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6년 집중호우시의 산사태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을 중심으로

        송동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지구온난화, 기상이변에 의한 국지적인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기존의 재해이력에 상관없이 국소적으로 산사태와 같은 산지토사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산사태는 호우시 빗물에 의해 포화된 토괴가 균형을 잃고 중력에 의해 무너져 내리는 붕괴현상으로 산림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산림자원을 훼손하며, 강우, 지형, 임상, 토양 등의 산사태 발생조건에 따라 산사태 발생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안정된 산림유역에서 식생, 모암 및 지형이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및 억지효과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 2006년 산사태가 발생한 강원도 평창지역에 있어서 재해상황 및 발생원인 등을 Arc GIS를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산사태 발생 메카니즘의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2006년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에서 발생한 산사태 발생 특성은 단기간의 집중호우에 의해 화강암 지질과 소나무 등의 침엽수가 주종인 비교적 안정된 산림유역에서 지질의 풍화에 따른 지질약화 및 낮은 토심 등이 원인으로 약 1m내외의 낮은 표층토양과 모암과 표층토양간의 경계부근의 다른 침투능에 따라 경계면에 수막현상과 같은 막이 생겨 붕괴가 발생한 산사태로 판단된다. 본 조사 대상지에 있어서 산사태의 특징은 식생, 강우와 모암이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집중호우에 따른 유출수량의 증가로 인한 산림수계의 침식에 따라 다량의 계안붕괴가 발생하였다. 또한 산사태 발생시에 생산된 토석류 및 도류목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피해를 가중시켰으므로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한 사면의 안정과 함께 산사태에 따라 발생된 도류목이나 토석류의 이동 및 침식, 퇴적 등을 방지하기 위한 하천관리도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산사태 발생에 관한 인자 및 관리뿐 만 아니라 재해예방을 위한 시설물 등의 확보 및 연구 등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 global warming and global climate changes cause frequent localized heavy rainfall, which result in landslides at places without previous relevant records. A landslide occurs typically when the slope is saturated with heavy rain, loses its stability, and finally pulled down by the gravity, and as a result, it destroys forests and valuable resources. Multiple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rainfall, topography, forest floor, and soil type, cause different types of landslid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ritical cause of landslide mechanisms and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vegetation, bedrock, and topography at the site, based on the real case of landslide occurred in Pyeongchang, Gangwon in 2006. The severity and the cause of the landslide were analyzed using Arc GIS. The landslide site in Pyeongchang was populated with coniferous trees such as pine trees on a surface soil of about 1 meter thick on top of granite bedrock. The cause of landslide was thought to be that the heavy rainfall saturated rather shallow surface soil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saturated surface and the granite bedrocks formed a thin water layer which resulted in lowering the viscosity. This particular landslide site was affected mainly by the tree types, the amount of rainfall, and the type of bedrock. The significant increase of water flow also caused riparian landslides by eroding the forest watersheds, and the influx of debris flow and coarse woody debris to the river added the damage in the area. Thus, the management of river systems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the damages from the influx of muddy soil, debris flow, and piling of woody debris while managing the integrity of slopes. Therefore, the sites with important features of landslides should be identified and monitored closely and as well as the preventive structures should be constructed and studied further.

      • 廢굴껍질에 의한 重金屬 吸着特性과 中和能

        송동근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의 급속한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산업폐수의 발생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 도금폐수의 경우 유해중금속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독성이 매우 크므로 인체 및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자원을 날로 심각하게 오염시키고 있어 그 오염방지 대책이 크게 요망되고 있다. 또한, 국내 해안 양식업 중에 비중이 높은 굴양식업에서 부산물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폐굴껍질은 해안에 야적되어 연안어장의 오염, 공유수면 관리상의 지장, 자연경관의 훼손 및 보건위생상의 문제 등으로 환경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폐굴껍질은 약 93% 정도의 CaCO_(3)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폐수처리에 응용할 경우 CaCO_(3)의 용해에 의하여 CO_(3)^(2) 이온농도의 증가로 인한 pH 조절이 특별히 필요하지 않아 폐수처리 비용절감효과 뿐만 아니라 수산폐기물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도금 폐수중에 강산성이고 비교적 고농도의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산·알칼리계 폐수를 대상으 In this study, batch and continuous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dsorption . of heavy metals and neutralization from plating wastewater using waste-oyster shel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neutralization with particle size variations of waste-oyster shells was maintained weak acidity and relatively small particle size reached quickly it. 2. As result on the experiment of Freundich isotherm for batch test, adsorption intensities (l/n) of Cr, 0.356 was strong consolidation as compared with Fe 0.8, Cu 1.156 relatively. but, adsorption capacities(K) of Fe, 22.1 and Cu, 4.59 were high as compared with Cr 1.2. 3. As applying continuous experiment to Bohart-Adams equation, service time appeared Cr>Fe>Cu. but adsortion rate appeared e>Cr>Cu. Because Fe was high concentration as compared with Cr in inflow, Fe reached quickly breakthrough point.

      • 서울시 산지의 토석류 범람특성을 고려한 사방시설물 적정 배치 방안

        송동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울시 산지의 토석류 범람특성을 고려한 사방시설물 적정 배치 방안 송 동 근 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사방학적 관점에서 볼 때 산림유역을 통과하는 산지계류는 토사생산구역, 토사유과구역 및 토사퇴적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토사생산구역은 계상물매 20° 이상으로 침식 및 붕괴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산사태 및 토석류가 발생하는 구역이고, 토사유과구역은 계상물매 10∼20°로서 침식과 퇴적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상류에서 생산된 토사가 통과하는 구역이며, 토사퇴적구역은 계상물매 3∼10° 정도로 완만하고 계폭이 비교적 넓어 유수의 유송력이 저하되어 계상재료가 퇴적되는 구역을 말한다. 그러나 도시지역의 경우 생활․생산공간의 팽창으로 인해 산림유역의 토사퇴적구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토석류의 범람개시점부터 보호대상까지의 거리가 토석류의 도달거리보다 훨씬 짧아졌기 때문에 사방시설물의 배치계획의 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토사재해 중, 토석류는 단시간 안에 광범위하게 토사가 유출된다는 점에서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되는 범람범위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토석류 발생에 따른 유출가능 토사량의 산출, 토석류 유출에 따른 도달거리의 추정 및 퇴적범위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토사의 생산, 이동 및 퇴적에 따른 사방시설물의 규모나 배치에 관한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에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이루어진 야계사방대상지에 대하여 산림유역을 토사생산구역, 토사유과구역 및 토사퇴적구역으로 분류하고, 유역별 범람개시점 선정을 통한 범람특성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토석류 발생시 유출가능토사량, 토석류 한계도달거리 및 보호대상까지의 거리를 산출한 후, 적정한 사방시설물 배치방안을 제시하고자 진행하였다. 서울시 산림유역의 유역특성 및 범람특성을 분석한 결과, 산림유역은 평균 8ha로 비교적 작게 나타났으며, 유로연장은 총유로 277m, 주유로 223m의 범위에 분포하며, 계류물매는 13°, 수계밀도는 47m/ha, 형상계수는 3.2로서 신장형 유역이 전체의 83%를 점유하고 있었다. 산림유역 145개소 중 3ha 이상인 89개소에 대한 범람개시점을 파악한 결과, 유역출구로부터 평균 122m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범람개시점의 계류물매는 평균 9.3°에 분포하고 있었다. 범람개시점을 중심으로 토석류에 의한 유출토사량을 추정한 결과, 침식가능토사량(Ve)은 평균 1,615m3, 운반가능토사량(Vec)은 평균 17,591m3로 추정되었으며, 산지계류의 길이에 따른 토석류 한계도달거리는 평균 294m, 침식가능토사량(Ve)을 이용한 경험식의 경우 평균 262m, 운반가능토사량(Vec)을 이용한 경험식의 경우 평균 2,097m로 추정되었으며, 유역면적과 환산각을 이용하여 산출된 도달거리(L3)는 평균 516m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네가지 결과값 중 과대치를 나타낸 운반가능토사량(Vec)을 이용한 도달거리를 제외한 ①산지계류길이 추출에 따른 방법”, “②침식가능토사량(Ve)을 기준으로 산출한 경험식에 의한 방법”과 “③유역면적과 환산각에 의한 방법”을 이용한 평균 한계도달거리는 평균 357m로 추정되었다. 한편 범람개시점으로부터 보호대상사이의 거리는 평균 147m로 상류에서 발생한 토석류의 위험구역 내에 대부분의 보호대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림유역 내의 범람개시점과 사방시설물 현황을 분석한 결과, 포착기능이 가장 큰 사방댐의 경우 범람개시점의 위치 또는 토석류 한계도달거리와 관계없이 유역의 최 하류부에 설치되고 있었다. 서울시에서 사방댐 및 계류보전사업과 같이 계간을 대상으로 하는 사방사업을 계획할 경우, 산림유역을 토사생산구역, 토사유과구역, 토사퇴적구역으로 구분하여 범람개시점을 설정한 후, 한계도달거리와 보호대상과의 거리에 따른 종합적인 기본계획 수립을 통한 사방사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범람개시점과 보호대상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경우에는 산지지형의 변화를 최소화 하는 자연순응형 사방사업을 시행하고, 보호대상과의 거리가 짧아 한계도달거리 내에 보호대상이 위치할 경우에는 범람개시점을 사방댐, 골막이 등과 같은 인공구조물을 통하여 상류로 이동시키거나, 적극적인 발생원 대책을 통하여 유출토사량을 감소시켜 한계도달거리를 짧게 하는 등 적극적인 사방사업을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범람개시점과 사방시설물의 위치, 한계도달거리 내에 위치한 보호대상의 유무에 따른 사방시설물의 배치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진행되지 못한 유출가능 토석량과 사방구조물의 포착량 과의 관계 분석을 통한 사방시설물 배치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ptimal Positioning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Considering Overflow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in the Mountain Areas of Seoul Song Dong-Geun Department of Forest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From the point of view of Erosion Control, the mountain stream, passing through the forest watershed, could be divided into sediment production area, sediment transport area, and sediment deposit area. Sediment production area, torrent bed gradient of 20° or more, is the area where landslides and debris flow occur due to active erosion and decay. Sediment transport area, torrent bed gradient of 10∼20°, is the area where erosion and deposition are rarely made, but soil erosion and deposition pass through the upper stream. Sediment deposit area is the area where torrent bed materials deposited due to flowing stream’s lower river driving power from comparatively large torrent width and relatively flat as river bed gradient of 3∼10°. However, most urban areas are comprised of area, where could have sufficient forest watershed’s sediment deposit area, due to the expansion of living and production spaces. As a result, the distance from the deposition starting point of the debris flow to the protected object has been much shorter than that of the debris flow, and so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layout plan of the erosion control facilities. 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the expected flood extent, occurring in urban areas, in advance as debris flow could cause extensive damages to large area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a variety of studies have been made, including th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leaky soil due to the occurrence of debris flow and the estimation of distance and deposit range reached by the outflow of debris flow.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size or placement of the erosion contro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ovement and deposition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The study analyzed flood characteristics through classifying the mountain streams as sediment production area, sediment transport area, and sediment deposit area with respect to torrent erosion control area made from 2011 to 2014, selecting deposition starting points by area. In addition, a measure was taken to calculate the amount of leaky soil due to the occurrence of soil deposits, the runout distance of soil deposits, the amount of soil that could be leaked, and the runout distance of soil and the distance to the protected object to suggest a plan for optimal positioning of the erosion control facilities afterwards. Analysis of basin and flood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area revealed that the forest watershed was relatively small at an average of 8ha, and main channel length is in range of the 277m for total channel and 223m for main channel, 13° for torrent bed gradient, 47m/ha for stream density, and 3.2 for form index, in which watershed reinform accounted for 83% of the total. As a result of researching deposition starting point for 89 sites among 145 forest watershed having over 3ha, those were located 122m above the watershed exit, and river bed gradient at the deposition starting point was in range of 9.3° on average.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ediment yield by debris flow centrally at the deposition starting point, the amount of erosional sediment (Ve) is estimated to be 1,615m3 on average, movable sediment (Vec) is 17,591m3 on average, and debris flow runout distance by mountain stream length is 294m on average, empirical formula using erosional sediment (Ve) is 262m, empirical formula using movable sediment (Vec) is 2,097m on average, and reach distance (L3) calculated by basin area and spread angle is 516m on average. Among above values, except reach using movable sediment (Vec) that shows an excess value, average runout distance is estimated to be 357m on average using “① from mountain stream length measuring method”, “② from empirical formula using erosional sediment (Ve) method”, “③ from basin area and spread angle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ected object and the deposition starting point is 147 meters on average, and most of the protection objects are included in the hazard area from the debris flow occurred on upper stream. However, after analyzing deposition starting points and the status of the erosion control facilities in the forest watershed, the erosion control dam with the capturing function as the hugest was installed in the downstream part of the basin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deposition starting point or debris flow runout distance. When planning erosion control works, such as the erosion control dam and conservation project, in Seoul area, deposition starting point should be established by dividing the forest watershed into sediment production area, sediment transport area, and sediment deposit area, and erosion control works by developing a comprehensive basic plan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runout distance and protected object. In addition, if sufficient distance between runout distance and protected object is secured, natural adaptational erosion control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to minimize changes in mountainous terrain, and if protected objects are located within the runout distance due to their short distance, the deposition starting point should be moved upstream through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erosion control dam and check dam, or shorten the distances by reducing sediment yield through active agents; such as, active erosion control works should be plann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ow the location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and to suggest placement method of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rotected object located within the runout distance. However,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ontinue the research on the placement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diment yield and the erosion control structures’ capturing amount.

      • 주식투자자의 만족과 재투자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송동근 안양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how much impact is given on the stock investor's satisfaction by various factors affecting investor satisfaction at the stock market. These factors are classified into the environment of the stock market, investors' behavior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investor satisfaction and its impact on re-investment intention are researched in this study. More concretely, the environment of the stock market is classified into company characteristic, sector characteristic and macro-economic characteristic. On the other hand, the behavior of stock investor is categorized into risk preference, information credibility, service by securities company, and the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Lastly, investors' characteristic factors are divided into factors such as investment amount and investment experience etc. According to this study, the company characteristic and re-investment intention show (+)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more the company characteristic is considered in investment, the more the re-investment intention the investors would have. Among stock investors' behaviors, the risk preference has a meaningful (+) relationship with investor satisfaction. The service of securities company also has a firm (+) relationship with investor satisfaction.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high level of service by securities company gives more investor satisfaction. However, It is interpreted that the more risk preference that investors have seems to give more investment awareness to investors and that gives investor more satisfaction. Thus, the more the risk preference and the better the service of securities company, the higher the level of investor satisfaction i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vestors' characteristics and investor satisfaction, only the investment amount has a meaningful (+)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of investor. This means that the investors with more investment amount in market tend to be more aggressive in investing and at the same time, seeking investor satisfaction. The usefulness of this study is found in the process of knowing how much the satisfaction factors of Korean stock investor could give impacts to the investor satisfaction and re-investment intention through a field researc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however, can be indicated since boundary and term of the field research was limited and the quantitative data was not used. In the future, the additional effort is needed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theory by more in-depth and longer term field research and subdivision of factors affecting on investor satisfaction. 본 연구는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의 만족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 어떤 요인들이 얼마나 투자자의 만족과 그들의 재투자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영향요인들을 주식시장의 환경요인과 주식투자 자의 행동요인 및 특성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이 요인들과 주식투자자의 만 족간의 영향관계, 그리고 나아가 재투자 의도까지 그 영향을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주식시장의 환경요인은 기업특성, 산업특성 그리고 거시경제변 수특성으로 구분하였고 주식투자자의 행동요인은 위험선호도, 정보신뢰성, 증권사 서비스, 내외통제성으로 구분하였고 마지막으로 주식투자자의 특성 요인은 투자규모와 투자경력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주식시장의 환경요인 중 기업특성과 재투자 의도는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특성을 고려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재투자의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투자자의 행동요인 중 위험선호도는 투자자의 만족과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고 증권사의 서비스수준에 따라 투자자의 만족과도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투자자의 위험선호도가 높을수록, 증권사 서비스수준이 높을수록 투자자의 만족수준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투자자의 특성요인과 투자자의 만족수준간의 관계를 알아본 분석결과에 의하면 투자자 특성요인 중 투자규모와 투자자만족이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나 투자규모가 클수록 만족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유용성은 설문조사를 통해 투자의 수익을 포함한 우리나라 주식투자자의 만족수준의 영향요인 중 주식시장의 환경요인과 주식투자자의 행동요인 그리고 주식투자자의 특성요인이 주식투자자의 만족과 재투자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조사대상의 범위 와 기간이 한정되고, 투자자의 만족 및 재투자 의도 측정 등에서 정량적 자료를 이용하지 못하였다는 점 등을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향후 보다 많은 주식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적이고 장기간에 걸친 설문조사와 주식투자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더욱 세분화하여 이론의 일반화를 위한 연구에 추가적 노력이 필요하다.

      • 韓國의 博物館 觀光振興 方向에 關한 硏究

        송동근 京畿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가발전 및 경제성장으로 국내·외 관광인구가 계속 증가되고, 주5일제 근무가 제도적으로 보장됨에 따라 여가시간이 증가되면서 단체여행에서 개별여행으로, 유명 관광지의 단순방문인 수동적 여행에서 문화유산 감상, 문화축제 참여, 학술조사 등 능동적 참여 여행으로 여행행태가 바뀌면서 관광객들의 욕구가 다양해질 뿐 아니라 방문지의 역사, 문화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최근들어 국내·외 관광객들이 가장 즐겨 찾는 역사·문화관광자원 중 하나가 박물관이다. 박물관은 그 나라의 역사, 생활상, 문화수준 등을 짧은 시간에 종합적으로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공간이며 체험장이다. 그러나 기존의 박물관들은 예산의 부족과 전문인력의 미확보로 발굴·수집·보존, 조사·연구, 전시, 사회교육 등 고유기능을 수행하는데도 어려운 실정이여서 관람객을 위한 편의시설 확충이나 홍보와 마케팅, 관광상품의 개발에는 소홀할 수밖에 없었다. 2002년부터 용산에 새로 짓는 중앙박물관건립추진기획단장을 맡으면서 중앙박물관을 우리나라의 중요한 문화관광 자원으로 만들어 국민의 문화수준을 높이고, 문화향수를 충족시키며, 외래관광객에게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없을까하고 고심하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박물관 관광진흥 방향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날로 증가하는 국민의 문화관광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늘어가는 여가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박물관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여 박물관의 관광자원적 가치를 제고하고, 국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진흥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목표는 첫째, 관광산업적 측면에서 박물관이 관광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박물관 관광진흥 이론을 체계화하여 분석의 근거로 삼고, 둘째, 박물관 관광진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각각의 정책우선 순위를 분석하며, 셋째, 분석된 결과들을 토대로 향후 박물관 관광진흥 방향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로는 1945년 조선 총독부가 건립한 박물관을 흡수하여 국립박물관으로 개관한 후 여러 차례의 이전과 흡수·통합을 거쳐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직제가 개편된 1972년을 연구의 과거년도로 삼았고, 새롭게 건립된 용산중앙박물관이 개관된 2005년도를 기준년도로 삼았으며, 정부의 새문화 정책이 완료되는 2011년을 연구의 미래년도로 삼았다. 또한 공간적 범위는 국립박물관이 건립되어 있는 전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이론적 연구는 문헌조사, 선행연구 및 기초자료 조사를 병행하였고, 실증분석은 박물관 관계자, 관광공사, 여행업계 등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 2장의 이론연구에서 박물관 관광에 대한 이론은 박물관의 유형, 박물관 관광의 의의, 이념, 목적, 특성, 박물관의 역할과 기능, 박물관의 관광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여 박물관 관광진흥의 방향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만들었다. 제 3장 현황분석에서는 기존 국립박물관에 대한 박물관 국내외 관광객 현황, 박물관 활동현황, 박물관 건립현황, 국립박물관 관광관련 시설현황, 소장물 현황, 박물관 조직과 인력현황, 예산현황, 입장료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박물관 관광진흥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신뢰성 분석, t-test, 다중응답 교차분석 등을 통하여 사업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전문가들은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과학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전시프로그램 개발, 사회성 교육프로그램의 확대를 위해서는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교육기능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교육시뮬레이션 확대를 제시하였다. 다양한 전시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전시담당자의 전문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박물관 안내·편의시설 확충을 위해서는 안내시설 확충을 제시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 중에는 보행로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제시하였고, 식음료 시설확충에 있어서는 협소한 휴식공간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박물관 영상·공연 시스템 구축을 위해 추진되어야 할 사업으로는 부족한 공연시설을 확충하고 그에 따른 전문공연 프로그래머 확보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박물관을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의 문화소비 지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물들을 이미테이션 상품화 할 것을 제시하였다. 박물관 관광 마케팅 강화를 위해 홍보·마케팅 전문가를 양성하고, 해외 홍보 전담팀을 구성하며, 다양한 홍보채널을 통한 홍보, 마케팅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박물관이 국제관광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테마형 박물관을 개발하고, 주변지역과 관광루트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박물관 관광진흥을 위해 개선할 사항으로는 박물관 내부시설, 공공편의시설의 개선 및 확대, 전문인 양성과 인적서비스 향상, 다양한 이벤트 활동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제 5장에서는 제 3장과 4장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박물관 관광진흥 방향에 대한 목표, 전략 및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성과는 박물관 관광에 대한 기초 이론을 제공하였고, 기존 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에서 탈피할 수 있는 박물관 관광진흥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기존 박물관을 관광산업적 차원에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향후 박물관 관광진흥의 방향을 설정하려고 하였으나 박물관의 관광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요인이 매우 많아 이러한 요인들을 모두 분석하기란 시간적, 경제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박물관 관광진흥 방향에 대한 후속 연구는 세계관광시장의 변화, 정부의 정책변화, 법·제도의 변화, 관광객의 패턴변화 등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보완·수정해 나가야 하며, 향후 한반도 통일시 박물관 관광진흥정책 수립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담을 수 있다. Korean tourism has shown an explosive growth both in its inbound and outbound tourism market during the last two decades due to its nat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 types of travel itself has also been changed from mass tourism to independent tourism, from passive one that mainly focuses on sightseeing to proactive one that involves tourists in diverse activities. Recently, one of the major cultural and historical attractions favored by many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is the museum. The museum is a place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history and life style of the country and fully appreciate its rich cultur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the majority of museums have suffered from insufficient budget and experts, which are vital ineffectively promoting themselves as a tourist attraction. While assuming the Chief of New National Museum Construction Project, I have been strongly interested in finding out ways of transforming a museum into an important resource for cultural tourism, which shall contribute to upgrading the cultural level of Korea and satisfying peoples Needs for cultu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national museum as a tourist attraction, while identifying overall limitations in satisfying people's needs for cultural activities. The specified objectives of the research are: 1) To review theoretical background for museum's impacts on tourism industry 2) To analyze priorities in governmental policies in promoting museum tourism 3)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based upon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There is an array of anchoring years as the scope of time: - 1972: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launched after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zation in Korea. - 2005: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reopened with a new feature. - 2011: New cultural policies are to be implemented. The geographical scope of this research is the entire place where the new national museum is nested. The research employed diverse methodologies such as literature review including overview of previous research, preliminary data collection, and interviews with the experts in the field of museum,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and travel agencies as the main field survey. In the second chapter, a wide range of theories regarding types, ideologies, objectives, characteristics, roles and functions of museum, and impact of museums on tourism industry are reviewed. These theories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research in relation to promotion of museum tourism. The third chapter depicts the present status of museums in South Korea, such as number of visitors, types of activities carried out inside the museum, number of museums, facilities for tourists, collections of museum, organization, number of employees, and entrance fees.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experts, the forth chapt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 four sectio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iability test, t-test, and multi-responses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indicates that diverse exhibitions should be organized to improve educational program The chapter also stipulates the importance of securing professional curators with high-level expertise, improving guiding services and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and procuring more spacious lounge. It is deemed necessary to procure more performance stages or spaces for professional performance directors for the high quality of performance. In order to induce more spending by visitors, the chapter recommends nurturing a group of experts who would b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promoting museums and developing diverse strategies for the marketing. The chapter suggests building theme museums, which are to be connected with other tourist attractions nearby as a strategy to remain competitive in international tourism market. It also suggests that indoor facilities, public services, events, and human resources should be improved for providing visitors with better services in overall aspects. In the fifth chapter, the aims, strategies, and tools for promoting museum tourism are highlighted based upon the results of chapter 3 and 4. One of the important outcomes of this research is that this study provides a basic theory for the museum tourism and suggests alternative ways to promote museum tourism while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oles of museums. Although this study intends to pinpoint problems of previous museums in terms of tourism industry, all factors regarding limitations to be a cultural attraction could not be considered because there were too many of them. Therefore, the future study in the promotion of museum tourism is required to investigate changes in world tourism trends, governmental tourism policy including law and institution, and the patterns of tourists' activities. In this regard, it is noted that this research provides a valuabl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future tourism development policy in an era of reunified Korea.

      • 미세다공층과 기체확산층의 두께 비율에 따른 PEMFC 성능 변화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송동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세다공층과 기체확산층의 두께 비율에 따른 PEMFC 성능 변화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기계공학과 열유체전공 송 동 근 지도교수: 조 구 영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는 낮은 작동온도, 높은 출력 및 효율 등의 장점을 가진 차세대 친환경 동력 원이다. PEMFC의 성능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물관리가 필수 적이다. 미세다공층(microporous layer, MPL)은 일반적으로 PEMFC의 물관리 를 위해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에 추가로 적용된다. MPL의 물 리적 특성은 PEMFC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작동조건에 따라 MPL과 GDL의 두께 비율이 PEMFC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체 다공성 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MPL의 두께가 얇은 경우와 두꺼운 경우에 대해 전산유체역학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상압 고습도 조건에서 얇은 MPL은 물질 전달 손실(mass transfer loss)을 감 소시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하지만 상압 저습도 조건에서는 MPL이 두 꺼울 때 전해질의 높은 이온 전도도가 유지되어 좋은 성능이 나타났다. 가압 조건에서는 습도 조건에 무관하게 MPL이 얇은 경우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 였다. 주제어: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전산유체역학, 기체확산층, 미세다공층, 물질전달손실

      • 지역의 특성을 접목한 미술관·박물관 활성화 방안 연구 :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 미술관의 사례와 대전지역 미술관·박물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송동근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 한국 미술계를 포함한 문화계는 서울 및 수도권에 밀집되어 있어 그 외 지역(지방)은 문화 발전의 기회 및 향유의 기회가 이들 도시에 비해 적은 것이 사실이다. 그 배경에는 한국의 역사, 문화, 정치 문제 등 다양한 이유가 있다. 예로부터 서울 및 수도권은 한국 역사의 중심이었고 광복 65년 이후에도 경제, 정치, 문화 발달이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인류의 역사로 볼 때 이러한 현상은 단지 한국 뿐 만 아니라 인류가 생기고 역사가 이루어지면서 한 나라의 수도와 그 근방 지역이 발전의 우위에 선 사례들은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하지만 문화 발달 및 균형의 측면에서 볼 때 한국과 문화 국가로서 대접을 받는 다른 나라, 예를 들어 프랑스, 독일, 미국, 중국 등에 비해 한국은 광복과 한국전쟁 이후 경제 발전에 많은 비중을 두었고 그로 인해 현재는 G20 국가에 포함되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경제 성장 속도에 비해서 ‘문화’ 자체의 중요성과 문화의 ‘균형발전’에 대한 인식과 성장은 부족했던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의 ‘균형발전’측면에서 지역의 문화적 장점을 활용한 지역 미술관·박물관의 운영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외국의 성공 사례로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미술관(Museum of Nebraska Art, Nebraska, USA)의 지역문화를 활용한 다양한 전시, 교육프로그램, 지역주민 참여 등의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네브래스카 주립대학교 주립 박물관(University of Nebraska State Museum) - 자연사 박물관 - 의 과학과 문화예술의 융‧복합 전시 및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대전 지역의 특성을 접목한 미술관·박물관의 특성화 및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구성은 지역 미술관·박물관의 특성화를 위한 관련 문헌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미술관의 성공사례로 이루어져 있다. 성공사례지 선정은 미국 중부에 위치해 있으며 서부 개척시대의 역사와 훼손되지 않은 자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립미술관으로서의 목적과 역할에 충실하고 지역의 작가, 미술품, 역사를 지역민과 외래 관광객들에게 알려 미술관의 이미지 향상과 운영의 활성화를 이루어낸 미술관으로 미국 내에서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는 미술관으로 지역 미술관으로서의 목적과 역할에 충실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네브래스카 주립미술관의 성공사례와 대전의 특성을 조사/연구 하고 이들 특성과 접목한 프로그램을 연구 및 적용하여 대전지역 미술관·박물관의 운영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글로벌 시대와 급진적인 IT산업의 발전으로 사이버(Cyber)상으로는 이미 국가의 경계가 허물어진 상태에서 국민의 문화적 수준과 욕구는 점 점 향상 되고 이를 만족시킬만한 미술관·박물관은 주로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음은 물론 수준 높은 전시, 공연, 행사는 서울을 중심으로 치러지고 있는 현실이다. 하여 수준 높은 문화를 체험하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서울 및 수도권으로 몰리는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의 미술관·박물관은 낮은 관람객 참여도 및 서울 및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자치단체의 재정적, 행정적 문제들로 미술관·박물관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발전 속도는 점 점 더 늦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타 지역과 차별화된 그 지역만의 문화와 특징을 활용한 독창적인 콘텐츠 개발과 이와 관련된 전시기획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특성화를 이루어 내야 한다. 대전은 예로부터 사통팔달의 교통 요충지로서의 중요한 지리적 장점을 가지고 있는 도시이다. 하지만 이러한 편리한 교통 요충지로서의 장점은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장점일 뿐 문화적 발달에는 커다란 장애가 되고 있기도 하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대전은 잠시 머물러 가는 도시, 언제든 서울 및 수도권으로 단시간에 갈 수 있는 도시 등 일종의 경유지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다. 대전에서 열리는 공연, 행사, 전시를 보느니 조금만 더 가서 서울 또는 수도권에서 열리는 공연, 행사, 전시를 보겠다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중앙 정부에서 관리 감독하는 문화·예술 공간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등 - 이 대전에 세워지지 않았던 것도 그 이유에서다. 교통 요충지라는 지리적 장점 측면에서 볼 때 국립 차원의 문화·예술 공간이 짧은 시간 안에 닿을 수 있는 대전에 상당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옳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이라는 도시를 바탕으로 한 지금까지의 학술, 정책 관련 문헌에서 밝혀진 문제점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현재 대전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서 대전만이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콘텐츠를 찾아내어 미술관·박물관에 활용, 특성화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로 대전에는 박정희 정권시절부터 계획되고 1980년대 이후 본격적인 대덕연구단지 활성화에 힘입어 많은 국·공립 연구기관들이 상당수 자리하고 있다. 21세기 들어 세계는 융·복합 연구 사업에 매진하고 있다. 한 가지 분야의 사업으로는 더 이상 글로벌 경쟁 시대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분야와 어울려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상황과 더불어 대전이 가지고 있는 과학 인프라를 이용한 과학과 예술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연구 하였다. 둘째는 대전은 예로부터 양반의 도시라 일컬어지며 충절, 전통, 예절 등 흔히 사람들이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시골(rural)' 혹은 고향의 이미지를 간직하고 있는 도시이다.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대전은 근대에 형성된 신흥도시가 아니다. 서구지역을 중심으로 청동기 유적이 다수 발굴되면서 대전의 역사는 선사시대로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전은 우암 송시열로 대표되는 기호학파의 본거지로서 역사적으로 유명한 조선시대 학자들의 가옥이 잘 보존되어 있어 대전의 정체성을 양반도시·선비도시라고도 일컫는다. 이러한 대중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 축제가 매년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위의 두 가지 현재 대전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 특성을 접목하고 각 분야와의 상호 연계한 전시 및 프로그램을 통한 미술관·박물관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The vast majority of cultural resources, including artistic activities, in Korea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regions, extremely limiting the opportunities for the other regions in the country to enjoy and advance cultural life the locals could enjoy. There are multiple factors involved in such imbalance, including historical, cultural, and political ones unique to Korea. Seoul and the surrounding region have long form the center of Korean history. Must of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advancement the country has experienced in the sixty-five years since it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also occurred in and around Seoul. Of course, it is not uncommon to see around the world how cultural accomplishments and resources tend to accumulate in and around the capital cities. The phenomenon is especially prominent in Korea, however, in comparison to other such culture-leading countries as France,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suggest measures that can promote the usage and growth of local museums and galleries by allowing them to make maximum use of the unique cultural resources available in their respective regions. To this end, this study looks into the successful case of the Museum of Nebraska Art in the United States, seeking to deriv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local museum and gallery programs from the Nebraskan museum’s educational, exhibit, and participation programs. This study consists of a survey of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specialization and advancement of local museums and galleries, and a case study of the Museum of Nebraska Art. The museum at the center of the case study is located in America’s heartland, and has developed a wide range of programs making full use of the historical resources of Western development and the well-preserved natural environment of the surroundings, introducing local artists, their works, and history to the local visitors and tourists from the outside world. In other words, it provides a good example of the roles and purposes that local museums can serve. By analyzing the success of the Museum of Nebraska Art and comparatively researching it and Daejeon, this study seeks to explore how the museums and galleries in and around Daejeon c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advanced. The continuing globalization around the world and the radical innovations in information technology have served to bring down the traditional concept of international barriers and boundaries. While all these changes have contributed to the Korean public’s increasing desire for cultural experience and knowledge, most of the museums, galleries, performances, and other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available in Korea are concentrated in and around Seoul, leading more and more people seeking higher-quality cultural experiences to Seoul. As a result, museums and galleries outside Seoul continue to suffer decreasing levels of audience participation and drops in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which, in turn, feed the vicious circle of their declining quality and popularity.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of utmost importance for these museums and galleries outside Seoul to develop unique programs and exhibits based o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specific to their respective regions. As a central hub of transportation located in the middle of South Korea, Daejeon has served as an important geographic and strategic point in the country for centuries. The economic and financial benefits associated with the city’s location a transportation hub, however, have also tended to slow down the development of unique culture of the city. To many Koreans, Daejeon is merely a stopping point, often just part of the stops one makes before reaching Seoul. More people would prefer to travel just a bit farther to go to Seoul in order to enjoy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than staying in Daejeon. The central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find the spaces of various cultural venues under its charge,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or the National Museum, in Seoul and not Daejeon for that reason. Even though more national-status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should be found in Daejeon because of its proximity to all other major cities in Korea, the reality cannot be further from the ideal. In-depth research is therefore required to analyze the exact reasons and conditions.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potential for unique programs that museums and galleries in Daejeon could develop, not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academic and policy literature, but on the basis of the region’s cultural and historic resources and backgrounds. First and foremost, Daejeon is a leading center of major public research projects in Korea, thanks to the Daedeok Research Cluster that was encouraged beginning with the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in the 1960s and that began to lead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since the mid-1980s. The world today is moved greatly by research on fusion and convergenc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secure success by specializing in only one area of technology, many leading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are engaged in inter-technology and inter-disciplinary projects.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developing programs that mix science and arts, taking advantage of Daejeon’s central place in the nation’s scientific infrastructure. Second, Daejeon has long been associated with yangban, the learned, aristocratic class of the traditional ruling order in Korea. Many people still associate the city with images of loyalty, tradition, etiquette, and the tranquility and comfort of rural hometowns. Contrary to its outer appearance, Daejeon was not built overnight. The great volume of artifacts and relics found in Daejeon and the western provinces of Korea dating back to the Bronze Age indicate that the city’s history starts from the pre-historic periods. Inaddition, as the central cradle of the Kiho school represented by “Uam” Song Shi-yeol, Daejeon boasts well-preserved houses and mansions of the renowned literati of the Joseon period that form core parts of Daejeon’s identity as a city of learned aristocrats. The city already organizes an annual festival based on its popular image. By combining these two major elements of Daejeon’s local identity and developing new exhibit and cultural programs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help revive the local galleries and museums in the city.

      • 잠재 변수 결정을 위한 요인 분석의 고찰 및 제안

        송동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인분석은 척도개발이나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주성분 분석과 같은 변수 압축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요인분석에서 공통적인 요인을 이끌어내고 요인의 수를 결정하는데 있어 Fisher의 정보론을 바탕으로 하여 공분산 구조 구축하고 주관적 개념을 다항 선형회귀식을 따른다 가정한다. 그리고, 요인간의 공통성 부분을 유추해내는데 있어서, 역설적이게도 상이성 부분을 최소화하도록 하면서 요인들을 추정해간다. 이런 점으로 인해, 1904년 처음으로 스피어만에 의해 요인분석의 개념이 발표 되어 계속해서 이론적인 발전을 해오고 있지만, 요인분석에는 요인의 수를 결정하는 문제와 구조적 구축 문제 등 아직까지도 여러 요인분석의 절차에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요인분석을 구축하는 데 있어 기초가 되는 상관계수, 공통 요인의 수에 대한 결정 및 탐색에 집중하여,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분석법에서 2012년까지 발표된 새로운 분석법까지 그 개념들과 종류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소개한 분석법들을 통해 요인분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Likert 척도를 바탕으로 한 잠재변수를 위한 요인분석에 대해서 요인의 수 결정 방법과 변수 선택법을 제안하고자 예제를 들어 탐색적 요인 분석에 대한 단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factor analysis assumes that subjective concept follow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 and it constructs covariance structure based on Fisher's information theory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o infer the common factors, paradoxically, we estimate it minimizes the coefficient of alienation. In the regard, the theory continually develops after it introduced the concept by Spearman in 1904, but the factor analysis has various critical phase and a common problem for factor analysis is determining how many factors to retain. The number of solutions have been proposed, but none of which is totally satisfactory. In this paper, we introduce some techniques to construct efficiently co-variance structure, focused on correlations and determining the number of factors to retain and stepwise variable selection till 2012. and then, we suggest the analytic procedure with exmaples for latent variables based on Likert scale..

      • 소셜미디어시대의 사회적 자본유형 탐색

        송동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reviews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evolution in social capital in a way that adapts to the new social media environment. In the new social media environment, the borders of human relationship are dissipating except for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ypes, which were formed i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current study proposes a new type of social capital in these nascent conditions, moving on to provide a verification study to understand that social capital is an interactive relationship type regarding relationships between myself and others, rather than personal relationship type regarding an individual and other people. As a method of discovering new social capital in the age of social media, the current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and media, and progresses to develop a standard scale that can measure the possibility that new form of social capital may exist, in the same along with the two conventional social capital types (bonding and bridging). In building the scale, previous studies on social capital and social media were consulted, in addition to in-depth interviews to deduce standard scaling questions. The questions are used as a basis to study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including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on mutual relationships on social media, as well as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individual social media users. With fifty-five initial questions,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the measurement of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the researcher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alculate the validity. The results yielded a scale with nineteen items for measuring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six questions were on trust, four on norms, three on self-presentation, three on network, and three on reciprocit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final nineteen questions resulted in significant reliability and validity. These tests indicat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ocial capital exists on social media; users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continue to maintain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s formed in conventional offline and online relationships, while generating a new form of social capital appropriate for a new communication channel of social media. In conclusion, the new social capital is one in which social media users provide mutual self-presentation to form networks, in which they strengthen closeness and bond. In other words, the new social capital does not focus only on forming and expanding relationship. Rather, it aims to actively present one’s existence in the formed network, in order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relationship and enhance closeness. The current study provisionally defines this new form of social capital: displaying social capital. An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the three social capitals (bonding, bridging, new type) on social media and offline friends revealed that only bonding social capital among the three influences the friendship with offline friends. As for the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capitals social media friends, only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had very large impact. This is a positive indication that this new type of social capital may exist in the advent age of social media. Lastly, an analysis of social capital in the age of social media on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how that all three types of social capita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is already influencing network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mechanism on social media. As such, the current study is significant for its empirical verification that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and new types of social capital can arise as new communication platforms and channels develop.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social media not only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use among people, but also have very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 lives and psychological mechanisms. With this knowledge,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tinue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new forms of social capital in the age of evolving communication methods represented by social media.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은 현대인의 관계와 소통을 이야기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그 개념에 대한 정의는 확실하게 정의되어지지 않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이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전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하게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그 이론이 발생(출현)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지? 진정한 사회적 자본은 무엇인지? 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그리고 새롭게 등장하고 빠르게 진화 화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에서의 사회적 자본 형성 및 존재 가능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달과 관련해서 진행되는 연구들을 살펴보고 소셜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의 진화 가능성과 기존의 사회적 자본 유형과 다른 유형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형성된 사회적 자본 유형인 결속형(Bonding)과 교량형(Bridging)외에 인간관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확장성의 한계가 없어진 소셜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유형의 사회적 자본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검증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이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개인적인 관계유형’이 아닌 ‘나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상호작용적 관계유형’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회적 자본과는 다른 유형을 소셜미디어 이용자들 상호간 자기제시를 통해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그 네트워크안에서 친밀감과 유대감을 강화하는 자본이라고 보았다. 이 자본은 오로지 관계형성과 확장이 목적이 아니라 그 형성된 네트워크에서 나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드러내어 관계의 밀도를 높이고, 친밀감을 형성하여 만드는 자본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사회적 자본을 ‘표현형 사회적 자본(Displaying Social Capital)'이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시대의 표현형 사회적 자본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과 매체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와 더불어 기존의 2가지 사회적 자본 유형(결속형 & 교량형)과 같이 표현형 사회적 자본의 존재 가능성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 척도 개발을 실시하였다. 그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과 소셜미디어 관련 문헌조사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표준 척도문항을 도출하고 그 문항을 기준으로 3가지 사회적 자본이 소셜미디어에서의 상호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소셜미디어 이용자 개인의 심리적 매커니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도출한 최초 55문항의 표현형 사회적 자본 측정 문항을 기준으로 타당도 분석을 위한 탐색적 요인 추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로 신뢰 6문항, 규범 4문항, 자기제시 3문항, 네트워크 3문항, 호혜성 3문항의 소셜미디어에서의 표현형 사회적 자본을 측정할 수 있는 최종 19문항의 표준 척도를 개발하였다. 사회적 자본과 소셜미디어 관련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서 도출한 문항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한 19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는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셜미디어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의 존재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으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기존의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형성된 결속형 & 교량형 사회적 자본을 계속해서 유지하며 소셜미디어라는 커뮤니케이션 채널 환경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소셜미디어 중심의 3가지 사회적 자본 유형(교량형, 결속형, 표현형 사회적 자본)과 오프라인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의 3가지 유형 중 결속형 사회적 자본만이 오프라인 친구와의 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소셜미디어 친구와 상호작용 결과에서는 표현형 사회적 자본만이 소셜미디어 친구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의 소셜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사회적 자본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로 판단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3가지 사회적 자본 유형 모두 자기 효능감,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주관적안녕감&웰빙) 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표현형 사회적 자본은 이미 소셜미디어상에서 네트워크와 개인의 심리적 매커니즘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연구 2에서는 소셜미디어에서의 사회적 자본과 광고·홍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자본이 브랜드 팬 페이지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표현형, 교량형, 결속형 사회적 자본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브랜드 팬 페이지 추천 가능성에 대해서는 교량형, 표현형 사회적 자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는 광고홍보 분야의 실무적 함의로서 특정 대상의 광고 혹은 홍보를 위해서는 현대인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기능적 특성과 더불어 이용자들의 특성과 그 이용자들이 형성한 사회적 자본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광고의 효과성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채널의 발달과 함께 그 안에서 교류하는 사람들 간에 다양한 소통방식과 새로운 자본의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실증 연구 검증을 통해 이루어 냈다는데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사람들 간의 소통 및 정보 활용 기능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의 삶과 현대인의 심리적 매커니즘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 했다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