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선교를 위한 교회건축 공간에 관한 연구 : 개신교 교회를 중심으로

        송병준 建國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를 넘어선 요즈음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교회가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논의들의 중심에는 항상 공통적으로 교회는 빛과 소금으로서 사회 속에 존재하면서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와 의를 구하고 하나님의 사랑과 정의를 실천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동의를 하고 있다. 따라서 교회는 사회에 대해 철저하게 책임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교회는 그 동안 급속한 성장 속에서 개교회중심주의, 개인구원, 양적 성장에만 집착하여 사회적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더욱이 사회의 흐름과는 또 다른 교회만의 문화를 구축하며, 비기독교인들로 하여금 폐쇄적이며, 이질감을 갖게 하였다. 이로 인해 교회들은 더욱 선교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한국교회들은 문화선교라는 목적 하에 사회적 기능은 물론 선교에 많은 변혁을 꾀하고 있다. 교회가 문화활동의 장으로서 지역사회에 열려있는 모습을 취하며 직·간접적인 선교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문화선교를 위해서 교회공간의 규모나 종류는 제대로 활용이 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교회가 처음 건축될 때부터 문화선교 차원에서 계획적으로 입지가 설정되거나 계획되어지지 않았으며, 지역의 특성과 요구에 따른 프로그램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별로 문화선교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며, 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공간의 종류와 규모를 제안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문화선교를 위한 교회의 역할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범위 하에 진행한다. 문화활동의 영역은 다양하고 또한 교회가 실행하는 문화선교 프로그램 또한 목회자와 성도, 지역사회의 요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먼저 지역적 범위를 서울로 한정한 후 소득별 현황에 따라 고소득을 제외한 저소득지역(MP1)과 중소득지역(MP2)으로 제한하였다. 출석인원이 600명 이상의 지역교회로 선정한다. (단, 교인이 600명일 때 교회의 적정지역사회 면적은 0.079~1h㎢이며 지역 주민수는 2,383~3,177명이다) 문화활동의 프로그램의 추출을 위해서 1차적으로 문화선교 전문가집단에 사회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선교로써 선호도가 높은 문화활동영역을 구분하였다. 2차로 목회자, 성도, 지역주민에게 사회조사를 실시하여 분류된 문화활동영역에서 구체적인 하위 문화선교 프로그램을 선호도 별로(상위25%) 추출하였다. 건축 계획적 접근 방법으로써 지역사회의 문화선교를 위한 교회건축은 신학적 이해에 따른 교회의 기능과 사회적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이에 따른 교회 건축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문화선교의 가치와 공동체의 욕구 충족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문화선교를 위한 교회건축의 공간 계획방향은 목회의 의의, 지역특성의 고려, 교수 학습환경과 이용자의 대상별 욕구조건, 공간의 융통성 충족으로 파악된다. 위의 방법들로 제시된 문화선교 프로그램들을 활동별로 grouping하여 각 실별로 분류한 후 주당 이용 가능률, 전체 활동 인원수, 1인당 면적을 이용하여 실의 적절한 규모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차례의 사회 조사를 통해서 지역별 선호 프로그램을 통한 적정 규모로 저소득 지역은 2.224Nc, 중소득 지역은 1.376Nc으로 연구되었다. 두 지역의 공간 요구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중소득 지역에 비해 저소득 지역에서 문화선교를 위한 프로그램 수와 더 많은 공간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temporary christians living in the 21st century debate actively on the direction of the church in the rapid-changing society, agree that the church should play a vital role of light and salt in the world, and also act out its social responsibility by seeking the kingdom of god his righteousness and exerting god's love and justice. Therefore the church should its social responsibility thoroughly. But in fact the korean churches couldn't play their societal function well because they have focused on the individual church-centeredness, the individual salvation, the growth in number. What's worse, the korean churches maintained their own excluding cul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orld, and made non-christians feel isolated and alienated. This makes the mission activities more difficult. Now the korean churches try to transform the mission format and the social function with the purpose of the cultural evangelism in their mind. They, as the meeting places of the cultures, expect to achieve the indirect evangelical aims by opening their gates toward the world. However, the space, size, and pattern of the churches are not used effectively for the cultural evangelism. Because the church buildings were not made systematically in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evangelism ,and the churches don't have relevant programs according to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and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So I`d like to suggest the programs for the cultural evangelism suitable to the local community, and suggest the needed space, size, and pattern for running those programs. This study was done within the following categories to meet the needed roles for achieving the cultural mission activiti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cultural activities are diverse and the cultural mission programs the churches ru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astors, church members, and the local community. I surveyed only the geographical areas within seoul and also surveyed only the low-income class areas(MP1) and the middle-income class areas(MP2). I worked with only the local churches with more than 600 church attendees(when a church has 600 attendees, the size of the local community is 0.079~1㎢, and the number of the local community citizens is 2,383~3,177). To make out the programs of the cultural activities, at first I made a social survey with the help of the cultural mission specialists, which made the classification of the popular cultural programs possible. And then I made a social survey targeting the pastors, the church members, and the local citizens, which made the concrete sub-cultural mission programs possible according to the popularity(high 25%). The church architecture for the cultural mission toward the local community as an architectural planning approach should satisfy thu church's function and social function according to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church architecture is to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meeting the cultural mission value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desires of the community. And the spatial planning direction of the church architecture for the cultural mission in the community is to be understood as a way to satisfy the pastoral meaning, the unique local need, the users' need within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nd the spatial flexibility. I classified the cultural mission programs made by the above-mentioned methods into various groupings according to each room, and then I suggested the possible weekly usability, the total number of the participants, and the proper size of the room made by calculating each individual's spatial use. In conclusion, the proper size for the favorite programs drawn from two social surveys is 2.224Nc for the low-income class area and 1.376Nc for the middle-income class area. The spatial needs of the two areas were shown differently, and the number of the programs and the spatial size of the cultural mission activities for the low-income class area were shown to be greater than those for the middle-income class area.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송병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M 대학과 충청남도 H 대학의 4년제 대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28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SNS 이용실태를 분석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 검증하기 위해 내적 합치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연구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대학생의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하여 Fraley와 Waller 그리고 Brennan(2000)이 개 발한 친밀관계경험개정판(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Revised; ECR-R)을 김성현(2004)이 번안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입증한 ECRR-K를 사용하였다. SNS 중독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정소영과 김종남(2014)이 타당화 연구를 거쳐 개발한 대학생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y Scale)를 유성경과 심혜원(2002)이 번안한 후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불안애착은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회피애착은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SNS 중독경향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SNS 중독경향성이 더 높았다. 특히, 하위요인 중 SNS 조절실패 및 일상생활장애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성인애착, 자아탄력성, SNS 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과 변인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은 변인 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과 SNS 중독경향성은 변인 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SNS 이용실태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의 90.9%가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대부분 스마트폰을 통해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은 대부분 SNS를 매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글과 사진 등으로 친구들의 근황을 알고 친구와 연락하기 위해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성인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아탄력성은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SNS 과다 사용을 조기에 예방하고, SNS 중독경향성에 대해 개입함에 있어 대학생의 성인애착을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that adult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has on SNS addiction proneness of undergraduat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55 undergraduates of 4-year-course universities in Seoul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ultimately, the date from 288 undergraduat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f SNS were analysed from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and the calculation of internal consistency was compu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 Also,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each study,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how adult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influence SNS proneness. In order to measure the adult attachment of undergraduates, ECRR-K was us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which were proven with Sunghyun Kim(2004)’s adaptation of ECR-R(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Revised) developed by Fraley, Waller, and Brennan(2000). To measure SNS addiction proneness, the scale developed by Soyoung Chung and Jongnam Kim(2014) through a validity test was used. In addition, Ego-Resiliency Scale developed by Block and Kremen(1996) was adapte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Sungkyung Yoo and Hyewon Sim(2002) to measure ego-resilience.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ult attachment of undergraduates influences SNS addiction proneness. Anxiety attachment, one of the sub factors of 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affect SNS addition proneness. On the other hand, avoidance attachment, another sub factor of 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no influence on SNS proneness. Secondly, the ego-resilience of undergraduates have no bearing on SNS addition proneness. Thirdly,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results about SNS addiction proneness based on the undergraduate's gend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en and women. Among the sub factors,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especially in the failed control of the use of SNS and handicaps of the daily life. Fourthly,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ego-resilie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undergraduates showed=5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adult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n the other hand, a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variables of adult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Also, a negative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the variables of ego-resilie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inally, after studying the undergraduate's use of SNS, 90.9% of them were found to be using SNS, mostly Facebook or Instagram through their smart phones. Moreover, the result shows that the majority of the undergraduates use SNS on a daily basis in order to check their friends' status via posts, pictures, etc, and contact them.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dult attachmen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NS addiction proneness, but Ego-resilience has no influence on SNS addiction proneness. Based on this study, adult attachment of undergraduat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one intends to protect the abuse of SNS in advance and deal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 온실가스 배출을 고려한 공급망 리스크관리 시스템의 설계

        송병준 충북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물류 환경에 유연하기 대응하기 위해서는 화주와 물류업체의 협업을 통한 공급망 리스크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 규제가 높아짐에 따라 공급망 중 온실가스 배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운송 분야에서의 CO2저감을 위한 시스템 제시가 필요하다. 특히,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지리적으로 국토가 작고 거리가 짧기 때문에 도로운송에 있어서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운송 모니터링 및 운송경로 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공급망 리스크 관리의 기존 연구는 대부분 실제 위험이 나타났을 때 이를 즉각적으로 인지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실제 시스템 구현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뤄지지 못했으며, 공급망에서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는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분석 및 대응 방안 설계도 고려되지 않은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향후 기업은 공급망 상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기준 범위 내에서 관리하지 못할 경우 급격한 비용 지출과 기업 브랜드 이미지 하락 등의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위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고려한 공급망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며, 그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망 리스크 관리에 관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여 리스크를 정의하고 물류 실행 중의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였다. 둘째, 환경리스크를 포함하여 발생 원인별로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세부 리스크 요인을 전문가 조사를 통하여 공급망 측면에서 먼저, 기업내부, 공급망 상, 기업외부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유사한 리스크 요인을 그룹화한 공급망 리스크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리스크요인 분류체계에 대해 확인적 요인 분석과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실시하여 분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이렇게 정의된 리스크에 대하여 실제 물류 환경에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고려한 공급망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넷째, 제안 시스템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물류기업의 수·배송 라우팅 계획업무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기존의 공급망 리스크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CO2저감을 포함한 공급망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여 기업내부, 공급망상, 기업외부에서 발생하는 리스크에 대한 상황 인지 및 대응 사례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 연구결과는 앞으로 기업의 녹색물류 실행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sponding flexibly to the rapidly changing logistics situation requires development of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system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shippers and logistics service providers. In addition, as there is a tightening of greenhouse gas emission regul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ystem for CO2 reduction in a transportation sector, which accounts for majority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the supply chain.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nations, Korea is relatively small in its size of the land and also short in its distance across the country geographically, so that a monotoring and optimization of transportation route should be realized for a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the road transportaton. However, most of previous researches on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did not attempt to realize a real system that shows a way to instantly recognize it in case of a real danger and they did not take other factors, such as analysing greenhouse gas emission and developing its response plan, into consideration, which is emerging as a new risk factor in the supply chain. Also, in future, enterprises could end up in trouble with issues like sharp increase in expenses and decline in corporate brand image, should they fail to manage greenhouse gas emission level in their supply chain within the regulated range. For this reason, this paper presents the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system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greenhouse gas emissions as an attempt to resolve issues mentioned above, and the detai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have defined the risk by examining existing researches on the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and analyzed risk factors in actual logistics processes. Second, after deriving risk factors by its causes including environmental risk and then dividing them into the areas of inside the company, in-supply chain, and outside the company from the aspect of supply chain through a professional research, we have presented a classification scheme which is grouping of similar risk factors in each area. We have then checked the validity of the classification by conducting a factor analysis for confirmation and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n the proposed risk factor classification scheme. Third, we have presented the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system that could respond to the defined risks in actual logistics situations while consider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orth, we have applied a testing to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routing plans of logistics companies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effectiveness of the presented system.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poses a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system including reduction of CO2 by classifying previous supply chain risk factors in a systematic way, which then leads to the presentation of recognizing risk situations inside the company, in-supply chain, and outside the company, as well as its related case studies.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implementing green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of a company.

      • 학교시설개선을 위한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송병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 growth rate and the increase of the population of the senior citizens, which become issues of the modern society, are bringing numerous changes of many aspects like national economy, community, and culture. These social phenomena give impacts on the school facilities as well. Thus owing to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the students, the number of the newly constructed schools has been decreased drastically, and moreover the merger of the schools cause many schools to be default. Meanwhile, the school facilities have been expanded into the functions of the local community centers, and th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demand the diversity and flexibility of the spaces. These factors add more burdens to the current schools. Therefore the school facilities are needed to adopt a flexible and relevant change necessary for using the spac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needs of the times, and are needed to reinvented continuously not to limit the educational and social activities because of the degradation of the school facilities. Yet because there are no proper criteria for doing the task, problems related to the relevance of the task and the unnecessary investment are raised. So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demonstrate the standardized index in terms of the sequential priority of upgrading the facilities among the schools. First, by considering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the school facilities theoretically, I tried to divide the functions of the school facilities into the educational ones and the local social ones, and set the direction of the evaluation index through analyzing the change factors of the school facilities. (cf. <figure 2-4>) Second, the areas of the evaluation for making the items of the evaluation are reconstructed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evaluation index. I set the following four areas : ‘the responsive area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e eco-friendly school area', ‘the merged school area', and ‘the school safety area'. I ironed out the similar evaluation factors by analyzing the similar criteria of each set evaluation area, and as a result I made out the total 29 evaluation factors.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made-out evaluation factors I surveyed the school facility experts, managers, users, and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scale of the chronbach alpha turns out to be 0.863, which 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factors. I made the total 57 evaluation items by analyzing the above-mentioned evaluation factors, the opinions of the users, the educational process, the relevant stipulations, the various standards. To prove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factors I surveyed the opinions of the experts according to the delphi survey. The first delphi survey showed 6 factors out of 57 factors below 4.0pt, which is well below the average, and 5 factors were required to be reassessed according to the opinion of the experts. I had the second delphi survey following the first one, and as a result I erased all 11 factors which are estimated to be removed or reevaluated. So finally I suggested the 46 evaluation factors(cf. <table 4-40>, <table 4-41>). Third, I made the ironed-out evaluation items to have a double value of each evaluation one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 of AHP. I made the accumulated value of each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mutual comparision among the great classification, the middle classification, and the small classification. And I made a stabilized evaluation index by adding the double value of each item. But because the evaluation index is limited by the functional aging, I suggested the accumulated evaluation method including the added value by the years(the rate according to the year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evaluation index, I analyzed 4 middle and high schools of Seoul city. And I came to get the differentiated results of the period length, the application of the class system according to the subjects, the total space, the application of the heat-insulation materials of each facility of each school. This 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ndex. As I demonstrated, I showed the evaluation index which can be used in setting the priority of the facility renovation of the current schools, and through this we may plan a rational and systematic facility renovation. But I have to say that this study is for setting the sequential priority of the schools in terms of the facility renovation, so we need to study on how to assess the remodelling or the renovation cost continuously.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인구증가율 감소, 인구노령화 등의 인구 통계적 환경의 변화는 국가의 경제, 사회, 문화 등 삶의 많은 부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학교시설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데 학생수가 줄어듦에 따라 신설학교 건립 수요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학교 통·폐합으로 인해 폐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반면 학교시설은 다양한 교육활동으로 인한 공간의 다양성 및 융통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지역 커뮤니티센터로서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어 기존학교시설의 부담은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학교시설은 시대적인 변화요구에 따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융통성과 적절한 변화가 필요하며 특히 학교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교육활동 및 사회활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시설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업시행에 대한 적절한 기준이 없어 사업의 적정성, 예산투자의 중복성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학교들의 시설현황을 파악하여 기존학교들 간의 시설개선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시설의 개념과 학교시설의 기능 등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학교시설의 기능을 교육적 기능과 지역 사회적 기능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기능의 변화에 따른 학교시설 변화요인을 분석하여 평가지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둘째, 평가항목 도출을 위한 평가분야는 평가지표의 방향성을 기초로 재구성하여 ‘교육활동대응분야’, ‘친환경학교 분야’, ‘복합화학교 분야’, ‘학교안전 분야’의 총 4가지 분야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평가분야별 유사기준들의 분석을 통해 유사성이 있는 평가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총 29개의 평가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평가요소의 적절성 검증을 위해 학교시설 전문가, 관리자,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회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크론바흐 알파값이 최소 0.863으로 분석되어 모든 평가요소에 대한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상기와 같이 도출된 평가요소와 사용자 의견, 전문가 의견, 교육과정, 관련법규, 각종 기준 등의 분석을 통해 총 57개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항목은 전문가 대상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항목의 타당성을 검증하도록 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총 57개의 평가항목 중 6개의 항목이 평점 4.0pt 미만으로 평가항목으로의 타당성이 평균치 이하로 조사되었고, 5개의 항목은 평균치와 상관없이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삭제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삭제 및 재검토가 요구된 11개 항목에 대해 모두 삭제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최종적으로 46개의 평가항목을 제안하였다. 셋째, 도출된 평가항목은 AHP 조사를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부여 하였다. 평가분야의 대분류, 중분류 및 평가항목 간의 쌍대비교를 통해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고 항목별로 산출된 가중치를 반올림하여 정수화한 평가지표를 완성하였다. 단, 평가지표는 기능적 노후화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설비 및 마감재 현황 등의 성능적 노후화가 고려된 경과년수 가중치(노후화 비율)를 적용하는 평가식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서울특별시 중·고등학교 4개교의 시설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과년수, 교과교실제 적용여부, 연면적, 단열재 적용 현황 등 학교별 특성에 따라 차등적인 결과가 도출되므로 평가지표로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학교를 대상으로 시설개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시설개선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단, 본 연구는 시설개선을 위한 학교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연구이며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학교별 증·개축 판단 및 시설개선사업비 추정 등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노인주거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송병준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Our country is being progressed aging rapidly more than any other countries. According to a rise in the aged population and the elderly households, an interest in the elderly housing is being also increased. According to a recent change in recognition on a family, the elderly, who live separated from children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couple, got larger. Even the elderly began to be expanded a desire for the independent old-age life and a desire for the elderly housing composition. However, the housing policy for the elderly so far tended to be biased to the specific elderly classes such as being formed focusing on low-income brackets in the dimension of social welfare or suggesting an alternative plan for encouraging living together with children. In addition, even in terms of the housing policy for the low-income class elderly, a problem has been steadily raised in the aspect of effectiveness. Accordingly,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of seeking developmental plan for the realistic and effective housing policy for the elderly, which involves all the aged classes. With having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examined about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about the housing policy for the elderly, which is being enforced now, and considered on the housing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elderly housing environment. Through interview with expert group related to the housing policy for the elderly after this, the more specific and diverse policy-based opinions were collected for development in the housing policy for the elderly. Based on this, this study elicited totally five kinds of developmental direction in the housing policy for the elderly. First, there is a need of the cheap and small-scale housing policy exclusively for the elderly that can cover diverse classes of the elderly including low income classes. There is a need of being activated the small-scale housing in the form of one room and two rooms exclusively for the elderly available for supporting the elderly's stable residential life and being used cheaply. Second, the expansion in the rental elderly housing needs to be made. There is no rental elderly housing policy now targeting only the elderly. Hence, it is the real situation of being needed the policy-based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for this. There is a need of being established a plan and policy for forming the rental elderly housing in consideration of the elderly's physical characteristics. Third, there is a need of being expanded the elderly welfare housing in the form of small-and medium-size and complex by being developed from the small-scale elderly-only housing that was discussed in the above. In relation to the supply of the elderly housing that is being problem now, the small-scale elderly-only housing needs to be first revitalized. However, there is a need of being supplied the elderly welfare housing in the form of small-and medium-size and complex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Fourth, to revitalize the policy of improvement in the elderly residential housing, there is a need of being supplemented the policy, which is being performed now. The policy for improvement in residential housing targeting only the elderly is not being enforced now. Accordingly, there is a need of being established the policy for improvement in elderly residential housing and of being specifically arranged the remodeling standard and the enforcement plan in line with the elderly's characteristics. Fifth, there is a need of being improved Reverse Mortgage System, which is being enforced now, and of being made the policy for supporting finances of the elderly other than it. To secure the elderly's stable old-age life, there is a need of improvement in a system such as improvement in recognition of reverse mortgage system and as adjustment of subjects, and of diverse financial supports in consideration of the elderly's income and property. If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as the above, are performed and expanded by stages, a macroscopic insight will be able to be provided that can satisfy all of the residential elements and forms needed by the elderly, and that can solve various problems of being emerged by aging society. 우리나라는 어느 국가보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노인 인구와 노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주거에 대한 관심 또한 증대되고 있다. 최근 가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독거노인, 노인부부 등 자녀와 떨어져 지내는 노인들이 많아졌고 노인들 역시 독립된 노후생활의 욕구, 노인주거구성의 욕구 등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재의 노인주거정책은 사회복지 차원에서 저소득층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지거나 자녀와의 동거를 장려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등 특정 노인 계층에 치우친 경향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저소득층 노인주거정책과 관련해서도 실효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모든 노인층을 포괄하는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노인주거정책 발전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주거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주거환경에 필요한 주거구성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후 노인주거정책과 관련된 전문가 집단과의 인터뷰를 통해 노인주거정책의 발전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책적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총 다섯 가지의 노인주거정책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저소득층을 비롯한 다양한 계층의 노인을 아우를 수 있는 저렴한 소규모 노인전용주택 정책이 필요하다. 노인의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지원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원룸, 투룸 형식의 소규모 노인전용주택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임대주택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노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임대주택 정책이 없어 이에 대한 정책적 개선과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노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노인임대주택 구성 방안과 정책 확립이 필요하다. 셋째, 앞서 논의한 소규모 노인전용주택에서 발전하여 중소규모, 단지형 노인복지주택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문제되고 있는 노인주택 공급과 관련하여 먼저 소규모 노인전용주택이 활성화되어야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소, 단지형 노인복지주택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노인 거주주택 개선정책의 활성화를 위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정책의 보완이 필요하다. 현재 노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거주주택 개선정책이 시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노인 거주주택 개선정책을 확립하고 노인 특성에 맞는 개조 기준과 시행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현재 시행중인 역모기지 제도의 개선과 그 외 노인 재정지원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노인들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을 위해 역모기지의 인식개선, 대상자 조정 등의 제도개선과 노인의 소득과 재산을 고려한 다양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상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발전방향들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고 확대된다면 노인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주거요소와 형태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고령화 사회로 인해 대두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거시적 안목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 알칼리 활성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 기반 장석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대한 기초적 연구

        송병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which are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that can reduce greenhouse gases emitted by cement, were used as cement alternative binders. In addition, a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fine aggregates of feldspar by tes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fine aggregates by replacing porous feldspar with fine aggregates of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based alkali-activated mortar. Porous feldspar alumina silicate minerals, which account for 60% of the current crust, are the most common minerals. When used as fine aggregates for alkali-active blast furnace slags and fly ash-based mortar, these feldspar replaces the existing fine aggregates that are in short supply and is intended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reducing the amount of CO2 generated by the manufacturing and use of cement. When porous feldspar was used as a fine aggregate of alkali-active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based mortar, the compressive strength of feldspar mortar of all particle sizes satisfi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masonry mortar on the 7th day, and the specimen of the mortar made of only a large particle size of the mortar was 26.13 MPa from the 3rd day compressive strength, meeting the 28th day compressive strength standard of 21 MPa of floor mortar, and it was confirmed that high strength could be obtained early. Compared to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mortar, which is the control group, it showed more improved compressive strength on all age days,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n the 28th day based on the age day increased by 33.6%. In addi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mortar with a large particle size increased by about 3.39 times compared to the specimen made of only a small particle size or an even particle size. It is judged that the alkali activator and blast furnace slag settled between the fine particles of feldspar, and the activation proceed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H neut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eldspar.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substitutes through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components of cementless mortar in terms of strength. Furthermore, in order to be used as an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 research as an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 will be conducted and developed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field through follow-up studies such as environmental stability evaluation as well as strength.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로 인해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건설재료인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를 시멘트 대체 결합재로 사용하였다. 또한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 기반 알칼리 활성화 모르타르의 잔골재로 다공질 장석을 대체하여, 잔골재 입도에 따른 압축강도를 실험하여 장석의 잔골재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공질 장석 알루미나규산염 광물로서 현재 지각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한 광물이다. 이러한 장석은 알칼리 활성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시 기반 모르타르에 잔골재로 사용 시, 공급이 부족한 기존 잔골재를 대체하며, 시멘트 제조 및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CO2의 양을 줄임으로 인해 건설 산업에서의 환경파괴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다공질 장석을 알칼리 활성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시 기반 모르타르의 잔골재로 사용시, 모든 입도의 장석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7일차에 조적용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를 만족하였으며, 장석 잔골재를 큰 입도로만 구성하여 제작한 모르타르의 시편은 3일차 압축강도부터 26.13MPa로 바닥용 모르타르의 28일차 압축강도 기준인 21MPa를 충족하여 조기에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조군인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와 비교 시에도 모든 재령일에서 더 향상된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재령일 기준 28일차 압축강도는 33.6% 더 증가하였다. 또한 장석의 입도가 큰 모르타르는 작은 입도로만 구성하거나 고른 입도로 제작된 시편과 비교해 압축강도가 약 3.4배 증가하였다. 이는 입도가 큰 장석 잔골재 사이에 알칼리 활성화제와 고로슬래그가 자리잡으며 장석의 pH 중화 특성에 방해받지 않으며 활성화가 진행되어 경화되었다고 예상된다. 이에 관하여 추가적인 연구 및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한 두 가지 대체재가 강도 측면에서 무시멘트 모르타르의 구성성분으로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미래의 친환경적인 건설재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강도 측면 뿐 아닌 환경안정성 평가 등의 후속 연구를 통해 친환경적인 건설재료로써 추가 연구되어 현장에서도 쓰일 수 있도록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處理가 젖소의 産乳量 및 乳成分 組成에 미치는 影響

        송병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Holstein 젖소에 대하여 시판되고 있는 rBST(Boostin, Lucky Biotech. Co.)를 500mg/두 주사하여 젖소의 산유량 및 유성분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Holstein 6두를 공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유량 변화는 rBST 처리한 후 3일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6일째에 최대 증가를 나타냈고 12일째 부터는 처리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rBST처리구에서 14.08% 증가하였다. 유단백질과 회분함량 변화는 없었으나 광물질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rBST처리구에서 Mg, PO₄^(-3)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그외 광물질의 변화는 없었다. 유지방함량은 대조구 3.87%인데 반하여, rBST처리구에서 4.13%로서 0.26%증가하였으며 유당함량은 대조구에서 4.58%, rBST처리구에 4.71%로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에 총고형분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rBST처리구에서 0.42% 증가하였다. 지방산 조성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rBST처리구에서 long chain의 지방산 중 C_(16:1), C_(18:1)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n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cow milk by rBST 500mg/hea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ilk yield was increased gradually from day3 after rBST treatment, however amount of milk protein and ash in milk were not changed. In mineral composition of milk Mg and PO₄^(-3) were slightly increased, the other minerals were not changed. Percentage of milk fat was 3.87% in the control, while it was 4.13% in the rBST treatment. Milk sugar contained 4.58% in the control, little in rBST treatment it was 4.71%. Fatty acid composition of milk fat was changed in compare to control, increasing of long chain fatty acid( C_(16:1), C_(18:1)) in rBST treatment.

      • P형 산화물반도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제작방법 및 특성연구

        송병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Using vacuum thermal evaporation combined with post-deposition annealing and O2 plasma surface treatment, we obtained p-type oxide films and p-channel thin film transistors. We used tin monoxide (SnO) and cuprous oxide (Cu2O) materials. Both films were obtained using this process combined with thermal annealing and O2 plasma surface treatment after the deposition and were measured in bulk concentration, mobility, resistvity, XRD, XPS. Air thermal annealing converted the n-type conduction to p-type conduction, and a hole concentration on the order of 10^16 cm^−3 and a Hall mobility of over 5 cm^2V^−1s^−1 were obtained after the post-deposition air thermal annealing. And we could find out that O2 plasma surface treatment and annealing process caused Cu2O and SnO phase transition. Also, we fabricated p-channel thin-film transistors (TFTs) using SnO material. And it was deposited at Vacuum thermal evaporation for large scale deposition. We could obtain p-channel SnO TFT with 2.03 cm^2V^-1s^-1 field-effect mo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