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nglish Voicing Assimilation in Affixed Forms

        송미선 ( Mi Sun Song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07 언어와 정보 사회 Vol.8 No.-

        English voicing assimilation occurs in affixed forms. There are two kinds of assimilations: progressive and regressive assimilation. We can observe regular affixes in progressive assimilation while irregular affixes in regressive assimilation. This paper proposes a local conjunction and domain-specific constraints, distinguishing word level from root level. Also I consider whether the same constraints and the ranking hierarchy can account for the unassimilated forms such as derived forms and compound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 및 교사전문성 인식과 행복감과의 관계

        송미선 ( Song Mi S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 교사전문성 인식, 행복감을 측정하고 교직적성 및 교사전문성 인식과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2, 3년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217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직적성, 교사전문성 인식, 행복감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 및 교사전문성 인식은 행복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직적성이 교사전문성 인식보다 행복감에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직적성 요인 중에서는 창의성과 자기개발, 긍정적 정서가, 그리고 교사전문성 인식 요인 중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봉사기능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aptitud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and happiness, and the impact of teacher aptitude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n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The subjec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eacher aptitud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and happi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ir teacher aptitud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and happiness as `above average` in general. Second,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aptitude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and happiness. Moreover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eacher aptitude factors, `creativity and personal development` and `positive emotion` were influential variables on happines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factors, `socio economic status` and `community service function` were influential variables on happiness.

      • KCI우수등재

        또래갈등상황에서의 유아의 전략 , 사회적 행동특성 , 그리고 또래수용도와의 관계

        송미선(Mi Sun Song)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학회지 Vol.22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among children`s strategies in peer conflict situations, social behavior and children`s peer acceptance. Eighty-seven kindergarteners were asked about their strategies in response to 8 hypothetical peer conflict situations. Classroom teachers completed the social behavior rating scale to evaluate children`s behavioral characteristics. Children`s peer acceptance was measured by peer acceptance rating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peer conflicts and their social behavior correlated with peer acceptance, although the linkages were different for boys and girls. Furthermore, children`s strategies correlated with their social behavior.

      • KCI등재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유아 정서지능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송미선 ( Mi Sun S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아 정서지능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문의 분석대상은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및 등재후보지에 수록된 유아 정서지능 관련 논문 123편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정서지능 관련 논문의 수는 2003년 이후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연구주제는 유아 정서지능 관련 변인 연구, 교육 활동을 통한 정서지능의 효과, 정서지능의 측정, 정서지능의 의미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고자 하위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정서지능 관련 변인’ 연구에서는 정서지능과 유아변인과의 관계를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활동을 통한 정서지능의 효과’ 연구에서는 표현생활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정서지능 관련 논문의 연구유형은 상관연구가, 자료수집 방법은 검사를 활용한 연구가, 그리고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차이 검증을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earch trend i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papers in Korean journals and mak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subject consisted of 123 papers in KCI and KCI-candidated journal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hemes in the papers were, in order of frequency, "research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variables", "effect analysi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educational activity", "measur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mean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while the number of the papers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3. Secondly, further analysis of the sub-themes of the papers shows that the papers dealing with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variables were mainly focused on young children`s variables, and it also show that effect analysi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educational activity was focused on expressive life area. Thirdly, the major research type was correlational research, the popular data collection method was tests, and the data analysis was mostly performed by difference verification.

      • KCI등재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송미선 ( Mi Sun Song ),서정숙 ( Jeong Sook Se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그림책 관련 논문의 연구경향을 탐색하고 앞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 논문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 및 등재 후보지 중 유아교육관련 학회에서 발행한 아홉 종류의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 277편이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 관련 논문의 수는 2001년부터 매우 급속히 증가한 가운데 연구내용은 교수방법의 개발 및 효과, 그림책 분석,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내용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고자 하위주제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그림책 분석 관련 논문은 문학적 요소, 장르/종류, 개별 작품에 대한 분석의 순으로 많았고, 유아반응 관련 논문은 특정 그림책에 대한 반응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수방법의 개발 및 효과 관련 논문은 언어, 인지, 사회성 발달과의 관련 순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었다. 셋째, 그림책 관련 논문의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연구대상은 유아가, 자료수집방법은 검사와 문헌수집이, 그리고 자료분석방법으로는 차이검증을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양한 변인에 따른 유아반응 연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영역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교수방법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earch trend in picturebook-related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nd mak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subject consisted of 277 papers in 9 KCI and KCI-candidate journals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ies dealing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The first finding is that the study themes in the papers were, in order of frequency,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and their effect analysis, the analyses of picturebooks, the responses of young children to picturebooks while the number of the papers has rapidly increased since the year of 2001. Secondly, the further analysis of the sub-themes of the papers shows that the papers dealing with the analyses of picturebooks were mainly focused on literary elements, genres/types and individual picturebook analysis in order of frequency and that the studies on the responses of young children to picturebooks, mostly on the specific picturebooks. It also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and their effect analysis researches were focused on language,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in order of frequency. Thirdly, the major research type was quantitative research,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was related to young children, the popular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tests and literature search, and the data analysis was mostly performed by difference verification.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two kinds of research are suggested: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picturebooks depending on various variables and teaching methods with life areas in kindergarten as the dependent variables.

      • KCI등재

        유아 미디어 교육방법에 관한 고찰

        송미선(Song Mi-Sun),박현주(Park Hyun-Jo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미디어 교육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아 미디어 교육의 방법과 구체적인 활동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미디어 교육은 진행되고 있는 교육과정과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탐구와 대화의 방법에 의해 실시되어야 하며 부모교육과 병행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시행해 볼 수 있는 미디어 교육 활동으로는 TV 시청 일기쓰기, TV 시청 규칙 만들기,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집단 토의하기, 광고 문해 교육하기, 가족 신문 만들기, 내가 직접 TV 동화 만들기, 언론사 견학하기, 방송국 역할놀이하기 등을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methods and detailed activities of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to facilitate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For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reviewed literatures related to the media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integrated with the current curriculum together. Second, the media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inquiry and conversation. Third, the media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with parent education. Media education activities, which can be applied to children in educational facilities and home, include 'Write a watching TV diary,' 'Make watching TV rules,' 'Perform a group discussion about program contents,' 'Educate advertisement literacy,' 'Make a family newspaper,' 'Make a TV fairy story myself,' 'Visit a company of expression,' and 'Performing a role-playing game for a broadcasting station.'

      • KCI등재

        유아의 개인적 지능 증진을 위한 협동적 문제해결 학습모형 적용 및 효과

        송미선(Song, Mi-Sun),유구종(Yoo, Ku-Jong),손혜숙(Shon, Hye-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유아의 개인적 지능 증진을 위한 협동적 문제해결 학습모형을 구안하여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개인적 지능 향상에 활용 가능한 체계적인 교수-학습활동 방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협동적 문제해결 학습을 적용하여 협동학습모형의 시안을 구성하고 시안에 대한 내용 적합성을 검토하고 분석 및 적용하여 최종 모형을 완성하였다. 본 학습모형의 효과 검증을 위해 만 5세 유아 20명씩 두 집단을 대상으로 16회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KC-MIDAS를 통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협동적 문제해결 학습모형은 유아의 개인적 지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집단별 상황을 살펴보면 협동적 문제해결 학습모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개인적 지능의 하위 요소별 자기인식 및 이해, 자기표현, 긍정적 자아관, 타인이해, 배려, 사회적 기술에서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협동적 문제해결 학습모형은 유아 개개인과 유아들 간, 교사․유아 간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은 물론 개인적 지능 증진을 돕는 활동으로서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apply a coope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for personal intelligence and verify its effect to provide a systemized teaching-learning activity plan that can be applied to improving young children"s personal intellig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relevant resources were derived from preceding studies based on the related theses and resources of Korea and abroad on coope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and applied to design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five-year-old children. Then,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two teachers with five or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ree Ph.D. students were asked to review and analyze the feasibility of coope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and apply it to complete the final model.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s learning model, it was applied to two groups of 20 five-year-old children in 16 sessions and KC-MIDAS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and analyze the trends. As a result,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impact on young children"s personal intelligence. Considering each group, the experiment group that engaged in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self-awareness and comprehension, self-expression, positive ego, understanding of others, consideration, and social skills in the sub-factors of personal intelligence. Therefore,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developed by this study may be applied to the field of education for positive social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and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each individual child"s personal intelligence.

      • KCI등재후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영어교육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송미선(Song, Mi-Sun),박현주(Park, Hyun-Joo),김정준(Kim, Jeong-Jo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인식을 다룬 국내 연구들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부터 2010년 까지 쓰여진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 인식과 관련된 논문 총 31편을 유아영어교육의 필요성, 교사, 교육방법, 효과, 현실적 문제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들은 유아기 영어교육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외국인 교사를 가장 선호하였고, 부모가 인식한 교육 목표는 영어에 대한 흥미, 발음과 어휘, 동기유발, 의사소통, 간단한 말하기, 듣기였으며, 교육내용은 간단한 말하기와 듣기, 회화, 발음 지도, 단어읽기라고 인식하였다. 교육방법으로는 이야기나누기, 노래, 손유희, 게임 등을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적절한 영어교육 시작 시기는 유아기로 인식하고 있었다. 조기 영어교육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 유발의 효과가 있다고 보았으며, 부모가 인식한 가장 큰 현실적인 문제점은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경제적인 문제였다. 이러한 결론은 조기 영어교육의 현실을 바로 보게 하고, 유아교육과 영어교육 전문가와 행정담당자들과의 의견조율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더해져야 할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search results on parents 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For that purpose, 31copies of research papers and Master thesis presented from 2000 to 2010, were analyzed by the necessity, teacher, method of education, effect and problem o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of parents approved of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y prefer to the foreigner as the English teacher. Parents perceived the interest on English, pronunciation and vocabulary, motivation, speaking and listening simple sentences as the object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y had recognition of simple speaking, listening, communication, phonics, and reading words as the educational contents. They appreciated circle time for topic, song, finger play, chant and game as a kind of desirable method. They thought early childhood before 5 years was the appropriate beginning time for English education. They perceived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s interest on English and motivation for learning. They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problem was the cost of education. These conclusions signified the current practical problem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al specialists and an administrator and development of teacher"s speciality.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송미선 ( Mi Sun Song ),김소양 ( So Yang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0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지각을 통해 측정하고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보육교사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정서지능의 정도는 보통 이상(5점 만점에 3.38)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타인정서인식, 자기정서인식, 자기동기화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교사연령, 경력, 그리고 결혼여부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는 보통 정도(5점 만점에 2.28)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업무관련, 원아들과의 활동, 경제적 안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가 지각한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정서지능 요인은 자기정서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job stress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2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perceive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s `over general`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recognizing emotions in others`, `knowing one`s emotion`, and `motivating oneself` among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and marriage stat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stress as `mediocre` in general, and they showed high perception about `work`,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and `economic safe` among sub-variables of job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In addition, it showe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knowing one`s emotion` was the most meaningful and influential variable on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행복감과 교직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분석

        송미선(Song, Mi-Su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행복감과 교직전문성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행복감이 교직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증진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전문 대학의 217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행복감, 교직전문성 인식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통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자기주도학습능력, 행복감, 교직전문성 인식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행복감은교직전문성 인식과 의미있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둘째,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습실행, 외적 행복, 학습평가가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인식 제고를 위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행복 증진을 위한 효율적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happi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 influences of the thre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 city. The subjec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percep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ppi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ppi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as ‘above average’.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pe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ppi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ub-variable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happiness, ‘learning practice’, ‘external happiness’, and ‘learning evaluation’ we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on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