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설기업의 지식경영적용상의 특성과 성패요인에 관한 연구

        손정욱,윤준선,백준홍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

        Many construction E&C companies have recognized lack of productivity in the execution project. For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industry, they have applied KM to construction industry.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KM in Korea is transition period. There is many difficulty for the KM but advantage also. In this study, consider KM and find difficulty and advantage for application to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finally categorize critical success factor of KM.

      • KCI우수등재

        선거제도와 정부당파성: 비례대표제는 여전히 중도좌파정부에게 유리한가?

        손정욱,이호준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2

        Is the center-left bia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till relevant in the age of labor market dualization? Most existing studies have argued that electoral systems affect government partisanship. Specifically, majoritarian electoral systems induce center-right bias which favors right party governments whil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oral systems induce center-left bias which favors left party governments. However, recent election outcomes in advanced democracies show that while center-right bias is still relevant under majoritarian systems in which we observe dominance of right party governments, center-left bias is not so relevant und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nd we do not observe a dominance of left party governments. Why has the frequency of left party governments decreased und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this article, we argue that the center-left bia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has significantly weakened with the intensification of labor market dualization. The labor, traditional electoral base of the center-left government, has divided into insiders and outsiders that have heterogeneous preferences and a significant portion of labor de-aligned themselves with the traditional left parties. This phenomenon was especially prevalent und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where voter preferences directly translate into legislative seats. Hence, center-left bia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which was relevant during the era of Fordism, has become significantly less relevant in the era of labor market dualization. Empirical analysis of 17 advanced democracies reveals that intensification of labor market dualization und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does indeed shift the partisan center of gravity away from center-left governments. 비례대표제는 여전히 중도좌파정부에게 유리한가?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선거제도가 정부당파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해왔다. 즉 다수대표제는 우파정당의 집권 가능성을 높이는 반면 비례대표제는 좌파정당의 집권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주요 민주주의 국가들의 선거 결과를 보면 다수대표제 하에서는 여전히 우파정당의 집권 비율이 높지만 비례대표제 하에서는 좌파정당의 집권 비율이 크게 낮아졌다. 왜 비례대표제를 채택한 국가들에서 좌파정당의 집권 비율이 낮아졌는가? 본 연구는 비례대표제와 중도좌파정부의 친화성이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시장 이중화의 심화에 따라 약화되었다고 주장한다. 중도좌파정부의 전통적인 지지기반이었던 노동집단이 다양한 정책선호를 갖는 내부자와 외부자로 이중화되면서 기존의 중도좌파정부로부터 이탈하는 노동자들이 증가했고 대표성이 높은 비례대표제 하에서 이러한 유권자의 선호 변화가 정당별 의석확보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선진민주주의 17개국을 분석한 결과, 비례대표제 하에서 노동시장 이중화가 증가할수록 정부당파성의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이 중도좌파로부터 멀어졌다.

      • KCI등재
      • 제2장 빅 데이터로 살펴본 국가 간 평화관계 분석 : 1998년부터 2019년까지 한일관계 사례를 중심으로

        손정욱 제주평화연구원 2019 JPI Research Series Vol.48 No.-

        본 연구는 최근 구글이 공개한 빅 데이터(GDELT: Global Data on Events, Location and Tone)를 활용해 한일 간 평화관계의 변화 양상을 추적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두 가지다. 첫째, 평화연구에 GDELT 자료를 활용하는 시론적 연 구로서 해당 자료가 국가 간 평화관계를 얼마나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는지를 평 가한다. 둘째, 한일 양국 간 평화관계가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는지, 그리고 양국관계에 영향을 미친 결정적 국면이 언제였는지를 전환점 분석(change point analysis)을 통해 밝힌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한일 국가 간 주요 사건이 발생했 던 국면마다 GDELT 사건 자료들은 그에 적합한 변화 양상을 적절하게 감지하는 모습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전환점 분석에 따르면 한일관계는 두 번의 변곡 점을 통과하며 관계가 크게 악화됐다. 첫 번째 전환점은 2012년 10월로,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과 2기 아베 내각 출범이 맞물렸던 시기였고, 두 번째 전환점 은 위안부 문제를 두고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한국과 일본 정부가 격렬한 외교전을 펼치던 2015년 1월이었다. 즉, 한일관계를 다루는 세계 언론의 어조가 이 두 시기 를 겪으면서 부정적인 방향으로 크게 움직였던 것이다. This study traces the changes in peaceful relationship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using GDELT(Global Data on Events, Location and Tone) released by Google recently. The aim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is study is introductory research applying the GDELT event data to peace research and evaluates how accurately the data can capture the changes of peaceful relations between countries.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eacefu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have been deteriorated and when it was a critical phase that affected the bilateral relationship through the change point analysis (CP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GDELT event data properly detected the appropriate pattern of change in each phase of major events that occurred between Korea and Japan. According to a change point analysis, in particular, relationship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had deteriorated significantly, passing two critical phases. The first change point was in October 2012, when President Lee Myung-bak visited Dokdo (August), and the second Abe Cabinet was launched (November). The second change point was in January 2015, when South Korea and Japan fought diplomatic wa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 the comfort women issue. In other words, the average tone of the all over the news dealing with South Korea-Japan relations had moved significantly toward the negative direction, going through these two critical periods.

      • KCI우수등재

        노동시장 이원화와 반응성의 정치: 서비스업 임금 불평등과 중도정당 중심 정당체제의 정치경제

        손정욱 한국정치학회 2019 한국정치학회보 Vol.53 No.1

        Does service sector job creation increase or decrease wage inequality? Why does the service sector wage disparity vary among advanced democracies?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 of party system on service sector wage inequality. In the age of industrialization, political parties need to reform existing policies to capture the votes of emerging outsiders such as low-skilled service workers and unemployed workers. Specifically, whether or not parties can adopt a flexible position that can minimize the opposition of the existing supporters and sensitively appeal to the preference of the newly emerging outsiders is the key to winning elections. In this paper, I argue that under the central party-centered party systems, parties tend to relatively easily enact pro-outsider policies to create service sector jobs for the unemployed and offer protection for the unprotected, and thus the wage disparity in service sectors could be effectively manag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entral party-centered party systems induce the centripetal force which makes both left and right parties converge to the position close to the central party that has emphasized ideological flexibility and politics of mediation. Using the panel data of 10 advanced welfare states for the period 1980-2007, my analysis find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y systems with a strong central party and wage inequality in service sector is strongly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서비스업 고용 창출은 임금 불평등을 증가시키는가, 아니면 감소시키는가? 높은 서비스업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왜 국가마다 임금 불평등 정도는 다양한가? 이 논문은 선진 민주주의 국가에서 정당체제가 서비스업 임금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탈산업화 시대 임금 불평등에 주목한 기존 비교정치경제 연구들은 대부분 좌파정당의 역할에 주목한 반면, 이 논문은 중도정당 중심 정당체제의 역할을 강조한다. 즉, 좌파정당이 약하더라도 중도정당이 강력한 정당체제 하에서는 이념적 유연성과 중재의 정치를 강조하는 중도정당의 정책 방향으로 좌우 정당들이 수렴하는 구심력이 작동해 각 정당이 노동시장에 새롭게 유입된 저숙련 서비스업 노동자의 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정책을 입안하는 경우가 많고 그 결과 서비스업 임금 불평등이 효과적으로 관리되리라는 것이다. 중도정당이 존재하는 10개 선진 복지국가들의 1980-2007년 기간의 데이터에 대한 경험적 분석 결과, 중도정당 중심 정당체제와 서비스업 임금 불평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