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의 무속

        손태도(Son Taedo)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7

        조선 후기는 사회 전반적으로 유교 문화가 자리잡은 시대였다. 그러나 고려말에 시작된 무포세(巫布稅)가 1895년까지 시행됨으로 인해 무속은 유지될 수 있는 기본적 조건을 확보하였고, 이러한 기본적 조건을 넘어 조선 후기에도 무속은 종교, 철학, 의례, 예술 여러 면들에서 발전하였다. 조선 후기의 무속을 무당과 무속 의례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조선 후기 무당에게 있어 주목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궁궐을 담당하는 국무(國巫)와 지방 관아를 담당하는 아무(衙巫)가 여전히 있었다. 둘째, 서울의 무당들이 한강 밖으로 쫓겨났다. 셋째, 군문(軍門)의 취고수 계통 악공들이 생겨나 세습적 악공이 되는 무부들이 더 많아졌고 이로 인해 세습무적 방식이 더욱 확대되었다. 넷째, 중앙의 광대 문화를 전라도 광대들이 주도하게 되자 전라도의 무부들이 굿판을 많이 떠나게 되었다. 조선 후기 무속 의례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을굿이 여전히 지속되었다. 둘째, 유교적 동제의 정착으로 전래의 마을굿은 ‘별신굿’이란 이름으로 이뤄졌다. 셋째, 불교가 서민화됨으로 인해 불교적 요소가 무속으로 많이 들어오게 되었다. 넷째, 두레의 발달로 전라도 내륙쪽은 마을 단위의 농악과 줄다리기를 많이 하게 되자 마을굿을 점차 하지 않게 되었다. 다섯째, 전대에 비해 무속 신앙이 더욱 약화되었기에 무속의 세속화는 더욱 심해졌다. 여섯째, 상업이 발달하자 시장에서의 별신굿이 성립되었다. 이러한 사정들 속에 조선 후기의 무속은 오늘날 무속이 주요한 전통 문화의 하나가 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The society of Joseon in the latter period was the one of the Confucianism. But there was mupo-se (무포세. shaman tax) that started at Koreo dynasty and ended at 1895. So musog was possible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Beyond being, Musog developed it’s elements very much in the fields of religion, philosophy, ritual and arts. I studied the Musog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rough the conditions of shaman and shaman ritual. The important conditions of shaman were next; 1. The shaman of nation and local government were still being. 2. The shamans of Seoul was driven away to the south of Han-river. 3. New military bands was formed by the men of shaman family in the south of Han-river. So the number of official musician that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as magnified. That expanded the Seseup-mu style (shaman that is made by shaman family) in the south of Han-river. 4. The Kwangdae (광대. an official and hereditary entertainer in Korea) of Jeolla-do became important in Seoul. So many men of the shaman families in the Jeolla-do became Kwangdaes out of shaman ritual place. The conditions of shaman ritual were next; 1. A region shaman ritual was sustained. 2. A village shaman ritual was made in the name of Byeolsin-je (별신제. special religious ceremonies) because Dong-je (동제. Confucious religious ceremonies at a village) was settled firmly. 3. Buddhism became the religion of common people. Shaman ritual should accept many Buddhistic aspects because its major customer was common people. It always had adjusted to customer’s culture. 4. The villagers of the inside of Jeolla-do performed Nong-ag (농악. instrumental music of peasants) and a tug of wars every year by development of Dure (두레. cooperation labor; almost all villagers participated). Therefore they became dispensable with a village shaman ritual. They satisfied with their Nong-ag and a tug of wars. 5. Shaman ritual became more entertaining because people’s religious mind for shaman ritual had became more fainted. 6. Byeolsin-gut (별신굿. special shaman ritual) was made at market by development of commerce. By the experience these conditions, today’s shaman rituals become very important traditional culture asse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통사회 화극(話劇), 재담소리, 실창판소리에 대한 시각

        손태도 ( Son Tae Do )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39 No.-

        판소리는 조선 후기에 성립된 광대의 공연물의 하나다. 그러므로 판소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판소리 이전의 공연물들, 이를테면 화극(話劇), 재담소리에 대한 시각도 갖춰야 한다. 특히 판소리를 <배비장타령>, <강릉매화타령>, <장끼타령>, <옹고집타령>, <무숙이타령>, <변강쇠타령>, <가짜신선타령> 등의 실창 7가와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부가>, <적벽가> 등 전창 5가로 나눌 경우, 실창 7가들은 판소리보다 먼저 있었던 재담소리와 더 가까운 면이 있다.화극은 한 명의 광대가 중심이 되어 간단한 재담과 흉내내기로 하는 이른바 1인 소극(笑劇)이다. 화극은 대궐 안에서만 살아 대궐 밖의 일을 잘 모르는 임금을 위해 광대가 대궐 밖의 여러 일들을 연극으로 꾸며 보여주어 임금에게 정치적 도움을 주고자 했던 동아시아 국가들의 전통에서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한(漢)나라(B.C. 202~A.D. 220) 때 이미 그 전통이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고려시대부터 이뤄졌다. 화극은 간단한 연극 형태이지만 임금 앞에서 한다는 것으로 인해 오랫동안 광대의 주요 공연물이 되었다. 그러나 인조 4년(1634) 화극을 공연하던 가장 주된 행사인 궁궐의 연말 나례희(儺禮戱)가 폐지되자 급격히 쇠퇴했다.재담소리는 인조 4년 이후 광대들이 화극을 더 이상 주된 공연물로 할 필요가 없게 되자, 광대의 흥행 수단인 재담과 소리 중 종래의 화극 곧 재담극에 소리도 곁들여 부상시킨 광대의 공연물로 판소리 이전에 한때 이러한 재담소리 시대가 있었다. 이러한 재담소리는 순전히 관객을 웃기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그러한 작품들 속에서도 그 주인공에게 긍정적 요소도 있고 당시대의 주요 내용들도 다루어 사람들이 노래와 같은 공동의 방식으로 공동으로 지속적으로 향유할 만한 작품들은 서사시 곧 광대서사시가 되어 이후 판소리로 발전한다. 이 과정에서는 무부·악공·광대로 무당과 함께 무당서사시인 서사무가 문화를 오랫동안 공유해온 경기이남의 광대집단인 화랑이집단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반면 악공·광대로 무속과 관계가 없던 경기이북의 광대집단인 경기이북의 재인촌 사람들은 종래의 재담소리들을 이후에도 계속 부르게 된다. 오늘날까지도 전승되는 <배뱅이굿>, <장대장네굿> 같은 작품들이 그런 것들이다.실창판소리는 오늘날 남아있는 그 사설들을 보면 우리가 편의상 판소리라고 부르고 있지만 사실상 재담소리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배비장, 골생원, 장끼, 옹고집, 무숙이, 변강쇠 등 실창판소리의 주인공들은 모두 부정적 인물들로 풍자와 해학의 대상일 뿐이며, 그 줄거리나 전개방식도 골계일변도로 단지 웃기고자 하는 재담소리적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재담 계통의 공연물은 그 생명이 대체로 일회적이기에, 그러한 재담소리적 성격이 강한 실창판소리들이 전승이 끊어진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오늘날 우리들은 판소리를 연구할 때 대체로 판소리 하나만을 바라보며 하고 있다. 그러나 판소리는 조선 후기에 새로 성립된 광대의 공연물의 하나다. 이제는 판소리보다 먼저 있었던 광대의 공연물들인 화극, 재담소리 등도 고려하여 판소리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특히 실창판소리는 오늘날과 같이 판소리라는 시각에서보다는 오히려 재담소리란 시각에서 바라볼 때, 그 공연적, 문학적 작품성이 보다 제대로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Pansori is one of the Clown’s performances. It wa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Pansori, we should have perspective on the Hwageuk and Jaedamsori that were performed earlier than the Pansori. when we divide Pansori works into 5 Living-Pansoris, < Chunhyangga (춘향가) >, < Simcheongga (심청가) >, < Sugungga (수궁가) >, < Heungbuga (흥부가) >, and < Jeokbyeokga (적벽가) >, and 7 Lost-Pansoris, < Baebijang-taryeong (배비장타령) >, < Gangneung-maehwa-taryeong (강릉매화타령) >, < Jangkki-taryeong (장끼타령) >, < Onggojip-taryeong (옹고집타령) >, the later need to discuss with Jaedamsori that existed earlier than Pansori.Hwageuk is a sort of farce by one major Clown with jokes and funny mimics. This play was performed for the king that only lived in palace to introduce the affairs of the out of palace. It was already performed in Chinese Han (한, 漢) Dynasty (B.C. 202~A.D. 220). And it was widely spreaded at East Asian countries, especially confucian ones. In Korea, it was already taken place in Goryeo Dynasty. It was a very simple form play, but it had been a major performance of the Clown for a long time due to that it performed in front of the king. However, it rapidly declined, because Naraehui (나례희, 儺禮戱. a ceremony on the last day of the year) of the palace that was main stage for it abolished in the fourth year king In-jo (1634) in the Joseon Dynasty.When there was no need to maintain the Hwageuk as major performance, there was Jaedsamsori that was made from Hwageuk, so to speak Jaedamgeuk (재담극), to be added songs. There was Jaedamsori era before Pansori. This Jaedamsori placed its purpose for fun to the audience purely. However, even in such works, there were works developed to Pansoris, so to speak Clown’s epic songs. Because they dealt that day’s important affairs, and the main character of those works had a positive factor, so as result people continuously enjoyed them. In this process the Hwarangi (화랑이) group, the Clown of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played an important role. They were shaman’s husbands, musicians in the office, and Clowns. So they were sharing shaman’s epic songs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the Jaeinchon (재인촌) people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the Clown of he northern part of Gyeonggi only sustained the Jaedamsori like < Baebaengi-gut (배뱅이굿) > and < Jangdaejangnae-gut (장대장네굿) > that are sung until now. They had no relationship with shamans.If we look at the text of Lost-Pansori, we know that actually it is not Pansori but Jaedamsori. The hero of those works, Baebijang (배비장), Golsaengwon (골생원), Jangkki (장끼), Onggojip (옹고집), Musuki (무숙이) and Byeongangsoe (변강쇠), are all the persons of satire and humor with all the negative figures. And the story and the narrative methods also are fun themselves by using the method of Jaedamsori. As the life of the Jaedam (재담) related performance is a one-off, thus Lost-Pansori’s abolition is natural. Because it has a lot of elements of Jaedamsori.By this time, we researched the Pansori with solo perspective on the Pansori itself. But Pansori was one of the Clown's performances. Only it wa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now, we need to see Pansori with the relationship of Hwageuk and Jaedsamsori that existed before Pansori. Especially, in the case of Lost-Pansori, if we looked at it not in the perspective of Pansori but in the one of Jaedsamsori, its performatory and literary achieves could be more properly identified.

      • KCI등재

        세계 예술사에서 새로운 예술 세계를 연 판소리

        손태도 ( Tae Do Son ) 판소리학회 2002 판소리연구 Vol.14 No.-

        N/A P`ansori made possible new art area in the world art. So the art has cultural conditions that P`ansori has several conditions that are unusual in the world. First, there was Kwangdae group (광대 집단; an official and hereditary entertainer group in Korea) that had existed from at least the middle Koryeo dynasty to 1894. Second, Korea had Kwageoje (과거제; the official exam.) that wasn`t exist in Europe. Third, Seosa-muga (서사 무가; shamanic narrative poetry) existed in 18th. Kwangdaes had lived by only engaging folk art. Especially, they had participated the ceremony of Kwageo Keupcheja (과거 급제자; those who passed the official exam.) like Munheuiyeon (문희연; the banquet held in Keupcheja`s house) for a long period. So they could make P`ansori to act up to people`s desire in the performance art in 18th beyond the older rumorous performance like a Chaedam-sori (재담 소리; very humorous narrative songs). In this process Seosa-muga (서사 무가) contributed this P`ansori, the Kwangdae`s narrative poetry. In conclusion, P`ansori was coming into being a world art in value because there were three conditions suggested over here that was unusual in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굿놀이와 재담소리

        손태도(Son Taedo)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1

        무속은 고대 신앙이어서 중세의 고등 종교 시대가 되면, 사라지거나 주변적 영역에 머물렀어야 했다. 그러나 고려 말에 시작되어 1895년까지 시행된 무포세(巫布稅) 제도로 인해 무속은 조선시대 말까지도 공식적으로 유지되었다. 순죄(1801~1834) 때 무포세를 내는 무당의 수가 2,000명 정도였다. 고대 신앙인 무속이 중세, 근대에까지 이어지며 무속 신앙이 많이 약화되어 갔으므로 무속은, 종교적인 것도 종교적인 것이지만, 관객을 위한 여러 공연예술적 요소들도 발전시켰다. 그러한 요소들 중 하나가 굿놀이다. 굿놀이는 연극적 놀이를 하는 것이다. 이에는 제주도의 〈산신놀이〉, 〈영감놀이〉등과 같이 아직도 종교적 의식의 하나로 행해지는 것도 있다. 서울굿의 뒷전 동해안의 〈거리굿〉, 경기도의 〈중놀이〉처럼 원래는 하나의 종교적 의식으로 행해 졌으나 놀이적 요소가 확대되어 오늘날에는 하나의 놀이처럼 된 것도 있다. 황해도의 〈소놀이굿〉이나 동해안의 〈탈굿〉처럼 외부의 놀이가 굿 속으로 들어간 것도 있다. 무당의 굿놀이는 흥미로워 일반인들이 이를 흉내내어 하나의 공연물로 공연하기도 했다. 이러한 작풍들에는 〈배뱅이굿〉, 〈장대장네굿〉, 〈맹인타령〉등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굿놀이에서 발전해 나온 것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여러 명의 무당들 이 배역을 갈라 하던 굿놀이를 한 명의 사람이 모두 흉내내어 하기 때문에 극놀이적 재담소리라 할 만하다. 판소리 성립의 도식 ‘화극(話劇)-재담소리-판소리’에서 이른바 광대 서사시인 판소리의 직접적 선행 광대소리는 서사시적 방식의 재담소리라 할 수 있다. 또 그 계통들을 따진다면 ‘서사무가-서사시적-재담소리’, ‘굿놀이-극놀이적 재담소리’라 할 수 있다. 무속에서 서사무가의 방식과 굿놀이의 방식이 확연히 다르듯, 서사시적 재담소리와 극놀이적 재담소리의 방식은 분명히 다르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둘은 ‘서사형 재담소리’란 것으로 같이 묶여질 수 있다. 재담소리는 서사형 재담소리, 재담말형 재담소리, 흉내내기형 재담소리 등으로는 분류되는데, 서사시적 재담소리와 극놀이적 재담소리는 서사형 재담소리로 같이 묶여질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극놀이적 재담소리는 나중에 판소리로 발전하는 17세기경 광대의 주요 소리의 하나로 부각되는 판소리의 직접적 선행 광대소리인 광대의 서사시적 재담소리의 성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이러한 극놀이적 재담소리는 지금도 경ㆍ서도 소리꾼들에 의해 상당 부분 전승되고 있다. Shamanism was an ancient religion, so this would disappeared or only stayed in the peripheral areas through High Religion times of Middle Ages. But shamanism was formally maintained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were shaman tax (무포세, 巫布稅) beginning from the last of the Goryeo Dynasty to 1895. There were 2,000 shamans paying shaman tax at King Sunjo (1801~1834). So shamanism had been weakened through the Middle Ages, and until through the modem era. The shaman, the religious but also religious, has developed several performance arts elements for the audience too. Shaman's play is one of those elements. Shaman's play is a dramatical play. There are 〈The Mountain God play〉, 〈Yeonggam (영감. old man) play〉 in Jeju Island as still religious ceremonies. There are Last Part (뒷전) in Seoul shaman ceremony, 〈Georigut (거리굿. Last Part)〉 in East Coast shaman one, and 〈Buddist Monk play〉 in Gyeonggi-Do shaman one as today just plays, originally done in a religious ceremony, but expanded playing elements. There are 〈Cow play〉 in Hwanghae-Do shaman ceremony, 〈mask play〉 in the East Coast shaman one as the play entered into the shaman ceremony from the play outside. So shaman's play was very interesting, ordinary people imitated it, futhermore performed it even as shows. These works are 〈Baebaengi-gut (배뱅이굿)〉 and 〈Jangdaejangne-gut (장대장네굿)〉 and 〈a blinder song〉 etc. Most of them came from shaman plays. These works deserve to be the play-style Jaedam-sori (재담소리. witty song), because one man imitates the shaman play acted by serveral shamans they having characters in that play. These play-style Jaedam-sori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rrative-poetry-style Jaedam-sori emerged as very important the jest song 17th, and developed into Pansori (판소리). This the narrative-poetry-style Jaedam-sori was the direct predecessor of Pansori. These the play-style Jaedam-sori works are still sung by singers of Seoul or the northwestern provinces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