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지 『현대』와 대전문학

        송기섭 ( Ki Seob S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39 No.1

        해방직후 대전에서 발행된 『현대』는 한국 현대문학의 한 단면을 성찰할 주요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해방 직후라는 거대한 역사적 상황, 좌익계라는 민감한 이념적 범주, ``문화지``라 표방된 편집에의 정향, 그리고 대전에서 발행되었다는 지역적 조건 등이 여기에는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면서도 『현대』에서 무엇보다도 주목하게 되는 것은 대전문학의 형성을 밝힐 주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이다. 문학은 『현대』에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진 내용인데, 이는 당대 지역문학이 중앙문단과 어떤 관계에서 출발하였는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할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당대 정치의 동향이나 문단 사정을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이 잡지가 담보하고 있는 무시할 수 없는 자료로서의 가치이다. 문화단체총연맹이나 조선 문학가동맹의 가장 시급한 현안 과제였던 문화대중화 운동이 각 지역의 지부와 연계하여 수행된 사례를 이 잡지는 기록으로 남겨두고 있다. 대전지역의 대표적인 문인인 박용래와 박희선, 정치적인 여건에 의해 사라져간 염인수와 이병권 등의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것도 『현대』가 지니고 있는 중요한 면모라 할 것이다. 문화지를 표방했듯이, 해방직후 지역문화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점도 『현대』를 통해서 엿볼 수 있는 자료의 측면이라 할 것이다. Culture journal Hyundae and Daejeon literature Song, Ki-Seob Hyundae[現代] is a culture journal published in 1947. Hyangto[鄕土] was published in 1945, right after independence. They traced the origin of Daejeon literature. Local literature is literature which made by local people. Hyundae showed local literature`s characteristic and limitation. Its characteristic is that it was published by writers in Daejeon. The limitation was that it didn`t have its own literary identity that is distinctive from Seoul`s. The limitation was not overcome, and Hyundae was discontinued due to political and economic reasons. Daejeon culture journal Kyungin[耕人] was published in 1920s. It was made by Japanese, so actual Daejeon local literature began after the Independence. Hyundae was published as the branch of ``Blindness`` in Daejeon. Hyundae conducted its role as a local organization related to the central organization. It vividly recorded how culture organizations popularized cultures. This is material value that only Hyundae possesses as a local journal. Although Hyundae was turned away by history of Daejeon literature, it`s hard to deny that it contributed to form of local literature. It can be easily understood considering Park Yongrae and Park Heesun, the representative local writers. They participate in Hyundae following Hyangto and Dongbaek[冬栢]. Park Heesun also participate in Hoseo Literature[湖西文學], which occupy mainstream of Daejeon literature later. Among modern public journals, Hyundae is first to stimulate young writers and satisfy their passion for literature. It can be said that Hyundae is the internal source of energy that developed the potential of local literature.

      • KCI우수등재

        무진의 형상들과 안개의 이미지

        송기섭(Song, Ki-seob)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7

        「무진기행」은 정밀하게 탐구되어야 할 가치 있는 텍스트이다. 이 작품은 대개 ‘육십년대식’이란 세대론적 관점이나 작가 김승옥의 상(像)을 만들기 위한 대상으로 읽혀 왔다. 김승옥 소설이 그렇게 시대의 변양을 지시하는 독특한 패러다임을 지닌다고 하더라도, 우리에게 「무진기행」은 그 자체의 절대적 단자성으로 놓여있다. 그것을 밝혀내는 방법은 작품의 서사 요소와 구조에 집중하여 그 독립된 텍스트성을 찾아 분석하는 것이다. 「무진 기행」에서 무진이란 장소와 안개의 이미지는 그러한 요건의 핵심을 이룬다. 그런 까닭에 무진의 토포스와 안개의 이미지를 정초하는 것은 이 작품의 서사의미를 그 중심에서 사고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 무진은 윤희중이 무한히 자신을 비춰가는 흔적들을 강화하는 기억의 장소이자 그로부터 비롯되는 행위의 공간이다. 그런 점에서 무진은 미망의 기억이 주는 비틀림이자 여전히 감당해야 하는 혼곤한 마주침의 장소이다. 그리하여 무진은 이 작품의 사건들에 질서를 부여하고 궁극으로 플롯을 규정하는 뚜렷한 표지로 솟아오른다. 안개는 무진에서의 사건들을 환상이자 하나의 관념으로 추상화하는데 작용한다. 안개에 의해서 무진의 사건들은 서사의 재료가 되고 해석과 평가의 다층성을 지닌 잠재태가 된다. 그런 까닭에 무진에서의 사건들이 배열된 내면적 짜임새는 무진과 안개의 탐구에 의해서 제대로 해명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생생한 감각적 형상들이 무진의 장소성이나 안개의 이미지를 풍부하게 생성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물론 그것은 「무진기행」이 내포하는 서사 의미의 중심에 도달하기 위한 분석 과정임이 전제된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 작품에서 내면의 자유를 향하여 탈주하는 어둠의 힘을 목도한다. “The Journey in Mujin” is a short story written by Kim Seung-ok. Kim Seung-ok is an archetypal writer who represents the traits of Korean stories and novels in 1960s; reflecting the anguish of young people trying to establish his/her world. The narrative of youth is one of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modern stories and novels. “The Journey in Mujin” is a tightly-plotted story that reflects the narration of youth in typical sense.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Journey in Mujin” focussing on the place "Mujin" and the fog in it. It would be difficult to search for the main theme of “The Journey in Mujin” without focussing on such factors. Yoon Heejung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Journey in Mujin” who is filled with anguish. He departs from Seoul heading for Mujin where the events of the story happens. The events happening in Mujin reminds him of the events that happened in past times. This contact of the present and the past imparts meaning to the events. Events from the memory influences the behaviors and consciousness of him. Recollecting memory establishes sensuous images. The first thing to be considered is that the events are related to Mujin. The events of the story are directly related to establishing the topos of Mujin. Mujin is a country of fog. The only heritage of Mujin is the fog. The fog is the essential factor of the place. It creates the image of Mujin. It is lunacy, frivolity, death, betrayal and irresponsibility. The behaviors and consciousness of Yoon Heejung are expressed by the image of the fog. He enters into the world of darkness and fancy. This process is a journey for establishing his world. The theme of narration of “The Journey in Mujin” would be found by the image of Mujin and the fog.

      • KCI등재
      • 대전 지역문학과 매체의 기능

        송기섭(Song, Ki-seob)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2 충청문화연구 Vol.9 No.-

        Local literatures reflect certain region’s unique emotions and meanings. Each and every human being lives in a certain region. Local literatures are literatures that express emotions and meanings of that certain. Local literatures are formed by participation of locals. Local literatures have values as they draw locals’ participation and the values contribute to locals’ lives. Local media form community that contributes to local literatures’ forming and lasting. Through Daedeok Literature and Seogu Literature, we can confirm these functions of local literatures. These two magazines show that local literatures promote local cultures and form local identity. We can approach the case with three different fields. The first field is regionality. Literatures published on local journals express emotions of the regions. The second is dailiness. Daily life means everyday life that everyone experience. Local literatures reflect daily life of certain regions. The third is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s. Local literature journals arrange meetings of local writers through local literatures or several events. Local journals play the pivotal role in participation of locals. They are especially important to local literatures as they should be written on paper. It is difficult to publish local literature journals as they are not suppose to produce profit. Without local governments’ supports, Daedeok Literature and Seogu Literature may have not lasted. Monetary supports from local governments’ are essential to publication of local literature journals.

      • KCI등재

        해방기 대전충남 지역문학의 형성 양상

        송기섭(Song, Ki-Seob)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4 No.-

        지역문학이 소수자 문학으로서의 창조적 역량을 갖기 위해서 지향해야 할 바는 시선의 개방성이다. 지역문학의 근대적 형성을 말하는 자리에서 우리는 배제와 터부의 엄연한 현상을 마주해야 하다. 그것은 외연의 이념적 힘이 작용한 원인도 있지만 자체의 폐쇄적 타성에 매몰된 측면 또한 부정하기 어렵다. 중요한 점은 실증의 엄정한 공정성에서 자료를 검토하는데 있다. 적어도 해방기 지역문학을 논의하고자 할 때, 이 실증주의자의 태도는 지역문학의 태동을 온전히 복원하기 위해 절실히 요청된다. 해방기라는 역사 단위는 지역문학에서 더욱 중요한데, 그것은 이 시기가 대부분 지역에서 문단의 형태를 갖춘 지역문학이 비로소 출범하는 시기인 까닭이다. 그러나 지역문학의 태동을 규정하는 긴요한 시기를 논하면서 특정 유파의 배제라는, 자료의 몰각이라는 결여를 안고 있었음을 우리는 인정해야 한다. 향토와 대중화라는 주제어는 이 당시 지역문학을 객관화하는 중심어가 될 것이다. 그것이 향토주의로 기울어지는 과정을 살피는 데서 초기 지역문학의 윤곽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또한 해결해야 할 과업이 유실된 자료들을 복원하는 일이다. Local literature is minor literature. Minor literature has creative ability that is unique. Local literature aims it. When arguing modern literature, it must be premised. Local literature was usually formed in liberalization period in Korea. Liberalization Period means between liberation(1945) to government formation(1948). In this period, local literature separated by left/right ideological line. And after that, when arguing those literature, one aspect is excluded. It is because of ideological force and also closed district. The thing which is important is disappearance of fair in substantiation. When arguing local literature in liberalization period, positivist"s attitude is urgently needed to restore local literature integritously. "Rural area" and "Popularization" are topic words when doing objectification of local literature. Early local literature"s outline is exposed when observing process that it tilt to localism. In this process, the thing we have to do is restoring the lost data.

      • KCI등재

        현진건 소설의 자기반영성과 아이러니

        송기섭(Song Ki-seob)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6

        Lee Kwang-soo’s new style novel focus on showing enlightenment. Kim Dong-in, Hyun Jin-gun, and Yum Sang-sub’s novel place on turnover point of enlightenment literature. They are absorbed in discovering and searching individual. They create internal form of literature which come from self-consciousness. They also bring renovation in techniques in current literate. Hyun Hin-gun use irony to make narrative discourse and create different modern novel’s form from Kim Dong-in and Yum Sang-sub. Irony for Hyun Jin-gun is not only for making narrative discourse, but also creating meaning itself. His irony include that of conversation, condition, and narrative. In other words, modern novels reborn independently by irony technique. Distinguishing mark of Hyun Jin-gun’s narrative irony is self-reflection. Self-reflection is normal characteristic of irony; creating and destroying. His ironic novels start and end from self conscious speaking. Irony as a novel technique get meaning by process of awakening. Self conscious speaking directly connect to this awakening. Through this awakening, he is willing to see ‘face of Chosun朝鮮’

      • KCI등재

        진실의 감춤과 드러냄 : <메밀꽃 필 무렵>론

        송기섭(Song Ki seob)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8 No.-

        단편소설은 단일한 효과를 거두기 위한 서사기법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메밀꽃 필 무렵」은 이러한 요건을 빼어나게 성취한 작품이다. 진실의 감춤과 드러냄은 이 작품이 지닌 플롯의 뼈대를 이룬다. 그것은 서사 진행에 긴장감을 부여하면서 단일한 주제를 강화한다. 이 작품의 서사기교는 그렇게 앎을 드러내기도 하고 감추기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부자 관계, 나아가서 가족 결합이란 이야기의 결말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그리고 이를 극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는 이 앎을 조절하는 서사기교가 무엇보다도 긴요하게 요구된다. 앎과 그것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반복은 가장 적절한 진실 표현의 수단이 된다. 진실의 감춤과 드러냄은 제목이나 부수적 작중인물의 설정에도 관여 되어 있다. 제목'메밀꽃 필 무렵'에는 장소와 시간이 결합되어 있다. 즉'메밀꽃'은 봉평이란 장소를, '필 무렵'은 순환적 시간을 담고 있다. 여기서 장소는 경험의 발생과 관련되고 시간은 그것이 영원히 회귀되는 것과 관련된다. 앎을 조절하는데 간접적으로 관여되어 있는 중요한 대상이 나귀와 조선달이다. 나귀는 허생원과 직접적으로 유비된다. 허생원의 상황은 그렇게 나귀에 내포되면서 감추어진다. 조선달은 허생원이 진실의 중심으로 들어가는 앎의 과정을 매개한다. 그렇게 이들은 중심 주제의 소통 회로에 위치하면서 앎을 감추기도 하고 전달하기도 한다. Short Story require narrative techniques for reap a single effect.“When Buckwheat Flowers Bloom” is a work which fulfilled these requirements well. Hiding and revealing the truth form the basis of the plot with this work. It gives tension to the narrative progression. It also reveals a single topic well. Narrative technique of this work is to reveal and to hide the knowledge. This work reveals a father-son relationship, and further reveals the family bond. This work reveals the dramatic consequences of these.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knowledge. Narrative technique is required at this point.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and knowing it, repetition is a means of xpressing truth. Hiding and revealing the truth has been involved in the title or incidental character. “When Buckwheat Flowers Bloom” is combination of place and time. 'Buckwheat Flowers' represents place, Bongpyeong. 'Bloom' represents cyclical time. Location is associated with experience and the time is related to that cycle. Important things related to knowledge are donkey and Josundal. Donkey represents the Heosaengwon figuratively. Circumstances of heosaengwon is hidden figuratively in the donkey. Josundal is placed the precess that Heosaengwon goes into center of truth. So they may conceal and reveal knowledge.

      • KCI등재

        관념의 모험과 그 형상들

        송기섭(Song, Ki-seob)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9

        이청준은 복잡하고도 지난한 정신의 실험을 거쳐 진실을 탐구한다. 세계 구조의 취약성으로 인하여 그것은 일종 모험의 형식을 낳곤 한다. 그리하여 그에게 문학 행위는 탐구하는 자의 그것이 된다. 지극히 단조로워 보이는 듯한 한 개인의 삶조차 그 내면성의 과정에는 얼마나 심원하고 또한 음험할 수조차 있는 생각들이 흘러드는가를 그는 궁극으로 추적하고자 한다. 고난이자 환멸의 단계를 거쳐야 하는 이 내적 형식에 자유와 사랑이란 관념이 주어진다. 자유와 사랑은 당신들의 천국이나 자유의 문에서 집적된 이청준 문학의, 그 문학 행위의 목적이 된 관념들이다. 그것은 「시간의 문」에서도 인간 생명에 보존되고 앙양되어야 할 근본정신이어야 한다. 『당신들의 천국』에서 김현이 보고자 한 ‘자유와 사랑의 실천적 화해’는 「시간의 문」에도 여전히 내속한다. 그것은 “타자에게로 향하는 자기 초월적 힘”을 얻으며 “미래로 가는 시간의 문”을 열게 된다. 「시간의 문」에서 자유는 사진의 의미작용에서 일어나는 불화이고 분쟁인 의미의 불가능성에 가 닿아 있다. 이러한 의미의 논리 구조에서 사진은 소설과 다름없는 창작 텍스트이다. 곧 이청준은 사진을 통해서 다른 방식으로 자신이 끈질기게 탐색해 온 소설론을 모색한 꼴이 된다. 사진은 자유와 사랑이란 문학적 주제의 탐구의 장소이자 또한 소설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자기 모색의 공간이었던 셈이다. 사진이 ‘시간의 문’임을 밝힘은 그렇게 이청준 문학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것을 자리 잡게 하는 방법의 특이성을 또한 분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Door of Time” consists of two big themes. One is the meaning of freedom and the other is the meaning of novel. If the former is a superficial subject, then the latter is the artist"s search for novel writing. In this logical structure, photography is a creative text that is like a novel. Yi Cheongjun seeks novelism through photography. Photography is a place of exploration of literary themes of freedom and love. It is also a space of self-search for something called novel. Yi Cheongjun explores the truth through mental experiments. It is a form of adventure. Thus for him, the act of literature is that of the explorer.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have a painful inner face. This inner form is given the notion of freedom and love. Freedom and love are the central theme of Your Heaven or The Door of Freedom. It is the idea that is the purpose of Yi Cheongjun. It also acts as a fundamental spirit in the “The Door of time.” Kim Hyun called it freedom and the practice of love. It gains "self-transcendent power toward the other" and opens "the door of time to the future".

      • KCI등재

        장소의 생성과 지역문학

        송기섭(Song, Ki-seob)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5 No.-

        장소는 사건이다. 이 명제는 지역문학이 지닌 소수자문학으로서의 특이성을 구현하는 근본 관념을 증명한다. 장소의 사건은 거주민들의 삶이 되며, 장소감을 조성하는 근거가 된다. 또한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사람들과의 관계들은 진실 찾기의 기억이 된다. 사건으로서의 장소는 실체로서의 장소를 지역인의 정신이자 나아가야 할 가치로서 장소를 표현하도록 구획한다. 한 장소는 표현의 대상이 되면서 지역문학의 정체성을 만드는 가장 두드러진 기호가 된다. 그것을 장소의 이미지이자 장소의 상징이라 부를 수 있을 터인데, 지역문학은 이러한 문화적 과정에 역동적으로 참여하여, 장소의 생성을 수행하고, 그로 인하여 형성하는 장소 정체성을 적재하는 지역 공동체의 형식이 된다. 그때 장소는 거주이자 참여의 실체에서 가치를 담고 이념을 창조하는 비실체적 효과를 지니게 된다. 그렇게 본 연구는 지역문학이 장소의 사건이란 관점에서 장소의 표현을 탐구한다. 장소성과 지역문학은 그렇게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다. 이러한 주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우리는 유성과 신탄진이라는 장소의 표시를 추적하고자 한다. 그곳들은 대전의 지역문학에 아주 두드러지게 표현되는 장소이다. 그곳들은 글쓰기에 끊임없이 표시되면서, 그것이 지역문학임을 잘 표상한다. 이 표시는 장소를 나타내는 단순한 지시 관계만 지니는 것이 아니라 문학적 기호로서 애매함을 내포한다. 그것은 이 표시가 단순히 장소의 재현이 아닌 그것의 표현일 때 가능하다. 장소로서의 그곳들은 단순히 재현된 장소가 아닌 표현된 장소임을 드러낸다. 이때 장소성이 생성된다. 장소는 표현되면서 지역 정체성을 구성하며, 나아가서 지역문학의 특이성을 창조한다. 장소는 표현되면서 은유의 구조로 계열화된다. 계열을 이루면서 물질적 현존을 이루던 유성과 신탄진은 비물질적 기호, 곧 정신적 의미를 만들어내는 비실체적 효과를 발현한다. 장소의 이러한 기표적 기호로서의 속성은 지역문학이 나갈 보편적 지평을 형성한다. Local literature identifies, produces, and sustains the emotions and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Place is deeply involved in these action. This study explores how local literature expresses such places. Place becomes the object of expression and becomes the most prominent sign of the identity of local literature. Place and local literature are so closely linked. To explore this topic in detail, I would like to trace the sign of the place of Yuseong and Sintanjin. Yuseong and Sintanjin are the most prominent places in Daejeon’s local literature. They are constantly signed in writing, demonstrating that they are local literature. This sign does not only have a simple descriptive relationship to place, but also implies ambiguity as a literary symbol. It is possible when this sign is not just a reproduction of a place but its expression. Yuseong and Sintanjin as a place clearly show that it is an expressed place, not a reproduced place. At this time, placeness is generated. In that sense, the place belongs to the realm of expression to be unfolded infinitely and also folded. Place is expressed and constitutes local identity, further creating the specificity of local literature. Place is expressed and serialized into a metaphorical structure. Yuseong and Sintanjin, which formed a material presence as a series, become a nonmaterial sign, a nonmaterial sign that creates a mental meaning. Yuseong or Sintanjin, as an indication of a place, takes off materiality and be molecularized into images. Thus, Yuseong and Sintanjin are largely divided in the literature of Daejeon into symbols representing four categories: landscapes, events, relationships, and non-places. Events in places create a sense of place and become citizens’ lives. Relationships with people there are also memories of finding truth. The emergence of non-placeness implies the loss of sense of place damaged by development and the willingness to restore it. Local literature restores place in the crisis of non-placeness. The literary place of Yuseong and Sintanjin is an indication of such possibility. They introduce the unique structure of human marking into the local literature of Daejeon.

      • KCI등재

        불일치의 전이와 사유의 효과 - 이상론

        송기섭(Song, Ki-seob) 한국비평문학회 2022 批評文學 Vol.- No.84

        여기서 불일치라는 용어는 관례적인 모방론에 토대를 두어야 그 기본적인 개념이 성사된다. 물론 이 말은 삶과 형식이 등가라는 모방론의 본질을 옹호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그것의 근본적인 전복이자 이론 수정을 위해 도입되어야 한다. 재현의 발생이란 모방론 혹은 재현론의 관점은 그렇게 전통 시학을 교정하면서 그것의 원리를 제대로 수용할 이론을 정초하고자 한다. 발생은 현실과 문학, 즉 삶과 형식의 불일치를 깨닫고 문학의 형식이 질료로서의 삶을 그대로 반영함이 아닌 진실을 향해 운동하고 있음을 일깨운다. 오직 부정적인 것만이 이 지속되는 운동 속에서 진실이라 지명할 의미를 생성한다. 이것을 재현의 발생이라 부른다. 이상의 문학은 재현의 발생을 살피기에 아주 적합한 텍스트이다. 이러한 연구방법에 적극적 의의를 부여하자면, 이상의 문학은 재현의 발생이란 재현의 체계에 의해서 온전한 형태를 드러낸다. 이상은 루카치가 통찰한 ‘삶과 형식의 불일치’를 자신의 글쓰기를 통해 너무도 확연히 보여준 작가이다. 그렇게 연애의 형식이 만들어지는데, 그것은 삶과 불일치하는 형식 속에 진실이 은닉되어 있음을 극화의 방법으로 보여준다. 그것이 형식의 질료로 나타남이 분열되는 주체 ‘나’들과 그것의 피사체인 대상 ‘독화’들이다. 그것들은 문학 형식의 질료로서 부정적인 힘으로 머무르면서 물질적인 부분 대상들을 조합하고 나아가서 정신적 종합을 거쳐 진실 혹은 의미를 생성한다. 그러한 과정은 고정되고 확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되면서 차이의 반복을 가져오는 발생이기에, 즉 결과로서의 의미의 도출이 아닌 운동으로서의 작용이기에 사유의 효과라 지칭함이 마땅하다. 이상의 텍스트들은 의미가 일의적인 것으로 의미작용에 열려있음을 보여준다. 그렇듯 이상이란 문학 형식에서 도입할 것은 확증을 위한 증거나 이론이 아닌 진실 탐구의 방법이자 재현의 발생과 같은 의미작용의 체계이다. The term inconsistency has its basic concept only when it is grounded in conventional imitation theory. Of course, this term is not used to defend the nature of mimicry that life and reality are equivalent. This is an essential overthrow of it and should be introduced to revise the theory. The mimetic view of the occurrence of representation modifies traditional poetry. The occurrence arises from the inconsistency between reality and literature, that is, life and 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development, it reminds us that the form of literature does not reflect life as it is. It reflects a thought meaning. Only negativity causes thought, and it creates meaning. This is called the occurrence of representation. Lee Sang’s literature is a very suitable text to examine the occurrence of representation. Lee Sang’s literature reveals its complete form by such a system of representation. Lukács refers to ‘a mismatch between life and form.’ Lee Sang shows this very clearly through writing. That is how the form of love is created. It shows that the truth is hidden in a form that is inconsistent with life. Its material is the subject ‘I’ and its object ‘poisoning flower.’ They contain both material and spiritual properties. They remain as negative forces and create truth or meaning. Such a process is not fixed, but continuous. Therefore, the occurrence of representation should be called meaning. Lee Sang’s texts generate meaning through semantic action. We can call it the effect of thought. The literary form of Lee Sang cannot be explained by evidence or theories for confirmation. For it is a system of signification that brings about the occurrence of semantic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