화산의 선유동, 상주의 무지산을 거쳐 상주 자천대에 이거(移居)했는데, 이곳에서의 은거 생활은 가사 <천대별곡> 창작을 비롯한, 그의 문학 활동과 연관이 깊었다. 그는 자천대에서 무우정을 짓고 계절에 따라 변하는 풍광의 변화를 만끽하고, 주변의 자연경물을 탐승(探勝)하며 시문을 짓고 음악을 즐기는 유유자적한 삶을 살았다. 그러나 심양에 볼모로 잡혀있는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보살피기 위해 심양으로 향하면서 자천대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때의 심정을 가사 <천대별곡>으로 형상화하였다. <천대별곡>에는 왕명을 받들어 중국 심양으로 떠나는 작자가 자신의 은거지였던 자천대 주변의 자연 경물에서 느꼈던 지취(志趣)가 구현되어 있다. 언제 돌아올지 기약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천대 일대의 풍광은 더욱 아름답게 느껴졌을 것이고, 또 오래도록 기억에 담고 싶었을 것이다. 속세에서의 모든 것을 버리고 선택한 곳이기에 자연 경물에 대한 애착이 클 수밖에 없었는데, 자천대 주변의 실제 자연 풍경에 경탄하면서 자신의 이상과 이념이 투영된, 관념화된 자연으로 자연 경물을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었다. 즉, 자연 경물을 통해 중화의 전통성이나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드러낸다거나 가을과 겨울이라는 계절적 배경 속의 자연경물을 통해 우국충정이나 위기 극복의 의지를 재확인하는 양상이 그러한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천대별곡>을 관류(貫流)하고 있는 자연 공간의 의미는 속세를 벗어나 유유자적한 삶을 살고자 했던 은둔처이자 안식처라고 볼 수 있다. 속세를 떠난 작자는 때로 낚싯꾼이 되어서 고기를 낚기도 하고, 손수 나물을 캐어 먹기도 하면서 유유자적한 삶을 살아갔지만, 마음은 오히려 풍요로웠다. 그와 벗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자연 경물뿐이지만 외롭지 않았다. 물론 채득기라는 인물이 속세와 완전히 떨어져 있었던 것은 아닌 것 같다. 그의 마음 속 한 구석에는 언제나 나라의 안위에 대한 걱정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걱정은 산수 자연에 은거해서 사는 삶을 통해 치유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작품 후반부에 구현되어 있는 우국충정 역시 신하로서의 직분을 다하고 자신의 은거지로 돌아오기 위한 명분으로서 의미를 지닐 뿐이다. 이는 환국 후 조정으로부터 여러 차례 환로에 나올 것을 권유받았지만, 모두 응하지 않고 학문과 풍류를 즐기는 은일적 삶을 이어나갔다는 점에서 귀향처로서의 의미도 지닐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