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公論』 소재 문학적 텍스트에 관한 연구 : 재조 일본인 및 조선인 작가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송미정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인이 발간한 일본어 잡지「조선공론」은 일제의 식민지 지배의 정당성과 재조 일본인 형성 및 그들의 조선 표상 등을 총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잡지는 초대 사장 마키야마 고조에 의해 1913년 4월 창간된 이래 1944년 11월까지 식민지 시기 전반에 걸쳐 발행되었다. 「朝鮮公論」에는 일본인 정치 및 재계 필자들의 논설과 조선인 필자의 글이 함께 게재되었다. 또한 작품 수는 적지만 지배자인 재조 일본인의 문학과 동일한 공간에 조선인 작가의 일본어 작품이 자리하고 있다.「朝鮮公論」은 타자인 조선을 끌어안는 방식으로 조선인의 작품을 싣고 있으며, 또한 조선인 작가의 자발적인 일본어 창작물 게재를 허용하면서 동화 정책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즉,「朝鮮公論」은 식민자의 글과 피식민자의 글이 공존하는 제국주의와 식민지의 접점이었다. 그러나「朝鮮公論」의 연구가 그간 소홀히 다루어졌다는 점에서 본고는 잡지 창간과 편집 방향을 검토하는 일부터 시작하였다. 또한 재조 일본인 및 조선인 작가의 소설이 총독부의 시책과 정세를 논한 사설과는 달리 소재 및 주제의 다양화로 작가의 개성을 살리고 있다는 점과 조선인 작가의 작품 수록의 의미를 주목하였다. 식민 통치 초기부터 재조 일본인 문단이 형성됐지만 그들은 작품을 발표할 지면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 일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노골적인 시책 전달보다는 재조 일본인 각계의 여론 형성과 조선인 독자까지 포용하기 위한 방책으로 종합잡지를 선택한다. 그 결과 1908년 월간「朝鮮」을 시작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 방면을 골고루 다룬 기사를 제공하고 독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특히 일제 통치 기 최장수 종합잡지「朝鮮公論」은 조선에서의 안정적인 장기 출판으로 이러한 시스템을 가장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노하우를 축적해갔다. 사장 마키야마 고조를 비롯하여 총 31년 8개월간 잡지를 이끈 5명의 사장 가운데 제3대 사장인 조선인 김사연을 제외하고 모두 정통 언론인 출신이었다. 이들은 제국 언론의 파수꾼으로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으며 김사연 사장 또한 친일 성향 인물로「朝鮮公論」을 1933년부터 1935년까지 맡게 된다. 피지배자의 신분인 그를 발탁한 일은 획기적인 것이었고 본격적인 전쟁 돌입에 앞서 조선인 독자를 의식한 편집국과 총독부의 결단이 있었던 것 같다. 이 때 조선인 필자들의 참여가 늘긴 하지만 식민 정책 옹호의 글이 대부분으로 일본인 사장 때와 달라진 것은 없었다. 「朝鮮公論」상층부에서 정재계 관료의 정책 옹호의 글이 형성됐다면, 문예물 부분에서는 형성된 재조 일본인 문단은 다양한 시각에서 조선을 바라보고 자신들의 생활을 현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지배자의 우월감을 드러낸 작품과 타국에서의 불안감을 느끼는 작품이 나란히 있거나 식민지 통치 말기의 정치 성향을 띤 글과 조선인 작가의 작품이 섞여 있었다. 식민 이데올로기의 실현이 목적이었던「朝鮮公論」은 재조 일본인 작가 자신들에 의해 지배자의 권위가 깨지는 균열을 맞이한다. 조선에 사는 거주자의 시선으로 조선과 조선인을 바라보는 일본인은 이미 자신이 누구인지 정체성의 방향을 잊어버리기도 한다. 이 순간「조선공론」은 탈식민주의의 공간으로서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총독부의 식민지 경영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기사를 주로 실어야 한다는 목적에 반하고 만다. 조선에서 글을 쓰며 살아가는 문인들도 조선과 조선인을 일개 식민지의 열등한 타자로 인식하기도 하고, 혹은 낯선 타향 조선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의 분열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은 이들의 글이 어느 정도 수위를 지키고 있으며「朝鮮公論」의 기조를 흔들만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가령 일본인 작가의 작품이 다양한 소재와 내용을 다루지만 시국색이 강한 작품과 만주 관련 작품을 그 중심에 두고 있다. 더구나「朝鮮公論」은 조선인 작가의 일본어 창작을 싣는 것으로 조선인 독자의 관심을 끌고 한편으로 일본 및 재조 일본인 독자의 흥미를 자아내고 있다. 「朝鮮公論」에 실린 조선인의 일본어 창작은 이수창의 「어리석은 고백」을 시작으로 산문 6편, 시 1편이 실린다. 작품 수만 보면 조선인 작가의 참여가 부진한 것처럼 보이지만, 조선에서의 일본어 창작이 1930대말부터 본격화되는 사실에 비춰보면 오히려 일본어 지면에 조선인의 일본어 창작이 이처럼 일찍 실린 것은 뜻밖의 현상이다. 특히「어리석은 고백」은 일본에서 발표된 이광수의 일본어 소설「사랑인가」(1909)에 비하면 많은 시간이 흘렀으나 지금까지 밝혀진 조선 최초의 일본어 소설이다. 또한 한재희의「아사코의 죽음」도 조선인 작가들이 내선연애를 본격적으로 다룬 1930년 후반보다 10여년 앞서 이미 소재화했으며, 윤백남의「파경부합」또한 다작과 장편 위주의 집필을 하는 그의 유일한 일본어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재조 일본인 작가들은 식민지 조선의 타자로 존재하면서 조선인과 의식적으로 거리를 두기도 했다. 또한 제국의 정책과 전시체제에 순응하면서 거기에 순응하는 내용을 집필하기도 하였다. 반면 식민지 조선에서 표류하는 가난한 이주자들의 고통과 앞날을 예견할 수 없는 불안한 이국 생활, 그리고 조선어와 조선인에 대한 필연적인 만남 등을 작품에서 그려냈다. 즉,「조선공론」은 재조 일본인 작가의 작품과 조선인 작가의 작품이 한 자리에서 조우하는 공간으로 존재하였던 것이다. The Japanese Managine, "ChosunGongron", represents the whole symbolic image of colonial times in Chosun dynasty. This magazine was published in April, 1913 by Makiyama and lasted over 30 years. We may found dissertations written by both Japanese and Korean in this magazine. Although there are only few Korean literary works but still are placed with Japanese’works. "ChosunGongron" is the interface between the imperialism and colony which is coexisting literary works of both Dominator and non-dominator. "Chosungongron" is important historically but it was treated carelessly. Therefore, I’d like to examine the compilation and launch of this magazine to focus on the meaning of literary works collection by Korean writers. It was hard to secure the pages for Korean written art works even there literary circle was founded from the early colonial times. The empire of Japan once publish magazine on its own to control the press thru the Chosun vieregal, but they finally chose general magazine to build up media and tolerate Korean readers. As a result, the monthly magazine "Chosun" was founded in 1908, starting with this magazine; the article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ics, art, were provided and lead the participation of readers. Especially, "ChosunGongron"is the long-lasting general magazine and it accumulates the operational know-how for running the system. There were total of five presidents of this magazine for last 31years and 8 months including Makiyama, the founder, all of them only except for the 3rd Korean president, Mr. Kim Sayeon were journalist. Mr. Kim Sayeon was also a part of pro-Japanese member, and he was in charge of "ChosunGongron"from 1933 to 1935. It is epochal event that to pick up Mr. Kim as a presiden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even more Korean writers were participated during the time. If there were articles supporting government policy in upper-level part of "ChosunGongron", Japanese literary circles in Koreadescribed the real life of themselves in various points of view. There were artworks showing superiority of dominators and works which can feel insecurity in foreign country at the same time. There were also mixed with artworks by Korean writers and political literacy in late colonial period. "Chosungongron" face crack by Japanese Writers who are living in Korea, which was originally purpose for ideology actualization Japanese, who live in Korea, sometimes forget his identity because he sees Korean as Korean resident. The literary men in Korea recognize Koreaand Korean as just inferior typewriter of colony or experience crack of their own identity in foreign country. One thing that we need to remember is that their work pieces are keep its levels so that the keynote of "ChosunGongron"is never shake down. For example, the art work by Japanese writer deal with diverse subject and themes but political artworks and Manchu related artworks are standing in the middle. Japanese articles written by Korean writers attract Korean readers as well as Japanese readers who live in Korea. This is the part that the Koreanwriters should take theconsequences with hoping to be a part of the member of the empire using their language. "Foolish Confession" by Lee SuChang is the first Japanese article written by Korean in "ChosunGongron". There are total of 6 prose writings and 1 poem in the magazine. We don’t see active participation when we only count the number of artworks. But it is such a unexpected situation considering the actual times of Japanese artworks in Korea in late 1930s. "Foolish Confession" is the first Japanese Novel in Korea although there is "Is this Love?" by Lee Kwangsoo released in 1909. "Death of Asako" by Han JaeHee was published in 1926. It was before the time that dealing with the roma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atching Broken Mirror" by Yoon Baeknam is also his unusual short story among his most of novels. Japanese writers in Korea consciously give a distance to Korean, existing as outsider in colonial times. Besides, they wrote about their adoptability to policy of the Empire. On the other side, they also described the unstable life of poor immigrants, and fateful encounter with Korean and Korean language In other words, "ChosunGongron" was the meeting space for both art

      •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발명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

        송미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서울·인천·경기 소재 초·중·고등학교 발명교사 중 10명을 대상으로 발명교육의 실천적 지식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10명은 비록 다양한 학교급과 지역에서 근무하지만 공통적으로 발명교육 3년 이상 경력자이며 전국학생발명품경진대회 지도학생 전국대회 수상경험이 있다. 면담 결과는 전사하여 Elbaz(1981, 1983) 실천적 지식 내용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발명교육 전문가 2인과 함께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발명교사의 실천적 지식 여섯 가지 내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발명교사는 가르칠 내용에 대한 지식으로 ‘발명과 사고’, ‘발명과 과학’, ‘발명과 기술’, ‘발명과 특허’ 네 가지의 발명내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사고가 발명교육 전 과정에서 필요하고, 원리탐색 및 실험설계과정에서 과학적 요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작동원리 설계와 아이디어 구현과정에서 기술적 요소가 사용되며 지식재산권 개념과 특허 관련 내용이 지도과정에 포함되었다. 두 번째, 학생에 대한 실천적 지식으로 학생과의 관계형성을 통한 학생의 역할부여에 관한 내용을 형성하였다. 즉, 체험과 토론을 통한 학생 주도적인 문제해결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학생에게 역할을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 스스로 역량을 기르도록 하며 긍정적인 예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째, 발명교사들은 학생들의 발명활동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과정 중심의 발명교육방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다. 기록, 실태조사, 변인에 따른 실험수행을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학생이 문제해결과정을 경험하며, 그 결과 꾸준한 아이디어 수정과 장기간의 문제해결을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경제, 사회, 문화적 발명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로 예산, 실습환경, 인간관계 세 가지 측면에서 발명교육현장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다. 발명교사들이 발명교육 현장에서 경험한 발명교육 시 어려운 점으로 예산문제와 실습 환경을 꼽았다. 그리고 학부모, 관리자, 동료 교사의 관계에서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발명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데 관련된 지식으로 발명교사들은 발명교육의 특징을 비롯한 범교과적 특징이 있는 발명교육프로그램을 구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교사들의 실천예시와 발명프로그램 분석을 통하여 발명프로그램의 범교과적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여섯 번째, 발명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대해서 발명교사 자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발명교사의 자질은 발명소양과 발명안목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하며, 발명교사의 역할은 학생의 변화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교사의 자질형성 방법과 역할 수행의 예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발명교사들의 다양한 발명교육현장에서 발명교사의 공통된 경험을 분석할 수 있었다. 둘째, 발명교사들의 다양하고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발명교사의 여섯 가지 실천적 지식과 그 특징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발명교육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발명교사의 경험을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발명교사의 경험이 개인적인 동시에 발명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발명교사들의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의미가 있도록 하기 위해 발명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내용이 반영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정다면체의 대칭군에 관한 연구

        송미정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We studied how one defines the symmetry group of a polyhedron and how to find symmetry groups of the five regular polyhedra(tetrahedron, hexahedron, octahedron, dodecahedron and icosahedron). We show explicitly that orientation-preserving symmetry group of a regular polyhedron can be generated by two elements satisfying some relations and that each element of the symmetry group corresponds to a rotation around some axis.

      • 공공기관 종사자의 실천학습공동체(CoP)활동이 사회적 자본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송미정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at have been introduced in public affairs on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achievements for the survive of organizations and the raise of competitive power in rapid changing societ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 of the level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xamine the issues practically, team leaders and members who participated in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mong employees at agencies under A Office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a sample group. 280 questionnaires with 66 questions were distributed and 24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inally, 223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s valid samples except some questionnaires that had lack of trust and difficulties to deal with. Window SPSS 12.0, a statistic program was used to process data and trust and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embers at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t- test and post-hoc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thleticism and differential analysis were conducted and correlation analysi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social capital, and systemic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een below; First, the activity level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for employees at public institutions with regard to gender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little bit higher in men than wome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activity level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with regard to ages were higher in 30's and 50's, 20's showed the lowest level in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No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statistically. 7 grade employees showed the lowest participation in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while 5 grades showed active participation in intellectual, justice, and social realms with regard to their status. With regard to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ees who had more than master's degree showed the most active participation in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in intellectual, justice, and social realms while a group of people who graduated from 4- year college showed the lowest participation. Statistically, a significant result with 5 % was observed only in social realm. With regard to the tenure of office, employees who had short work experiences from 1 to 5 years showed the highest average in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in intellectual, justice, and social realms and a group of employees with 11 to 15 year work experience showed the lowest ave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With regard to positions at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 team leader showed higher participation rates in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than other team members. Especially, differences in intellectual and justice realm between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were observed in the average of participation and it is a significant result with 5% level. Second, considering the influences of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on social capital, every variabl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1% level and social realm is followed by intellectual realm and justice realm. As a result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realm was a key factor that had an influence on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was greatly influenced by network, and social realm had a great influence on value share. Third, according to the influences of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on organizational achievement, social realm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as followed by social capital and social realm.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social capital on systemicity and the whole, trust was the most leading factor that has a positive correlation as followed by friendly standards, value share, network, and participation of citize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ortant issues in the operation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by employees at public institutions were noticed. In order to do that, the conclusions are shown below; First, as collecting the results of fundamental statistic analysis, male employees in 50's and team leaders who had 5 grade status and had more than master's degrees showed the high participation rate in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On the other hand, female employees in 20's who had 7 grade status, graduated from 4 year college, and had 11 to 15 years work experiences showed the lowest participation rate. The problem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way to increase the involuntary participation rate in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for employees at public institutions. Eventually, it is necessary to involve and support on organizational matters with team leaders who showed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are in 50's, have 5 grade status, have more than 16 years work experiences. It coincides with trust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achievement. It team leaders' behavior has influences on the member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nd increases the trust toward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it means that organizational achievement increases. Based on that, clear and active strategies to increase organizational achievement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for employees at public institutions.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 조직의 생존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공공부문에서 최근 도입하고 있는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이 사회적 자본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한다. 또한 개인적 특성에 따른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정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실천학습공동체가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표본 집단은 A 교육청 직속기관 종사자 중 실천학습공동체를 활동하고 있는 팀장 및 팀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66문항의 280부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240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부분적인 반응을 보인 것, 응답의 신뢰성이 결여된 것, 기타 처리하기에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최종 유효 표본은 203부로 약 73% 회수율을 보였다. 연구방법은 자료처리를 위해 Window SPSS 12.0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천학습공동체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활동성과 차이분석을 위해 Mann-Whitney와 Kruskal-Wallis 검정 등 비모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천학습공동체 활동, 사회적 자본, 조직성과의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정준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 교육청 실천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의 성별, 연령, 직급, 교육수준, 재직기간, 실천학습공동체 내 위치 등 개인별 특성에 따라 실천학습공동체 활동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천학습공동체 내 위치에 의해서만 실천학습공동체 활동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팀장이 전반적으로 팀원들에 비해 높은 참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적인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서 팀장이 팀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참여도를 보였다. 둘째,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의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은 사회적 자본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의 활동에 적극적 일수록 네트워크, 가치공유, 시민활동 참여, 신뢰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공공기관 종사자의 실천학습공동체 활동과 조직성과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 등의 실천학습공동체 활동 변인이 조직성과 변인 중 특히 직무성과와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자본과 조직성과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신뢰, 호혜적 규범, 시민활동 참여, 가치공유, 네트워크 등의 사회적 자본 변인이 직무프로세스와 직무성과, 조직문화 등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이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천학습공동체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자본에 의해 완전매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사회적 자본 형성을 통해 조직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학습실천공동체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호혜적 규범, 신뢰, 시민활동 참여를 완전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힌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 단체급식 조리종사자의 근무환경과 심리적 소진, 조직 유효성, 장기근속간의 영향관계연구 

        송미정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단체급식 조리종사자의 근무환경 중 주방환경이 조리종사자들의 심리적소진과 조직유효성 그리고 장기근속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단체급식을 경영하는 경영자와 인사담당자들에게 효율적인 조직관리 방안 및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 하고자 한다. 또한 조리에 입문하려는 종사자가 인지하는 근무환경에 대한 처우 개선점을 파악하여 직업선택에 대한 생계형 보다는 자부심으로서의 직업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근무환경의 요인인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봉사적 환경이 조직의 유효성과 장기근속에는 타당성 있는 요인분석이 나왔으나 심리적소진에는 부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검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중요성을 본 연구를 통해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흔적을 새기다 : 쌓기(layering)와 새기기(carving)의 행위

        송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는 쌓고 새기기를 통한 흔적을 남기는 과정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살피기 위해 작품의 앞 뒤 맥락과 문화적 배경을 밝히고자 하는 시도이다. 작품의 방법적인 공통점에 주목한다면 ‘쌓기’와 ‘새기기’를 들 수 있다. ‘쌓기’는 인공적 색깔의 합성수지 수 십 겹을 신체를 이용해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서 접착시키는 과정이다. 이렇게 견고하게 쌓으며 접착한 평탄면을 조각도를 이용해서 새기게 된다. 쌓고 새기는 과정은 마치 누적되어 쌓인 연속적 시간의 틈으로 들어가서 발굴하듯 파헤치고 그 속에 가려진 층위를 드러낸다. 여기서 새긴다는 행위는 표면에 가려진 이면의 것, 즉 껍데기 안에 잠재된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재조명을 하는 과정이 된다. 또한 문화의 전반적 영역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디지털’에 저항의 의지로 흠집내기를 시도한 행위적인 은유이다. 작품이 담고 있는 내용적 측면의 앞 뒤 맥락을 살피는 과정은 현재 본인이 처한 문화적 배경을 살피는 것으로 시작된다. 현재의 문화는 ‘디지털 혁명’으로까지 불리는 디지털 과학기술의 지배적인 영향 하에 있다. 디지털이 가져다 준 문명적 이기는 이제 본인의 삶과 떨어져 생각 할 수 없을 정도로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의 방식이 본인의 삶의 방식과 갈등을 빚고 있는 지점이 있어 여기에 주목하게 되었다. 디지털 문화 속의 일루젼으로 가득찬 이미지의 범람 속에서 실존감을 인지하고자 하는 본성과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도에서 기인한 소외와 불안감은 본인으로 하여금 아날로그적인 실존의 흔적을 찾고자 하는 동기를 불러일으킨다. 디지털 문화는 본인에게 있어서 물처럼 스며들지 못하고, 물과 기름사이의 섞이지 않는 경계면을 대면하는 상황을 만든다. 이러한 본인의 상황을 발전적 방향으로 끌어가기 위해 디지털 문화와 아날로그 감성이 혼재된 현실을 ‘저항’의 눈으로 ‘거슬러’ 관찰한다. 또한 경계면이 갖는 속성상 어느 한쪽에만 소속되지 않는 정체성을 지닌 채 긍정하면서도 부정하며, 추구하면서도 외면하는 ‘갈망과 환멸’의 역설적 태도를 갖게 된다. 그래서 작품의 내용적인 측면은 디지털 문화 속에 범람하는 이미지의 백태를 다루면서도 방법적인 측면은 신체적 ‘몰입과 반복’, ‘쌓기’와 ‘새기기’와 같은 지극히 아날로그적인 방식을 추구하게 된다. 본인이 아날로그적인 방식을 통해 내재된 감성을 표출해 보려는 작품에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익숙히 접하던 형상과 색이 등장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무한의 경쟁사회에서 거대한 권력으로 군림하는 디지털로 인한 막연한 경외와 좌절 속에서 발생한 강박관념과 만나면서 온전치 못한 이미지로 변화한다. 본인은 ‘디지털’의 ‘풍요로움’과 ‘빈곤함’ 속에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실존감을 획득하고 내적갈등을 해소하면서 행복한 삶을 돕는 방법으로써 아날로그적인 작업 방식을 선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진정한 행복이란 만능으로 여겨지는 ‘디지털 방식’에서 오는 것도 아니며, 또 ‘아날로그 방식’에서 오는 것도 아니다. 다만 본인의 삶과 조우하는 가운데 어려움 앞에서 스스로를 조율하는 ‘마음의 방식’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본 논문의 제목이기도한 ‘흔적을 새기다’라는 작업과정은 마음의 방식을 찾아가는 데 유효한 계기를 만들어 준다. Layering and carving have been the subjects of my works, through which I leave traces of my proces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ain the context of my work in connection with my cultural background. Layering is a process of gluing together and pressing numerous plastic layers of different color. An engraving knife is then used to carve this hardened surface. This process of layering and carving is the same as digging into cumulated layers of time to disclose the hidden layer. Here carving is process of re-illuminating the unseen things covered by the surface. This process can also be considered a metaphorical performance of resisting the overwhelming modern trend(Digital culture) and expressing an exception to this modern culture. The process is begun by studying the subject matter in association with observations of the cultural background in which I am. Current culture is under the influence of a revolutionary modern technology from which I cannot separate my being and daily life. This digital way however, conflicts with my life style in some points. Observing human nature struggling to recognize its being amid an inundation of modern images and alienated anxiety motivates me to look for vestiges of the traditional way. I fail to assimilate myself to the modern world just like water does not mix with oil. Try as I may to improve the situation I observe retrospectively with my resisting eyes the reality that the digital culture and analogsensibility mingle together. My identity is unbiased by affirming and negating while standing on the border-line trying to pursue and avert. I cannot help but assume a contradictory attitude of carving and frustration. Consequently, my works deal with various images flooding digital culture. But my method of layering and carving follows an analog manner. I try to express my intrinsic sensitivity in my works by analog methods. In these works appear familiar forms and colors with which we occasionally encounter in digital culture. This culture is dominating our society with boundless competition, creating vague awe and frustrtion. The images of my works encounter an obsession generated out of this vague awe and frustration, transforming into wrong images. I strive hard to acquire a sense of existence and a way of solving my internal conflicts by being unbiased between affluence and poverty in the Digital. Considering it as the way to lead a happy life, I have decided to choose the analog method in achieving my artistic works. However, genuine happiness come neither from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technology nor the analog method. It is only important to try to adapt myself to the difficulties I encounter during the process of my life, which I would consider a mental solution. the major premise, ..Carving Vestiges.., the title of this dissertation will provide an effective momentum to look into this mental s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