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란파 동요의 음악사학적 재검토 - 음반자료를 중심으로

        송방송(Bang Song Song) 세계음악학회 2002 음악과 문화 Vol.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ildren`s songs (tongyo 童謠) composed by Hong Nan-p`a (1898-1941) from a socio-historical standpoint. This study is based on the source materials of SP discs manufactured by Japanese Columbia and Victor Record Compan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of Japan (1910-1945). The content of this paper consists of 1. Introduction, 2. An Examination of the Children`s Songs by Hong Nan-p`a: 1) A General Survey of Pieces of the Children`s Songs Recorded in SP Discs, 2) Text Writers and Singers of Hong`s Children`s Songs, 3) A Comparison with the Chosoˇn tongyo paekkokchip (An Anthology of Hong`s Children Songs), 3. Conclusion: A Historical Meaning of the Advent of Children`s Song. In conclusion, the author points out the unknown fact, i.e. the three pieces of Hong`s children`s song: Pyoˇngari (병아리 A Chick), Agi jaeunuˇn norae (아기 재우는 노래 A Cradle Song), and Ch`umch`use (춤추세 Let`s Dance), all of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Chosoˇn tongyo paekkokchip (An Anthology of Hong`s Children`s Songs), which was published in 1929. The historical meaning of Hong`s children`s songs must be remarked by the fact that, like ch`ansongga (讚頌歌 Christian hymns) and ch`angga (唱歌 new songs in western style), the advent of children songs in the 1920s opened a new era of modern history of Korean music.

      • KCI등재
      • KCI등재

        1910년대 정재의 전승 양상

        송방송(Song Bang song) 국립국악원 2008 국악원논문집 Vol.17 No.-

        The first Gisaeng (female entertainers) institution 妓生組合 to have been established was the Hangseong Gisaeng Johapso 漢城妓生組合所 (HGFE: Hanseong Guild of Female Entertainers), founded in 1909.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HGFE, the Dadong Johap 茶洞組合 (Guild of gisaeng at Dadong), the Gwanggyo Johap 廣橋組合 (Guild of gisaeng at Gwanggyo), Sinchang Johap 新彰組合 (Guild of gisaeng at Sinchang) and were established in 1913, just after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transmitting aspect of Jeongjae 呈才 (court dance) by female entertainers of the three gisaeng institutions in the 1910s. Before May 1912, performed were such nine repertoires of court dance (Jeongjae) as Jangsaengboyeonjimu 長生寶宴之舞 (Royal Longevity Banquet Dance), Hangjangmu 項莊舞 (Dance of General Hsiang Yü), Hyangryeongmu 響鈴舞(Hand Bell Dance), Gainjeonmokdan 佳人剪牧丹 (Beautiful Women Picking Peonies), Geommu 劍舞 (Sword Dance), Mugo 舞鼓 (Drum Dance), Pogurak 抛毬樂 (Ball-Throwing Dance), Sajamu 獅子舞 (Lion Dance), and Seonyurak 船遊樂 (Joyful Boat Dance) by female entertainers of the HGFE. Among these nine repertoires of court dance, only seven repertoires (Jangsaengboyeonjimu, Hangjangmu, Hyangryeongmu, Gainjeonmokdan, Geommu, Mugo, and Pogurak) were performed by female entertainers of Sigok 詩谷妓生 at the stage of Danseongsa theatre in May, 1912. In 1913 when a court banquet for the former emperor Gojong was held at Deoksu Palace, twelve repertoires of court dance including Chunaengjeon 春鶯囀 (Spring Nightingale Dance), Jangsaengboyeonjimu, Hangjangmu, Hyangryeongmu, Heonseondo 獻仙桃 (Offering of Heavenly Peaches Dance), Gainjeonmokdan, Geommu, Mugo, Pogurak, Suyeonjang 壽延長 (Longevity Dance), Seongtaengmu 聖澤舞 (Holy Marsh Dance), and Seonyurak were performed by female entertainers of the Guild of Gisaeng at Dadong (Dadong Johap) and the Guild of Gisaeng at Gwanggyo (Gwanggyo Johap). In the late 1910s besides the twelve repertoires of court dance performed were by female entertainers of the three Gisaeng institutions (Dadong, Gwanggyo, and Sinchang) such other repertoires as Abangmu 牙拍舞 (Ivory Clapper Dance), Choehwamu 催花舞 (Dance of Urging Flower), Chungwangho 春光好 (Excellent Spring Brightness), Cheomsumu 尖袖舞 (Dance of Sharp Sleeve Dress), Heonchoenhwa 獻天花 (Offering up Heavenly Flower), Gongmangmu 公莫舞 (Dance of Kung-mo), Kwandongmu 關東舞 (East Province Dance), Gyeongpungdo 慶豊圖 (Dance of Congratulating Abundance), Mansumu 萬壽舞 (Long Life Dance), Muaemu 無㝵舞 (Calabash Dance), Musanhyang 舞山香 (Dancing Mountain Fragrance), Oyangseon 五羊仙 (Five Lucky Immortals), Pakcheommu 撲蝶舞 (Dance of Beating Butterfly), Bongnaeui 鳳來儀 (Ceremony for Coming of Phoenix), Bosangmu 寶相舞 (Dance of Throwing Balls into a Vase), Saseonmu 四仙舞 (Four Heavenly Figures Dance), Seungmu 僧舞 (Buddhist Dance), Yeokhwadae 六花隊 (Six Flowers Dance), Yeonbaekpok jimu 演百福之舞 (Dance of Bounteous Blessings), and Yeonhwadaemu 蓮花臺舞 (Lotus Flower Dance), which might have been taught by a Jeongjae master at Yiwangjikaakbu 李王職雅樂部 (Royal Conservatory of the Yi Household). 대한제국(1897~1910)의 멸망 이후 교방사(敎坊司)의 정재 종목 일부가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에서 전승되었음은 음악학계에 알려졌지만, 이왕직아악부 외의 민간에서 정재가 어떻게 전승되었는지에 대한 문제는 처녀지(處女地)로 남아 있었다. 따라서 1912년과 1913년 사이 단성사(團成社)에서 어떤 정재가 공연되었으며, 그 이후 1910년대의 광교조합(廣橋組合)·다동조합(茶洞組合)·신창조합(新彰組合)의 기생들이 어떻게 정재를 전승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일제강점기 초 정재의 전승양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함에 본고의 목적을 두었다. 한성기생조합소(漢城妓生組合所) 전후의 정재가 1912년 이후에 어떻게 전승되었는지 그 전승양상을 세 갈래로 나누어 점검한 결과는 대략 다음과 같다. 1901년(광무 5) 고종황제의 등극 40주년을 기념하는 진연과 1902년(광무 6) 고종황제의 망육순(望六旬: 51세)을 기념하는 진연에서 공연된 정재 종목 중에서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검무(劍舞) 일명 검기무(劍器舞)·무고(舞鼓)·사자무(獅子舞)·선유락(船遊樂)·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포구락(抛毬樂)·항장무(項莊舞)·향령무(響鈴舞), 이렇게 아홉 종목이 한성기생조합소가 설립된 1909년 전후에 공연되었다. 광교조합·다동조합·신창조합이 설립되기 이전인 1912년 5월에 시곡기생(詩谷妓生)들이 단성사에서 공연한 정재는 이 아홉 정재 중에서 가인전목단·검무(검기무)·무고·장생보연지무·포구락·항장무·향령무, 이상 일곱 종목이다. (尙衣司)의 행수기생 죽엽(竹葉)과 앵무(鸚鵡), 그리고 태의원(太醫院)의 행수기생 연화(蓮花)는 한성기생조합소에서 정재 전승에 중요한 몫을 담당하였다. 단성사의 정재 공연에 출연한 시곡기생 가운데 한성기생조합소 출신의 관기는 모두 기부(妓夫)가 있던 유부기(有夫妓)였다. 대한제국 시절의 관기가 1912년까지 전승한 정재 종목은 가인전목단·검무·무고·장생보연지무·포구락·항장무·향령무, 이렇게 여섯 가지였다. 1913년 고종의 탄신축하연에서 광교조합과 다동조합의 기생이 공연한 정재는 가인전목단·검기무(검무)·무고·선유락·성택무·수연장·장생보연지무·춘앵전·포구락·항장무·향령무·헌선도, 이상의 열두 종목이다. 이 열두 종목 중 헌선도를 제외한 열한 종목의 정재를 1910년대 다동조합·광교조합·신창조합의 기생들이 모두 극장무대에서 공연하였다. 이 열한 종목 이외 세 조합의 기생들은 경풍도(慶豊圖)·공막무(公莫舞)·관동무(關東舞)·만수무(萬壽舞)·무산향(舞山香)·무애무(無㝵舞)·박접무(撲蝶舞)·보상무(寶相舞)·봉래의(鳳來儀)·사선무(四仙舞)·사자무(獅子舞)·승무(僧舞)·아박무(牙拍舞)·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연화대무(蓮花臺舞)·오양선(五羊仙)·육화대(六花隊)·첨수무(尖袖舞)·최화무(催花舞)·춘광호(春光好)·헌천화무(獻天花舞)와 같은 정재 공연에 출연하였다. 1910년대 기생들이 전승한 정재가 그 이후에 현대 극장을 찾은 청중의 이목을 끌지 못했으므로 기생조합에서 제대로 전승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일제강점기 초기 정재 전승에 일익을 담당한 기생의 정재사적 공헌은 근대공연예술사의 발전과정에서 큰 의의가 있다. 20세기 초 정재 전승에 기여한 기생을 공연예술사적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해야 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朝鮮後期 選上妓의 社會制度史的 接近

        송방송(SONG Bang Song)(宋芳松) 국립국악원 1995 국악원논문집 Vol.7 No.-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the Yi dynasty(1392-1910) the female entertainer called kisaeng 妓生, yŏgi, 女妓, kinyŏ 妓女, ch anggi 倡妓 etc.,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court performing ans particularly, for example, court dance known as chŏngjae 呈才. The most repertoire of court dances including tangak chŏngjae 唐樂呈才 and hyangak chŏngjae 鄕樂呈才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ns Center (Kungnip kugagwŏn 國立國樂院) have been entirely related with the performing ans tradition of female entertainers in the late Yi period. Since its significant role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music and dance, the study of female entertainers in the early Yi period have been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 by the late Chang Sa-hun 張師勛(1916-1991) and others. It has not been, however, paid much attention on the study of the female entertainer in the late Yi period. Thus,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court female entertainers in the late Yi period on the basis of the Chinch an ŭigwe 『進饌儀軌』, which was compiled in the 29th year(1829) of King Sunjo s 純祖 reign. A great number of literary sources containing court performing arts of the late Yi period have been preserved at the Royal Palace Library called Kyujanggak 奎章閣 Collec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They are, for example, several editions of Chinch an ŭigwe 『進饌儀軌』, Chinyŏn ŭigwe 『進宴儀軌』, Chinjak ŭigwe 『進爵儀軌』, and so on. Among these literary sources, this study is based upon one of these Chinch an ŭigwe preserved at the Kyujanggak Collection. This essay deals with 1) Introduction: Present State of Studying Court Female Entertainers in the Yi period, 2) Survey of the Literary Source, Chinch an ŭigwe(1829), 3) An Institutional Approach to the Female Entertainers Attended at Court Banquests in 1829, 4) Conclusion: Understanding the Important Role of Court Female Entertainer. In conclusion it is pointed out that the court female entertainers may b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origin: one group called kyŏnggi 京妓. being recruited from such central government offices as Royal Medical Office(Naeŭiwŏn 內醫院). National Medical Center (Hyeminsŏ 惠民署), Royal Costume Office(Sangŭiwŏn 尙衣院). and the Public Work Board(Kongio 工曹); and the other called hyanggi 鄕妓. selected from such provincial governments as Kyŏngsang Province 慶尙道, Chŏlla Province 全羅道, Kangwŏn Province 江原道, Ch ungch ŏng Province 忠淸道, P yŏngan Province 平安道, and Hwanghae Province 黃海道.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tradition of court female entertainers seems to have been not established in the late Yi period but transmitted from that of the early Yi period.

      • KCI등재

        정재무동 출신 장악원의 악공 관견

        송방송(Song Bang song)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19 No.-

        정재무동(呈才舞童)은 정재여령(呈才女伶)과 더불어 조선시대의 궁중잔치에서 공연된 정재 곧 궁중무용을 후대에 전승시키는 데 중요한 몫을 담당한 주역들이었으므로, 일찍부터 음악학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정재무동이 성장해 어느 관아(官衙)에서 무슨 임무를 맡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음악학계에서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었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정재무동의 일부가 성장해 장악원(掌樂院)에 이속(移屬)되어 악공(樂工)으로 활약한 사례를 의궤(儀軌)에 의거해 검토함으로써 조선후기 궁중공연문화의 새로운 국면을 밝혀보고자 함에 있다. 순조(1800-1834) 때 정재무동 이흥문(李興文)과 함순길(咸順吉)은 성장해 장악원으로 이속되어 악공으로 활약한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정재무동 출신으로 후에 성장해 장악원의 악공이 된 이흥문은 편종차비(編鍾差備)·편경차비(編磬差備)·방향차비(方響差備)로 궁중잔치에서 편종·편경·방향을 연주하였고, 악공 함순길은 피리차비(觱篥差備)와 장구차비(杖鼓差備)로 활동했음을 알았다. 고종(1863-1907) 때 정재무동 이경룡(李景龍)과 이수만(李壽萬)은 후에 성장해 장악원의 악공으로 활약한 또 다른 사례의 인물들이다. 정재무동에서 성장해 장악원의 악공이 된 이경룡은 대한제국(1897-1910) 시절 궁중잔치 때마다 현금차비(玄琴差備)로 거문고를 연주하였고, 이수만은 해금차비(奚琴差備)로 활약했음이 밝혀졌다. 조선후기 장악원의 악공들이 정재의 무구(舞具)를 옮기는 임무를 맡아 수행했는데, 이것은 조선전기 성종(1469-1494) 때 악사(樂師)나 악공이 맡았던 임무를 전승한 결과였다. 순조 때 대금차비(大笒差備) 김원식(金元植)과 박경완(朴景完)은 무고(舞鼓)의 북을 공연장으로 옮기는 봉고(奉鼓) 또는 포구락(抛毬樂)의 포구문(抛毬門)을 옮기는 봉구문(奉毬門)의 임무를 맡았다. 그리고 선전관청(宣傳官廳)의 고취수(鼓吹手)였던 자바라수(啫啫囉囉手) 임수만(林壽萬)은 김원식이나 박경완처럼 봉고나 봉구문 또는 죽간자를 든 봉죽간자(奉竹竿子)나 반(盤)을 공연장으로 옮기는 봉반(奉盤)의 임무를 맡았다고 보았다. 19세기 정재무동 출신의 장악원 악공들을 통해서, 그리고 정재 무구를 옮기는 임무를 수행한 장악원의 악공이나 선전관청의 내취수를 통해서 우리는 조선말기 궁중 공연문화의 새로운 국면, 즉 현행 정재의 직접적인 뿌리에 해당하는 무동의 전통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Like court female dancers (jeongjae yeoryeong 呈才女伶), boy dancers (mudong, 舞童) of court banquet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ransmission of court dances in the Joseon (朝鮮) period.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intensively the four boy dancers (Yi Heung-mun 李興文, Ham Sun-gil 咸順吉, Yi Kyeong-ryong 李景龍, and Yi Su-man 李壽萬) appeared in such literary sources as Jinjak uigwe 『進爵儀軌』(1828), Jinch an uigwe 『進饌儀軌』(1829), and Chinyeon uigwe 『進宴儀軌』(1901 and 1902). In conclusion, the author points out the fact that Yi Hung-mun and Ham Sun-gil was originally boy dancers in the reign of King Sunjo (1800-1834), and Yi Kyeong-ryong and Yi Su-man in the reign of King Kojong (1863-1907), but later they became court musicians at the Royal Music Institute (Jangagwon, 掌樂院). In other words, court musician Yi Heung-mun played such instruments as pyeonjong (編鍾, bell-chimes), pyeongyeong (編磬, stone-chimes), and banghyang (方響, iron slabs), whereas court musicians Ham Sun-gil was piri (觱篥, cylindrical oboe) and changgu (杖鼓, hourglass drum) player. Court musician Yi Kyeong-ryong was a hyeon-geum (玄琴, six-stringed zither) player, while Yi Su-man, a haegeum (奚琴, two-stringed fiddle) player at court banquets. This facts show us a new aspect of boy dancers tradition in the Jose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