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 베네데토의 소설 『사마』와 마르텔의 영화 《사마》: 시대 불일치성과 크리오요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송병선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4 중남미연구 Vol.43 No.1

        아르헨티나의 감독 루크레시아 마르텔(Lucrecia Martel)의 네 번째 영화 《사마(Zama)》는 안토니오 디 베네데토(Antonio Di Benedetto)가 1956년에 발표한 동명의 소설에 바탕을 두고 2017년에 제작된 작품이다. 이 글은 소설 『사마』와 영화 《사마》가 어떻게 구성되고 무엇을 해체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문학과 영화의 대화를 통해 과거에 관한 또 다른 시선을 구성하는 대안 역사의 전략을 살펴보면서, 1950년대의 현재(소설 『사마』)와 2010년대의 현재(영화 《사마》)가 식민시대라는 과거와의 대화를 통해 현재 속에 잠재되고 지속된 과거가 무엇인지 가장 특징적인 두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는 특정한 역사적 시기를 재구성하는 예술 작품에서 흔히 나타나는 ‘시대 불일치성’이다. 두 번째는 주인공 사마로 대표되는 크리오요가 왜 모호한 정체성을 갖는지 알아보고 이것을 젠더의 문제와 연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Zama, the fourth film by Argentinian filmmaker Lucrecia Martel, was produced in 2017 and is based on the 1956 novel of the same title by Antonio Di Benedett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how the novel Zama and the movie Zama are constructed and deconstructed. In other words, by examining the strategy of alternative history, which constructs another view of the past through the dialogue between literature and film, I will examine two principal aspects of how the 1950s present (the novel Zama) and the 2010s present (the film Zama) are in dialogue with the colonial past, and how the past is latent and perpetuated in the present: first, anachronism, which is a common phenomenon in artworks that reconstruct a specific historical period; second, the ambigous identity of criollo, represented by the main character Zama, and the issue of gender.

      • KCI등재

        상호텍스트성으로 읽는 『족장의 가을』: 콜럼버스와 루벤 다리오의 기능을 중심으로

        송병선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1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32 No.3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novel The Autumn of the Patriarch by García Márquez, literary critics have been analyzing it from various angles. Many studies have included it among the novels of dictators to talk about power, dictatorship, violence, inhumanity and solitude. Other critics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mythology, analyzing not only Judeo-Christian myths but also Colombian and Latin American myths. But if one stands back and contemplate it, he can realize that the whole text is composed as a collage. Based on these dominant features of the text, this study attempts to approximate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rtextuality, analyzing how hypotexts are hidden and modifi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of this work. In particular, it will examine the Diario of Christopher Columbus and the three poems by Ruben Dario. In this novel the principal function of intertextuality is parody. A repeated word and phrase never means the same; never identically repeats. Garcia Marquez employs this process of signification in a playful way in his works. Thus, repetition ceases to be a process that produces an inferior copy to become a creative process. 『족장의 가을』은 출간 이후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이 작품을 독재자 소설로 분류하면서 권력의 문제와 독재체제의 폭력, 그리고 비인간성과 고독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소설에서 사용된 신화도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면서, 기독교 신화뿐만 아니라 콜롬비아와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신화도 연구되었다. 그런데 이 소설을 살펴보면 무엇보다도 콜라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특징에 바탕을 두고 이 글은 상호텍스트성 관점에서 여러 밑텍스트가 어떻게 감추어지고 변형되는지 알아보면서, 가르시아 마르케스 글쓰기의 특징을 알아보려고 한다. 특히 콜럼버스의 『콜럼버스 항해록』과 루벤 다리오의 여러 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에서 가장 눈에 띄는 상호텍스트성 기능은 패러디이다. 다른 글의 반복, 즉 상호텍스트성은 권위와 중심의 해체를 의미한다. 가르시아 마르케스는 이것이 상정하는 의미화 과정을 즐기면서, 유희적 방식으로 자기 작품에 사용한다. 그렇게 반복은 열등한 사본을 생산하는 과정이 아니라, 창조적 과정이 된다.

      • KCI등재

        보르헤스 작품의 서술 전략과 그 기능 : 『 아스테리온의 집 』 을 중심으로 Un analisis del cuento " La casa de Asterion "

        송병선 한국서어서문학회 1999 스페인어문학 Vol.15 No.1

        La mayoria de los escritos cri´ticos sobre las obras de Borges se han dedicado principalmente en elucidar a interpretar su significado, sin buscar el orden formal particular y los disen~os escogidos por el escritor argentino. Este estudio analiza la estrategia narrativa de un cuento de Borges $quot;La case de Asterio´n$quot;, reconoaendo que no hay autonomi´a de la forma en la literatura. Esto implica que este estudio parte del significado textual, bien estudiado por los cri´ticos literarios, lo cual se diferencia mucho de los estudios estructuralistas. Comprender a Borges enfrasca por lo menus cuatros procesos interconectados. El primero es enfocar consaentemente ha챠a la historia misma sin prestar atencio´n a algunas referencias sobre la condicio´n humana, la realidad y la literatura. Preocupados tanto por buscar el significado, muchos lectures pierden el intere´s intri´nseco: suspenso, climax inesperado, etc. Pero lo ma´s importante es sentir el placer de la lectura que se logra con la funcio´n del valor intri´nseco. El segundo es entender el significado profundo de las obras de Borges, puesto que al descubrir un significado el cuento en cuestio´n empieza quebrarse y diseminarse. Esta caracteri´stica se relaciona con la estructura de enigma, la cual se constituye el tercer proceso. En realidad un estudio detallado de la estrategia narrativa de Borges es un aspecto ignorado por muchos estudiosos de la literatura borgiana. EI cuarto proceso contiene lo que Borges llama $quot;detalles embutidos$quot;, es decir, la indicaciones oscuras que el lector cauteloso debe captar. Basado en estos cuatro procesos, sate estudio intenta oomprender el texto $quot;La casa de Asterio´n$quot;. En el primer proceso que se realiza en la primera lectura, se puede comprender la fa´bula de Borges. Despue´s viene el significado del texto, cuyas claves se encuentran en la identidad de Asterio´n y Teseo. Mientras investigamos los sentidos de estos doe personajes, descubrimos la estrategia narrativa de este cuento: la estructura del enigma. Y con los $quot;detalles embutidos$quot;, buscamos la resolucio´n del enigma. Sin embargo, al descubrirlo nos demos cuenta de que una resolucio´n nos conduce a otro enigma que de nuevo nos lleva a otro enigma: enigma dentro de un enigma dentro de otro enigma, etc. De esta manera podemos averiguar infinita diseminacio´n y su complejidad en este cuento. Este hecho quiere decir que el texto de Borges nonca se agota y sue temas pueden interpretarse en diferentes maneras como sue estrategias narrativas se desenmaran~a en diferentes modos.

      • KCI등재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도시와 개들』의 폭력과계급 질서: 유사와 대립의 이원적 구조

        송병선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6 No.3

        La ciudad y los perros is not only the first novel by Mario Vargas Llosa, but also a starting point and amilestone for the Latin American novels in Europe. And it can be called as a permanent rebellion against the established order, based on the concept of Sartre. The young Mario Vargas Llosa discovered the violence in the Military College of Leoncio Prado and it was, indeed, the microcosm of the widespread violence and increasingly marked in Peru. This study analyzes the violence and hierarchical order through similarity and contrast of the contents, without ignoring the experimental and innovative formof this novel. The similarity and opposition are important factors fromthe title and beginning of the novel whichmanifests in the dichotomous relationships and order-obedience, linked to the power, sexual role and violence existing between social and racial classes. And this novel shows clearly that these binary relationships are not rigid but flexible and contradictory aspect of the violence and the power. 『도시와 개들 La ciudad y los perros』(1963)은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가 27세에 발표한첫 번째 소설이면서, 동시에 ‘붐 소설’로 알려진 라틴아메리카 현대 소설이 유럽에 본격적으로알려지게 만든 작품이다. 『도시와 개들』은 ‘문학은 불’이라는 사르트르의 개념에 바탕을 두고구성한 기성 질서에 대한 영원한 반란의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글은 이 소설의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형식을 간과하지 않은 채, 내용적 측면에서 보여주는 유사와 대립의 구조적 관점을 통해 이 작품의 폭력과 계급적 질서를 분석한다. 유사와 대립의 관점은 제목의 의미에서부터 잘 나타나며, 작품의 시작 부분에서도 명령과 복종의 이원적 관계를 통해 분명하게 드러난다. 또한 이런 구조적 관점은 ‘개’에 담긴 권력성과 성역할을 통한 지배-피지배 구조, 그리고 인종과 사회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폭력으로 연결된다. 그러면서 이 작품은 이런 이원적 관계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권력과 폭력을 통해 유동적이 되는 모순적 현상을 띠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민중 서사시의 미학과 침묵의 언어 : 「금강」과『우리 모두의 노래』를 중심으로 Kumgang y Canto General

        송병선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 부산외국어대학교 2003 이베로아메리카 Vol.5 No.-

        이와 같이 지금까지 살펴본 신동엽의 「금강」과 네루다의 『우리 모두의 노래』는 재현된 외적현실을 예술작품 속에서 시적으로 재창조함으로써 한국과 라틴아메리카의 민중의 현실을 반영하고 표현하고 작품하다. 그리고 미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때, 이 두 시들은 단순히 이데올로기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이 아니며, 또한 그 동안 작취당해 온 민중들의 현실을 단순히 반영하고 있는 것도 아니라, 시가 지닌 서정성 속에서 형식과 내용의 조화를 통해 민중의 문제가 예술적으로 해결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런 것은 이 두 시들이 현재까지 민중 서사시의 토대를 마련해 준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참다운 침묵의 언어인 민중의 숨겨진 말을 대변하고 그에 대한 사랑을 서설함으로써 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이 주창하고 있는 ‘차연’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공식역사의 이름으로 배제된 참다운 민중의 사랑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아르헨티나의 신원확인극, 그리고 정의와 기억을 위한 투쟁: 「의심에 관하여」와 「문서보관인」을 중심으로

        송병선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3 중남미연구 Vol.42 No.1

        Teatroxlaidentidad is a aesthetic and political theater movement, closely linked to the Asociación Abuelas de Plaza de Mayo and aims to express social discontent from an incompetent political sphere. This article is about Patricia Zángaro’s “Apropos of Doubt”, which became the first and symbolic work of this theater movement and Héctor Levy-Daniel’s “The Archivist”, which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critics. These works narrate horrific experiences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 focusing on biological identity and government manipulation. “Apropos of Doubt” uses monologue and testimony to show the importance of biological identity and doubt about one’s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 Archivist” points out the uncertainty of official government documents by revealing doubts about their identities through a conversation between two characters. The two works recall memories with different narrative strategies, but both result in an act against the military Junta and realize justice for the disappeared. 신원확인극은 미학적이고 정치적인 연극 운동으로 ‘5월 광장 할머니회’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으며, 무능한 정치권에 대한 사회적 불만을 표현하는 연극이 되고자 한다. 이 글은 신원확인극 운동의 효시이자 상징적인 작품인 파트리시아 상가로의 「의심에 관하여」와 이 분야의 핵심 작품으로 평가받는 엑토르 레비 다니엘의 「문서보관인」을 분석하여 정치적·미학적 의미를 살펴본다. 이 작품들은 생물학적 신원확인과 정부의 신원 조작에 초점을 맞추면서, 독재 기간의 끔찍한 경험을 서술한다. 「의심에 관하여」는 주로 독백과 증언으로 생물학적 신원의 중요성과 현재 신원에 대한 의심을 보여준다. 그리고 「문서보관인」은 두 사람의 대화로 신원에 대한 의심을 드러내며 정부 공식 문서의 불확실성을 지적한다. 두 작품은 서로 다른 서술 전략으로 기억을 불러내지만, 모두 실종자들에 대한 정의를 구현하고자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