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주지역 김치와 국${\cdot}$찌개의 염도 및 섭취실태

        송미란,이경자,Song, Mi-Ran,Lee, Kyung-Ja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4 No.1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생활에서 나트륨 섭취를 줄여나갈 수 있는 대책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주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섭취하고 있는 김치와 국${\cdot}$찌개를 수거하여 염도를 조사하고, 설문지를 통해 소금섭취와 관련된 식행동과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40대가 57.8%로 가장 많았고, 가족 수는 4명, 5명 이상이 41.3%로 많았으며, 최종 학력은 고졸이 41.3%로 가장 많았다. 가정의 한달 평균 수입은 100-200만원이 28.4%, 200-300만원이 22.9%였고, 54.1%가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2.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평균 염도는 $2.0{\pm}0.5%$였다. 3. 섭취하고 있는 국${\cdot}$찌개의 국물 염도는 $1.0{\pm}0.3%$, 국물과 건더기를 믹서에 갈아서 잰 염도는 $0.8{\pm}0.3%$였다. 국의 염도는 $0.9{\pm}0.3%$, 찌개의 염도는 $1.1{\pm}0.3%$로서 찌개의 염도가 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된장국의 염도 $1.0{\pm}0.3%$, 맑은 국읜 염도는 $0.8{\pm}0.3%$로서 된장국의 염도가 맑은 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 염분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점수가 높을수록 즉, 짠 음식을 선호할수록 섭취하고 있는 국${\cdot}$찌개의 염도도 높아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5. 식사를 하면서 소금이나 간장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국${\cdot}$찌개의 염도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6. 하루에 섭취하는 김치의 횟수는 대상자의 50% 이상이 매 끼니 섭취하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한번 식사 시 섭취하는 김치의 종류는 1-2종류가 가장 많았다.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간에 대해 김치 열도가 낮은 군에서 '보통'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고, 김치 염도가 높은 군에서는 '보통' 또는 '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국${\cdot}$찌개의 염도가 낮은 군에서 '싱겁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국${\cdot}$찌개의 염도가 높은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자주 섭취하는 김치는 배추김치, 파김치, 나물김치, 무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등이었다. 7. 하루에 섭취하는 국${\cdot}$찌개의 횟수는 2회 섭취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김치염도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에 비해 국물을 '반 그릇 이상' 먹는 경우가 더 많았고, 또한 국물은 먹지 않고 건더기만 먹는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더 많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섭취하고 있는 국이나 찌개의 간에 대한 질문에서는 '보통이다'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In this study, Kimchi, soup and stew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07, in the Jeonju area, and their salinity levels were analyzed. In addition, housewives were surveyed via questionnaire to assess food behaviors and consumption patterns. The average salinity of the Kimchi samples was $2.0{\pm}0.5%$. The average salinity of the soup/stew samples was $1.0{\pm}0.3%$ in the broth portion and $0.8{\pm}0.3%$ in the homogenized mixture of both broth and solids. The average salinity of all types of soup was $0.9{\pm}0.3%$, and that for stews was $1.1{\pm}0.3%;$ the average salinity of the stew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oup (p<0.001). Beanpaste s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alinity $(1.0{\pm}0.3%)$ than clear soup $(0.8{\pm}0.3%)$ (p<0.05). The Food behavior scores of the respondents, with regard to sodium intake and salty taste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o the salinity of the soup and stew samples (p<0.01).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Kimchi and soup/stews were also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relationship to the saltiness of the food samples.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each food category: Kimchi groups of below 2.0% salinity and above 2.1% salinity, soup/stew groups of below 0.8% salinity and above 0.9% salinity. The below 0.8% salinity soup/stew group used salt or soy sauce in meals significantly less frequently (p<0.01) than the above 0.9% salinity group. The lower salinity Kimchi and soup/stew groups g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regarding answers that their Kimchi was 'bland' (p<0.05). The types of frequently consumed Kimchi were determined as Korean cabbage, Welsh, wild greens, radish, KKak Du Ki, and Yol Mu Kimchi. When compared to the above 2.1% salinity Kimchi group, the below 2.0% salinity Kimchi group gave higher scores regarding answers that they consumed 'more than half the broth in the bowel' and also gave significantly higher (p<0.01) scores in answering that they consumed only the solid ingredients, leaving the broth.

      • KCI등재

        인삼정과의 제조에 있어 당 종류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송미란(Mi-Ran Song),김미리(Mee-Ree Kim),김현호(Hyun-Ho Kim),추석(Seok Chu),이가순(Ka-Soo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7

        인삼정과 제조 시 물성학적 품질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sucrose, glucose, honey 및 fructose 등 4종의 당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인삼정과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 물성 및 색도를 기계적인 측정치와 관능요원들의 평가치에 의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성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Rf가 당 종류종별에 따라 각기 함량에 큰 차이를 보여 sucrose로 제조한 인삼정과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glucose>honey>fructose의 순으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검출된 7종의 진세노사이드의 총 함량은 sucrose로 제조한 인삼정과가 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glucose>honey>fructose의 순으로 높아 fructose로 제조한 인삼정과가 가장 낮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Hardness와 adhesiveness가 가장 높은 것은 fructose를 이용하여 제조한 정과이었고 stiff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및 springiness는 honey를 이용하여 제조한 정과이었으며 fracture force는 당 종류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다. 당 종류별 정과제품의 편차는 honey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제품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정과의 색도 중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sucrose에서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가 가장 낮은 것은 glucose, 황색도는 fructose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과제조 시 당의 종류 중 fructose 함량이 높을수록 갈색화가 크게 일어남을 볼 수 있었다. 관능평가에서는 honey를 이용한 인삼정과가 조직도와 전체적인 기호 도면에서 가장 좋았으며 fructose를 이용한 정과는 조직도면에서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obtained by treatments with different sugars. Ginseng Jung Kwa was made with four different sugars (sucrose, glucose, honey and fructose). Chemical characteristic was measured by ginsenosides content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rheometer and color meter. Total ginsenoside and Rf contents on Ginseng Jung Kwa by sucrose were highest at 10.0, and 7.82 ㎎/g, respectively. On ginseng Jung Kwa by fructose, total ginsenoside content was the lowest, and hardness and adhesiveness were the highest, and by honey, stiff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and springiness were the highest, and fracture force did not appear 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reatment of different sugars. Coefficient of variance on ginseng Jung Kwa by honey was the highest. On ginseng Jung Kwa by sucrose, col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all were the highest. Browning on Jung Kwa by fructose was the greatest. Sensory evaluation preference analysis (color, taste, textur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n ginseng Jung Kwa were determined by 50 panelists (30~50's age) using 5-point scale. On ginseng Jung Kwa by honey,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the best. Ginseng Jung Kwa by fructose was very sticking and adhering, so preference by sensory evaluation was inferior to other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멘델 유전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의 PCK 사례 연구

        송미란 ( Mi Ran Song ),김성하 ( Sung Ha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3

        이 연구는 멘델 유전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의 PCK와 이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생물교육을 전공한 5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중학교 과학교사 두 명으로 하였으며, 멘델 유전과 관련한 5차시의 수업 관찰, 교사의 반구조화된 면담, 교사 질문지, Content Representation, Pedagogical and Professional-experience Repertoire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CK의 구성요소인 과학교수 지향,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신념, 학습자에 대한 지식과 신념, 과학교수전략에 대한 지식과 신념, 과학평가에 대한 지식과 신념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두 교사의 멘델 유전에 대한 PCK를 알아본 결과, 학생들이 과학교과를 통해 과학적 탐구과정을 학습함으로써 과학적 사고와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고, 교사는 학생들이 그러한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과학교수지향을 평소에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업 실제에서는 두 교사 모두 강의 중심 지향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과정의 목표와 관련 개념 및 지도 내용을 잘 인식하고 있었으나 학생들의 탐구방법 습득 및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두 교사의 노력은 수업 실제에서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멘델 유전을 매우 어려워하기 때문에 쉽고 자세히 가르쳐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멘델 유전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연계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선개념과 오개념을 파악하여 오개념 교정 전략과 과학사를 이용한 교수 전략 등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고, 학습자의 인지적 영역 중 단순한 행동 영역에 대한 평가만 이루어졌다. 두 교사의 멘델 유전에 대한 PCK 형성 요인으로는 교사의 개인적 특성 및 노력, 교과서 및 지도서, 교수 경험, 학습자로서의 경험, 학교 상황, 동료교사와의 상호작용, 대학교육 과정 등이 있었다. 이 중 두 교사는 자신의 학습자로서의 경험과 과학적 탐구심이 강한 개인적 특성 및 보다 나은 수업을 위한 교사의 노력이 PCK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의 PCK가 수업 실제에서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교사교육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고, 교사들에게 지속적인 자기 연수와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그에 따른 보상을 통해 교사들의 PCK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PCK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on Mendelian genetics and factors influenced to form their PCKs. Two science teachers with biology major with a teaching experience over 5 years were chosen as the subject. Data were collected by class observation, semi-structured interview, teacher questionnaire survey, Content Representation and Pedagogical and Professional-experience Reperto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Magnusson’s PCK for science teaching consisting of five components: (a) the orientation toward teaching science, (b) the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c) the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d) the knowledge of assessment, and (e) the knowledge and belief i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to teach science. Teachers could have the orientation toward teaching science served as an assisting role to support students’ abilities. Both subject teachers seemed to focus on giving lectures. Their efforts to improve students’ exploration methods and abilities were not expressed enough in their real classes and they found that students struggled to understand Mendelian genetics. Therefore, they should have explained them in an easier way and worked harder to make their students understood accurately and applied basic and advanced concepts of Mendelian genetics. They found students’ preconception and misconception regarding Mendelian genetics and wished to enhance their learning effects by various teaching strategies such as correcting misconception, adding the history of science and simply assessing students’ affirmative domains. It was also found that factors influenced to form PCK regarding Mendelian genetics by both teachers were as follows: teacher``s personality and endeavor, textbooks and guidance books, schools and their circumstances, teaching experience, experience as a learner, interaction with their colleagues, and university curriculum. Both teachers said that it was important for teachers to make every efforts to give better classes.

      • KCI등재
      • KCI등재
      • 사용자 그룹을 이용한 효과적인 정보 여과 및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송미란(Song Mi Ran),김교정(Kim Kio Chung)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Ⅱ

        인터넷의 발달은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고 더불어 일반인은 어디서나 쉽게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되었지만 늘어나는 정보의 양이 원하는 정보의 습득을 방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 과잉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여과해 주는 정보 여과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정보 여과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심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프로파일을 구축하고 이를 학습을 통해 갱신한다. 하지만 기존의 개인 프로파일을 이용한 정보 여과 시스템은 개인의 관심도를 분석하기 위해 에이전트가 학습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단점과 사용자의 능력에 따라 적합한 문서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가 너무 한쪽으로만 치우치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효과적인 프로파일 학습을 위해 비슷한 관심도를 갖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학습을 받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그룹 프로파일을 구축하는 방법과 그룹 프로파일을 이용한 효과적인 정보 여과 방법, 그리고 그룹 프로파일 학습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 KCI등재

        커피 폐원두박을 이용한 초콜릿 제조 및 관능적 특성

        유경미 ( Kyung Mi Yoo ),송미란 ( Mi Ran Song ),지은정 ( Ji Eun Jung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ptimum ratio of coffee waste to chocolate for the prepar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ffee chocolates. Color values(L-value, redness, and yellowness), total flavon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ffee chocolates made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dditives were measured. The coffee waste powders were added at weight percentages of 0, 1, 2, 3, and 4%. As the ratio of coffee powder to chocolate increased, total flavonoid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 sensory evaluation, significant differences(p<0.05) were shown in taste, bitterness,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depending on the amount of coffee waste powder added. The optimal ratio for sensory acceptability of coffee chocolate was 2% added coffee waste powd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