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분노표출의 관계: 마음챙김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송선화,홍혜영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4 variables(Covert Narcissism, Anger-out, Mindfulness and Anger-i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ger-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nger-out in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it,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536 university students(222 men and 314 women) in Seoul, Gyeonggi Province, Chungnam Province and Gyeongbuk Province. For the measuring tool, covert narcissism scal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cale, mindfulness attention and awareness scale was used as a measure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analyze and compare the data, 4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at has mindfulness and anger-in as medi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nger-out were establish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vert narcissism affected anger-out that include full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lso the verified model 2 in which mindfulness and anger-in have double mediating effect was adopted as the best model. Specific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nger-in, mindfulness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anger-out, anger-in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Meaning that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bo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here the mediating effect mean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vert narcissism caused the lower the level of mindfulness as well as the higher tendency of anger-out. At the same tim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mean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vert narcissism caused the lower the level of mindfulness as well as the higher tendency of anger-out due to too-much oppressed anger-in. This could be summarized as the indirect influence of mindfulness on anger-in is greater than the direct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anger-out. Finally, the limi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내현적자기애와 분노표출의 관계에 대한 마음챙김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충남, 경북 지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536명(남 222명, 여 314명)을 대상으로 내현적자기애 척도, 상태-특성 분노척도, 마음챙김 척도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내현적자기애와 분노표출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분노억제를 매개변인으로 갖는 구조모형 4개를 설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현적자기애가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마음챙김의 완전매개효과를 포함하고, 마음챙김과 분노억제가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구조모형(검증모형2)이 가장 우수한 최종모형으로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현적자기애와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마음챙김과 분노표출 사이에서 분노억제는 부분매개효과로 역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더불어 내현적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마음챙김 수준이 낮아지고, 분노표출을 많이 하는 매개효과와 내현적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마음챙김 수준이 낮아지고, 분노억제를 많이 하여 분노표출이 증가하는 이중매개효과 모두 완전매개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내현적자기애가 분노표출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보다 마음챙김과 분노억제에 의한 간접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나타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나눔 인식에 따른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연구

        송선화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유아의 나눔 인식의 수준이 대인관계성향의 하위요인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 80명을 대상으로 나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개방형질문지와 유아의 대인관계성향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나눔 인식의 수준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성향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나눔의 하위요인 중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들과 실천 방법에서는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나눔 인식과 대인관계성향 간의 관계에서는 나눔 인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유아들이 갖는 나눔의 대상에 대한 인식은 사교-우호적 사회적 관계성향 및 과시-도취적 표현성향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나눔 인식 수준에 따른 상위, 중위, 하위 집단 간 대인관계성향의 전체 하위요인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즉, 나눔 인식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더 높은 대인관계성향을 나타냈다. 반면에 유아의 나눔 인식 하위집단이 경쟁-공격적 표현성향에서는 높은 부정적인 대인관계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유아의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나눔 인식을 위한 다양한 경험과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환경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if and how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sharing correlates with sub-factors of their dispositions toward interpersonal relations. Subjects were 80 young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G City. An open-ended questionnaire asking about their awareness of sharing and another questionnaire measuring the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were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Analysis of the data finds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sharing to be relatively low,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s to be relatively high. These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ccording to gender. However, the study finds that the girls had more exposure to the practice of sharing than did the boy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sharing and their dispositions toward interpersonal relations, that disposi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those who also had a high awareness of sharing. In particular,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acts and objects of sharing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social-amicable" social relation disposition and the "ostentatious-narcissistic" expression disposition. In addition, the disposition toward interpersonal relations was greater in the group which had a high awareness of sharing than it was in the group with a low awareness of sharing. On the other hand, young children who registered a low awareness of sharing showed negative dispositions toward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the disposition for "competitive-aggressive"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to create environments to promot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rovide young children with planned, guided experiences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a positive and desirable awareness of sharing.

      • KCI등재
      • KCI등재

        식량작물 생산에 대한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발전 방향 - 전문가 설문조사 연구

        송선화,정재경,조승호,김재윤,심상인 한국작물학회 2022 한국작물학회지 Vol.67 No.1

        ABSTRACT Building self-sustainable rural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 through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y innovation is one of the major goals of the Korea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as a part of the nation’s 4th industry revolution. To identify areas for improving and effectively investing in the acceleration of rural development, 207 experts in the areas of crop science and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y were interviewed for their opinions and suggestions on 22 questions designed to recognize fundamental agricultural issues to be addressed and solutions to advance technology innovation and rural development.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expected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ies to resolve major agricultural issues and help build a better rural environment. To overcome technology gaps and resolve issues more effectively, further investment in training new technology experts and building stronger agricultural technology infrastructure is urgent, and persistent and systematic support from agricultural administration appears to be the key for accelerating the process. While the leading global group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have advanced their technologies beyond the field application stage, most of the Korean technologies remain at the early pilot stage. Aging population and lack of labor in rural areas, unknown future climate change, and challenges in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are expected to be resolved by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ies. Technological innovations by research institutes should be promptly deployed in the crop production field, and farm training systemically organized by local technology centers can accelerate farming revolution. Standardization of equipment and data systems is another key to the success of digitalization of food crop production and food supply chains nationwide. 적 요정부는 4차산업혁명의 선도사업으로 농업 부분의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사업을 지정하였다. 이에 한국 작물학회에서는 우리나라 식량작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작물 분야 및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관련자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설문조사 결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은 한국 농업의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며 노지스마트디지털농업기술 발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개발에 따른 핵심 인력 양성 및 지속적인 정부의 관심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설비 구축 및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농업 선진국들의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연구 및 개발 수준은 현장 적용 및 검증단계, 실용화 단계이나 우리나라는 아직 기술개발 단계에머무르고 있다. 고령화나 노동력 부족,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발전 등을 위해선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확산을위해서는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고 농민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기술 교육이 필요하며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장비-데이터의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나아가 소비자와다른 농산업 현장에도 적용되어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도입 및 성공적인 정착은 기후변화대응, 농업의 친환경성 증진, 노동력 부족의 해소에 기여할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작물 생산 능력 제고를 통한 식량안보 강화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 KCI등재

        미용 왁싱에 대한 동기요인과 정보탐색유형이 왁싱관리의도에 미치는 영향

        송선화,김상수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는 개인이 어떤 동기를 가지고 왁싱관리를 받고자 하는지, 또 어떤 과정을 거쳐서 왁싱관리의도가 형성되 는지 그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160건의 응답데이터를 구조모형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미용 왁싱에 대한 동기요인(관 심도, 중요성, 시선)은 정보탐색유형(탐색도, 관찰도)을 통해 왁싱관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왁싱관리의도의 선행요인과 과정에 대한 탐색을 통해 미용 학문의 영역 확장과 미용 왁싱의 잠재 수요자에 대한 이해 증진의 효과라는 실무적 시사점을 내포한다.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하여 미용 왁싱 시장의 활성화에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otivational factors for beauty waxing affect the waxing care intention through information search types.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160 response data obtain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adult men and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used for structural model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al factors (i.e., interest, importance, and other's eye) for beauty waxing influenced the waxing management intention through the information search type (i.e., exploration and observation). This study has expanded the academic field of beauty by exploring the predecessors of waxing care intention and its process, and it has implications that it can practically improve understanding of potential users of beauty waxing. It is thought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waxing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