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tudies on Fungal Lipids Containing γ - Linolenic Acid - 1. Fatty Acid Composition of Mucor sp.

        송근섭(Geun-Seoup Song),김충기(Choong-Ki Kim),권용주(Yong-Ju Kwon),양희천(Hee-Cheon Yang),이태규(Tae-Ky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9 No.6

        감마-리놀렌산 생산능이 있는 새로운 곰팡이 균주를 탐색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감마-리놀렌산 생산능이 있는 3개의 곰팡이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를 진탕 배양을 행하여 균체성장, 지질생성량 및 지방산조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3가지 균주중에서 FA-007 균주성장도 양호하였고, 지질함량이 건조균체중 21.1%, 감마-리놀렌산 함량이 총지방산중 15.6%로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 균주는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Mucor sp.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지질은 중성지질이 75.2%, 당지질이 5.3% 및 인지질이 19.5%로 구성되어 있었고, 중성지질과 인지질에서의 감마-리놀렌산 함량은 각각 15.5% 및 18.3%를 차지하였다. For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y-linolenic acid(GLA) by fungi, 3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il. Their cell growth,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compared in shake flask culture. Among these fungi, the fungus, designated as FA-007, has high lipid content(21.1%) and GLA content(15.6% of total fatty acids). The fungal strain FA-007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Mucor sp.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ungal oil produced by this fungus was composed of 75.2% neutral lipid, 5.3% glycolipid and 19.5% phospholipid. Although the GLA content in phospholipid was higher than it in neutral lipid, the GLA content in neutral lipid was high as 15.5%.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미나리(Oenanthe stolonifera DC.)의 향기성분

        송근섭(Geun-Seoup Song),권용주(Yong-Ju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9 No.4

        미나리(Oenanthe stolonifera DC)의 향기성분을 상압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한 결과 63가지 성분이 분리되었고, 그중에서 탄화수소류 20종(61.94%), alcohol류 9종(8.76%), ester류 1종(1.34%), aldehyde류 1종(2.29%), ketone류 3종(11.52%) 및 miscellaneous 5종 (2.35%) 등 39가지 성분을 동정하였다. 미나리 향기성분은 주로 탄화수소류(61.94%)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성분은 limonene(12.12%), pulegone(9.48%), germacrene D(8.34%) 및 β-pinene(7.68%)등이었다. The volatile fraction of Oenanthe stolonifera DC. was extracted by a steam distillation under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63 volatile components. Among them 39 components identified were composed of 20 hydrocarbons (61.94%), 9 alcohols(8.76%), 3 ketones(11.52%), 1 ester(1.34%), 1 aldehyde(2.29%) and 5 miscellaneous(2.35%).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Oenanthe stolonifera DC. were limonene(12.12%), pulegone(9.48%), germacrene D(8.34%) and α-pinene(7.68%).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강남콩(phaseolus vulgaris L.)의 지방질 성분

        권용주,엄태붕,송근섭,김충기,이태규,양희천,Kwon, Yong-Ju,Uhm, Tai-Boong,Song, Geun-Seoup,Kim, Choong-Ki,Lee, Tae-Kyoo,Yang, Hee-Cheon 한국식품과학회 198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9 No.6

        강남콩의 지방질을 chloroform-methanol-water (1:2:0.8, v/v)의 용매로 추출하고 이를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로 분획한 다음 이들의 지방질 조성과 지방산 조성을 TLC, GLC에 의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강남콩의 총지방질 함량은 1.9%이었으며 이중 중성지방질은 48.2%. 당지방질은 7.5%, 인지방질은 44.3%이었다. triglyceride는 중성지방질중 64.6% 함유된 주성분이었으며 가장 함량이 높은 인지방질과 당지방질로서 phosphatidyl choline은 인지방질중 32.9%, esterified steryl glycoside는 당지방질중 38.8% 함유되어 있었다. 강남콩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nic, linoleic, oleic, palmitic acid이었으며 특히 linolenic acid는 그 함량이 높아 총지방질의 경우 37.1%, 중성지방질의 경우 50.4% 함유되어 있었다. Lipids of kidney bean were extracted by the mixture of chloroform-methanol-water (1:2:0.8 v/v), fractionated into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by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 composition of these lipid classes were determined by TLC and GLC. The lipid content of kidney bean was 1.9%, and the lipid was consisted of 48.3% neutral lipids. 7.5% glycolipids and 44.2% phospholipids. Triglyceride was the major component of neutral lipids (64.6%). The major glycolipid and phosphlolipid were esterified steryl glycoside (38.3%) and phosphatidyl choline (32.9%). The major fatty acids of kidney bean lipid were linolenic, linoleic, palmitic and oleic acid. Linolenic acid contents were very high to be 37.1% in total lipid and 50.5% in neutral lipid.

      • KCI등재

        적미 미강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전현일(Hyun-Il Jeon),송근섭(Geun-Seoup Song),김영수(Young-So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1

        적미 미강의 항산화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적미 미강 40% acetone 추출물을 용매 분획과 Sephadex LH-20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단계별 항산화 물질의 수율,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phenolic acid 조성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용매 분획물 중에서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의 EC50 값은 대조구(BHT)보다 DPPH radical assay가 약 2.1배, ABTS radical assay가 약 2.5배, 그리고 환원력이 2.6배 낮게 나타났다. 적미 미강 ethyl acetate 분획물을 Sephadex LH-20 chromatography로 분리한 subfraction 중에서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ubfraction 2에서 가장 높았으며, subfraction 2의 EC50 값은 대조구보다 DPPH radical assay에서 약 3.3배, ABTS radical assay에서 약 1.3배, 그리고 환원력에서 약 2.6배 낮게 나타나 subfraction 중에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적미 미강 40% acetone 추출물의 phenolic acid 조성은 61%의 hydroxylcinnamic acids와 39%의 hydrobenzoic acids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과 subfraction 2의 주된 phenolic acid 성분은 ferulic acid였다. 결론적으로 적미 미강은 천연항산화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분리과정 중의 항산화 활성의 증가는 강력한 활성 물질인 ferulic acid의 증가 때문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actions and subfractions of red rice bran. Among various solvent fractions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s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Compared with those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the EC50 value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red rice bran were approximately 2.1 times higher for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pproximately 2.5 times higher for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pproximately 2.6 times higher for reducing power. Among the various subfractions obtain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red rice bran, subfraction 2 had the highest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contents. Compared with those of BHT, the EC50 values of subfraction 2 were approximately 3.3 times higher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pproximately 1.3 times higher for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pproximately 2.6 times higher for reducing power. The phenolic acids in the 40% acetone extract included 61% hydroxylcinnamic acids and 39% hydrobenzoic acids. Ferulic acid was the major phenolic acid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in subfraction 2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red rice bran. Thus, red rice bran showed significant potential as a natural antioxidant.

      • SCOPUSKCI등재
      • 마 첨가 된장의 품질특성

        전현일 ( Hyun Il Jun ),송근섭 ( Geun Seoup Song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3 No.2

        마를 첨가한 된장의 이화학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발효초기에 생마 첨가 된장 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마분말 첨가 된장은 낮게 나타났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발효 80일 경과 후 생마 첨가된장에서는 대조구와 마 분말 첨가 된장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탄수화물은 발효 20일까지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미생물 생육에서 세균 수는 발효 기간 동안 아주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효모는 발효 40일 경과 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태낸 후 감소하여 60일 경과 후에는 일정하게 유지 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에서는 생마 3% 첨가 된장을 제외하고는 마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평점을 받았다. 향에서는 마 첨가 형태 및 첨가량과 상관성이 없었으며 맛에서는 마 분말 첨가 된장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생마 첨가 된장은 대조구보다 낮았다. 종합적 기호도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마분말 3% 된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xamine sensory evaluation of soybean paste (Doenjang) to which fresh yam and yam powder were added. Samples were prepared from Doenjang fermented for more than 6 months and examined for 80 days at 25℃. Fresh yam was added to 3%, 6% and 9%, and yam powder was added to 1%, 3% and 5%, respectively. Moisture and amino nitrogen contents were found to increase steadily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in all the samples. Amino nitrogen content of fresh yam-added, yam powder-added and the control Doenjang at 80 days was 529~535 mg%, 567~587 mg%, and 526 mg%, respectively.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was decreased greatly for the first 20 days and then retained constantly in all the samples. Bacteria count was very slight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Meanwhile, the highest yeast count was shown at 40 days of fermentation. In sensory evaluation, flavor of Doenjang did not have correlation with types of yam added. In regard to taste, 1% and 3% yam powder-added Doenjang were more preferred to the panel. In evaluation of overall acceptance, 3% yam powder-added Doenjang was most accep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