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체육수업의 체계적 문헌 분석을 통한 학교체육수업 운영 방안 탐색

        손혁준 ( Son¸ Hyukjun ) 한국체육학회 2022 한국체육학회지 Vol.6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학교 체육교과 수업에 관한 개별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체육수업의 현재를 진단하고 학교 체육수업의 새로운 발전 방향 및 수업 운영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체계적 문헌 분석의 연구 프로토콜에 따라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된 학술지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목적에 적합한 선정과 배제 준거기준을 마련하고, 3단계의 선별 과정을 통해 분석대상 연구물을 선정(n=16)하였다. 이를 테크놀로지교수내용지식(TPACK)의 이론적 프레임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체육교사들의 온라인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온라인 체육수업 운영 양상을 토대로 온라인 체육수업의 새로운 운영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체육교사들은 온라인 체육수업을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이는 ‘온라인 체육수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테크놀로지 지식의 부족, 학생의 학습점검 및 상호작용 전략 부재’에 기인하였다. 코로나19 이후 운영된 온라인 체육수업의 유형별 운영 방법과 장단점을 분석하였고, 구체적인 수업의 내용과 평가 방법에 대하여 진단하였다. 이를 통하여 온라인 환경과 대면수업의 오프라인 환경 사이를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온라인 체육수업의 새로운 운영 모형으로서, ‘실내 움직임 기록형, 야외 운동 공유형, 가상 활동 공존형’의 ‘온라인 체육수업 2.0’을 제안하고, 학교 교육환경과 교사의 테크놀로지지식수준 등에 따라 선택하여 활용하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PE classes after Covid-19 and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online PE classes for exploring futur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tocol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KCI(Korea Citation Index) and selected(n=16)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selected studies was analyzed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which was developed through Koehler & Mishra’s (2009) TPACK and proposed new online PE classes model. The findings were categorized into: a) PE teachers had difficulty with online PE classes, b) online PE teaching types have the strengths and weakness, c) online PE classes’s contents evaluation methods. Firstly, PE teachers had difficulty due to ‘negative perceptions of online PE classes, lack of technology knowledge, and lack of student learning check and interaction strategies’. The online PE teaching types have the strengths and weakness, and PE classes consisted of individule activities and using simple tools. PE teachers had various types of evaluation tools according to the online platform, class type, and the teacher’s technological knowledge level. Based on this we discussed ‘Online PE class 2.0’ of ‘indoor movement recording type, outdoor exercise sharing type, virtual activity coexistence type’ as a new online PE model of online-offline dual instruction. This model was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choo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level of technological knowledge of teachers.

      • KCI우수등재

        중등 체육교사의 온라인 체육수업 지도양상과 영향 요인 탐색

        손혁준 ( Son Hyukjun ),이옥선 ( Lee Okseon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체육수업의 지도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등 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코로나19 이후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체육수업 지도 양상, 전문성 개발활동의 참여 경험, 온라인 체육수업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체육수업을 지도하는 교사들은 수업자료 제작의 주체와 방법, 학습 내용의 선정, 자료 제작과정에서의 경험 등에 따라 ‘은둔의 링크형, 모방적 재구성형, 자기과시적 제작형, 독립적 혁신형, 협력적 개발형’의 5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체육교사들의 수업지도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신념과 지식수준, 학교의 문화와 전문성 개발 환경, 학생의 반응과 참여’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체육수업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하여 교수내용지식(PCK)과 테크놀로지지식(TK)의 복합적 운영을 위한 지식 체제 통찰의 필요성, 비대면 원격 환경에서 교사의 협력적인 노력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의 필요성, 학생의 능동적 교육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condary PE teachers’ online PE teaching styl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ing styles.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ir perceptions on online PE classes, features of online PE implementation. Their experienc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online PE classes. Findings revealed five types of online PE teaching styles: ‘hidden linkage type, mimicking reconstruction type, ostentatious production type, independent innovation type, cooperative production type’ depending on who is producing class materials, what the PE contents are, and what methods and materials are created. Second, factors affecting the aspects of PE teachers’ teaching sty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 belief on online classes and level of knowledge, b) school culture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 student response and participation. Based on this we discussed the need to develop insight into a new knowledge system in order to combin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echnology knowledge (TK) for effective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creating an environment to support the cooperative efforts for teachers,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system to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 KCI등재

        초등 교육실습 협력교사의 체육 실습 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제

        손혁준(Hyukjun S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육실습 협력교사의 체육수업 실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들의 인식이 실제 교육실습에서 체육수업지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실습 협력교사(n=85)를 대상으로 온라인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담(n=10)을 실시하여, 협력교사의 체육수업 지도 전문성, 교육실습에서 체육수업 지도의 어려움과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협력교사들은 체육실습 지도를 위한 수업 전문성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초등 체육의 복합적인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한 채 강점과 보완점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협력교사들은 교육실습에서 체육수업을 초등 11개 교과 중 두 번째로 지도가 어려운 교과(21.2%)이면서 다섯 번째로 지도가 용이한 교과(12.9%)로 인식하고 있었다. 체육 실습 지도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는 ‘체육교과특성, 실습생, 협력교사, 교육환경’의 4가지 주요요인과 12개의 하위 요소들이 나타났으며, 실습 지도를 용이하게 하는 요인으로는 ‘협력교사, 실습 시스템, 체육교과특성, 실습생’의 4가지 주요요인과 11개의 하위 요소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협력교사의 역할과 지도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는 ‘경험 중심의 스토리 나열하기, 평가자로서 실습생과 거리두기,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자리 내어주기, 체육수업에서 즐거움 찾기’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협력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전문성의 내용과 수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협력교사의 실습 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지원 필요성, 놀이와 즐거움에 경도된 체육 수업실습의 문제점, 전체 학교의 문화로서 실습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원들의 인식 전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cooperating teachers" perceptions on physical education(PE) teaching practice and to explore how their perceptions affect PE class. To do this, open online questionnaires (n=85) and in-depth interviews (n = 10) were conducted with teaching practices" difficulty and possibility, PE teaching professiona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operating teachers were generally positively aware of their knowledge and performance expertise for PE teaching practice, but problems were found in their expertise to effectively reflect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PE. The PE class was recognized as the second most difficult subject (21.2%) and the fifth most easily guided subject (12.9%).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teach PE teaching practice was 4 major factors and 12 sub-factors of "PE characteristics, student teachers, cooperating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facilitating practical instruction was 4 major factors and 11 sub-factors of "cooperating teachers, teaching practice system, PE characteristics, student teachers". This perception was also having an influence on the role and guidance behavior of the cooperating teachers, and it was ‘experience centered storyteller, distancing from student teacher as evaluators, giving teachers a seat in PE classes, and finding pleasure in PE class". Based on this, we discussed the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tent and level of professionality recognized by cooperat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problems of PE teaching practice focused on play and enjoyment, Change the perception of members to support practice as a whole school culture.

      • KCI등재

        중등 체육교사의 자발적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형태 및 특성

        이옥선(Okseon Lee),손혁준(Hyukjun Son),최의창(Euichang Choi),이원희(Wonhee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체육교사들의 공식적 연수 이외 자발적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참여 형태와 특성을 분석하고 공식적 연수 이외 전문성 개발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등 체육교사(n=251)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심층면담(n=20)을 실시하여 자발적 전문성 개발활동의 참여 형태, 기간, 방법 및 교사와 학생에의 효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251명의 교사로부터 총 7가지 유형의 자발적 전문성 개발 활동이 보고되었으며, 독서(22.1%), 웹사이트 검색(21.6%), 교사학습공동체(20.1%), 장학(18.2%), 대학원(7.6%), 학회(5%), 연구대회 참가(4.3%), 기타(1.1%)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들이 인식하는 효과는 웹사이트(3.27/4.00)와 학습공동체 참여 (3.24/4.00)에서 높게나타났다. 자발적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참여 동기는 교수·학습능력 향상, 수업 고민의 공유와 해결, 인적 네트워크의 확장, 동료교사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획득과 같이 공식적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참여 동기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체육 교사들은 즉각적 문제해결, 언제, 어디서든 배울 수 있는 경험을 자발적 전문성 개발활동의 특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자발적 전문성 개발 활동이 극복해야 할 과제로는 증거기반(evidence-based)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외적 지원 필요, 즉각적 필요를 넘어서는 장기적인 안목의 형성, 교사를 전문성 개발의 적극적 주체자로 인정하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ther than the formal teacher training courses of secondary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and to explore ways to enhance the educational valu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o do this, online questionnaires (n=251) and in-depth interviews (n = 20) were conducted with secondary PE teachers to collect data on the types, duration, and effec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 types of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y were reported from 251 teachers; reading (22.1%), web site search (21.6%), teacher learning community (20.1%), supervision (18.2%), graduate school (7.6%), conference (5%), participation in research competition (4.3%) and others (1.1%). On the other hand, teachers" satisfaction were higher in the order of website (3.27 / 4.00)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3.24 / 4.00).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formal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such as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skills and knowledge, sharing concerns, extending human networks, and obtaining emotional support from colleagu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value of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in obtaining immediate solution for problems and learning anytime, anywhere. In order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values of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re should be external support that can provide evidence-based materials, establishing long-term developmental goals beyond satisfying immediate needs of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s active agen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