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손윤실(Yun-sil Son),김정섭(Jung-sub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경남에 소재한 3개 인문계 고등학교 고등학생 527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 학업적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학업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PASW 22.0을 통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 학업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학업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적응적 학업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적응적 학업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업소진이 더 가파르게 상승했다. 셋째, 부적응적 학업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부적응적 학업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의 경우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의 감소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burnou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27 high school students (male=277, female=250) in Busa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academic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endency of academic burnout increased whether the levels of mal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is high or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is low. Second, through moderating analysis, academic self-efficacy are moderated role on relations between 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Specifically, the effect of 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on academic burnout was found to be smaller than for students with high academic self-efficacy. But academic burnout has risen more steeply. Third, through moderating analysis, academic self-efficacy are moderated role on relations between mal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The effect of mal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on academic burnout was greater for students with lower academic self-efficacy.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should be valuable contexts of prevention or intervention.

      • KCI등재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손윤실(Son, YunSil),김우리(Kim, WooRi),김정섭(Kim, Jung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심리적 안녕감 척도가 포함된 설문지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중 31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첫째,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둘째, 기본심리욕구의 매 개효과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기본심리욕구, 심리적 안녕감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있어서 기본심리욕구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이 사회적 지지를 받는다고 지각하는 것이 중요하며, 동시에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erceived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st the mediated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is end, this study surveyed college student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with a questionnaire that scales social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310 responses were analyzed. SPSS 21.0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specifically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 test were utilized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wo-fol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found on all of the social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by the college students. Seco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howed partial mediated effects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by th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college students, it is crucial to help them perceive that they receive social support, and satisfy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i.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as well.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김지영(Kim Ji Young),김우리(Kim Woo Ri),손윤실(Son Yun Sil),김정섭(Kim Jung 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교수-학생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37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학업스트레스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과 부적 상관이 있고,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적응은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수-학생상호작용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개인 차원에서 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낮추는 것과 더불어 학교차원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relations among academic stre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Second, are there mediated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Data was collected from 370 students sampled from 3 colleges in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Academic Stress Scal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cale, and Adjustment to College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1986), and Bootstrapping by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an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Second, the through mediation analysis, there was partial mediated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Therefore to maximize of college adjustment, it is needed to decrease academic stress and to promot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