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속경간 하중을 받는 I형 스텝보의 비탄성 횡-비틀림 좌굴강도산정을 위한 모멘트 구배계수 연구

        손지민,박종섭,Son. Ji-Min,Park. Jong-Sup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4

        본 논문은 등분포하중과 양끝단에 모멘트가 작용하는 계단식 변단면보(스텝보)의 비선형 횡-비틀림 좌굴에 대해 연구이다. 3차원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2007)와 회귀분석 프로그램 MINITAB(2006)이 단순보 경계조건을 가지고 있는 일단 또는 양단 변단면보의 설계 좌굴강도 산정식 개발에 적용되었다. 해석모델의 비지지길이 내 중앙부분의 플랜지는 폭 30.48cm, 두께 2.54cm로 고정되었으며, 양단 또는 일단 플랜지의 크기는 해석매개변수로 고려되었다. 양단 스텝보는 플랜지 해석매개변수를 고려하여 27개, 일단 스텝보는 36개의 해석모델이 하나의 하중조건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는 잔류응력과 초기변형을 고려하여 비탄성 구간 내 3가지 비지지길이와 5가지 하중조건이 고려된 총 945개의 해석모델을 고려하였다. 잔류응력의 분포는 Pi와 Trahair(1995)가 적용한 분포도를 사용하였으며, 초기변형은 현대제철의 제작기준인 형강길이의 0.1%조건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 제안된 식과 유한요소해석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양단 스텝보에서는 최대 13%, 일단 스텝보에서는 최대 10%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식은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설계에 적극활용 가능하며, 변단면 부재의 비탄성 좌굴강도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of stepped beams subjected to uniformly distributed load and end moments. A three-dimensional finite-element program ABAQUS (2007) and a regression program MINITAB(2006) were used to analytically develop new design equation for singly and doubly stepped beams with simple boundary condition. The flanges of the smaller cross-section in the stepped beams were fixed at 30.48 by 2.54 cm, whereas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flanges of the larger cross-section varied. The web thickness and height of the beams were kept at 1.65 cm and 88.9 cm, respectively. The ratios of the flange thickness, flange width, and stepped length of beam are considered with analytical parameters. Two groups of 27 cases and 36 cases, respectively, were analyzed for doubly and singly stepped beams in the inelastic buckling range. The combined effects of residual stresses and geometrical imperfection on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of beams are considered. The distributions of residual stress of the cross-section is same as shown in Pi and Trahair (1995) and the initial geometric imperfection of the beam is set by central displacement equal to 0.1% of the unbraced length of beam. The comparisons between results from proposed equations and the results from finite element analyses we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maximum differences of two results are of 13% for the doubly stepped beam and 10% for the singly stepped beam. The proposed equations definitely improve current design methods for the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problem and increase efficiency in building and bridge design.

      • KCI등재

        미메시스에서 “앞으로 반복하기”까지 :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의 <성면>에서의 “사라짐”

        손지민 ( Ji-min S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9 美學·藝術學硏究 Vol.56 No.-

        스페인의 바로크 화가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Francisco de Zurbaran, 1598-1664)은 <성면> 연작에서 성 베로니카의 전설을 근 30여 년 간 “수도사적”인 반복을 통해 고찰한다. 그가 목표로 삼는 것은 성자가 전달하는 “기적”의 진실과 예술적 구현 사이의 간극, 순수하게 종교적이라 볼 수도 미학적이라고도 볼 수 없는 간극이다. 성면의 발현이 무한적으로 짧고 눈에 보이지 않는 순간에서 비롯된다면, 이 순간은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은 이미지를 잉태하는 순간이다. 죽음을 맞이하기 육 년 전이 <성면>에서 그는 형상이 거의 모두 사라진 누런 윤곽만을 그린다. 유수의 학자들은 이 성안을 두고 관객의 상상과 시선으로 완성되는 이미지(벨팅, 스토이치타), 미메시스적 파라고네(오스트로우), 접촉의 변증법을 따르는 아우라(디디-위베르만), 성스러운 환상(카투를라) 등의 어휘로 해석했다. 수르바란의 사라짐에 대한 이러한 해석들은 그의 반복이 갖는 특이성에 대한 의문을 던지지 않는다. 이 의문이란, “재현을 끊임없이 낳는 반복에서 진정한 새로움을 위한 존재신학적 반복은 어떻게 사유 가능한가?”에 대한 질문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얼굴성의 미래’ 논의와 이에 대한 벨팅의 비판을 기점으로 삼는다. 얼굴을 사라지게 함은 차이의 변증법으로 끊임없이 회귀하는 ‘zero’를 향한 추적도, 도상파괴도 아니다. 본 논문은 벨팅과 들뢰즈의 논의를 통해 수르바란의 ‘사라지게 함’이 차이 생성을 통한 새로움이나 “영도”로의 환원보다 더 급진적인 미래로서 사유될 수 있는가를 묻는다. The Spanish baroque painter Francisco de Zurbaran(1598-1664) adopted “monastic” repetition as his major modus operandi to contemplate the biblical legend of Veronica. The aim in this < Santa Faz > was not only to recreate his testimony to the truth of this “miracle”, acheiropoietic by definition, but mainly to contemplate the difference between this truth and its coming into being outside the mimetic realm. In 1658, six years before his death, emerging from his canvas are mere faint traces of a head almost completely devoid of figurativeness. A number of scholars interpreted this non-representational holy face, paradoxically enshrined in a highly ascetic yet realistic mimetic setting as an image, as a divine trompe-l’oeil (Caturla), an image to be completed by the spectator’s imagination (Belting and Stoichita), a mimetic presence and paragone (Ostrow) or an image opening up the dialectics of auratic contact (Didi-Huberman). Zurbaran’s staging of the enigmatic disappearance does confirm these accounts, but the specificity of his repetition leading up to this disappearance calls them into question. Our question, which takes Belting’s critique of Deleuze and Guattari as a turning point, is to ask if the disappearing of representation can be understood as aiming for a concept of future beyond the tautological theories of destruction of icon, “zero degree” or differentiation.

      • 예술작품을 통한 소통의 문제에 대하여 - 개념예술 이론과 미적 경험 이론에서 감정의 역할을 중심으로 -

        손지민 ( Son Ji-min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哲學論考(철학논고) Vol.4 No.-

        예술작품을 통한 소통의 가능성 논의는 곧 예술의 존재 이유에 대한 논의이다. 작품을 통해 소통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실험에 부친 인물들 중 가장 극단적 시도를 한 인물로는 미국의 분석철학자이자 작가인 헨리 플린트(Henry Flynt)를 꼽을 수 있다. 그는 자신의 개념예술 이론을 통해 수학 공식과 논리적 명제의 이해 체계를 비판적으로 활용하여 작품을 통한 소통 가능성을 타진하였지만, 많은 예술이론들이 그러했듯이 결과적으로 그의 이론은 그것의 목적을 저해하는 요소를 스스로의 기획에서 찾을 수밖에 없었다. 다시 말해, 그의 이론은 작품을 통한 소통을 목적으로 고안되었지만 그것은 작품에 대한 이해의 통로를 극단적으로 좁힘으로써만 현실에서 기능할 수 있었다. 플린트는 소통을 위해 소통의 시발점이자 매개가 될 수 있는 감정을 모조리 배제하고, 결과적으로 일반 관객의 소통을 도모하는 대신 그것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사실들에 주목하여 필자는 개념예술의 예시를 통해 소통에 있어 감정이 갖는 역할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우선 플린트의 개념예술 이론과 실천을 개괄한 후 그의 이론이 다루는 쟁점들과 그것이 종국에 직면한 핵심 난점을 명확히 할 것이다. 여기서 핵심 난점이란 소통을 위해 특수화된 그의 이론과 예술이 도리어 소통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을 가리킨다. 필자가 보기에 이 소통의 핵심 난점은 감정의 철저한 배제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자는 작가가 작품을 통한 소통을 시도할 때 소통을 결정하고 소통의 소재를 채택하는 데에 있어 감정이 어떤 역할을 갖는가를 논해볼 것이다. 여기에 참고되어야 하는 연구는 미적 경험의 전반에서 신경생물학적 현상인 감정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알아보는 실증적 연구들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작품을 통한 소통의 문제에 있어 감정에 대한 이상의 연구가 현대시각예술에 시사하는 바들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Discussions on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rough works of art are also discussions on the central reason for art’s existence. Among those who investigated this possibility was the American artist and analytic philosopher Henry Flynt who opted for a very narrow and extreme experiments. Flynt explored the possible ways of communication through works using mathematical equations or logical propositions, but his endeavor ultimately resulted in undermining of his own initial purpose. His theory of concept art was devised for communication, but within it, achieving such a goal was only possible by radically narrowing down the passage of comprehension. What became necessary in doing so was to eliminate all emotions which in ordinary act of communication can be the starting point or mediating agent for communication. This also hampered the lay public’s understanding of his works and theory. Focusing on these facts,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role of emotions in the artistic activities of communication, using the case of concept art as a starting point. To achieve this end, I will first delve into Flynt’s concept art theory and its practice to reveal its crux. This crux points towards the fact that his theory whose ultimate goal is to find a common ground of understanding fails to account for the central aspect of such communication, namely emotions. To address this problem, I will explain how emotion intervenes with the entire scope of aesthetic experience. Next, the article will discuss the role of emotions in the artist’s decision to communicate through works and in the making of choice of the material. This step requires empirical studies on the role of emotion as a neurobiological phenomenon within aesthetic experience. Lastly, I will attempt to draw conclusive remarks on the implications of the above investigation regarding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 구조물 사용성 증진을 위한 변단면 휨부재에 대한 해석적 연구

        손지민(Son, Ji-Min),김재흥(Kim, Jae-Heung),박종섭(Park, Jong-Sup),곽성민(Gwak, Sung-M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일반적으로 연속경간을 가지는 강합성 I-형강 교량에 있어서 내부 지점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큰 부모멘트 가 발생하므로, 이에 경제적인 단면 활용을 위하여 변단면을 적용하여 휨강도를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 는 기존 강도계산식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하여 비탄성 구간에 있는 변단면 I형보의 횡-비틀림 좌굴강도 를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 ABAQUS(2007)를 이용하여 산정하고, 간편한 설계식을 제안하고 있다. 지간 한 쪽 끝에 계단식 단면변화를 가지는 보에 대해서 고려하였으며, 플랜지 길이방향 비, 너비방향 비, 두께의 비로 계단식 I형보를 나타내었다. 해석에 사용된 단면매개변수는 36가지 조합이며, 비탄성 횡-비틀림 거동 을 고려하기위하여 잔류응력 및 초기결함을 고려한 비선형해석을 실시하였는데, Pi(1995)등이 고려한 잔류 응력의 형상과 국내 I형강 표준 치수 허용치에 근거하여 부재 길이의 0.1%를 초기제작오차로 고려하였다. 해석모델의 양쪽 끝단에는 모멘트하중을 재하하였다. 개발․제한된 식은 선형 모멘트 하중이 작용할 때 적용 가능한 식으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설계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칸트 이후 미적 인식의 특수성 입증 문제와 예술론의 가능성에 대하여

        손지민 ( Son Ji-min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23 哲學論考(철학논고) Vol.6 No.0

        미적 경험이라는 사태와 그 양태를 미학의 가장 핵심적인 연구 대상으로 상정하고자 하는 서구 철학 내의 움직임은 바움가르텐과 칸트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많은 미학자들에 의해 계승되었다. 이들은 미적 경험의 존재와 지위를 옹호하면서 특수하게 미적인 태도가 인지 활동을 ‘미적’이라 칭할 만한 것으로 만든다는 주장에 대부분 동의한다. 이들의 가장 핵심적인 쟁점은 미적 경험과 그렇지 않은 평범한 경험 또는 감각적 경험을 구분하게 해주는 인식의 특수성을 입증하거나 그 실체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경험 내에서 미적 특수성을 주장할 수 없다고 보는 미학자들은 미적 경험을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정동적, 감정적 현상의 심리적 성격으로 인해 인지적 경험이 특수하게 미적인 것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들 중 몇몇은 특수하게 미적인 경험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경험이 미적이라 칭해질 만한 가치를 지니는 때는 그것이 예술적 차원으로 환원될 때라고 주장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주장은 미학이 특수하게 미적인 경험이 있을 수 있다는 착각, 또는 그런 경험의 미적 본성이 입증될 수 있다는 착각 위에 구축되었다는 또 다른 주장을 낳게 되므로 미학 학문의 존립 문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되어 왔다. 이 두 진영 간의 토론은 미적 차원과 예술적 차원 간의 연속성 논의로 축약될 수 있으며, 본고는 우선 이들의 최초 논의들을 검토할 것이다. 이어서 필자는 두 진영의 주장이 사실상 칸트가 『판단력비판』에서 미감적 상징속성을 설명하는 부분에 이미 함축되어 있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에 아직까지 집중적으로 다루어진 전례가 거의 없는 상징속성 논의가 특수하게 미적인 경험의 정당성 주장은 물론 그러한 주장으로부터 가능한 예술론의 근대적 시발점이 된다고 보고 이 논의가 미학의 현대적 발전에 시사하는 바들을 논하고자 한다. The efforts within western Aesthetics to mark the event of aesthetic experience and its modalities as the central subject of inquiry were started by Baumgarten and Kant and continue to influence aestheticians to this day. They base their arguments on the tenet according to which a specific type of attitude can rendes certain cognitive activities and their consequences appropriately aesthetic. The key problematic here is to clarify the presence or verify the aesthetic specificity within the realm of cognition in such a way that it allows for a clear distinction between aesthetic experience from ordinary sensorial experience. Other aestheticians who deny the possibility of specifically aesthetic cognition within experience hold that no cognitive experience can be claimed to be aesthetic due t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or sentimental phenomena argued to be central to the form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Among them are those who further argue that there can exist no aesthetic experience and that the sole circumstance in which an experience can hold aesthetic value is when such experiential dimension is reduced to artistic dimension. These last claims subsequently tend to lead to the argument that the rationale for the discipline of Aesthetics is built upon the illusion that an experience can legitimately have natural traits or the supposedly aesthetic nature can be verified. The exchange between these two camps can be boiled down to the discussion on the continuity between the aesthetic and the artistic dimensions, the earliest of which will be dealt with in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In the ensuing parts, I will point out that the conflicting arguments pertaining to the tension between the two opposing camps are already present in Kant's explication on aesthetic attributes in his third Critique. This explication, which has only enjoyed very little att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argument for the legitimacy of specifically aesthetic experience as well as a theory of art suggested by such argument - whose contemporary implications will be dealt with in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