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과 관련요인

        송은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Due to the fastest 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 world and medical development that enables full-scale treatments and operations even in later years, the number of older patients in hospitals are on the rise in Korea. Nurses’ ability to feel 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 recovery; however, 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 is focused on improvement of technical ability to ensure a safe use of medical equipment 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 based on empathy. Thus, demands for empathic nursing for older patients are increasing.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status and factors of empathy for older patient targeting nurses who work in general hospitals. The data was collected for a week from June 13th, 2014 and 240 nurses from general hospitals in Seoul, who have experience in caring for older patients, participated. The nurses’ ability to 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 for older patients ranged from the lowest score of 173 to the highest score of 282 with the average score of 222.53(±21.69), which is a normal level. General attributes that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s ability to feel 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 marital status (higher for those who are married), religion (higher for those with religious faith), and nurses in general unit scored higher than those in special unit, and unit manager nurses scored higher than staff nurses. Additionally, nurses who prefer geriatric care, have experience with living with older people, have taken lectures on gerontology, and/or have practiced in senior welfare centers scored higher.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having taken trainings that are related to older people and practice experience in locations where one can meet healthy older people can serve as factors of the nurses’ ability to feel 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 opportunities with healthy older people in places 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 Ultimately, this will provide nurses with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ability to feel empathy for older patients and it can be expected that this will lead to improved nursing quality for older patients. 최근 우리나라의 병원에는 세계 제일의 노인인구 증가 속도와 노년기에도 적극적인 치료와 수술이 가능해진 의학적 발전으로 인해 노인 입원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자의 건강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상 환경은 의료장비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기술적 능력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적 관계는 간과되고 있어 노인 대상의 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적 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노인 환자에 대한 공감력 수준과 공감력 관련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간호사의 공감력 측정은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대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저 173점에서 최고 282점으로 평균점수는 222.53(±21.69)점으로 보통 수준 이였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에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낸 일반적 특성으로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미혼자 보다 높았고, 종교가 있는 간호사가 무종교보다 높았고, 일반 병동간호사가 중환자실 등 특수병동 간호사보다 높았고, 수간호사가 일반 간호사 보다 높았다. 그리고 노인관련 경험 특성으로는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노인 관련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노인복지관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공감력이 높았다. 이 결과에 비추어 보면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과 관련 요인 중 중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관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장소에서의 실습경험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예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대학생과 임상간호사에게 공감력 향상을 위한 노인관련 교육을 증가시키고 노인복지관 등의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실습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간호사들에게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제작과 기술전승의 과제

        송은선 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obacco was introduc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exploded in popularity for about 300 years until cigarettes (filter cigarettes) were produced and popularized by the Monopoly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mong various tobacco tools, the silver-inlaid tobacco case accounts for the largest number of metal-inlaid crafts that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s a craft that reveals the phases of the modern era. The portable silver-inlaid cigarette case to be discussed in this study is a cigarette case emphasizing decorativeness by inserting different metal materials. Because it h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thod and feldspar attached through a sliding method, it is a craft product that can examine the craft technology culture where professional skills must be combined according to social needs. In the case of a general metal tobacco box, it is completed through joint collaboration with artisans with shape production skills such as cupronickel, coppersmith, blacksmith, and silver, and Ipsa-jang and metal carving craftsmen with expertise in metal surface decoration. Howe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silver-lined cigarette case, rather than a general metal craft that is individually produced and combined by a craftsman with production technology and a craftsman with surface decoration technology, one craftsman has all of the different specialized skills because of the speciality of understanding and manufacturing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It is a craft with a uniqueness that can be completed only when you understand the organic production flow in a perfect state. Therefore, it has been inherited by metal craftsmen who have the technology of form, structure, feldspar production, and surface decoration such as caving or inlaid. Since the portable silver-inlaid tobacco box can be manufactured only when a craftsman has the skills of shape making and decorative expression, it has a special feature that can show the interconnected attributes of the craftsman's skills and professional skills. Therefore, it is a special craft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examining the technological relevance of metal craftsmen and the acceptance and change of met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times. However, the portable silver-capped cigarette case, which was introdu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contained tobacco, gradually disappeared as the newly appeared cigarettes became popular in modern times. If there is no user, the culture of craft production technology will disappear, but tobacco tools are also in the same situation, so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them. The use of the portable silver-lined cigarette case has changed from a living craft to a museum relic or antique art object. The portable silver-lined tobacco set,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is important, is the only craft that has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rough a sliding method.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tructure of opening and closing because the relics are only displayed in a closed state due to concerns about damage caused by opening and closing. Due to the disappearance of craft production technology cultur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e complexity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of craft objects, the advancement of specialized skills, proficiency, and productivity,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portable silver-inlaid tobacco boxes, a tradition with difficult technical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it is a craft Through the portable silver-inlaid cigarette case with these characteristics, the craft production culture through the acceptance of visual/symbolic culture and technology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studied. In addi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portable silver-infused cigarette agreement, the technical relevance of artisans, oral testimonies,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production technology were examined. Through the subject of this thesis, the production of portable silver-infused cigarettes and the task of handing down technology, I tried to transmit and reproduce technology suitable for reality as a producer of transmission. 담배는 임진왜란 이후 유입되어 조선총독부 전매국에 의해 궐련(필터 담배)이 생산되고 성행될 때까지의 약 30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폭발적으로 보급되었고, 이에 따른 흡연문화는 다채롭고 훌륭한 공예품들을 탄생시켰다. 다양한 연초도구 중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조선 후기에 성행했던 금속 입사 공예품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근대의 시대상을 드러내는 공예품이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서로 다른 금속재료를 감입하여 장식성을 강조한 담배합으로, 형태와 장식뿐만 아니라 휴대성과 자동개폐를 위한 구조적 기능을 가진 공예품이다. 일반적인 은입사 담배합에 슬라이딩 방식을 통한 자동 개폐 방식과 장석이 부착된 특징을 갖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실용성에 따라 전문적 기술이 교합되어야 하는 공예기술문화를 보여주는 공예품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입사 담배합의 경우, 형태 제작 기술을 지닌 대공장 계열의 장인인 백동장, 동장, 야장, 은장과 표면장식의 전문 기술을 지닌 입사장, 조각장의 공동협업을 통해 완성된다. 그러나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경우, 개폐의 구조를 이해하고 제작해야하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제작기술 장인과 표면 장식기술을 가진 장인이 협업하여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입사 담배합과는 다른 기술공정을 가진다.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한명의 장인이 각기 다른 전문화된 기술을 통합적으로 보유하고 유기적인 제작 흐름이 이해되어야 완성되는 특수성을 지닌 공예품으로 형태, 구조, 장석 제작과 표면 장식 기술인 은입사 기법까지 보유한 금속장인에 의해서 계승되어 왔다.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한 사람의 장인이 형태제작 기술과 장식표현 기술이 한꺼번에 보유되어야만 제작되어질 수 있으므로, 장인의 기량과 전문기술의 상호 연결적인 속성을 보여줄 수 있는 특수성을 갖는다. 따라서 금속장인들의 기술연관성과 함께 기법 수용 및 기술제작의 변화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공예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연초를 담아두었던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을 비롯하여 담뱃대와 같은 연초도구들은 근대 새롭게 등장한 궐련이 성행되면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사용자가 없으면 제작 문화도 사라지기 마련인데, 연초도구 또한 마찬가지 상황에 처해지면서 담배합 제작의 필요성 또한 사라지게 되었다. 생활 공예품이었던 담배합은 박물관의 유물이나 고미술품이 되었고, 휴대성과 개폐 구조가 중요한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자동 개폐 방식을 갖는 공예품으로 유일하지만, 파손 우려 등으로 인해 유물의 닫힌 상태로만 전시된다. 따라서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자동 개폐 작동 방식을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기법이 까다롭기 때문에 기술 전승 및 제작이 연구되어야 하는 공예품이라고 할 수 있다.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시대적 변화에 따른 기술 제작 문화의 사라짐, 기물의 복잡성과 구조적 이해도, 전문 기술의 고도화, 숙련도, 생산성 등의 이유로 기술 재현 및 전승이 까다로운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기술사 및 문화사적 특징을 지닌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을 통해 조선 후기에서 일제강점기의 시각‧기호 문화, 장인의 기술 수용을 통한 기술 제작 문화를 연구하였고, 더불어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전승 제작 과정을 통해 장인들의 기술연관성, 구술증언, 제작 기술 변화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주제인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제작과 기술전승의 과제에 관한 공예문화사를 연구하였고, 전승의 제작주체로써 현실에 맞는 전통공예기술을 전승하고 재현하고자 하였다.

      • 과학영재교육대상자 선발문항 분석에 기반한 반성적 사고력의 판별가능성 탐색

        송은선 인천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영재교육대상자의 선발과정은 영재교육의 시작이자 가장 중요한 시점이다. 영재교육 목적에 알맞은 대상자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공정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선발도구의 분석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 사용되는 선발문항의 분석을 통해, 평가도구로서의 적합성을 알아보고, 과학영재교육대상자의 인지 사고특성을 잘 설명해줄 수 있는 변인으로 반성적 사고력의 판별가능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과학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 사용하는 문항의 내용분석과 측정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분석결과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초등과정 선발문항은 .97, 중등과정 선발문항은 .96의 내용타당도지수(contents validity index)를 보이며, 내용타당도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두 과정 모두 1단계 1교시의 선발문항은 총 12개로, 반성적 사고력(Reflective Thinking)을 측정하는 문항 3개, 공간능력을 측정하는 문항 3개,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문항 3개, 패턴인식능력을 측정하는 문항 3개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의 유형은 선택형(초등과정 25%, 중등과정 16.7%) 보다 서답형(초등과정 75%, 중등과정 83.3%)이 더 많은 비율로 출제되었으며, 서답형 중에서는 단답형(초등과정 88.9%, 중등과정 70%)이 서술형(초등과정 11.1%, 중등과정 30%)보다 더 많이 출제되었다.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2차원적 구조로 분류해 본 결과, 초등과정과 중등과정 문항의 측정 차원이 다름을 알 수 있었는데, 초등과정 선발문항은 개념적 지식과 이해하기가 연결된 문항이 5개로 월등히 많이 나타났고, 중등과정 선발문항은 개념적 지식과 이해하기 문항 2개, 메타인지 지식과 이해하기 문항 2개, 메타인지 지식과 분석하기 문항 2개로 문항이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문항의 측정학적 분석은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 분석이 이루어졌다. 초등과정 선발문항의 신뢰도 지수 Cronbach’s 는 .700이며,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평균 문항난이도는 3.133 표준편차 5.177로 전체적으로 매우 어려운 편이고, 문항변별도의 평균은 .918, 표준편차 .772로 양호하여 문항의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중등과정 선발문항의 Cronbach’s 는 .683으로, 문항반응이론에서는 평균 문항난이도 2.949, 표준편차 4.329로 매우 어려운 문항으로 분석되었고, 평균 문항변별도 .835, 표준편차 .679로 변별정도가 양호하여 문항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초등과정 선발문항과 중등과정 선발문항 모두 반성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문항이 능력수준에 따른 문항정보를 많이 제공해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뢰도와 난이도, 변별도가 확보된 선발문항을 가지고 과학영재교육대상자로 선정된 학생집단과 선정되지 못한 학생집단을 변별해주는 인지 특성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판별식에서는 반성적 사고력의 예측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높은 예측력으로 초등과정에서는 공간능력, 패턴인식능력, 문제해결력을 보고 하였으며, 중등과정에서는 문제해결력, 패턴인식능력, 공간능력 순서로 예측력을 보이고 있다. 반성적 사고력의 높은 예측력은 과학영재교육대상자 선정여부에 따른 집단에서 뿐만 아니라, 선발과정에 참여한 학생 전체를 선발 1단계 총점을 기준으로 상·하위 10%, 15%, 30%로 분리한 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대상자 선발과정을 통해, 최종 교육대상자로 선정되어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의 과학영재교육원 학업성취와, 선발과정에서 사용했던 선발문항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선발문항에서 측정했던 인지 사고특성과 학업성취 간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초등과정 선발문항과 중등과정 선발문항 모두 인지 사고특성과 학업성취 간 상관이 유의하지 않으며, 학업성취도의 예측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아, 인지 사고특성으로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학업성취를 측정하는 도구가 과학영재교육대상자의 능력을 발휘하기에 적절하지 않았던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교육대상자를 선발하기 위해 개발된 선발문항은, 과학영재교육대상자가 지니고 있는 인지 사고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구성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선발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가 과학영재교육대상자를 선발하기 위한 준거참조검사의 특성과 규준참조검사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학영재교육대상자를 선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과학영재교육대상자의 인지 사고특성 중 문제해결력, 공간능력, 패턴인식능력에 비해 반성적 사고력의 예측력이 가장 높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반성적 사고력의 판별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대상자 선발과정에 사용되는 선발문항 자체의 분석을 실시하고, 한 단계의 검사를 구성하고 있는 문항에 대한 개별 분석을 통해 도구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과학영재교육대상자의 인지 사고특성을 나타내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반성적 사고력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선발과정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도 반성적 사고력을 반영하고 함양시킴으로써, 과학영재교육대상자의 비합리적인 결정을 지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두개강 내 생식세포종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와 화학 요법 치료의 효과

        송은선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verall survival and event free survival of patients who were subjected to combined treatment with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for intracranial germ cell tumor. Furthermore, the level of toxicity and cause of death by chemotherapy were examined, in order to ascertain prognostic factors which influence survival rate. Methods : Initial serum ß-HCG and AFP levels were performed in all patients, and also assessment of spinal involvement with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or computed tomography(CT), and cerebrospinal fluid(CSF) examination were underwent, before commencing treatment. Results : From July 1992 to January 2008, 73 patient were treat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patients included 53 males (72.6%) and 20 females (27.4%), with a median age of 10.8 years (range, 3.9 - 15.9 years). Except 2 patients from the above total were parallel treated with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Fifty-eights patients had histologic diagnosis of germinoma, 8 mixed GCT, 4 immature teratoma and 3 mature teratoma. Eight out of 73 patient (11%) died, while 5 patients (6.8%) were follow up los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44.8months (range, 2-190 months). Overall survival rate was 89% and event free survival rate was 83.6%. The worst prognosis was related to elevated level of AFP in CSF at diagnosis(P=0.031 and 0.049). Conclusion :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elevation of AFP level in CSF was the only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overall survival and event free survival.

      • Triangular meshes를 이용한 곡률의 근사적 계산 : An Effective Method to Estimate Curvature Using the Triangular Meshes

        송은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가우스 곡률과 평균곡률은 곡면의 가우스사상의 미분에 의해 정의된다. 곡면의 각 점에서의 가우스사상은 이 점에서 곡면의 접평면의 단위 법벡터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해진 식을 알 수 없는 매끄러운 곡면의 곡률을 근사적으로 구하기 위해 Triangular meshes를 이용하는 Chen-Shmitt의 방법을 살펴보고, 곡률의 근사적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을 소개할 것이다. The Gaussian curvature and Mean curvature are defined by the differential of the Gauss map of the curved surface. The Gauss map assigns to each point of curved surface the unit normal vector of the tangent plane to the surface at this point. In this paper, we look into the method of Chen-Shmitt which uses the triangular meshes to evaluate approximately curvature of the smooth surface which doesn’t know the formular and introduce algorithm for an approximate evaluation of the curvature.

      •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단절 요인 및 직업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송은선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직업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에 참여중인 경력단절 여성 교육생들의 직업교육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경력단절의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였고, 둘째, 우리나라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교육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셋째, 이러한 이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의 직업교육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직업교육기관 4곳의 경력단절여성 학습자에게 기관 당 100부씩 총 400부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중 유효자료 170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 영역은 크게 세 가지 영역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경력단절 요인, 직업교육 만족도 및 직업교육 참여 이후 본인 변화 만족도로 나눠지며, 응답자들의 직업교육에 대한 반응을 각 문항 유형별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F-검증 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연령에서는 30대 53명(31.18%), 40대 45명(26.47%)로 30~40대 연령층이 대다수였다. 이러한 30~40대의 연령층이 직업교육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직업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취업에 대한 성공확률이 비교적 놓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또한 최종 학력은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보유한 여성이 100명(58.8%)으로 고학력 여성이 직업교육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향후 고학력 여성을 위한 직업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과거 경제활동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 연구참여자 170명 중 138명(81.2%)이었으며, 이들의 경력단절 사유를 분석한 결과는 자발적 선택 73명(52.9%), 비자발적 선택이 65명(47.1%)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여전히 결혼 및 출신, 육아, 가사와 같은 비자발적 요인에 의하여 경력이 단절되는 경우의 수가 많음을 알 수 있었으며 경력단절여성들이 재취(창)업을 위하여 다시 노동시장으로 진입한다 하여도 육아, 가사와 같은 이들이 과거 경력단절이 발생한 근본적인 원인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재 이탈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의 취업지원을 위한 정책의 첫 번째가 취업모가 가사나 육아 등의 돌봄 노동으로 경력단절이 되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는 시스템 마련이 우선시 된다 하겠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 참여 동기를 묻는 질문에서 92명(54.1%)이 취·창업을, 자격증 취득이 25명(14.7%)을 선택하여 전체 연구 참여자 중 117명(68.8%)이 재취(창)업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경력이 단절되었던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재(취)창업을 희망하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를 직접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용성 있는 직업교육이 요구되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정부주도 여성대상의 직업교육은 커리큘럼이 제한적이며, 저학력 저임금 직종에 국한된 모순을 보이고 있기에 이에 대한 시정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넷째. 직업교육 참여시 가장 큰 장애요소로는 경제적 부담을 66명(39.3%) 선택하였으며, 뒤를 이어 낮은 취업전망 27명(16.1%), 육아 및 가사 35명(20.8%)을 선택하였다. 경제적 부담을 선택한 집단의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접근이 가능한 정부지원의 교육과정의 경우 교과과정이 제한적이므로 타 교육기관으로 접근하여야 하는 것에서 발생하므로 이러한 부분을 위해서는 정부주도의 직업교육프로그램의 다양한 과정의 연구와 개발이 요구되어짐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직업교육에 참여 장애 요인으로 경력단절의 주요인이었던 육아 및 가사가 재 거론되는 것은 직업교육을 통하여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더라도 다시 재 이탈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육아나 가사가 교육 참여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국공립보육시설을 취업모와 직업훈련 수강 중인 여성들의 아이에게 우선 할당하고 보육시간도 늘리는 등의 정책적 보완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경력단절여성의 직업교육 인식을 알아보고자 직업교육 만족도를 분석해본 결과 연구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들은 현재 수강하고 있는 직업교육에 대하여 강사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직업알선 및 상담 등에 대한 사후관리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편 이었다. 직업교육 참여 후 본인의 생활변화 만족도에서는 내적인 만족도 및 보람, 인간관계의 발전 정도, 개인적 능력 및 자질 향상, 사회참여 두려움 해소, 구직 자신감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직업교육의 본연의 취지인 취·창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사회참여 두려움 해소, 구직 자신감에 대한 생활변화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된 점이다. 이는 직업교육기관 본연의 목적인 취(창)업에 대한 직접적인 취업알선 및 상담 등의 역할이 교육 참여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지역 기업과의 적극적인 연계 및 전문적인 취(창)업을 위한 직업상담사의 배치를 통한 상담, 관리 등의 사후관리 시스템을 강화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한 직업교육기관은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 여성 교육생들이 요소별 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한 이들의 욕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운영방식들을 개발하여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뒷받침 될 때 직업교육이 더욱 활성화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여성인력의 활용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urpose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vocational education of career-interrupted women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mainly in the job training centers in capital areas. In the purpose,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career interruptions are studied, second,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vocational education for career-interrupted women is analysed, thir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studies, to survey perception of vocational education of career-interrupted women, in total 400 questionnaires, 100 for each of 4 job training centers, are distributed and then effective 170 data are analysed. The question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the factors for career interruption, and satisfactions with the vocational education as well as self-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ng the education; the responses to the vocational education are investigated implementing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F-test for each category of th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the most common age group is in their thirties~forties, as 53 thirties (31.18%) and 45 forties (26.47%). It seems because the probabilities for the age group in their thirties~forties to gather information about vocational education and to succeed the reentry after participating in the vocational education are relatively high. Also, the number of women graduating junior college or above is 100 (58.8%), which implies that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re, the more actively they participate in vocational education, and which suggests that it shall be tried to develop job training program for highly educated women. Second, 138 repondents (81.2%) among 170 subjects experienced economic activity, and the reasons for the career interruptions are 73 (52.9%) voluntary choices and 65 (47.1%) involuntary choices, analysed to be at the similar levels. This suggests that the career interruption occurs largely because of involuntary factors such as a marriage, childbirth, and house works, and it shows that there always exists the risk of leaving their jobs again unless there is a resolution of fundamental factors for the past career interruption, even i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succeed to reenter the labor market by being employed or starting their own business. Thus, the first policy to support the reentry of women should be an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prevent career interruption of women due to care works such as house works or child rearing. Third, in the question asking the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vocational education, 92 women (54.1%) choose reentry or foundation of their own business, and 25 women (14.7%) choose getting certified, which shows that 117 women (68.8%) have a desire of reentry or foundation. I.e., career interrupted women actively want the reentry or foundation, therefore vocational education which can directly resolve the demands are required. However, even until now, the curriculum of government lead vocational education for women is restricted, and it shows a contradiction limited to the jobs with low salary and low educational background, which seems to need urgent rectification. Fourth. The most common obstacle factors for participating vocational education are turned out to be the economical burden chosen by 66 women (39.3%), low expectation of reentry by 27 women (16.1%), and child rearing and house works by 35 women (20.8%). For the group choosing the economical burden, the burden occurs to approach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because of the restrictions of government-aided curriculum at a low cost,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to develop various curriculum in the government lea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lso, regarding that the main factor of career interruption- child rearing and house works - is mentioned again, it can be deduced that it is possible for women to leave their job again even if they reenter the labor market through vocational education. Thus, for such child rearing or house works not to be obstacles of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a political supplementation, for instance priority assignments of tax-paid childcare facilities to children of mothers working or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is required. Finally, as the result of analysing satisfactions with the vocational education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vocational education of career interrupted wome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ors of vocational education is high, though that with the following-up control service such as employment service or counsel is relatively low. Among the satisfactions with the changes in their own lives, the level of satisfaction turns out to be high for inner satisfaction and being rewarding, the degree of progress in human relations, improvements on personal capability and qualification, relieving the fear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n getting a job, in this order. Note that among the satisfactions with changes of lives, the satisfactions with relieving the fear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n getting a job,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original goal of vocal education as reentry or foundation, are analysed to be at the lowest levels. It shows that the role of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as providing direct employment service as well as counsel for the original goal - reentry or foundation - falls short of participants' expectation, and that it needs to enhance the following-up control system such as a counsel and management through arrangement of vocational counselors for professional reentry or foundation. The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for career-interrupted women need to apprehend the level of satisfactions of participant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

      • An adjuvant effect of a combination of E. coli DNA fragments and modifided lipopolysaccharides to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

        송은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We previously described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CIA07, a combination of bacterial DNA fragments and modified LPS, was evaluated as an adjuvant to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 (HBsAg). Mice were immunized intramuscularly 3 times at one-week intervals with 2 ?g of recombinant HBsAg plus alum, bacterial DNA fragments, modified LPS, CIA07 or CpG 1826 as an adjuvant, and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were assessed. At one week post-immunization, antigen-specific total serum IgG titer in CIA07-treated mice was 16-times higher than group given alum or bacterial DNA fragments and 2 times high than those treated with modified LPS or CpG 1826 and remained higher than the four groups at 8 weeks post-immunization. CIA07 was also more effective than alum in inducing antigen-specific serum IgG2a antibody, splenocyte IFN-? production and cytotoxic activity. These data demonstrate that CIA07 is able to stimulate strong Th1 responses as well as Th2 responses and suggest the potential of CIA07 as an adjuvant to a therapeutic vaccine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