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후소회(後素會)의 일제강점기 활동

        송미숙(Song Mi-Suk)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4 No.-

        후소회는 일제 강점기였던 1936년 창립한 국내 최초의 채색화 그룹이다. 또한 2015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최장수 회화 그룹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후소회의 결성과 일제 강점기의 활동에 관해‘후소회전시회(이하 후소회전)’와 ‘조선미술전람회(이하 조선미전)’에 출품한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한 글이다. 후소회의 스승이었던 김은호는 그림이 회화보다는 서화로 인식되던 1912년, 초상화가로 등단했다. 그는 전통 채색기법에 서양화의 사실적 사생과 명암, 그리고 화려하고 세밀한 일본화를 수용하여 한국 채색화의 근대화를 연 화가였다. ‘서화협회’ 활동과 ‘조선미전’, ‘일본제국미술전람회’ 입상 등으로 화단에서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그의 화실이었던 낙청헌에 청년 화가 지망생들이 모여들었다. 1936년 마침내 그의 문하생들은 후소회라는 동문모임을 결성하기에 이른다. 창립 회원은 백윤문, 김기창, 장우성, 한유동, 조중현, 장운봉, 이유태 등이다. 후소회원들은 후소회전과 조선미전 등에 작품을 발표하며 채색화단의 신진세력을 형성하게 된다. 동문전인 후소회전은 해방 전까지 6회, 해방 이후에는 2015년까지 총 44회의 전시를 열었고, 조선미전에는 후소회 창립 이전부터 해방 이전인 1944년까지 참여하였다. 후소회전은 회원들이 실험적인 작품을 출품했던 전시였다. 조선미전에 비해 자율성이 보장됐던 동인전에 채색화의 다양한 시도를 감행하여 작품을 출품하였는데 이것은 해방 후 수묵이나 추상화로 전향했던 회원들의 다양한 작품 성향에 바탕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내 유일의 관전이었던 조선미전 참여는 후소회원들이 평가를 받기위한 무대였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일본인 화가들이 주류를 이루었던 조선미전에서 후소회원들의 성과는 주목할 만하다. 비록 현실의식과 회화기법의 미숙함으로 일본화의 소재 및 내용이나 양식상의 친연성이 보이는 경향도 있으나 1940년대 들어오면서 단일시점에 의한 투시원근법을 적용하여 사실묘사에 주력하였고, 맑은 색채의 사용으로 일본적인 색채와 거리를 두며 개별성을 주었다. 특히 김기창, 장우성, 이유태 등은 모두 여성인물화로 조선미전에서 두각을 나타낸 회원들로 같은 명제에 미묘한 차이점을 보이며 변화하였다. 그들이 각자의 방법으로 인물의 특징을 살리면서도 동작을 자연스럽고 사실적으로 묘사를 하는 등의 새로운 인물화를 창출하려 모색했던 것이다. 창립이후 후소회는 동양화에서 우위에 있었던 수묵화단과 균형적인 발전을 이루며 채색화단을 이끌었다. 특히 일제강점기 후소회의 전람회 활동으로 일부 평론가들이 채색화의 확장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낼 정도로, 일본화가들이 기득권을 가졌던 채색화 부분에 국내인들의 범주가 넓어진 것은 의미있는 성과로 볼 수 있다.

      • 김은호 고사·도석인물화의 제작 양상

        송미숙(Song Mi-suk)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5 No.-

        이 논문은 근대채색화가인 김은호(金殷鎬1892~1979)의 고사·도석인물화 제작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김은호는 일제강점기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성장한 작가이다. 그는 조선미전에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출품하였지만 고사·도석인물화는 1937년 제16회 <선니문례(宣尼問禮)>가 유일할 정도로 관전용 화목은 아니었다. 관전에 출품하지 않은 비주류 화목인데도 불구하고 현재 다수의 작품이 남아 있는 이유는 일반 주문에 의한 제작이 많았음을 말해준다. 즉 김은호의 고사·도석인물화 수요층이 두터웠던 것과 관련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김은호의 고사·도석인물화 양상을 주문자에 따라 왕실과 일반 주문자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그러나 주문자에 따라 양식상의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고사·도석인물화의 주제와 내용이 전통적인 도상으로 정형화되어 있는 장르인 데서 기인한다. 양식상의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는 것에 비해 화격상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왕실 수요의 작품이나 관전 출품용 작품이 일반 주문에 비해 표현이 섬세하고 채색을 가미한 점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일반 주문자의 경우에도 주문자의 주체에 따라 작품별 화격이 달랐다. 화격의 양상은 양식상의 변별력보다는 작품 크기와 구성, 디테일 등 완성도 면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상업 논리에 따른 것으로, 김은호가 직업화가와 같은 태도도 작품을 제작했음을 시사한다. 고사·도석인물화는 해방 이후에는 점차 쇠퇴화 되어 제작되지 않는 화목이다. 그러나 김은호는 말년까지 꾸준히 고사·도석인물화를 제작하며 김은호 인물화의 특징인 섬세하고 깔끔한 화면구성과 정교한 기량을 한껏 보여 주었다. 비록 그의 고사·도석인물화가 창의성과 개성이 미흡하다는 한계성을 지적받고는 있지만 전통적 회화 장르를 현대에 전승했다는 측면에서 미술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수요자들이 요구하는 전통적 방식에 부응할 수 있었던 유일한 작가였음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gosainmulhwa(故事人物畵; paintings of stories involving famous historical figures) and doseokinmulhwa(道釋人物畵; paintings of Taoist immortals or eminent Buddhist monks) of Korean artist Kim Eun-ho (金殷鎬, 1892-1979). As is widely known, Kim developed as an artist through Chosen Fine Arts Exhibition during Korea’s period of colonial occupation by Japan. He submitted works of various genres to the exhibition, but gosa and doseokinmulhwa did not feature prominently among these – in fact Seonnimullye(宣尼問禮), submitted to the 16th exhibition in 1937, is the only such example. Although this was a non-mainstream category of painting and hardly ever submitted to the official exhibitions that represented Kim’s work, many examples of it survive. These were painted on commission, indicating that Kim probably enjoyed healthy demand for his gosa and doseok inmulhwa. The subjects of Kim Eun-ho’s gosa and doseok inmulhwa were somewhat diverse, including Taoist immortals, well-known figures such as Tao Yuanming and LiBai; literary content such as Rhapsody on the Red Cliff (赤壁賦) and Rhapsody on the Sounds of Autumn (秋聲賦); and historical content such as Liu Bei’s three visits to Zhuge Liang. Kim’s gosa and doseokinmulhwa show subtle, neat compositions and exquisite skill. Kim’s gosa and doseok inmulhwa are almost all the same in terms of style. However, it appears clear that those painted for royalty or government exhibitions are more delicately expressed than regular commissioned works. Moreover, works commissioned by regular clients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the client. These differences are apparent more in terms of size of work, composition and quality of detail than in terms of painting style, suggesting that Kim was a thoroughly professional painter. I judge that these differences between works was caused by their production according to the requests and demands of clients, which strongly influenced the quality of the works. Kim’s gosa and doseok inmulhwa are almost all the same in terms of style. However, it appears clear that those painted for royalty or government exhibitions are more delicately expressed than regular commissioned works. Moreover, works commissioned by regular clients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the client. These differences are apparent more in terms of size of work, composition and quality of detail than in terms of painting style, suggesting that Kim was a thoroughly professional painter. I judge that these differences between works was caused by their production according to the requests and demands of clients, which strongly influenced the quality of the works. Gosa and doseok inmulhwa, a popular genre from the Joseon period onwards, were widely produced.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however, it can be said that only Kim Eun-ho and his student, Kim Gi-chang, painted such works. The reason Kim Eun-ho was able to produce so many works until his death in 1979 was that, as an artist, he constituted a link between modernity and contemporaneity. Some criticize his gosa and doseok inmulhwa for lacking in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but Kim nonetheless played a leading role in modernizing traditional painting. It is also undeniable that he was unique in his capacity to meet clients’ demands for traditional works.

      • 남녀 초등학생의 분노표현 유형

        송미숙(Song Mi Suk),이병숙(Lee Byoung Sook)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7 계명간호과학 Vol.21 No.2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types of anger expression in male and female elementary students. Methods: Q methodology was applied in the study. Thirty four Q samples for categorizing the types of anger expression were listed up with in-depth interview, and literature review. P samples of this study were 30 male and 30 female students in their fifth grade in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buk-do.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C-QUANL program and main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Q factor analysis. Results: Four types of anger expression that include passive-emotional, rational problem-solving, active-actional, and support pursuing expression were identified in male elementary students. For female elementary students, four types of anger expression were identified such as passive-suppressive, rational-suppressive, indirect-emotional and emotional-aggressive expression. Conclusion: The types of anger expression in both male and female elementary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 were types to express anger passively and to control it properly and showed positive and negative strategies of anger expression. Therefore, anger regul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elementary students is highly recommended.

      • 남녀 초등학생의 분노표현 유형

        송미숙(Song Mi Suk),이병숙(Lee Byoung Sook)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6 계명간호과학 Vol.20 No.2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types of anger expression in boy and girl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Methods: Q methodology was applied for the study. Thirty four Q samples for categorizing the types of anger expression were listed up with in-depth interview, and literature review. P samples of this study were 30 boy and 30 girl students in the fifth grade of one elementary school in Gyeongsangbuk-do.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C-QUANL program and main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Q factor analysis. Results: Four types of anger expression such as passive-emotional, rational problem-solving, active-actional, and support pursuing expression were identified in boy students. And four types of anger expression such as passive-suppressive, rational-suppressive, indirect-emotional and emotional-aggressive expression were identified in girl students. Conclusion: The types of anger expression in both boy and gir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respectively. In both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there were types to express anger passively and to control it properly. And both boy and girl students showed positive and negative strategies of anger expression together. Therefore, anger regul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which is suitable for each type is recommended.

      • KCI등재

        춘향 이미지 융합 교육 내용 연구 - 문학과 미술에 표현된 춘향을 중심으로 -

        서명희 ( Seo Myeong-hee ),송미숙 ( Song Mi-su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3

        이미지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은 학습자들이 시대에 대처하는 이해와 표현의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정전 반열의 문학작품 속 이미지는 사회, 문화적인 시대성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춘향은 한국인들이 모두 알고 있는 고전문학 작품의 등장인물이면서 시기별, 상황별로 다양하게 재생산되고 재향유되며 풍부한 생산성을 보여주는 문화콘텐츠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춘향전>과 <춘향상>에 표현된 춘향 이미지를 분석하여 <춘향전> 이본들과 <춘향상> 도상이 춘향에 대한 이미지를 어떻게 표현하였는지, 그 이미지가 향유자들의 요구를 반영하면서 어떻게 변화했는지, 사회문화적 관계 속에서 그 중 어떤 특정한 이미지가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고착화되었는지를 탐색한다. 이러한 분석은 문학과 미술의 영역에서 표현되어 온 춘향의 이미지에 대한 이해 교육의 내용이 된다. 문학과 미술의 융합 교육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학과 미술 영역 양쪽에서 형성되어 온 춘향 이미지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면서 각각의 특성과 영향 관계를 고려하며 깊이 있게 춘향 이미지를 이해하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표현교육은 문학과 미술을 넘나드는 표현을 통해 언어적, 시각적 표현에서의 창의성 발현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콘텐츠 개발의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이끌것이다. It is a time when images are more important than ever. Education should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mselves to cope with the times. The image of a person in a major literary work that most Koreans know has a cultural meaning. Chunhyang is a character in classical literature that all Koreans know. And Chunhyang is a cultural content that shows abundant productivity as it is reproduced and enjoyed in various way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images of Chunhyang that appeared in Chunhyangjeon and Chunhyangsang. Researchers investigated how the image of Chunhyang is expressed and changed in various works. This analysis is the content of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mage of Chunhyang that has been expressed in literature and art. Convergenc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art allows learners to understand the image of Chunhyang in an integrated wa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each, and understanding the image of Chunhyang more deeply. In addition, expression education based on this will enable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in linguistic and visual expressions through expressions that cross literature and art, leading to the abilit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 KCI등재

        Ultrastructural Antigenic Localization in the Tissues of Echinostoma hortense Observed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Yoon-Kyung Jo(조윤경),Yong-Suk Ryang(양용석),Kyu-Je Lee(이규재),Insik Kim(김인식),Jang-Keun Ryu(류장근),Mi-Sook Song(송미숙) 대한의생명과학회 1999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5 No.2

        호르텐스극구흡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성충을 획득하여 고정, 포매 및 절편하여 조직항원 분포 부위를 관찰하였다.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항체는 호르텐스극구흡충 피낭유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채혈한 혈청과 호르텐스극구흡충 조항원을 면역증강제와 함께 흰쥐에게 근육 주사하여 채혈한 혈청을 이용하였으며, 이 혈청을 반응시켜서 호르텐스극구흡충 조직 내의 항원성 분포를 규명하였다. 한편, 면역황금표식법에 의한 미세조직의 항원성 반응 여부는 조직에 표지된 황금입자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충체 조직에서 황금입자와 강하게 반응하는 미세조직은 표피층의 표지합포체, 난황세포의 구성물질, 유연조직의 분비과립 그리고 배설낭의 구성물질 등에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항원은 생식세포와 소화분비 및 소화관계통에서 분비 유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olved applying rat sera (control, infected and immunized) to adult worm tissue in order to measure the antigenic response. A serum was obtained from rats infected with E. hortense metacercaria for 4 weeks. Another immunized serum was taken from rats given a muscle injection with crude adult worm antigen. The detection of antigenic response in E. hortense tissue was made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and measured through gold particles impregnated in the tissue. The antigenic sites, those with the highest density of gold particles, were the tegmental syncytium, vitelline cells, seminal receptacle and cec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