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가족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의례 기반 컨설팅 연구

        손환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2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가족의 가족건강성 증진을 지원하기 위하여 액션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의례 기반 가족 컨설팅을 실시하고, 유아기 자녀를 둔 가족의 의례 활성화 과정을 이해하며 가족건강성의 향상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P시에 살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두 가족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15일부터 2020년 9월 17일까지, 2023년 1월 28일부터 2023년 5월 12일까지 가족별로 각각 12회기의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컨설팅은 액션러닝 절차에 따라 부모가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어 가족의 문제 진단 -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 - 실행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혼합방법연구 설계에 기초하여 질적 자료와 함께 가족건강성에 관한 양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의 의례 활성화 지원 컨설팅 과정에서 우선, 가족의 문제 발견 및 공유로 유아의 부적응 행동, 부모 공동양육에 대한 동상이몽, 부모의 ‘자기 찾기’와 ‘양육자로서의 삶 찾기’의 딜레마, ‘가족의 시간’에 대한 현실과 이상 간의 괴리와 같은 범주로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가족의 의례 활성화 지원 컨설팅을 통해 가족의 아침 의례, 식사 의례, 취침 의례, 양육파트너로서 부모 간 상호작용 의례, 주말 의례에 대해 컨설팅을 통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컨설팅을 받은 실험집단은 가족의 전체적 건강성과 가족구성원 간의 유대, 의사소통, 가족의 가치체계 공유 등의 하위요인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향상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가족의 건강성 증진을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의례에 기반한 가족 컨설팅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유아기 자녀를 둔 가정의 욕실(bathroom) 공간에 대한 가족 심리적 의미

        손환희,정계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가정의 욕실에서 나타난 유아와 부모의 행위와 상호작용을 살펴보며 유아와 그 가족이 드러내는 고유한 생활세계와 욕실이라는 공간이 갖는 특징과 의미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와 K지역의 유아기 자녀를 둔 여섯 가정을 연구 현장으로 선정하여 저녁시간대를 중심으로 대략 7개월간 관찰하였고, 연구자의 현장노트, 비디오 및 사진 자료 등을 수집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욕실은 유아가 몸의 접촉을 통해 부모의 눈길과 손길의 돌봄을 느끼는 정서적 공간으로, 둘째, 씻는 행위 속에서 부모와 유아 간에 하루의 일과를 공유하며 유아를 씻기는 돌봄과 관련하여 부부간 역할 분담과 소통을 통해 가족의 유대와 질서가 깃든 의례의 공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몸의 청결에 대한 규칙이나 행위 패턴을 생성하고 변형하면서 부모와 유아 간의 대립과 조정이 역동적으로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넷째, 유아에게 욕실은 그 본래의 기능에서 탈피하여 집안 내에서 규제된 행위를 즐기며 자유와 해방감을 느끼는 일탈을 통해 자신의 행위적 주체(agency)를 회복하는 놀이 공간이었다. 이와 같이 유아기자녀를 둔 가정의 욕실은 유아와 그 가족의 정체성과 생활세계가 펼쳐지는 공간으로서 다양한 가족 심리적 의미를 드러내고 있었다. 이 연구는 유아와 그 가족의 역동적인 일상을 공간적 측면에서 살핀 연구가 매우 드물다는 측면에서 유아와 가족의 심리적 삶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관련 연구를 촉진하는데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이 민주시민교육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

        손환희(Son, Hwan-Hee),노진형(Noh, Jin-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민주시민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 유아교사의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총 275명을 대상으로 시민의식 척도와 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척도, 민주시민교육 실행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시민의식, 첫째,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과 민주시민교육 실행도를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재, 유아교사의 시민의식은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과는 .52~.56, 민주시민교육 실행 요인과는 .33~.42, 그리고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과 민주시민교육 실행 요인 간에는 .34~.57 범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민주시민교육 실행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의 설명력은 33%이며, 특히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 중에서 동반자 역할 수행을 위한 심리적 하위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교사의 민주시민교육 역량 증진을 위해 교사가 갖는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하는 교사의 실천행동이 중요함을 알게 해주었으며, 구성원 간의 따뜻하고 긍정적인 관계가 강조되는 교육공동체 구축을 지원하는 교사 민주시민교육 및 유아교육기관 컨설팅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and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on implemen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275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scales for checking three factor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eachers tended to perceive three factors at a higher level than normal. Second, the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of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actor of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mplement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implement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natory power of teachers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and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on the degre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mplementation was 33%.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sub-factors for the performance of the partner role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factors for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is, implications were provided o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each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consulting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the teacher s capacity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손환희 ( Hwan Hee Son ),정계숙 ( Kai Sook Ch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와 교사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교사변인 및 유아교육기관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192명이었으며 이들에게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척도와 대인간 의사소통 수준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이용하여 F 검증, t-검증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 경력에 따라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의 대인간 의사소통 수준은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셋째,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 유치원 교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직전 및 현직 교사교육 및 기관의 지원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with parent-teacher communication perceived by preschool teachers, analyze differences in the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earch for efficient communication plans to increase the quality of parent-teacher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One hundred ninety two pre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to answer 2 scales, and those were Parent-teacher Communication Difficulties Scale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ventor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14.0 program, ANOVA, t-test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difficulty with parent-teacher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pre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ir career. Secondly, the teacher`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level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perceived difficulties with parent-teacher communication.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teachers working for private institutions showed higher difficulties with parent-teacher communication than the teachers of public institutions.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support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마을공동체 문화에서 행위주체자로서 부모됨의 경험과 의미 : 귀농한 유·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손환희(Hwan-Hee Son),양혜련(Hye-Ryeon Yang)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귀농한 유‧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경험을 통해 마을공동체 내에서 행위주체자로서의 부모됨의 의미를 탐색하여 아이가 성장해 나가는 삶의 터전과 공동체에 대해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로서 지향해야 할 삶과 양육의 가치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귀농한 유‧아동기 자녀를 둔 학부모 두 쌍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분석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주제별 기술적 분석(thematic descriptive analysis)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마을공동체와 함께 자녀 양육하기’, 둘째, ‘농촌교육에서 주체적 역할 담당하기’, 셋째, ‘자연에서의 육아 예술 향유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의 공동체 문화 속에서 마을에 소속되기 위한 부모의 중재자로서의 역할과 상호 협력적 관계에 대한 성찰, 농촌의 인구절벽 문제와 맞물린 교육 현실에서 적극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부모의 준비, 자연과 자녀 사이에서의 적절한 부모 역할을 찾기 위한 미적교육의 중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의 마을공동체 문화에서 자녀 양육 및 교육의 행위주체자로서의 부모 역할과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부모와 자녀가 희망하는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하나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being a parent as an agent in the village community through the experiences of parents who have young children and returned to farming,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value of life and nurturing that should be pursued as a parent. To do thi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o pairs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ho returned to Mungyeong and Sangju, Gyeongsangbuk-do, and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n analytical induct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rst, raising as a child of the village community’, Second, ‘to play a subjective role in education’ consisting of subcategories such as ‘to stand as the subject in rural life’ and ‘to respond to educational difficulties’, Third, enjoy parenting art in nature composed of subcategories such as enjoying the power from nature and finding the role of parents between nature and children . Focusing on these results, the role and meaning of parents as an agent in child rearing and education were discussed through a new perspective and vision about the home of parents and children in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was proposed to build an educational community that parents wish for their children s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학교 중심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기반 요인 탐색: 혁신학교 교사면담을 중심으로

        손환희 ( Son¸ Hwan-hee ),정계숙 ( Chung¸ Kai Sook ),박수홍 ( Park¸ Su-h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4

        본 연구는 학교가 교육공동체를 실현할 때 학생, 교사, 학부모 등 학교의 주체들이 공유해야 할 교육의 비전과 가치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혁신학교에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교육공동체형성에 노력한 경험을 가진 서울, 인천, 경기, 부산 지역의 초·중등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여 학교 변화의 핵심 주체인 교사들이 경험한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기반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점집단면담 자료를 연구자들이 반복적으로 읽고 분석한 결과, 2개 범주의 기반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의 기반 요인은 따뜻한 환대와 어울림의 문화, 갈등과 문제를 다루는 방식에 대한 접근, 임파워링 리더십과 교사의 팔로워십, 공동체성 기반 민주적 소통 실천 등의 하위 가치를 포함한 공동체 관계성에 기반한 민주적 문화이었다. 두 번째의 기반 요인은 교육의 본질과 학교다움에 대한 민감성 갖기, 학교의 행위 주체자(agent)로 살기, 학부모를 교육 주체로 바라보기,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한 확장된 시선 갖기 등의 하위 가치로 구현되는 교사의 주체성에 기반한 교육 비전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교육공동체로 학교를 혁신해가는 데 있어 교사가 추구해야 할 가치와 실천적 비전요인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논의함으로써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to support the values and practices of education that school members must share when realizing an educational community. Accordingl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16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Busan, who had the experience of actively participating in innovative schools to build an educational community. The underlying factor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experienced by teachers who are the key agent of school change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data, the main underlying values of two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irst factor was a democratic culture based on community relations, including sub-values such as a culture of warm hospitality and harmony, approaches to dealing with conflicts and problems, empowering leadership and teacher’s followership, and democratic communication practices based on community. The second underlying factor was an educational vision based on teacher’s subjectivity that implemented as sub-values, such as having sensitivity to the essence of education and school-likeness, living as an agent of the school, seeing parents a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having an expanded view of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information by presenting and discussing the values and practices that teachers should pursue in transforming schools into an educational community.

      • KCI등재

        학령 후기 아동이 지각한 친구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통합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학교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환희(Son, Hwan-Hee),이동형(Lee, Dong-Hyung),김지연(Kim, J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학령 후기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의 관계에서 학교풍토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 소재 6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아동 734명을 대상으로 친구 및 교사의 사회적지지, 통합적 안녕감 및 학교풍토에 대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 학교풍토, 통합점 관점의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와 교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는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 및 그 하위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설명력은 통합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 정서적 안녕감 순이었다. 또한 교사보다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안녕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령 후기 아동의 친구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 사이에서 학교풍토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교육공동체의 주체로서 아동의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해 따뜻한 돌봄과 배움의 교육공동체를 구현하는 학교풍토 조성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omprehensive well-being of late school age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34 children in the 5th and 6th grades attending 6 elementary schools in Busan, Ulsan, and Gyeonggi-do. They answered questions from three rating scal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examined through Pearson 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ditionally,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bootstrapping techniques for testing multiple mediators by Hayes’s Process macro for SPSS 25.0.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ocial support, school climate, and comprehensive well-being of late school age childre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lanatory power that social support influences on integrated well-being and its sub-factors,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integrated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Third, school climat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from friends/teacher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As a result of conducting mediation analysi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hildren s comprehensive well-being through school climat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for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to form a positive school cli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