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요 국가의 국가브랜드 정책 비교 연구

        송선영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nalyzes Nation Branding Policy Active and Policy drive system by looking at thos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s at this point of time, Korea successfully held the G20 Seoul summit in 2010 and will hold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in 2018, it is worthy of attention that this study focuses on nation branding which is a kind of strategy of soft power, because Korea lacks resources of government positive policy while has many negative images: inter-Korean issue, labor dispute, ward-heeling politics, etc.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Nation Branding Policy among the countries around the world. Some emphasize on government involvement on nation branding policy but others do not. Which makes this happen? This study tries to this question from new institutionalism, both historical and sociological institutionalism. To find the answer, firstly, this study empirically reviewed and analyzed the basic and detailed concepts of nation branding from the communicational point of view which are nation branding, nation branding identity and image, nation branding personality and association. Secondly, this study will seek to find some implications of the Korean Nation Branding through the findings. The advanced countr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referred to as competitive(British and the U.S), interventionist(Germany and Japan), and eclectic(Switzerland and New zealand). This study analyzes each group's characteristics, main policy, etc based on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Nation Branding policies among three state groups are closely related to difference in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mong them. It is interesting that the nation branding mechanism and interaction of all variables within each group are very similar.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on advanced countries' nation branding policies in this study finally gives rise to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goal of the Korean Nation Branding Policy and the strategy for it.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sophisticated with full consideration of the nation branding, subdivided periods and done by integrated approach in respect of public administration.

      • 나비 이미지의 상징적 표현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송선영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은 시대를 반영한다. 예술은 언제나 그것을 포함하는 동시대적 상황 속에 그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로서 그 외적 형태와 시대정신도 함께 변화하였다. 그 시대 속에 예술은 나름의 상징을 창조하였고 어떤 형태로든 작품 속에 나타나는 것이다. 예술작품에는 시대와 사회, 가치관, 경험 등이 나타나기 마련이고, 그에 따라 변화할 수밖에 없는 것이며, 예술은 어떤 의미와 가치 있는 세계를 창조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은 예술가의 개성에 의한 조형언어로 표현되어지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작품은 2000-2004년까지 ‘나비’를 주제로 제작한 작품들로써 연구자는 현대사회의 과학기술의 발전과 풍요로움 속에서 본성을 잃어가는 인간의 모습들을 나비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날고 싶은 나비와 박제된 나비, 상품화된 나비를 통해 현대 사회의 특징과 문제점들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이 시대의 미술, 즉 포스트모던 시대의 미술이라는 사회적 배경을 기반에 둔 정신적 세계에 대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작품의 정신적 근간을 이루는 예술에 있어서의 상징의 의미와 연구자 작업에 영향을 미친 상징적 표현들을 바탕으로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인간들을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현대사회가 인간에게 많은 혜택과 풍요로운 삶을 가져다준 사실은 인정하지만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현대사회 속에서 획일화되어 가고 있는 인간의 모습을 비판하였다. 성공만을 쫒는 사회의 현실 속에서 진정한 자아를 잃고 살아가는 인간들에게 작은 경각의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다. 그리하여 짧은 문장으로 작가와 관객이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을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작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나비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이자 나 자신을 상징한다. 연구자는 나비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았고 나비를 통해 말하고자하였다. 나비를 대신하여 현대를 살아가는 각박한 시대 속에서의 인간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과정을 실크스크린 기법과 레터링기법 등으로 독창적인 조형표현을 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작업에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고, 나비를 통해 더 큰 세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 연구자의 작업에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 The art reflects the age. Art as the mirror reflecting the age, in the contemporary situation that includes itself, changes together with its external form and the spirit of the age. In the age, the art creates its own symbol and is revealed in the work in any forms. There is always the age, society, values and experience in the work of art that can not but change. Art is to create the world, something meaningful and valuable that is represented by an artist's language of molding. This study treated works produced between the year of 2000 and 2004 with the theme of butterfly. The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he image of men who are loosing the real character in the midst of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bundance symbolically through the butterfl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modern society were expressed through butterfly eager to fly, the stuffed butterfly and the commercialized butterfly. This study is an expression of the spiritual world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the postmodernism art, the art of the age. The study is also on the process of expressing symbolically the looks of men living the age, based on the meaning of symbol and symbolic expressions.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modern society brings about much benefit and abundant life to men, the researcher criticized the looks of men becoming massified. The researcher wanted to give the massage of warning to the men the are loosing the real ego in the social reality running only after success. So tried to make the part the writer and spectator can share with short sentences. The butterfly, the most important material in this study, symbolizes the men who live in this age and me myself. The researcher looked the world through butterfly and tried to speak through it. The process of expressing symbolically the looks of men with butterfly includes silk screen technique and lettering technique. This study becomes the opportunity to prepare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er herself could see the greater world through butterfly. This study will also be the opportunity to continue to change and develope.

      • 연꽃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도자 후식기 디자인 연구 : 전통기호음식을 중심으로

        송선영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꽃은 여러 자연물 중에서 신성미와 고결미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오랜 역사를 통해 조형의 대상으로 표현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인은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과 더불어 살기를 즐겼으며, 이 때문에 한국미술의 특성에서도 자연과 연관성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자 역시 자연의 현상에 대해 무한한 생명감과 존재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자연물의 형태를 예술표현의 소재로 삼아 조형화 하고자 시도하였다. 즉, 자연의 일부이자 옛 사람들의 자연관과 행복관, 윤리관을 내포하고 있는 상징의 꽃이며 전통적으로 조형 소재로서의 가치가 큰 연꽃을 논문의 주제로 택했다. 인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식생활이기에 이를 담아내는 식기의 아름다움의 추구는 당연한 요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용기로서의 공예의 아름다움과 현 시대가 요구하는 산업 도예의 필요성을 재조명해보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전통기호음식들이 식생활 속에 인식되지 못한채 일상화되고 있지만 그것을 맞게 담을 수 있는 식기는 부족하다. 본 연구자는 전통기호음식인 떡, 한과, 음청류, 주류등의 종류와 특색을 조사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현대인의 정서와 선호도를 고려해 기능성, 심미성, 조형성 있는 식기를 디자인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전통기호음식을 알리고 그것들을 담기 위한, 예술성과 조형성이 결합되고, 연의 이미지를 단순화시킨 도자식기의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Lotus flower is generally regard as the symbolical subject representing the beauty of the sanctity and nobility among many natural products. With this concept, Lotus flower was frequently expressed as an creative object during our long history. Because Korean has affection to nature and enjoy living well with it traditionally, typ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 reveal its association with the nature intensely. In order to endowed the infinitive liveliness and existence to the natural subject, this researcher also try to make natural products to the model object as one of the art expression means. As the lotus flower has high value of model object traditionally and connotes a view of nature, happiness, moral of the ancients, I select lotus flower as the theme of this thesis. As the culinary lif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ters for human being, seeking the beauty with the tableware, for the container of the foods, is so reasonable. In this study, I try to re-evaluate both the beauty of the crafts, the practical tableware and necessity of industrial ceramic ware which is needed with the present time, altogether. As traditional fancy foods are consumed in the ordinary life without much attention, tablewares fit for these foods are not so much prepared.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kinds of traditional fancy foods such as Korean rice cake,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Korean traditional beverage, Korean traditional liquor. Under these informations, I try to design the appropriate tableware which has the functionality, formality and beauty with the consideration of preference and emotion of the present-day people. With this research, I proposed the design of the ceramic tableware which was originated by the simplification of the lotus flower image with the combination of the artistic value and formative arts in order to give publicity for the traditional fancy foods and also use as the container for these foods.

      • 목조 패널식 Housing System의 開發에 關한 硏究

        송선영 성균관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cept of a standardized housing system and to demonstrate applicability of the housing system by illustrating design prototypes of sample rural houses. For this purpose, a wood frame panelized house was selected as an analysis model. The housing system was classified into component level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 systems approach. Then the rules were set based on a modular coordination of the components, sub-systems, systems, and spaces. Next, dimensional standards, joint/connection standards, and moreover construction methods were suggested. Finally, the versatility of the housing system was tested by demonstrating various design alternatives. By developing a wood frame panelized housing system,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cornpatability of the building components, to meet the needs for space increment and/or decrement, to reduce the cost, and to provide the design versat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ndardiz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housing systems, it was known that most countries adopt dimensional standards, however standards for joint/connection were not adopted but in UK, Australia, and Singapore. 2. For dimensional standards, most countries apply a basic module of lM(100mm). However, detailed modules and the rule of a baseline was not established yet in Korea. Thus, by analyzing modular coordination of the foreign countries, a planning grid of 3M was suggested in this research for the housing system. Moreover, the baseline is referred as a centerline. 3. According to the systems approach, a table of components classification for wood frame panelized housing system was built. The components were classified as structural components, interior furnishings, and equipments which can be prefabricated at the job-site. Also, the building components of an analysis model were listed, hierarchy among the components was configured, and the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was analyzed. 4.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escribed KS wood frame panel dimension (KS F 4725, KS F 4727, KS F 4730) was not practical. Thus, a revised wood frame panel dimension of 5.4m was proposed by considering the transportation from factory to site and structural stability. 5. For developing a housing system, standards for joint/ connection is essential. The standardization of jointlconnection improves the compatability of components and versatility of spac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ood frame connection methods such as yi-eum and ma-chum, the most optimum connection methods for easy assembly/disassembly were suggested. 6. In ths research, wood frame panelized housing system was classified as floor-panel system, wall-panel system and roof -truss system. A new construction methods of prefabrication approaches were suggested, since conventional methods are based on the on-site works. Thus, the structural components could be produced in the factories and interior finishing could be done at the job-site. These approaches will be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in terms of productivity. 7. By applying modular coordination of 3M, space increment and decrement became flexible since the wall panels could be reformed, assembleddisassembled, and replaced much easily without material loss. As a result, various design alternatives and/or space configurations are readily available. As case studies, design alternatives of 18, 22, 24 pyung(坪> floor plans were developed based on 20 pyung (坪) model, 23, 27, 29 pyung(坪) floor plans were developed based on 25 pyung(坪) model, and 30, 32, 34 pyung(坪) floor plans were suggested based on 28 pyung(坪) model.

      • 라반 움직임 이론에 근거한 태권도 품새 분석 : 유단자 품새 움직임을 중심으로

        송선영 경희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analyzed using the (LMA) system analysis of the movement of the Laban a black belt Poomsae that is configured to polish the technology of Taekwondo, by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of Taekwondo black belt Poomsae, by this, of Poomsae behavior as a result of conducting research by plac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ducation and new Poomsae development of Taekwondo intrinsic value and navigation implicit, it was concluded the following. First, we analyzed the basic operation of the Taekwondo through the LMA, but, in the case of the Body, increase bear breathing, center support, heavy movement, alignment of body dynamic, muscle contraction and, up and folding joint, to the ends from the center of the body I was analyzed by the motion energy radiation, such as a rotating factor. In Effort, time and continuous free flow, state or lightweight river, stable, state dreamy, space, early hours, were analyzed, such as port operation impulse is a port bond strong weight directly. Flow of shape, direction-oriented shape has become the main Shape. Space, and the use of common areas and space dynamic private. The use of a central path, it's the movement of the blow or prevent using a range of intermediate distance from the body in tension a cross-cutting use of far from the body, and cross-cutting path. Second, sort of dynamic body during operation of the analysis of the black belt Poomsae through the LMA has been built on F-basic principle from would Bar from Body, center support, take breath, port motivation, weight transfer, grounding was possible analysis of Poomsae all. In the operation in line with the theme of BF, in Pyungwon poomsae, expression and function were analyzed in preparation year that make up the Poomsae recovery efforts that have been analyzed in Poomsae taking into account the mobility and stability. In Effort, more and more high-speed, action impulse is a port a direct bond space, the strong weight was analyzed by Chunkwon poomsae black belt of all. In view in particular, the working port impulse appears significantly Taebaek, Pyungwon poomsae, impulsive behavior Kumkang, Taebaek, in a Chunkwon, fantastic impulse, passion, impulse were analyzed. Shape was analyzed by Poomsae all shaping of consideration other than Poomsae. Form of shaping were analyzed by a motion to write a harmony space by using both hands in particular. Direction-oriented shape was analyzed in Poomsae all, but it became significantly from the motion of consideration Poomsae especially. The flow of shape, I was analyzed Koryu, Taeback, in Chunkwon. Attack operation is performed by using a path that is central Space, with the path cross motion defensive were analyzed. Path peripheral was not analyzed. High and low high in gesture without moving the weight, medium, low done. High and low that has moved the weight of the vertical axis did not appear. Space travel general using a straight road is analyzed in Poomsae all, and analyzed by Koryu Poomsae space move common using the rotation in particular. At a distance Pyungwon poomsae near the range, far distance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Poomsae. Third, first, if you move it while keeping in mind the support of the body center are people who move to Poomsae operation, Body is slightly deeper than the muscle superficial of the body direction of the search for Taekwondo flops Muse, which is analyzed using the LMA it is able to perform Poomsae stable and adapted to use the muscles. The center of the body, namely, might know that the movement began around the abdome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abdomen and the suppor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ining Taekwondo city. In addition, as an important element, for internal completion, the process to match the breath and movement is carried out on the movement that forms the mind and body combined, and when you practice the Poomsae future, breathing support to the training to be aware of the breathing need to be done, this shows the possibility of Poomsae development for curing. Working ports impulse, were analyzed mainly by in Effort, is how to express the energy. Impulse behavior is intended to express the energy to attack quickly against the target of direct and strong force to the external representation. Depending on the intended direction and the energy of the Poomsae Gong learners headed, internal representation of the effect will be different. It is the impulse of action, as the measure for expressing toward the inner surface energy of these, energy martial arts basis, be converted into self-realization and restraint personality cultivation is the spiritual values ​​of Taekwondo, and patience it is possible to embody a representation of quality possible. The performances Poomsae various forms which can be expressed aesthetic matur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aekwondo further inner, qualitative representation must be developed. And in that it can be evaluated how the expertise or procedures for technicians is being learned, Shape mean, the ability to control the energy of their ow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operation, to adjust b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sis that can be evaluated by chang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echnology, and feeds back the results of the learning. Development of a creative Poomsae a combat basis of the theory Space in the new multi directional meaning is use is required Space. Since the black belt Poomsae can not get out from the frame that is fixed despite the need to utilize the space of the various forms of virtual enemies, has not been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variety of space. Therefore, the fundamental purpose of martial arts niche Taekwondo by look in the space analysis of the movement of Laban, to develop Poomsae type that allows diversity is utilized on the basis of the hypothalamus axis, horizontal axis, the vertical axis Poomsae new form that can be matched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태권도 기술을 연마하도록 구성된 유단자 품새를 라반 움직임분석(LMA)체계를 통해 분석하여 태권도 유단자 품새의 움직임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품새 동작에 대한 내재적 가치탐색과 태권도 품새의 새로운 품새개발 및 창작교육의 발전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LMA를 통하여 태권도 기본 동작을 분석하였는데 Body인 경우 호흡지지, 중심지지, 무게이동, 동적인 신체정렬, 근육의 수축과 늘리기, 관절의 접기와 펴기, 몸의 중심에서 말단으로 에너지 방사, 회전인자와 같은 움직임으로 분석되었다. Effort에서는 자유로운 흐름과 지속적인 시간, 강하거나 가벼운 무게, 안정된 상태, 꿈같은 상태, 직접적인 공간, 빠른 시간, 강한 무게의 에포트 결합인 동작충동 에포트 등으로 분석되었다. Shape에서는 쉐입흐름, 방향지향적쉐입이 주로 나타났다. Space에서는 역동적 개인공간과 일반공간 사용을 한다. 중심적인 경로사용과 몸에서 먼거리의 이용, 횡단적 경로와 횡단적 긴장감으로 몸에서 중간거리의 범위를 사용하는 막기나 치기의 움직임이다. 둘째, LMA를 통해 유단자 품새를 분석하였는데 Body에서 바르테니에프 기초원리에 입각한 동작 중 동적인 신체정렬, 중심지지, 호흡지지, 에포트동기, 무게이동, 그라운딩은 모든 품새에서 해석이 가능하였다. BF주제에 입각한 동작에서는 안정성과 운동성이 고려품새와 평원품새에서, 기능과 표현은 십진품새에서 분석되었고 노력과 회복은 품새를 구성하고 있는 준비서기에서 분석되었다. Effort에서는 점점 빠른, 직접적인 공간, 강한 무게의 에포트 결합인 동작충동이 모든 유단자(고려~천권)에서 분석되었다. 특히 고려, 태백, 평원품새에서 동작충동의 에포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십진, 지태, 천권에서는 동작충동, 환상충동, 열정충동이 분석되었다. Shape에서는 쉐이핑이 고려품새 이외의 모든 품새에서 분석되었다. 특히 양손을 이용하여 공간을 조화롭게 쓰는 움직임에서 쉐이핑의 형태가 분석되었다. 방향지향적 쉐입은 모든 품새에서 분석되었으나 특히 고려품새의 움직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쉐입흐름은 금강, 지태, 천권에서 분석되었다. Space에서는 중심적 경로를 이용하여 공격동작이 이루어지며, 횡단적 경로를 이용하여 방어동작이 분석되었다. 주변적 경로는 분석되지 않았다. 높낮이는 무게를 이동하지 않고 제스쳐로 높게, 중간, 낮게 이루어진다. 수직축에서 무게를 이동한 높낮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직선경로를 이용한 일반공간이동이 모든 품새에서 분석되었고 특히 회전을 이용한 일반공간이동은 금강품새에서 분석되었다. 범위 중 가까운 거리는 평원품새에서, 먼거리는 고려품새에서 분석되었다. 셋째, LMA를 통해 분석된 태권도품새의 방향성 모색은 먼저, Body에서는 품새동작 시 움직이는 사람이 몸 중심의 지지를 의식하면서 움직이면 몸의 표면적인 근육보다는 좀 더 깊은 근육을 사용하게 되어 안정된 품새를 할 수 있다. 특히 몸의 중심, 즉 단전을 중심으로 움직임이 시작됨을 알수 있으며 태권도 수련 시 중심지지와 단전의 중요성을 강조하여야 한다. 또한 호흡지지는 심신합일을 이루는 움직임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내적 완성을 위하여 호흡과 움직임을 일치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져야하며 향후 품새를 수련할 때 호흡을 의식하는 수련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이것은 양생을 위한 품새 개발에 가능성을 보여준다. Effort에서는 에너지를 어떻게 표현하느냐하는 것으로 동작충동의 에포트가 주로 분석되었다. 동작충동은 외부적 표현으로 강한 힘과 직접적 대상을 상대로 빠르게 공격하는 에너지를 표현하는 것이다. 품새 수련자의 에너지가 향하는 방향과 의도에 따라 동작의 내적 표현이 달라진다. 무술적 에너지는 동작충동이며 이러한 에너지를 내면으로 향하여 표현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태권도 정신적 가치인 인격수양과 극기, 인내 등의 자아실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질적 표현을 구체화 할 수 있다. 또한 내면적 질적 표현에서 더 나아가 태권도의 내면적 성숙들을 미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연 품새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Shape에서는 기술에 대한 절차적 또는 전문적 지식이 얼마나 습득되어있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측면으로서 동작의 목표에 따라 스스로 에너지를 통제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기술의 난이도를 수정하고 평가하여 학습의 결과를 피드백 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Space에서는 다방향과 새로운 의미로 공간(Space) 이론이 활용된 실전적인 품새인 창작품새의 개발이 필요하다. 가상의 적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활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유단자품새는 정해져있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라반의 움직임 분석 중 공간에서 보는 시상축, 수평축, 수직축에 입각하여 다양성이 활용될 수 있는 품새 형을 개발함으로 인해서 태권도 무술의 근본 목적과 부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품새가 개발되어져야 한다.

      • 성남시 청년배당이 고용시장성과에 미친 영향

        송선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한 근로 형태가 등장하고 복지의 그물망이 촘촘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기본소득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다. 하지만 국내외 기본소득에 대한 실증분석은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기본소득 개념을 처음 도입하였던 청년배당을 중심으로, 기본소득이 청년의 고용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고용시장성과는 임금과 취업률을 포함한 객관적 고용시장 성과 지표와 원하는 직업에서 종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취업 목표 달성 여부, 적성 일치도를 주관적 고용성과 지표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청년배당 지급정책 시행 이전, 처치지역인 성남시와 비성남시 지역 평균의 고용시장성과 추세는 평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처치이전기간의 고용시장 성과 추세가 성남시와 유사한 합성통제집단을 만들어 분석하는 통제집단합성법을 활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성남시가 아닌 다른 지역이 청년배당 지급 정책을 시행하였다고 가정하고 분석하는 위약검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배당 지급정책은 객관적 고용시장성과와 주관적 고용시장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그래프의 경우, 처치기간 이후 합성통제집단과 다른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약검증 분석 결과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생의 상상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 상상의 3차원 구조와 과정을 중심으로

        송선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상상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상상력 증진 프로그램은 이시은·정영주·박병기(2014)가 제안한 상상의 3차원 구조와 과정을 이론적 바탕으로 하여 개발되었으며, 학생들에게 상상의 방법적 지식을 제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상상력 증진 프로그램이 상상력, 자기결정성,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는 전라북도 J시 S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한 개 학급이 실험집단으로서 상상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실험 집단은 총 16회기에 걸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인위적인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측정은 프로그램 실시 전(사전검사), 실시 후(사후검사), 사후 검사 실시 한 달 후(지연검사)로 총 3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사후검사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는 상상력과 자기결정성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창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지연검사에서는 상상력과 자기결정성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가 미비하였으나 창의성에서는 유의도가 높았다. 종합하자면 상상력 증진 프로그램은 상상력, 자기결정성, 창의성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상상력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상상의 방법적 지식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상력 교육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한 가지 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 연구에서 상상력 교육의 방향과 구체적 실천방법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 생애사를 통한 노년기 부부관계 이해 : 권력관계를 중심으로

        송선영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글은 생애사를 통해 노년기 부부관계, 특히 부부권력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부부들의 생애사를 통해 현재 발현되고 있는 부부권력관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되고 있는지, 또 그러한 권력관계가 그들의 삶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권력은 동적인 특성에서 알 수 있는 상호관계적(Interactional)요소와 체계적 특성에서 알 수 있는 사회구조적(Socio-Structural)요소, 그리고 권력적 상호작용과정에서 남편과 부인의 선택적 행동과 인지적 능력에서 야기되는 권력행위의 결과적 요소 등을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부부권력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사회 문화적 주제, 개인적 주제, 제도적 주제, 그리고 사회 · 역사가 개인의 삶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개인의 삶의 과정을 통해 이해 하고자 하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는 노인 부부 6쌍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하였고, 분석은 생애과정 관점의 분석방법을 따랐다. 분석결과 노년기 부부권력관계는 크게 남편우위의 또는 부인우위의 권력관계로 발현되는 순응적 권력관계와 여전히 대립하는 갈등적 권력관계로 나뉘었다. 노년기 부부들의 권력관계에서 동원되고 있는 사랑, 권위 인정, 자아 존중감과 같은 정서적 자원과 성역할 수행능력, 지식, 행위지향성, 신체적 외모 등과 같은 개인적 자원, 그리고 가부장적 규범, 현모양처이데올로기, 양성평등주의와 같은 규범자원 등의 무형자원이 권력의 자원으로 동원되었고 경제적 자원은 생의 과정에서 부부권력관계를 조정하는 중요한 자원이었다. 특히, 이들 자원 가운데 가부장적 규범은 남성의 권력화자원임과 동시에 가정을 책임져야 한다는 '중압감'으로부터 비롯된 '낮은 자존감'을 통해 무권력화되는 자원으로 작동되기도 했으며, 모성애가 결과한 자식들의 지지 자원은 여성의 상대적 권력화에 중요한 자원으로 작동했다. 하지만 이러한 자원들은 권력적 상호작용과정에서 남편 혹은 부인의 상황정의에 따라 매우 다른 권력결과로 발현되었다. 노년기 부부의 권력과정은 가족체계나 상황적 맥락 속에서 상호작용 하는 행위주체자의 상황정의에 따라 시혜적 차원에서 행해지는 권력전략이거나 자기반성으로 비롯되는 권력전략, 권력자에 대한 불인정으로부터 발생되는 권력 전략 등, 다양한 전략들이 구사 되고 있었다. 특히 남편들과 부인들이 사용하는 권력전략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신체적 · 언어적 폭력을 통한 '강제'나 자기주장을 직접 전달하는 전략이 주로 남편들의 권력 전략이었다면 침묵이나 애정철회, 고립화, 무시, 연약함 등과 같은 간접적 전략이 부인들의 권력전략이었다. 한편, 권력자들은 절충, 논리적 설득, 양보 등의 이성적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반면 복종자들은 눈치 보기, 거짓말하기, 침묵 등과 같은 비합리적이며 간접적인 전략들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동일한 자원이라도 상호작용 하는 행위주체자의 인식과 환경적 맥락에 따라 상이한 권력결과를 가져오고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사회 · 문화적인 규범적 자원이 개개인에게 내재화된 신념이나 가치체계에 대한 개인의 태도적 측면에서 접근해야 함을 알게 했다. 한편, 권력적 열세에 위치한 남편 혹은 부인은 자신의 복종적 태도를 정당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합리화 기제들을 등장시켰는데, 대표적인 것이 '가정의 안정화'신화였다. 권력 기반을 바탕으로 권력의 과정을 거쳐 권력결과로 발현되는 부부권력관계는 외면적으로 남편 또는 부인우위형의 순응적 권력구조로 유형화 되었지만 상황적 권력관계에서는 남편 또는 부인에 의해 양보되거나 조정되는 탄력적인 권력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억압'과 '저항'으로 대립하는 갈등적 권력관계에서는 권력을 인정받고자 하는 남편과 그것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부인의 끊임없는 권력경쟁이 시도되고 있었다. 이러한 현재의 노년기 부부권력관계는 생애과정을 통해 지속 · 강화되거나 변화 · 조정, 또는 역전되는 과정을 통해 발현되고 있었다. 그런데 부인우위 또는 남편우위의 권력관계에서 복종자들은 소외나 상실감, 자기정체 성의 고민, 후회, 외로움, 배우자에 대한 원망 등을 통해 서로 분리된 삶을 살아가고 있었으며 갈등적 권력관계 역시 부부 모두가 서로에 대한 피해의식으로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부부들은 대화나 노력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기보다는 서로 회피하거나 폭력 등의 대처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부부관계가 소원해 지거나 더욱더 심각한 갈등상황을 초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평등한 부부관계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본다. 가부장적 규범이나 전통적인 성역할 규범에 대한 각자의 인지 양식과 행동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의사소통 및 부부대화를 위한 프로그램, 분노조절 및 갈등 대처 기술을 위한 프로그램, 그리고 부부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processes the aged marital power relationships being revealed recently, are formed into and how these power relationships reflect to their lives. This study for the marital power relationships, which have the concept of power with Interactional, Socio-Structural and Power-actional material, uses Life History; this method is useful for understanding cultural subject, individual subject and institutional subject of society and social history reflected on a individual life through the process of one's own life. 6 elderly couples were in-depth interviewees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Here are two types of the aged marital power relationships as acceptable power relationships and conflictive power relationships. The former is also divided in husband dominant type and wife dominant type. And they revealed in Power Resource, Power Process, Power-Exercising and Reflection, as well as variously spread along life cycle in the coherence of circumstances. In Power Resource, the patriarchal system and the sex-role standard are resources for empowerment, at the same time, disempowerment of husband. And the emotional support of one's children is for relative empowerment of wife. Money as the economic resource is also that settles and changes the aged marital power relationships. In Power Process, they used the different power strategy to make decisions and to control a person's hands along their recognizing of the circumstances. Husband usually used the direct strategy like physical and linguistic violence for his opinion, while wife used the indirect one like silence, ignorance, isolation, slightness for hers. In turn, the sweet home was the first of several strategies when they justified obedient action, but their inferiority in power was not. In Power-Exercising, the aged marital power relationships had the types of husband dominant or wife dominant in View, but had negotiate characters as a settlement and a concession in circumstances. This Power-Exercising, that is, the power relationships was continued and strengthened through life history or was revealed by change, settlement and process of reversion. In Reflection, the husband or wife dominant relationships caused a separate life of the obedient person in alienation, identity, regret, hated and loneliness, also the conflictive power relationships gave a feeling of being victimized to both and caused a trouble in the feeling. In conclusion, they need to search the equal marital relationships for a solution of their problems. That is, it needs to make programs as follow; the program making specific change of recognizant style and action of each person for the patriarchal system and the old sex-role standard, the program for marital communication, the program for skills of fury control and conflict management and the program for marital relationships improvement.

      • 모의 산후우울과 아동의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

        송선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은 가장 친밀한 관계에 있는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발달하며, 특히 산욕 초기 영아는 그 의존적인 특성 때문에 어머니와의 애착형성에 의해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율성과 신뢰를 형성하며 그들의 정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시기 어머니의 정서상태나 양육행동은 영아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영아기의 사회성과 정서는 아동의 유아기까지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어머니는 산후에 신체상의 변화, 출산과 관련된 심리적인 갈등 및 어머니가 되는데 대한 새로운 내적 적응문제로 우울에 빠진다. 이러한 산후 우울이 정도가 심하고 오랜 기간 지속될 경우, 어머니의 역할수행에 지장을 초래하며 영아의 행동양상 및 사회정서 발달에도 영향을 준다. 더구나 오늘날 한국 가족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차츰 핵가족화 되고 있으므로 출산에 따른 영아 양육을 도와줄 수 잇는 인적자원과 지지체계가 부족하여 산모는 당황함과 불안한 긴장을 느끼게 되고 나아가 가족 전체의 불균형과 위기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후 관련변인에 따른 모의 산후 우울 정도를 알아보고 모의 산후 우울과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특성과의 관계를 연구하고자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어머니와 가족전체의 치료적인 접근을 위한 경험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산후 우울 정도는 산후 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모의 산후 우울과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특성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경기지역 8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2, 3, 4, 5세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산후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배정이가 1996년에 Zung(1965)의 자가평가우울도구(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와 Beck, Ward, Meldelson(1961)의 Depression Inventory(BDI)를 토대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을 측정하고자 1978년에 한국행동과학 연구소에서 취학전 아동을 대상으로 제작한 5단계 평정척도를 장영애(1986)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후 관련 변인(부록1: 5-17번 문항)에 따른 산후 우울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산후 우울 변인 중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특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후 관련 변인 중 아동요인에 대한 결과를 보면, 성별에서는 모의 산후 우울 중 신체생리적 양상-신체기능의 장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건강상태는 아기에 대한 부정적 느낌과 타인에 대한 원망의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고, 기질적인 측면에서는 자아통제의 어려움과 아기에 대한 부담감, 신체기능의 장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모 관련 요인 중 먼저 모의 출산 시 연령은 자아통제의 어려움, 자아개념의 손상, 아기에 대한 부정적 느낌, 부정적 자아정체감, 타인에 대한 원망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의 성격에 따른 산후 우울 정도는 아기에 대한 부담감과 부정적 자아정체감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출산력에서는 타인에 대한 원망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초산모일 경우에 타인에 대한 원망이 높게 나타났다. 산후 우울 기간의 경우 자아통제의 어려움, 자아개념의 손상, 아기에 대한 부정적 느낌, 아기에 대한 부담감, 부정적 자아정체감, 신체기능의 장애, 타인에 대한 원망의 모든 산후 우울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교육수준, 유산경험의 유무, 산전교육의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환경적 요인 중 가족형태는 타인에 대한 원망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고부관계에서는 아기에 대한 부정적 느낌과 신체기능의 장애, 타인에 대한 원망 영역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부부관계에서는 자아통제의 어려움, 자아개념의 손상, 아기에 대한 부정적 느낌, 아기에 대한 부담감, 부정적 자아정체감, 신체기능의 장애, 타인에 대한 원망의 모든 산후 우울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고, 아이 출생에 대한 남편의 태도에서는 자아통제의 어려움, 아기에 대한 부정적 느낌, 아기에 대한 부담감, 타인에 대한 원망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출산 시 경제적 수준과 육아에 대한 도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모의 산후 우울과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특성의 관계에서는 사회정서적 발달특성 중 내적통제 요인과 성취동기 요인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산후 우울 반응양상 중 아이에 대한 부담감이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특성 중 다른 아동과의 원활한 상호관계 요인을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인지적 양상-자아개념의 손상이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 의자의 형상표현을 통한 자아표현 연구 : 나의 作品<나와 의자>를 中心으로

        송선영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나와 의자'라는 주제로 <대학원 졸업작품 평가를 위한 개인전> (2002년 10월 2일-8일, 동덕 아트갤러리)에서 전시된 작품의 내용분석 및 재료와 기법에 대한 연구 논문이다. 생활이 서구화됨에 따라 우리는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 위에서 보낸다. 나는 의자에 머물렀던 시간을 보고, 또 앞으로 머물고자 하는 시간을 기다린다. 머물렀던 시간과 머물 시간은 물리적인 시간으로 보면 과거와 미래로 확산될 것이다. 그러나 나의 작업은 단순한 시간상에서 이루어지는 문제만이 아니라, 그 시간을 통해 언젠가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꿈, 이상향, 이데아(idea)를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어쩌면 이데아를 꿈꾸는 궁극적인 나와의 소통일 수도 있고 내가 없는 나, 즉, 내가 내 밖에서 나를 보는, 나의 부재 속에서의 나와의 대화일 수도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나의 일상 중의 중요한 부분인 의자를 매개로 나의 실체의 일부를 새로운 조형적 작업을 통해 연구 · 분석 하고자 하는 데 있다. 그림은 실제로는 구상에서부터 시작된다. 특히 동양화는 그림의 전 단계가 10이라면 9가 구상이라고 여길 정도로 구상은 중요하다. 나의 작업은 의자를 점유한 '나를 알고자 하는' 의지로부터 촉발되어 그것을 어떻게 표상화하는가라는 일관된 주제에서 지속되었다. 그러나 나의 작업의 특성은 동양화의 걸러진 1의 단계를 표현한 것이 아니라 집중된 구상단계에서 여과와 가감(加減)을 하는 순간, 순간을 하나의 작업으로 외부로 표출시킨 데 있다. 다시 말해서 동양화에서의 은현(隱現)은 '大'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감추고 나타내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나의 작업은 '대'라는 범주의 표현에 있지 않기 때문에 의자의 모든 측면을 드러냄으로써 오히려 실체에 접근하는 방법을 택했다. 따라서 이 모든 순간을 객관화시킴으로써 내가 오히려 객관화되었다고 생각한다. 한 장면 한 장면의 다른 측면에서 파악된 의자가 그림의 구도에서 칸들로 연속되어 복합적인 면을 띠게 되는 것도 이러한 의미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나의 일상의 의자는 종류도 많고, 그 의자에 앉는 사람, 또는 시간, 장소에 따라 내가 달라지기도 하였다. 이것은 역으로 의자가 사람을 만들기도 한다는 생각을 하게 하였다. 따라서 작품 내에서 꾸준히 등장하는 '의자'라는 사물은 나의 내면 속의 사회적(社會的) · 윤리적(倫理的) · 심미적(審美的) 가치판단의 움직임 즉 '선과 악', '미와 추'라는 불완전한 이중성의 구조에서 탈피하고자 열망하였던 시기에 이중성이라는 모순된 구조와는 무관한 단단한 실제 사물에 자아를 투사시켜 흔들리지 않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을 찾아보고자 선택된 사물이다. 본 논문은 대상인 의자를 통해 나를 어떻게 파악하는가 하는 인식의 문제를, 작품 내에서 보여지는 선과 색 · 화면의 분할 · 형태 · 질감의 표현 등을 통해 풀어 가겠다. This thesis aims at anlyzing the content of my work 'Desk and I' which was exhibited at <A private exhibition to evaluate a graduate's graduation work>(2-8, Oct., 2002 at Dongduk Art Gallery) and studying its materials and techniques. As our lives get gradually westernized, we are obliged to spend most of time except sleeping hours on the desk. I see time on the desk where I stayed and wait time on it where I intend to stay from now on. From the viewpoint of physical time, time on the desk where I stayed and am going to stay will expand to the past and the future. But, I not only create my work on a spectrum of time, but through which I can represent my dream, utopia, or idea which I want to achieve some day. Perhaps, it may communicate with the ultimate myself dreaming of an idea, and be a tool of communication with myself in my absence as well: I see myself outside of myself. This thesis takes a desk, an important part in my daily life as a medium to study and analyze a part of my real self through a new formative work. My picture, in reality, starts from figuration. Particularly, in the oriental painting, figuration is regarded significant by taking nine out of ten, the whole phase. My work is provoked from an intention 'to know myself' occupying a desk and continues to be true to the motif: how to represent it. But the characteristics of my work are not to express the first phase filtered in the oriental painting but to represent the moment outward when the phase of concentrated figuration is filtered and added or subtracted. An oriental painter Eun Hyun used a method of hiding and representing to express 'greatness' but because I don't intend to express the category of 'greatness', instead I chose a method to make access to the substance by revealing all the aspects of a desk. Therefore, I think that I was rather objectified by objectifying the whole moment. The desk identified from other perspectives scene by scene can be interpreted to show a compound aspect, in that it bears on continuity with units in the composition of this picture. Still, the desk in my daily life has many types and I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son who sat on it, time, or space. As a result, I think that the desk cultivates a man reversely. Accordingly, I chose the object 'desk' which steadily appears in my work to find another unyielding identity of mine by projecting myself to a real solid object unrelated to the contradictory structure of duality in the period when I ardently desired to get out of the movement of internalized social, ethical, and aesthetic value judgment, a structure of incomplete duality, for example, 'good and evil' and 'beauty and ugliness' In conclusion, this thesis clears up the problem of cognition on how to identify myself by means of a desk, the object of my work by studying its line and color, partition of picture, form, and expression of tex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