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raphene Nanosheets for Target Detection : 그래핀 나노시트를 이용한 타겟 검출

        손유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Here, we report a double stranded and dual anchored fluorescent aptamer on reduced graphene oxide (rGO) for sensitive and selective detection of interferon-gamma (IFN-g) in biological samples. The aptasensor is composed of IFN-g specific fluorescent aptamer with BHQ1 as one anchoring moiety, which forms double stranded sequences with complementary oligonucleotide sequence with BHQ1 as the other anchoring moiety, and rGO nanosheets. The double stranded and dual anchored fluorescent aptamer on rGO (AptasensorGO) showed 7.3 and 4.7-fold higher fluorescence intensity compared to single stranded and single anchored fluorescent aptamer on rGO, and double stranded and single anchored fluorescent aptamer on rGO, respectively. The fluorescence intensities of AptasensorGO were influenced by the length of DNA aptamer sequences, showing the highest intensity at 36 bp. AptasensorGO was specifically sensitive to IFN-g in buffer and human serum. AptasensorGO detected IFN-g in buffer and human with linearity ranges over 5 orders of magnitude (from 100 pg/ml to 10 mg/ml), show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0.9982 and 0.9838, respectively. Moreover, AptasensorGO showed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s to IFN-g, but not to non-target proteins such as interluekin-2 and tumor necrosis factor-a. Only after 30 min of incubation with AptasensorGO, the levels of IFN-g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positive patient plasma samples were quantified to range from 250 to 500 ng/ml. Taken together, the nano-rGO platform of double stranded and dual anchored fluorescence aptasensor provides new opportunities for detection of cytokines such as IFN-g and could be applied to rapidly monitor the cytokine levels in human patient samples. 이 논문은 reduced graphene oxide (rGO)를 이용한 광학 기반 바이오센서의 제조 및 특이적 타겟 검출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형광 인자가 부착 된 이중나선 앱타머를 rGO에 부착한 후, 타겟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의 형광 세기의 변화로 검출을 확인하는 바이오센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검출 물질로 인터페론 감마를 선정하였고 그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인터페론 감마 앱타머를 이용하였다. 이중나선 앱타머의 한 쪽 끝에는 rGO 부착 물질을 결합시키고 다른 쪽 끝에는 형광 인자를 결합시킨 상태로 rGO와 반응시켜주면, rGO의 표면에 앱타머들이 부착된 형태의 바이오센서가 제조된다. 사용된 앱타머의 길이는 36 bp로 rGO의 형광 소거 효과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검출 물질 반응 전 바이오센서는 형광을 발하는 상태이다. 하지만 검출 물질, 본 연구에서의 인터페론 감마를 바이오센서에 노출시키게 되면, 앱타머 가닥이 이의 상보적인 핵산서열보다 강한 친화력으로 타겟 물질과 반응하면서 단일나선구조 형태로 타겟 물질과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복합체는 rGO의 형광 소거 효과 범위로 들어오게 되어 결국 형광을 소실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광 소실을 기반으로 하여 타겟 물질을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광학 기반 바이오센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PBS와 세럼에서의 인터페론 감마를 100 pg/ml부터 10 ug/ml까지 성공적으로 측정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른 사이토카인과는 반응성을 보이지 않으며 타겟 물질인 인터페론 감마만 특이적으로 검출함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질적 가용성 평가를 위해 인터페론 감마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HIV 초기 감염 환자의 세럼에서의 인터페론 감마 농도 측정도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검출 방법들에 비해 제조공정 및 검출 방법이 간편하고, 정량적 측정이 수분 내에 완료되며, 저농도의 타겟 물질도 뛰어난 감도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바이오센서를 소개하고 있다.

      • Therapeutic effect of R-III on bleomycin-induced lung fibrosis in mice

        손유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ctivated stellate cells play a key role in fibrosis and retinoid-storing stellate cells exist in diverse organs such as the liver, pancreas, intestines, and lungs. Recent studies demonstrated that albumin and its derivative designed for stellate cell-targeting, retinol binding protein-albumin domain III fusion protein (referred to as R-III), reduces liver and pancreatic fibrosis by inducing the inactivation of retinoid-storing stellate cells. However, the therapeutic effect of R-III in pulmonary fibrosis is unknown. To examine the effects of R-III, a mouse model of bleomycin-induced acute lung injury was established. 7-week mice (n=15, 25)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equal groups. Acute lung injury was induced in all mice by administration of bleomycin and one group was also treated with R-III. Compared with mice treated with only bleomycin, the R-III-treated group had significantly attenuated collagen deposition, as well as, reductions of α-SMA, desmin, CD68, and TGF-β. In summary, retinoid-storing stellate cells in extrahepatic organs showed similarities not only in morphology and perivascular location, but also in the molecular fibrotic pathway. These data suggest that the fusion protein R-III also has a therapeutic effect in lung fibrosis by inactivating retinoid-storing stellate cells and that R-III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reducing extrahepatic fibrosis.

      •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위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손유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학교적응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법과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학습적 무기력과 사회적 위축을 완화할 수 있는 긍정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이하 “KCYPS 2018”)를 사용하였다. 그 중에서 중학교 1학년의 1차년도(2018년)의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 2,590명을 최종 분석 표본 수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먼저 SPSS를 통해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AMOS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 타당성 검증 및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파악하였으며 변인 간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및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이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이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수준은 낮아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을 완화시키기 위한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변인을 투입한 연구모형의 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습된 무기력과 사회적 위축을 겪고 있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차이가 있었다. 학습된 무기력 및 사회적 위축 모두 매개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된 무기력의 경우 매개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향상하기 위한 자아존중감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사회복지 차원의 실천적 지원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종단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발달궤적을 연속성 있게 살펴보고, 학습된 무기력과 사회적 위축을 예방하는 교육 및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비롯된 변수들을 설계하여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해 보다 깊이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learned helplessness, social withdrawal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used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It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secondary data of the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1st year (2018).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d helpless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social withdrawal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ird, adolescent's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school adjustment. Finally, adolescent's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and presenting a basic research material in seeking practical and policy support from the social welfare point of view.

      • 보드게임을 통한 여가활동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손유나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People have to make a decision or choice at every moment in daily routine life, no matter whether it's important or not for their lives. To lead an independent and self-reliant life, they should be capable of making a judgment on their own. Typicall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e and work in very structured environments, and they are considered not to make a decision on their own, and there are lots of barriers to their spontaneous decision making and choice just on the ground that they have disabilities. But recent studies establishe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o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eople without disabilities in self-determination and doing what's determined to do. There are a wide range of activities to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re one of general ways to boost self-determination skills. If living an independent life in local community is the ultimate goal of special education, leisure activities are one of the factors to determine successful integration into local community. Among a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board game is easy to enjoy irrespective of gender and age. It's possible to play board game even in a small space, and that is easy to learn. Thanks to such benefits, board game is intriguing and gives satisfaction to many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eisure program of board game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single-subject research was implemented, and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nfluence do leisure activities exert on the autonom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 What influence do leisure activities exert on the self-regulation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 What influence do leisure activities exert on the psychological competenc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4. What influence do leisure activities exert on the self-realiza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thre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provided with care during daytime at a dayc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the city of A.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in 25 sessions during a three-month period of time from September 3 to November 30, 2012, three times a week, by offering a board game program. Their behaviors were graded by two observers, and their scores were recorded on a checklist. As for data analysis, board game wa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subfactors of self-determination skills we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n an ABAB design was utilized to make a graph of their behavioral change scores. Among different kinds of board games on the market, a board game for education that was popular among adults and could improve self-determination skills was selected.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lf-determination skills was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Wehmeyer & Kelchner, 1995), which was published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This scale was modified to be appropriate at the level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make a single-subject research.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the leisure program that used the board game affected the autonomy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analyzed, and the program was foun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autonomy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how the leisure program that used the board game affected the self-regulations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analyzed, and the program was foun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self-regulations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how the leisure program that used the board game affected the psychological competency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analyzed, and the program was foun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psychological competency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th, how the leisure program that used the board game affected the self-realization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mong selfdetermination skills was analyzed, and the program was foun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self-realization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매 순간마다 선택이나 결정을 한다. 즉 자신의 삶과 관련된 크고 작은 일들에 대하여 결정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보다 독립적이고 자립된 생활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줄 아는 능력이 요구되어진다. 전통적으로 지적장애인은 매우 구조화된 환경에서 생활하고 근로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삶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자발적인 결정과 선택에 제한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중증장애인 또는 지적장애인이 자기결정 행동을 취하는 경향이 일반인과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고 있다. 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에는 여러분야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여가활동을 통해서 그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지역사회에서의 독립적인 생활이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볼 때 여가활동은 지역사회로의 성공적인 통합을 결정하는 요소들 중 하나가 되었다. 다양한 여가활동 중에서도 보드게임은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여가로서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게임을 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며 만족감을 준다. 이에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보드게임을 통한 여가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결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로써,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여가활동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규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여가활동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심리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여가활동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A시의 장애인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며, 낮 동안의 보호를 받고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 3명을 선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2년 9월 3일부터 2012년 11월 30일까지 3개월 동안 주3회씩 25회기를 실시하여 보드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관찰자2명이 대상자의 행동을 점수화하여 체크리스트에 기록하였다. 자료처리는 보드게임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자기결정능력의 하위요소 4가지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행동을 관찰, 점수화하여 ABAB설계를 통해 변화양상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보드게임 중에 성인들에게 인기가 있고 교육용으로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 보드게임을 선정 하였고, 자기결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미국정신지체협회(Arc)가 간행한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 (Wehmeyer, & Kelchner, 1995)의 구조를 단일대상연구를 위한 지적장애인성인의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드게임을 통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보드게임을 통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율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보드게임을 통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규칙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보드게임을 통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규칙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보드게임을 통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심리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보드게임을 통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심리적 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보드게임을 통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보드게임을 통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아실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ADHD 성향 대학생의 실행기능과 정서조절 및 학습전략 간의 상관성 연구

        손유나 東新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defects of executive function, a typical symptom of ADHD, and goal-oriented behavior as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y that appear essentially in learning situation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from general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when planning education and school adjust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to solve difficulties in education and school adjust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located in Jeollanam-do were col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conducted research on total 66 students of 33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and 33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fter explain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participation method, and consent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evaluated Kims neuropsychological test Ⅱ for executive functions of prefrontal lobe through face-to-face interview to investigate executive function of research subjects who were selected as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Korean version of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ale(K-AADHDS), used Korean vers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K-DERS) and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to investigate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y of general university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of general university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did not make effect on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y(p>.05).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y betwee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p<.001). Thirdly,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interference time and emotional regulation(p<.01) in the sub-test of executive function and cognitive strategy(p<.05), a subfactor of learn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cognitive strategy(p<.01) as well. These finding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are having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compare to general university student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y fail to use cognitive strategy effectively among subfactors of learning strategy as cognitive strategy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Also, this study identified a correlation between items of the sub-test of executive function as interference time, emotional regulation, and cognitive strategy. When planning education and school adjust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and cognitive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and will be able to plan a systematic program by referring to the abroad cases and activities that the researcher has suggested. 본 연구는 ADHD의 대표적 증상인 실행기능 결함과 학습상황에서 필수적으로 동반되는 목적 지향적 행동인 정서조절 및 학습전략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일반 대학생들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한다. 이를 토대로 추후 ADHD 성향 대학생들을 위한 교육 및 학교생활 적응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사용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ADHD 성향 대학생들의 교육 및 대학생활 적응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전라남도에 위치한 A대학교 재학생을 연구 대상자로 모집하였으며,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참여방법, 연구 동의서를 설명 후, 본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ADHD 성향 대학생 33명, 일반 대학생 33명, 총 6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형 성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척도(K-AADHDS)결과 ADHD 성향 대학생으로 선별된 연구 대상자들의 실행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가 직접 면담을 통해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Ⅱ를 평가하였으며, 일반 대학생과 ADHD 성향 대학생의 정서조절과 학습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학습전략 척도(MSLQ)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대학생과 ADHD 성향 대학생의 성별이 정서조절과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5). 둘째, 일반 대학생과 ADHD 성향 대학생의 정서조절과 학습전략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셋째, ADHD 성향 대학생의 실행기능 하위 검사의 간섭시간 항목과 정서조절(p<.01), 학습전략 하위 요소인 인지전략(p<.05) 간의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정서조절과 인지전략(p<.01)에서도 상관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ADHD 성향 대학생들이 일반 대학생에 비해 정서조절에 있어서 곤란함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습전략의 하위요소인 인지전략과 자원관리 전략 중 인지전략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행기능 하위검사 항목인 간섭시간과 정서조절, 인지전략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ADHD 성향 대학생들의 교육 및 학교생활 적응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ADHD 성향 대학생의 정서조절과 인지전략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계획해야 할 것이며, 연구자가 제시한 해외 사례 및 활동들을 참고하여 계획한다면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 호아킨 로드리고의 연가곡 「Cuatro Madrigales Amatorios」 (4개의 사랑의 마드리갈)의 음악적 분석 연구

        손유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아킨 로드리고는 20세기 스페인 민족음악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그의 대표적 성악곡인 연가곡 「4개의 사랑의 마드리갈」은 제 1곡 무엇으로 씻을까, 제 2곡 내 생명 빼앗은 당신, 제 3곡 내 사랑 어디에서 오나, 제 4곡 포플라 나무 옆에서, 총 4곡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 곡의 음악적 분석을 위해 먼저 스페인의 음악사적 배경과 로드리고의 음악 세계와 작품을 알아본 후 이 곡 전체를 이루고 있는 중요한 음악적 요소들을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각 곡의 개개의 형식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곡은 반진행, 불협화음과 협화음의 동시 사용, 멜리스마적 선율과 리듬의 모방기법 사용이 특징적이다. 제 1곡은 2부 형식으로 아주 느리게 시작하지만 변박도 나타나며, 후기낭만주의와 인상주의음악에서 자주 나타나는 특징으로 7화음 9화음을 주로 사용하였다. 제 2곡은 3부 형식으로 멜리스마적인 요소와 선법, 스 페인 민요에 자주 나타나는 반복구를 사용하였다. 반주는 제 1곡과 비슷하게 화성적 반주의 사용보다는 다성적 반주의 사용이 많다. 제 3곡은 2부 형식으로 잦은 변박과 불협화음, 선율과 리듬의 모방, 병행 8도를 주로 사용하였다. 제 4곡은 3부 형식으로 반복되는 리듬, 화성, 선율을 사용하는 비교적 단순한 구성이다. 그러나 특징적으로 선율에는 멜리스마적인 요소를 주로 사용하고, 피아노 반주에는 기타 주법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로드리고의 연가곡 「4개의 사랑의 마드리갈」은 후기낭만주의와 인상주의, 신고전주의가 함께 결합하여 로드리고의 독자적인 가곡 양식을 창출해낸 것이다. 또한 이 곡은 전체적으로 쉽고 단순한 구조이지만 스페인 전통 민속음악의 특징과 현대 음악의 특징을 융합하여 그의 가곡 양식을 잘 담고 있는 곡이다.

      • 카뮈의 니체 해석 : 카뮈의‘부조리’및‘반항’개념과 니체의‘운명애’사상을 중심으로

        손유나 원광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 부조리(absurdity)와 반항(rebellion) 개념을 사유하는 카뮈(Albert Camus)는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의 철학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카뮈의 실존주의적인 태도와 삶의 의미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은 니체로부터 많은 빚을 지고 있다. 카뮈는 1차 세계대전을 통해 전개되는 격동적인 유럽의 징후를 『시지프 신화(Le Mythe de Sisyphe)』에서 부조리라는 개념으로 표현하며, 인간과 세계 사이에 놓인 인간의 삶이 곧 부조리라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데올로기의 역사 속에서 혁명이나 살인으로 왜곡되었던 반항의 정신과 그 결과를 『반항하는 인간(L′ Homme Révolté)』에서 형이상학적 관점으로 분석하며 비판했다. 카뮈는 장 그르니에, 파스칼, 키르케고르, 니체, 야스퍼스 등의 많은 철학자들의 영향을 받으며 부조리와 반항 개념을 통해 새로운 인간 이해를 제시했다. 이 논문의 제Ⅱ장에서는 카뮈의 부조리와 반항 개념을 살피기에 앞서 카뮈의 초기 저작에 나타난 니체 읽기와 이해를 조명하였다. 카뮈는 니체를 중심으로 자신의 부조리와 반항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 속에서 니체의 비극적 사유와 그로부터 비롯되는 예술관의 일면을 공유하고 있다. 더불어 니체 철학에서 대지와 삶을 바라보는 관점은 삶의 풍요로움과 다양함의 관점에서 부조리를 바라보는 카뮈의 세계관으로 이어졌다. 이는 부조리로부터 반항으로 나아가기 위한 관점의 변화이다. 제Ⅲ장에서는 카뮈가 사유하는 부조리와 반항 개념에 담긴 이론적 기반과 그 함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제Ⅳ장에서는 데카당스, 허무주의(Nihilism)와 같은 시대적 병을 통해 이를 정신과 관점의 변화로 극복하고, 마침내 영원회귀와 운명애 사상을 통해 삶의 긍정을 주창했던 니체의 사고실험과 마찬가지로 카뮈 역시 권태라는 현상으로부터 부조리를 의식하고, 자신의 운명을 긍정함으로써 자신의 부조리한 운명을 알면서도 삶을 영위해간다는 논의로 일종의 사고실험을 시도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카뮈는 19세기 유럽의 데카당스 증상을 ‘의지의 병(Willensschwäche)’으로 진단한 니체의 허무주의를 자신의 부조리 개념에 응용하고, 이를 통해 절대적 절망과 맹목적 예속으로부터 환희와 자유의 새로운 인간상을 이끌어냈다. 그는 니체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운명과 삶에 대해 고통마저 긍정할 수 있는 사랑을 주창하며, 부조리의 인간의 전형인 시지프 신화 속 시지프를 통해 정신의 변화와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드러냈다. 이러한 그의 작업은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Also sprach Zarathustra)』에서 인간의 실존적 변화를 실현시키기 위해 매 순간을 의식하며 자신을 넘어서는 극복인(Übermensch)을 제시했던 것과 영원에 대한 인식을 통해 순간을 변화시키는 영원회귀(Ewige Wiederkunft) 사상, 삶의 부정적인 사건들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이며 고통까지도 긍정하는 운명애(Amor Fati) 사상과 연결된다. As a representative of the concepts of absurdity and rebellion in the 20th century, Albert Camus was strongly influenced from Friedrich Wilhelm Nietzsche’s works. There is no doubt that his existential attitude and keen interest in meanings of life were indebted to Nietzsche. He expressed the concept of absurdity in his Myth of Sisyphus(Le Mythe de Sisyphe) from the turbulent signs of Europe during the First World War, and confirmed that human life between man and the world was absurdity itself. In his book, The Rebel(L′ Homme Révolté), he analyzed and criticized the spirit and outcomes of rebellion, which had been distorted as revolution or murder in the history of ideology from a metaphysical perspective. Being influenced by many philosophers including Jean Grenier, Pascal, Kierkegaard, Nietzsche, and Jaspers, he proposed a new understanding of man through the concepts of absurdity and rebellion. Based on Nietzsche’s philosophy, this thesis newly illuminates “Camus′s understanding of Nietzsche′s tragic thinking” and “Camus’s tragic perspective of land and life” in the process of forming Camus’s concepts of absurdity and rebellion, and examin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implications of Camus’s concepts of absurdity and rebellion. In addition, Camus applied Nietzsche’s nihilism, which diagnosed the Decadence symptoms of Europe in the 19th century as “Disease of Will(Willensschwäche)” to his concept of absurdity and thus extracted a new image of man of joy and freedom from absolute despair and blind subordination. As Nietzsche did, Camus advocated love of embracing the fate of man and the pain of life, and revealed the ultimate meanings of spiritual changes and life through Sisyphus, an archetype of absurd man in the myth. These works of Camus are related to Nietzsche’s following ideas: 1) Overman(Übermensch) in his Thus Spoke Zarathustra(Also sprach Zarathustra), who is aware of every moment and overcomes himself to realize the existential changes of man; 2) the idea of Eternal Return(die Ewige Wiederkunft) to change a moment through the perception of eternity; 3) the idea of amor fati that says we should accept any negative events in life as our fates and even pains.

      • 현실과 가상 사이에서의 혼돈 표현 연구

        손유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기술은 세계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밝혀내려는 인간의 욕구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 정보와 이미지를 소비하는 속도와 양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지고 많아졌다. 과거보다 복잡하고 다양해진 현대사회의 삶 속에서 인간은 많은 양의 정보를 필요로 하며 많은 양의 이미지를 보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그 방대한 양으로 인해 정보와 이미지의 실재 여부를 구별할 수 없게 되었다. 현대인이 디지털 이미지의 그럴 듯함과 방대한 양에 압도되어 제대로 된 판단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그들은 가상을 가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본 연구자는 현대의 탈 실체적 사고, 즉 실체 혹은 본질을 찾으려 하지 않는 사고와, 파생실재(Hyper reality)의 이미지가 만연한 현 사회의 변화에 주목한다. 환상의 이미지를 이용한 의도적인 혼돈 상황을 관객에게 제시함으로써, 작품 속 가상과 현실의 이미지 사이에서 유발되는 인간의 불편한 감정을 관찰하고자 하며, 짜깁기의 방식과 베이퍼웨이브 요소를 이용한 방식을 상호텍스트성과 대중문화의 특징을 통해 작품에 표현하고자 한다. 논리나 질서를 무시하는 현대사회와 그 특징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시뮬라크르 속에서 자아의 실체는 혼돈의 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이와 유사한 끊임없는 갈등의 상황을 제공하여 현대인이 가상과 현실 사이에서 찾으려 하는 본질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화면, 소리, 그리고 그것들의 조악한 조합을 도구로 사용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불확실한 이미지를 체험하게 하며, 이 때 소리는 소음, 악기 음, 목소리와 이들의 조합으로, 혼돈의 상황을 극대화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작품은 서로간의 관계성이 떨어지는 객체 간의 짜깁기를 이용하여, 객체 개별의 의미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가 계속해서 생성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짜깁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베이퍼웨이브의 특징을 차용해 작품에 대중문화의 요소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이 경우도 요소들 간의 비논리적 결합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시각적으로 엉뚱하면서도 실재와의 구분이 애매한 환상적 이미지가 표현되기도 한다. 연구자는 현대 사회에 만연한 가상 인터페이스 속의 현실과 가상 이미지 사이의 의뭉스러운 경계에 나타나는 혼돈을 표현하여, 현대 기술에 대한 인간의 모순적 태도와 심리를 드러내고자 한다. Modern technology has advanced along with human desire to see and know more things, and today the speed and volume of consuming information and images goes far beyond that of the past. Humans need more information and see more images in the modern society that has become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than the past. However, they cannot ensure authenticity of the information and the images due to the vast quantity. In the situation where modern people cannot make a balanced judgement since they have been overwhelmed by the plausibility and the enormous amount of digital images, they could be stuck in the state in which virtuality is not recognized as virtuality. The author focuses on the change in the current society full of the images of hyperreality and non-existential thoughts, that is, not trying to seek real existence or inherent values. Also, the author investigates humans’ uncomfortable feelings coming from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images within the works by presenting the intentional chaotic situations from the illusional images and expresses the methods of patchworking and vaporwave elements through the features of intertextuality and popular culture. The existence of ego lies in chaos in the simulacre that fully reveals modern society ignoring logic, order, and its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author provides the similar situations filled with continuous chaos and examines the meaning of the inherent values that modern people want to seek between virtuality and reality. Screens, sounds, and their shoddy combination make the audience experience uncertain images, and the sounds combined with noises, musical instruments, voices, and their mixture maximize the situations of chaos. The works, by adopting patchworking of irrelevant and illogical elements, are represented through the way of generating new meanings different from the true meanings of the elements. To maximize patchworking effects, the factors of popular culture by borrowing the characteristics of vaporwave are included. This also features illogical linkage, and visually distorted and illusional images indistinguishable from reality. The author expresses the chaos that appears on the real and virtual images’ devious borderlines in the prevailing virtual interface of modern society, and reveals humans’ contradicting attitude and mind about modern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