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동화』를 통해 살펴본 1930년대 중반 아동극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

        손증상(Son, Jeung-sang)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79

        이 논문은 1930년대 중반 발행된 아동잡지 『동화』에 발표된 아동극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제 말 아동문학사에서 『소년』을 중요한 역할을 한 아동잡지로 꼽고 있으나, 『동화』의 위치도 중요하게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1930년대 중반 일제의 소년운동 탄압이 강화되고 『어린이』, 『별나라』, 『신소년』 등 아동잡지가 폐간되는 상황에서, 『동화』는 정인섭과 최인화, ‘조선아동예술연구협회’를 중심으로 발행되었다. 『동화』에 발표된 아동극 8편에는 식민지 현실을 상기할 수 있는 반동인물이나 대결 구도가 나타나지 않으며 윤리 도덕성을 내세우고 있다. 이는 검열강화에 대한 결과이면서 아동극의 보편적인 특성이라 여길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이 1930년대 초반부터 식민지 조선의 아동문학의 방향성에 대해 고민한 ‘조선아동예술연구협회’가 정치적 변화와 아동문학의 위기 속에서도 소년운동의 맥을 이어가면서 선택한 길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비록 일제당국의 허용과 검열이라는 선 안에서 그들의 정책을 따르고 있지만, 아동극 작가들은 동학민요인 「새야새야 파랑새야」를 아동극 작품에 활용함으로써 식민지 조선 아동관객의 민족정서를 자극하기도 하였다. 1937년 4월 황국신민화 정책에 적극적으로 편승하는 『소년』이 발행되면서 『동화』는 더 이상 설 자리를 잃게 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children"s play in the middle 1930 in Donghwa(fairytale). Donghwa plays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last of Japanese imperialism. The magazine was issued by Jeong In-seop, Choi In-hwa and "Chosunadongyesulyeonguhyeophoe", under these conditions that Sonyeon movement had been snuffed out and most children"s magazines had been discontinued. Children"s play of Donghwa passed censorship by getting rid of an antagonist and confrontation between antagonist and protagonist and focusing on morality. But it rouse the feeling of children in colonized Chosun, making use of saeyasaeya parangsaeya of Donghak"s folk song. After Sonyeon was issued in April 1937, Donghwa had been discontinued.

      • KCI등재

        일제시기 아동극의 교육연극 가능성 고찰 -정인섭의 「어머니의 선물」을 중심으로-

        손증상 ( Son Jeung-sa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8

        이 연구는 일제시기 아동극의 교육연극 가능성을 고찰함으로써, 일제시기 아동극의 의의를 새롭게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교육연극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교육연극과 일제시기 아동극을 주도한 아동잡지 『어린이』, 『신소년』, 『별나라』 아동극의 개념 및 특성을 비교하여 공통점을 규명하였다. 대표적 예시로서 『어린이』의 편집인 방정환의 교육관과 정인섭의 아동극론, 그리고 정인섭의 「어머니의 선물」의 ‘띠어터’와 ‘드라마’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어린이』 아동극과 2015 개정교육과정의 국어과 연극이 공통적으로 ‘드라마’와 ‘띠어터’의 통합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각각 연극을 통해 아동을 ‘조흔 사람’과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로 육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children’s play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educational plays, by comparing the respectiv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drama/theater edu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lay, for plays in children’s magazines, which aim to educate children and achieve social change are related to educational plays in a larger framework. For a example, Jeong Insub’s Mother’s Gift were examined through the educational lens of “‘Theater’” and “‘Drama’” to discuss the potential of drama/theater in education.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language theater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ourse and children’s play of Eorini have the integrated characteristics of “‘Drama’” and “‘Theater’” in common, and the goal of these plays is respectively to foster children as good people and creatively bring talent into convergence with the right personality.

      • KCI등재

        1960년대 아동극의 재구성, 제도화된 아동극 - 유치진을 중심으로

        손증상 ( Son Jeung-s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9 어문론총 Vol.81 No.-

        이 연구는 아시아재단(Asia Foundation)의 아동극 관련 자료를 통해 1960년대 아동극을 재구성하고, 유치진이 1960년대 아동극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해방 후 아동극계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는 주평의 등장과 주평의 권위가 유치진 덕분에 가능할 수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1960년대 아동극을 새로운 관점에서 구성해볼 수 있을 것이다. 아시아재단이 지원한 유치진의 아동극 프로젝트(Children's Theater Project)는 1960년대 아동극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전국아동극경연대회개최와 한국아동극협회의 조직 및 활동의 토대가 되었다. 유치진의 아동극 기획이 갑작스러운 것은 아니다. 그는 지속적으로 학생극에 관심을 가졌으며, 아시아재단의 후원을 받아 중고등·대학연극경연대회도 개최하였다. 게다가 1958년에 창립된 국제극예술협회 한국본부(INTERNATIONAL THEATRE INSTITUTE KOREA CENTER)의 초대위원장이 유치진이었고, I·T·I 아동극위원회의 주요 활동이 아동극 도서 발행과 공연 후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동극계에서 유치진의 숨겨진 역할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치진의 드라마센터는 1962년 국민연극개발 3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아동극의 활성화를 위해 제2회·제3회 전국아동극경연대회와 아동극 지도자 양성을 위한 아동극강습회를 개최하였고 전문아동극단 ‘어린이극회’도 운영하였다. 드라마센터가 개최한 전국아동극경연대회와 아동극강습회는 1964년부터는 한국아동극협회가 주관하게 되었고, 유치진이 강조한 학교극을 통한 아동의 국어 능력 향상과 아동의 정서함양은 1960년대 아동극의 주요 목표였다. 유치진의 아동극 프로젝트는 아시아재단과 I·T·I한국본부 및 드라마센터의 후원 속에서 전국아동극경연대회와 아동극강습회 등과 같은 ‘제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으며, 이는 일제강점기 아동극에서는 볼 수 없었던 현상이다. 그런 의미에서 유치진의 아동극 프로젝트는1960년대 아동극이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출발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children's play in the 1960s through on children's play by the Asia Foundation, and to look at the impact of Yu Chijin on the children's play in 1960s. Considering the emergency of Joo Pyeong,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igure in the post liberation children's theater, that is the authority of Joo Pyeong in the 1960s could have been possible thanks to Yu Chijin, the 1960s children's play can be organized from a new perspective. The Children's Theater Project supported by the Asia Foundation was the basis for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Korean Children's Drama Association in the 1960s, as well as the hosting of the National Children's Contest, which was the core of children's theater. Yu Chijin's plan is not sudden. He was constantly interested in student play and held middle and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ntest with the support the Asia Founda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first korean head of the International Theatre Institute Korea Center founded in 1958 was Yu Chijin and I·T·I children's play committee's main activities were the publication of children's play books and the sponsorship of performances, his hidden role in the children's drama is drawing attention. The Drama Center held the second and third National Children's Play Contest and the Children's Play Training Center, promoting a three-yea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drama in 1962. The Children's Drama Association of Korea started to organize the event from 1964, and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language skills and the emotional enhancement of children through school play emphasized by Yu Chijin were the main goals of children's theater in the 1960s. The children's play project of Yu Chijin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1960s children's theater in a new direction.

      • KCI등재

        국립극장의 민족극 수립과 국립극단의 <북간도>(1968) 기획

        손증상 ( Son Jeung-s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21 어문론총 Vol.87 No.-

        이 연구는 연구자가 최근에 확보한 국립극단의 <북간도>(1968) 대본을 통해 이 작품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1960년대 후반 많은 희곡 작가들이 TV드라마와 시나리오를 창작하고 연극인들이 TV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면서 연극계는 새로운 위기에 직면하였다. 연극 중흥과 민족극 수립을 위해 국립극단은 <북간도>를 기획하였다. <북간도>는 민족주의 독립운동 서사를 선택하면서도 등장인물과 해설자의 인터뷰를 통해 민족주의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1960년대 후반 한국 연극사에서 <북간도>는 세 가지의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1960년대 후반 연극의 위기 속에서 국립극장이 국립극장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기 위한 모색의 결과물이라는 것, 두 번째는 서사극적 요소를 활용하여 지배 정권의 민족주의 담론에 문제를 제기하였다는 것, 그리고 이를 토대로 역사의 주체로 민중 계층에 주목한 민족극을 시도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script of Bukgando (1968)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recently secured by the researcher.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planned Bukgando to promote the drama and to establish a national drama. Bukgando raised the issue of nationalism through speech and interviews of characters and narrators while presenting the narrative of the nationalist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er in the late 1960s, Bukgando is significant in three aspects: First, Bukgando is the result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seeking to fulfill the need for a national theater in the late 1960s. Second, it questioned the nationalist discourse of the ruling regime by utilizing the elements of narrative drama. Third, based on this, it attempted a national drama that focused on the popular class as the subject of history.

      • KCI등재후보

        방정환의 정신을 반영한 아동극 연구 -방정환의 동화극 <한네레의 죽음>과 강훈구의 웹연극 <죽었니? 살았니?>를 대상으로-

        손증상 ( Son Jeung-sang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6 No.-

        이 연구는 방정환의 <한네레의 죽음>(1923)과 강훈구의 <죽었니? 살았니?>(2020)를 통해 아동극에 나타난 방정환의 아동 존중 사상과 아동 삶의 위기에 대해 대처하는 아동극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작품은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가 있지만, 아동의 ‘죽음’과 ‘현실’을 통해 아동 존중 사상을 다루었고 아동 삶의 질의 위기 상황에서 아동극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한네레의 죽음>의 공연대본의 부재는 작품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제이지만, 「한네레의 죽음」 동화와 공연이 남긴 흔적을 통해 공연의 구체적 상황을 재구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방정환은 <한네레의 죽음>을 통해 당대의 전근대적 아동관을 비판하면서 한국 근대 아동극이 정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죽었니? 살았니?>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저소득층 아동이 처한 현실을 다루면서 ‘지금 여기’ 아동 삶의 질의 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놀 권리를 강조하였고, 웹연극을 통해 새로운 공연 예술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looked at the role of Bang Jung-Hwan’s ideology of respect for children and the role of children’s play dealing with the crisis in children’s lives through Bang Jung-Hwan’s < Death of Hannere >(1923) and Kang Hoon-gu’s < Are you dead? Did you survive? >(2020). Although the two works differ in content and format, they also have one thing in common: they dealt with the idea of respect for children through the children’s ‘death’ and ‘reality’ and contain concerns about the role of children’s plays in a crisis of children’s quality of life. The absence of a performance script for < Death of Hannere > is the biggest challenge in research, but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performance was reconstructed through the fairy tale Death of Hannere and the traces left by the performance and its meaning was investigated. In < Death of Hannere >, Bang Jeong-hwan criticized the pre-modern view of children at the time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modern Korean children’s plays could be established. < Are you dead? Did you survive? > deals with the reality of low-income children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emphasizing the right to play as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crisis of children’s quality of life ‘here and now’,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new performing arts through web plays.

      • KCI등재

        『어린이』 아동극의 계급주의 수용과 그 의미

        손증상 ( Jeung Sang S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5 No.-

        이 연구는 근대 아동문학의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 아동잡지 『어린이』가 어떻게 계급주의를 수용하고 있는지를 아동극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어린이』중심의 연구는 지금까지 『별나라』와 『신소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던 계급주의 아동문학 연구에서 해명하지 못한, 동심천사주의의 아동문학 장이 계급주의를 수용할 수 있었던 맥락을 규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소년운동의 방향전환론 이후의 『어린이』 아동극을 살펴본 결과, 1928년 이후의 작품은 옛이야기와 서양의 동화를 극화하거나 동화적 세계 구현이 그대로 유지되는 작품이 대다수이고, 1930년대에는 사회적 약자의 연대와 계급적 세계관을 보여주면서 동화극의 틀을 가져오는 작품 <개고리와 배암>과 계급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도덕적 인식 체계를 유지하는 <겁내지마라>, <도야지>가 발표되었다. 이와 같이 계급주의 수용은 아동극 내용과 형식의 변화를 가져오지만, 보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변화가 ``농촌소년극``이라는 아동관객의 분류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왔으며 각 나이에 맞는 작품 창작을 해야 한다는 인식을 불러일으킨 지점이다. 그리고 이는 아동극 장르의 분화를 가지고 온다는 점에서 아동극사에서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verify the Proletarian acceptance of children plays in Eorini and find its meaning. In Japanese colonial period, children``s movement was a part of total social movement and children``s literature movement was basically an extension of it. Children``s movement had been changed th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foundation of Choseonsonyeonyeonhaphoe on October,1927. After then heated controversy occurred about the change of direction. A few of works that represented the Proletarian, for example Song Young and Kim Young-pal, were published and were censored in Eorini since 1928. Although this magazine was actively agreed with the change of direction and Proletarian, at least it sympathized with and worried with problems that occurred because of Japanese colonial regions. Children plays in Eorini can be divided into : which aim to liberate sensitivity and convey virtues necessary for moral life, and which aim to keep the balance of Proletarian and view of children``s innocence as angels. This study concluded that Proletarian acceptance changed of the content and form of children plays in Eorini and brought about classification of children plays called juvenile plays.

      • KCI등재
      • KCI등재

        송영과 아동문학, 정동으로서의 아동극-『별나라』를 중심으로-

        손증상 ( Son Jeung-s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8 No.-

        이 글은 송영의 아동극을 중심으로 아동문학의 전반적 특징을 살펴보고 송영의 아동극 세계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송영의 작가의식과 더불어 카프의 아동문학 활동을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송영은 카프에 소속된 유일한 희곡 작가로 『별나라』 편집을 담당하면서 계급주의 아동문학 형성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그는 해방 이후 북한 아동문학 전개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송영에게 있어 아동문학이 단지 보조적인 창작 활동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전성(全城)”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송영의 아동문학은 계급주의 아동문학을 통시적으로 읽어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작가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좌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글은 송영의 아동극 <자라사신>, <홍길동>, <지구 이약이>, <그 뒤의 용궁>과 벽소설 「을밀대」, 아동극론 등을 두루 검토하였다. 송영은 계급주의 아동문학을 주도하면서도 아동의 흥미와 재미를 고려하였고, 아동의 성미를 고려한 감정의 전달을 통해 아동의 행동과 인식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이는 송영 아동문학에서의 감정의 긍정을 보여 줄 뿐만 아니라 송영 문학과 동궤를 이룬다는 점에서 아동문학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준다. This study aims to prospect artist's awareness and activities for children's literature of KAPF, by looking a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terature a of Song Young. Song You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proletarian children's literature, taking charge of 『Byeolnara』 editing. This paper analyse children's literature < Jarasashin >, < Jiguyiyagi >, < Keudwieuiyonggung > etc. After the crisis of KAPF, Song Young started introspecting itself on hierarchical children's literature that evolved within the frame of Bolshevik popularization theory, emphasized amusement and meanings while focusing on children's emotion and individual child's nature. This not only confirms the role of emotions in Song Young's literature, but also show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literature.

      • KCI우수등재

        카프의 예술대중화론 모색과 실천, 별나라사 연합대학예회

        손증상(Son, Jeung-sang)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4

        이 연구는 『우리동무』 사건의 일명으로 알려져 있는 별나라사 사건의 실체를 확인함으로써, 카프의 예술대중화론이 다양한 경로에서 이루어졌음을 밝혔다. 별나라사 사건은 1932년 7월에 별나라사가 개최한 야학강습연합대학예회를 계기로 『별나라』 주간 박세영과 기자 정청산, 『연극운동』 주간 신고송이 조사를 받은 사건이다. 별나라사의 연합대학예회의 준비시점과 준비위원회, 전람회와 학예회의 결합, 슈프레히콜 형식의 아동극 공연 등으로 볼 때, 연합대학예회는 별나라사의 단독적인 기획이라기보다는 카프와 공조 또는 카프의 기획 아래 진행된 행사였다. 특히 1932년 7월호 『별나라』와 『연극운동』은 공통점이 많은데, 별나라사 사장 안준식이 운영하는 동아사인쇄소에서 발행되었다는 점, 연합대학예회와 슈프레히콜 특집호로 발행되었다는 점, 박세영, 신고송, 이동규 등 필진이 겹친다는 점, 서로 목차를 소개하며 홍보를 하고 있다는 점, 독자들의 원고를 토대로 극화를 시도하고자 했다는 점 등 교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카프가 『별나라』와의 연계를 통해 아동문학 분야에서 예술대중화론을 확장하고자 했음을 보여 준다. This study confirmed the reality of Byeolnarasa incident, which is known as one of Uridongmu case, revealing that KAPF"s art-popularization theory took place in various channels. The heart of the case was the left-wing of the Combined school arts festival held by Byeolnarasa in July 1932, and Park Seyoung, the editor in chief of the Byeolnara, Shin Gosong, the editor in chief of the Yeongeukundong and Park Seokjeong, the chairman of the Joseon Council, were arrested. As the investigation proceeded, the scope was expanded to Lee Chan, Imhwa, and Ahn Joonsik, and they were punished for violating the publishing law that distributed Uridongmu. From the point of the preparatory stage of the curator meeting and the preparatory committee of Byeolnarasa festival, the combination of exhibitions and curator meetings, and children"s play performances in the form of Sprech-chor, it was a place to practice the Bolshevik popularization conducted under the plan of KAPF or in collaboration with KAPF, rather than a separate project of Byeolnarasa. In particular, the July 1932 issue of Byeolnara and Yeongeukundong have intersections, published at the Dong-Asa Printing Office run by Ahn Joonsik, president of Byeolnarasa, issued as special edition of Spreechol and art festival, overlapping of the writing lines such as Park Seyoung, Shin Gosong, and Lee Donggyu, and the fact that they are promoting each other by introducing a table of contents. This shows that KAPF wanted to expand the theater movement through his connection with Byeolna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