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제 강점기하의 한국내의 쟁의행위와 재일한국인 쟁의행위 비교

        송강식 한국법사학회 2007 法史學硏究 Vol.35 No.-

        일제 강점기의 노동쟁의 또는 쟁의행위는 어떠한 목적과 수단으로 행하여졌는가. 한국내의 쟁의행위와 재일 한국인 근로자에 의한 쟁의행위와의 사이에 그 목적이나 수단에 있어서 차이는 있었는가. 일제강점기하의 노동분쟁에 대한 적용 법령이 한국 내의 근로자와 재일 한국인 근로자 사이에 차이가 있었는가. 본고는 노동법적인 관점에서 이들 문제들에 대한 고찰로서 국내에서도 시론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필자로서도 일제강점하의 노동법제 및 노동운동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연구한 것인데, 그 결론적인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먼저, 공통적인 점으로, 한국에서의 파업과 일본 내에서의 쟁의행위 사이에 그 목적 및 수단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 한국인 근로자와 일본인 근로자와의 사이에 임금차별이 상존하고 있었다는 것, 쟁의행위의 해결에 있어서 노동기본권적 측면이 아닌 일반사회질서유지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즉 일본 내에서든 한국에서든 쟁의행위에 대하여 거의 예외 없이 경찰권력이 개입하고 있고, 모순되게도 그 해결의 주역도 경찰이 담당한 경우가 많이 있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다른 점을 보면, 재일 한국인 근로자들은 일본 내에서 생활하고 있었기 때문에 법의 적용면에서 한국인 근로자와 다른 면이 있었다는 것, 민족적 이질감과 근로자로서의 연대에 있어서의 차이, 재일 한국인 근로자들은 쟁의행위와 관련하여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한국으로 送國되는 경우가 있었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끝으로, 한국에서의 근로자와 일본 내의 한국인 근로자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 외에도, 크로즈드 숍 협정 요구, 보이콧, 연대파업, 파업해결금 지급, 파업해결과 함께 단행된 파업지도자 석방, 남녀차별금지, 민족적 차별금지 등, 오늘날의 쟁의행위 이론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는 것이다. [주제어] 일제강점, 경찰력, 쟁의행위, 재일한국인, 근로조건, 민족차별, 남녀차별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감각처리특성과의 상관관계

        박영주,송강식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5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감각처리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부터 2015년 6월까지 문제음주와 감각처리특성 검사를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형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와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문제음주와 감각처리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감각처리특성에서 문제음주의 유무에 따른 대상자 집단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문제음주 군에서 한국형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점수와 감각예민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문제음주는 감각처리특성 중 감각예민과 낮은 상관성이 있었다. 대학생의 문제음주를 치료하기 위해 그들의 감각처리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평가방법과 치료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s in college students. Methods : From April to June in 2015, mentally healthy 162 college students were completed the questionnaire for problem drinking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s. Both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nd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Korean were used as measurements for correlation. Results : Depends on the existence of the problem drinking,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sensory processing features. In group of problem drinking, the result indicat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r=.195). Conclusion : Problem drinking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nsory sensitivity. Therapists should understand the features of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 drinking. It would be desirable to develop a prope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se people.

      • KCI등재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이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김민수(Min-Soo Kim),신정욱(Jung-Uk Shin),이영렬(Young-Ryeol Lee),이연우(Yeon-Woo Lee),정경애(Kyung-Ae Jung),정둘남(Dool-Nam Jung),박미리(Mi-Ri Park),송강식(Gang-Sik Song),서상수(Sang Soo Seo)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6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7 No.3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effect of a school-base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the emotional regul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assess the plan for effective school-based mental health services. Methods: The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promotion team of Bugok National Hospital conducted school-based social skills training (N=90, 7 session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valuation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using a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a cohesiveness questionnaire, the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a self-esteem scale, and the Novaco anger scale, in order to identify any changes. Results: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increased the prosocial behavior and cohesiveness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decreased their alexithymic tendency and degree of anger, but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ir self-esteem. Conclusion: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positively influences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level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emotional regulation program based on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results in school-based mental health services. Future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validate the long term effects of this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