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회발표논문(學會發表論文) : 증권집단소송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손영화 ( Young Hoa Son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1 상사판례연구 Vol.24 No.4

        The securities class action of our country was established with American Class Action as a legislation model. However securities class action in our country cannot function practically unlike U.S.A. I am going to discuss it as follow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securities class action system. First, the application object of the securities class action is very narrow. It is like the next from a. to d. a. Misstatements of by securities report and investment manual, b. Misstatements of the business report, semi annual financial statement, quarterly report, c. Use of non-public important information and market manipulation, d. Compensation for damages request for the insincere inspection of the accountant. It is not proper to confine the coverage to narrowness in a current securities class action when we think about the good point of the class action system. When it is reported a public purchase report insincerely, securities class action act will have to be applied. There is not a reason to differentiate the false public announcement of a periodical public announcement and a occasional public announcement. Therefore the occasional public announcement must become a target of the securities class action too. Second, the plaintiff stating securities class action must meet numerousness requirements, the possession requirements of securities, commonality requirements, effectiveness requirements. The possession requirements of securities need that plaintiff own a one-10,000th stocks. It is to prevent frivolous suit. In the case of a class action to perform investiga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listed corporation which made a wrongful conduct, such requirements have a problem. It looks desirable to abolish these requirements. Third, most of the securities class actions seem to be caused by a false public announc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responsibility by capital market law Article 125 gives a non-genuine joint liability. For legislation we refer to Private Securities Litigation Reform Act of 1995 in America. In other words, when the defendant don`t understands it and makes an act, we levy in principle by joint liability. When the defendant understands it and makes an act, we levy on the defendant by proportion responsibility(division responsibility).

      • KCI등재

        EU 일반데이터보호규정(GDPR)에 대한 우리나라 기업의 대응방안

        손영화(Son young hoa),손수진(Son soo ji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1

        EU 일반데이터보호규정(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 이하 GDPR)은 유럽연합(EU)의 새로운 개인정보보호의 틀이자, 개인정보(personal data)의 처리와 이전에 관한 룰이다. EU 회원국에 대해서 직접 효력이 발생하는 법규제로서 GDPR은 2016년 4월에 제정되어 2018년 5월 25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GDPR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권리라는 기본적 인권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GDPR 제1조). GDPR은 우리나라 기업이 EU 거주자에게 직접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EU 거주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경우, EU 역외의 사업자라 하더라도 동법의 적용대상이 된다(GDPR 제3조 「역외적용」). GDPR에서는 EU 역내기업으로부터 EU 역외의 제3국으로 개인정보를 반출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다(GDPR 제44조 「정보이전」). 또한 GDPR에는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보다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규정들이 있다. 고도로 글로벌화된 사회환경에서는 정보의 국경을 넘는 유통 및 활용이 불필요하게 방해받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현행 GDPR에서의 정보 이전제한에 대해서 우리나라 기업의 상당수가 표준계약조항이나 본인 동의로 대처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유럽위원회와 적정성 인정을 위한 대화를 잘 마무리 할 필요가 있다. 아직 적정성을 인정받지 못한 상태에서 EU와 거래하는 우리나라 기업으로서는 EU 개인정보보호법에 적합하기 위한 수단 즉, 표준계약조항(Standard Contractual Clauses : SCC)」 또는 구속적 기업준칙(Binding Corporate Rule : BCR)」 또는 본인으로부터 정보 이전에 관한 동의에 의하여 적정성을 인정받아 정보를 이전해야 한다. 또한 GDPR에서는 JEITA 등으로부터의 요망을 받아 「적절한 안전관리조치에 의한 제3국에의 정보 이전」의 한 가지 조치로서 「인증제도」가 추가되어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보급되어 있는 제3자 인증제도를 이용한 국경을 넘는 정보 이전에의 길을 열어 둔 것이다. 우리나라 전체(혹은 민간분야 전체적으로) 적정성 인정에 장기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선책으로 우리나라에서 일정한 요건에 근거한 인증을 취득한 기업은 무조건 EU에서 정보 이전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치의 실현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The EU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GDPR) is a new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ramework of the European Union(EU) and is a rule concerning the processing and relocation of personal data. GDPR has been enacted in April 2016 as a regulation that directly affects EU member states, and has been in effect since May 25, 2018. Where Korean companies deal with EU resident personal information while providing products and services directly to EU residents, will also be subject to GDPR (GDPR Article 3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In principle, GDPR prohibits the transfer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companies in the EU region to third countries outside the EU (Article 44 “Information Transfer" in GDPR). There is also provision in GDPR that regulations are not handled by Kor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r regulation is enhanced by Kor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Regarding the limitation of data transfer in the current GDPR, a considerable number of Korean companies respond by standard contract clause or individual agreemen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settle a dialogue with the European Commission to recognize adequacy. As a Korean company dealing with the EU in a state that adequacy has not yet been admitted, means for conformity with the EU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namely Standard Contractual Clauses (SCC) or binding company regulations (Binding Corporate Rule: BCR) or from the person himself / herself agreeing on data transfer, adequacy is recognized and information must be transferred. Also, in response to requests from JEITA, etc. in GDPR, “Certification system" has been added as one measure of “data transfer to third country by appropriate safety control measures". This opens the way for cross-border information transfer using the third-party certification system prevalent in our country. In the event that long-term assessment of adequacy is required for Korea as a whole (or for the private sector as a whole), in the next best practice, companies that have obtained certification based on certain requirements in Korea will be able to receive data transfer unconditional from the EU.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업경영활동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방안

        손영화(SON, Young-Hoa),강동욱(KANG, Dong-Wook)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17 No.1

        경제민주화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경제권력의 우월적 지위남용을 막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경제민주화라고 하는 화두 속에 너무 강한 규제를 경제에 가하는 것은 오히려 정상적인 기업경영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경제민주화를 달성하기 위한 개별 입법작업에 있어서 너무 지나친 과잉규제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경제에 대한 규제 및 조정은 시장의 실패에 대하여 그 보정기능으로서 국가가 개입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를 벗어나서 너무 지나치게 경제현상을 규제하거나 조정하게 되면, 시장의 실패보다도 더욱 안 좋은 이른바 정부의 실패가 될 수 있음도 유념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논문에서는 2013년 개정 공정거래법상의 일감몰아주기,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공정거래법상의 불공정거래행위, 대규모유통업법상의 입증책임의 전환문제 그리고 개정 유통산업발전법을 대상으로 합리적인 규제의 정도를 지나친 과잉규제가 없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검토해보았다. 각 법률상 본래 목적하였던 바를 지나쳐 경제에 대한 과잉규제의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지적하고 그 대안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논문이 이러한 분야에 대한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We tried to think about the principles and limitations of legislative regulation to corporate normal business activites. Adjustment and regulations on economy, can know that the state has intervened as a correction function for market failure. When the restrictions phenomenon of economic are very hard, it is not better than the market failure, it should be noted also tha t could be the so-called government failure. Specifically, we had studied 5 problems there is a risk of over-regulation by law. To the conclusion, we pointed out the problems easily. First, the revised Antimonoploy Act of 2013, now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y undue regulations on internal transactions between the corporate group, to regulate even reasonable internal transactiosn. Second, business system suitable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can be used as a barrier to entry. And this system possibly ignores the autonomous purification function or autonomous adjustment function of the economy. The need for such a strong and effective regulaton is questionable. Third, the regulation of our country for unfair trade practices is the best perceiving strong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Thus, a strong regulatory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o suppress the rational economic activity rather than protect the victims of unfair trade practices. There is a need to search a reasonable regulation of unfair trade practices. Fourth, large scale distributors has a dominant bargaining position on trading. Then in order to protect the seller, Large Scale Distributor Act was enacted. If large scale distributors take advantage on the contract, so the distributors have get the goods at a low price to sell quality products to consumers by the cheap price. This promote the welfare of consumers. If it is results in a consumer interests, he considered unfair conduct this is not reasonable. Fifth, the domestic SSM is under various operating restri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Do not approach within 1km traditional market. Two days for the month is not sales mandatory. Opening hours are limited from midnight to 10:00 am. It is legislation that have been made to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alley trade area from large companies. However, not be have benefited tradition trade area alleys and dometic trade area substantially, and foreign SSM is benefiting. It is questionable that the regulation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was not reasonable in the end.

      • KCI등재

        기업집단경영과 회사법상의 과제

        손영화(Son, Young Hoa) 한국증권법학회 2013 증권법연구 Vol.14 No.2

        최근 일본에서는 상법 개정을 위하여 개정요강이 만들어져 있다. 이 요강에서 상법 개정을 위한 여러 주제 가운데 하나가 기업집단을 둘러싼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일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미국 및 독일에서의 기업결합 관련 판례 및 입법 등에 대하여 함께 고찰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상법 개정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일본에서의 기업집단에 관한 논의 중에서 우리나라의 상법 개정 및 상법 해석방향에 도움이 되는 몇 가지의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업집단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모회사에서 편의롭게 기업집단을 운영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법인 선임 이사제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더 나아가 기업집단법제를 상법상 도입하는 경우에는 모회사 이사의 자회사에 대한 지시권(내지 지휘권) 그리고 자회사 이사의 지시에 따를 의무와 그러한 경우의 면책요건 등도 함께 논의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모회사의 주주보호의 문제이다. 이는 사전규제와 사후규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전규제는 자회사에서의 주요 재산처분, 지배의 이동을 수반하는 신주발행, 기업재편 등에 대해서 모회사 주주총회에서 승인을 요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문제이다. 자회사의 주요 재산처분 등이 모회사의 실질적인 자산 전부의 처분과 같이 볼 수 있는 경우에는 모회사 주주총회의 승인을 요하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사후규제로써는 다중대표소송의 도입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중대표소송은 완전모자회사 관계에 있는 모회사의 주주가 자회사의 이사에 대하여 제기할 수 있는 대표소송이다. 그 제소범위 및 제소요건 등에 대하여 남소의 가능성은 배제하면서도 자회사의 이사에 대하여 모회사가 책임추궁을 하지 않는 경우 모회사의 소수주주가 그 책임을 추궁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배종속관계 형성 및 유지시에 있어서 자회사의 주주보호도 중요한 문제이다. 형성시에 있어서는 원칙적으로 기업공개매수제도와 연결하여 자회사 전 주식의 매수를 지배주주 등에게 요구하는 것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자회사 상장에 따르는 문제는 상장규칙 등에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콘체른법은 독일에 특유한 법제로서 콘체른 전체 법제에 대한 이해 없이는 바로 우리나라에 도입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지배주주의 충실의무(duty of loyalty)는 지배주주의 남용적 행위로부터 소수주주를 구제하는 수단으로서 영미와 독일 등에서 판례에 의하여 오래 전부터 인정되어왔다. 상법상 이 제도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의 도입쟁점에 대한 연구

        손영화(SON, Young-Hoa)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17 No.4

        현재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 부속서Ⅰ의 비협약국으로서 배출량 감축이라는 교토의정서의 법적 구속성은 제외되는 개발도상국으로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세계 9위의 수준으로 향후 온실가스 감축의무의 대상국이 되는 것은 너무 당연한 수순이다. 그에 대한 충분한 준비를 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에는 아직 교토의정서의 의무당사국으로서 의무적으로 탄소배출량 감소를 행하고 있지 않지만, 미국 국내에서는 이른바 연방대법원의 매사추세츠사건 판결을 계기로 탄소배출량 규제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으므로 가까운 시일에 교토의정서 부속서Ⅰ의 협약국으로서 의무적으로 감축할 것으로 사료된다. EU의 경우에는 EU-ETS 제Ⅲ단계에서 EU와 동일한 정도의 온실가스규제를 하고 있지 않은 국가로부터의 물품 수입에 대하여 이른바 국경조치를 취하여 불이익을 가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있고, 배출권거래제도가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우리나라가 배출권거래제도를 도입하는 경우 EU-ETS는 참고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이라고 생각된다. So-called total limit emissions trading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 institutional design of carbon emission rights (Cap and Trade) scheme is expect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This is for operators suppressed in allowances emissions, minimizes costs for suppressing carbon emissions by selling emission credits generated by the suppression such as other operators, thereby discharging carbon you will be able to activate carbon emissions trading market. Allocation of carbon emission rights even in the case of the EU, initially was free allocation, but new system is to be adopted basic allocation method in 2013 and overall is reached in Ⅲ stage through the auction system than free allocation. EU has assigned by auction 40%. This is good model that it assigns a carbon emission rights. We take a deadline auction method in long-term that is reasonable in the market mechanism. However, in the short term it is desirable to allocate free in order to minimize such costs to the company.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EU experience by allowing too excessive emissions, so a company can neglect the efforts to reduce substantially the emissions, or which leads to collapse of the price of emission credits problem does not occur care must be. When choosing a method which will broaden the extent of even stages separately their use in the case of the CDM / JI use is that it serves to make the time required in which to adapt to the new system that ETS for businesses who but it is expected. When the South Korea is to introduce a trading scheme carbon emission rights in 2015, the need to protect domestic companies and industries to take a kind of border measures for the import of products from countries that do not introduce an emissions trading system.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방안

        손영화(Young-Hoa Son) 한국기업법학회 2014 企業法硏究 Vol.28 No.3

        빅데이터란 과거 아날로그 환경에서 생성되던 데이터에 비하면 그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주기도 짧고,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말한다. 빅데이터의 활용은 기업에게는 무척 새로운 사업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빅데이터는 사회 전체의 이익을 향상시키는 용도가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빅데이터의 이로운 활용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신산업 창출에 의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있어서도 빅데이터의 유용성은 인정된다. 그 반면에 빅데이터는 대량의 개인정보의 유출로 인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을 침해할 여지가 커진다. 개인정보보호법상의 개인정보 보호가 빅데이터 시대의 특징과 맞지 않는 부분이 존재한다. 즉, 빅데이터는 대량의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를 창출해 낸다. 그런데 정보의 수집과정이나 정보의 분석결과에 따라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합리적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4가지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의 보호범위의 문제이다. 타정보와 결합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이른바 결합식별정보(제2조 제1호)를 개인정보보호법의 보호범위에서 제외할 것인가의 여부가 문제된다. 빅데이터 산업의 발전을 위해 그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 법률을 제정하거나 개정하여야 한다. 둘째, 개인정보에 대한 정보주체의 동의문제이다. 다양한 정보의 프로파일링에 의하여 생성된 이른바 2차 개인정보에 대한 동의를 어떻게 하는 것이 합리적인가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2차 개인정보가 프라이버시와 관련되는 경우에는 옵트인 방식으로 사전동의를 요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옵트아웃 방식으로 사후에 이의제기를 하는 방법이 합리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개인정보보호법상의 최소수집의 원칙과 빅데이터의 특성인 대량정보수집의 조화이다. 하나의 대안으로서 이른바 익명화(비실명화)방법을 제시하였다. 개인정보의 유출에 따른 프라이버시의 위험을 경감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데이터의 익명화(Data Anonymization)를 취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잊혀질 권리의 도입과 관련된 문제이다. 현 단계에서는 직접 도입하기 보다는 종래의 정보삭제권(제4조 제4호)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다만, 죽은 사람의 개인정보는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의 보호대상이 아닌데, 이 부분에 대하여서까지 보호범위를 확대하는 문제는 앞으로 보다 더 신중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live in an age of big data. Compared to the data generated by the analog ages, the big data has a huge scale, a short period of generation and a diversity forms. The use of big data, there is an advantage such as to provide a very new business opportunities for companies. Take advantage of big data,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ublic interest of society as a whole. Usefulness of big data is also recognized in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by the creation of new industries. On the other hand, big data has a greater possibility such as personal privacy will be violated by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to a large scale.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features of the Big Data. Therefore, we need to reform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purpo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should be balanced with the proper use of personal data and reasonable protect of personal data. In this paper,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reasonable, has presented a draft of the following four. First, the problem i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ersonal data. Is a whether or not to exclude the comb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f we need to exclude the comb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ig data industry, we should be enacted or amended legislation. Second, the problem is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How to recognize the agreement of the data subject for secondary information of his or her identification. If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econdary is related to privacy, requiring prior consent to opt-in. If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econdary does not depend on the privacy, so as to appeal to the post in the opt-out method. Third, it is a harmony of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big data era and principles of minimum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f necessary to reduce the risk of privacy due to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take anonymity of the data(Data Anonymization). Fourth, it is a problem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right to be forgotten. By leveraging information eraser rights of conventional is desirable rather than to introduce at this stage. However, we need to careful consideration whether or not the protect of the dead men’s personal information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 KCI등재

        의약품 특허분쟁상 역지급합의에 대한 경쟁법상 문제

        손영화(Young-Hoa Son)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1

        최근 의약품 특허소송에서 화해 협정의 일환으로 나타난 역지급합의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과 유럽 등에서도 중요한 경쟁법상의 문제로 검토되고 있다. 역지급합의는 의약품 특허소송에서 후발의약품 업체(generic company)가 시장에 진입하지 않는다(또는 진입시기를 지연시킨다)는 조건으로 특허권자인 선발의약품 업체(originator company)가 후발의약품 제조업체에 대해 소송비용 상환을 넘는 액수의 재산가치를 이전하는 합의이다. 역지급합의에 경쟁을 제한하는 요소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경쟁법상의 규제가 문제된다. 역지급합의의 경쟁법상의 문제는 결국, 특허권과 경쟁법과의 관계설정의 하나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특허권은 배타성을 갖고 있는 권리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권의 행사도 그 자체 내제하고 있는 권리의 한계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권리의 정당한 행사라고 하는 것이다. 즉, 특허권의 정당한 행사의 경우에는 경쟁법의 적용대상이 아니다. 법상 부여되어 있는 그 권리의 정당한 범위를 벗어나는 권리행사의 경우에는 이에 대하여 경쟁법이 적용되지 않으면 안 된다. 다만, 역지급합의의 경우에는 최근에 발생하는 새로운 법률문제로서 그에 대하여 각국에서도 경쟁법상 규제에 대하여 검토를 계속하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경쟁법상의 규제는 신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역지급합의라는 새로운 법률문제는 기본적으로 합리의 원칙에 의하여 그 위법성 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특허권과 관련된 법률문제로서 역지급합의는 ① 정당한 특허권의 행사에 해당하는 행위, ② 당연위법에 해당하는 행위, 그리고 ③ 구체적으로 위법성 여부 즉, 경쟁제한성 여부를 심사해야 하는 행위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 당해 협정의 경쟁제한 내용이 명백히 특허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예를 들어, 특허 존속기간 만료 후에도, 후발의약품을 시장에 진입시키지 않는다는 약속), ㉯ 특허권자가 자신의 특허권이 무효사유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역지급합의는 명백히 경쟁법의 위반이라고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이 마련되어 향후 개별 사건에서 공정거래위원회와 하급심이 역지급합의에 대하여 판단하는 경우 그 친경쟁적 효과와 반경쟁적 효과를 보다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Recently, reverse payment agreement that appeared as part of the settlement agreement in the pharmaceutical patent litigation has been studied on the important issues of competition law in such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Korea. Reverse payment patent settlements are situations where patent holders agree to make a payment to potential competitors who have threatened to enter the market and challenge the patent holders" right to the patent, thereby delaying the point at which the competitor enters the market. If there are elements that restrict competition in reverse payment agreements, regulations on competition law against this is an important problem. Competition law issues of reverse payment agreement after all, is one of the problems of the relationship setting and competition law and patent rights. Basically patent"s right to have the exclusivity. However, although the exercise of these patent rights there is a limit of the implicit right, but that it is very legitimate exercise of the right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legitimate exercise of patent rights, there is no application of the competition law. Competition law must be applied to this in the case of exercise departing from the true scope of the rights that are granted on a law. However, regulations on competition law against this must be careful because the case of reverse payment agreement are a new law issues that arise recently. In principle reverse payment agreement must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its illegality by rule of reason. However, reverse payment agreement as a matter of law on patent rights is considered to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y. First, it is an act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of legitimate patent. Secondly, it is of course illegally appropriate action. Third, specifically illegality, that is, it is action that must review the propriety of the competition restrictive. At least ① such reverse payment agreement if the competition restriction content was out of the range of apparently patent rights (for example, even after the expiration duration of a patent, the generics promise not to enter the market) is clearly violation of competition law. And, ② If patent owner aware their patent rights are an invalid, such reverse payment agreement is clearly violation of competition law. There is a need for a detailed guidance for the reverse payment agreement. Guidance for the reverse payment agreement must be able to determine its competitive restrictive more easily when determining the reverse payment agreement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or by the lower court.

      • KCI등재

        계열사 부당지원행위 규제의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 - 일감몰아주기, 부당내부거래 등을 중심으로 -

        손영화 ( Son Young Hoa ) 한국경제법학회 2013 경제법연구 Vol.12 No.1

        일감몰아주기는 기업집단 소속 기업들의 일감을 기업집단내 특정 계열회사에게 과도하게 몰아줌으로써 당해 물량 수주기업의 산업군에 속하는 동종 경쟁업체들을 관련시장에서 배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과도한 일감몰아주기는 시장에서의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질서를 지키기 위하여 규제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일감몰아주기가 언제나 경쟁제한적 목적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것에도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물류비용 절감과 기업비밀 유지, 기존 기업의 분사에 따른 내부거래 그리고 안정적인 물류수급과 품질확보를 위한 내부거래 등 결코 공정하고 자유로운 시장경쟁질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상적인 내부거래도 존재한다.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은 시장에서의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질서의 유지라고 하는 본래의 목적에 충실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일감몰아주기 중에서 관련시장에서의 경쟁질서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과도한 경제력의 집중으로 연결되는 부당한 일감몰아주기만을 규제하고 그렇지 않은 내부거래에 대해서는 이를 공정거래법상의 규제대상으로 하지 않는 입법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 부당지원행위에 관한 규정을 보완하고 개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공정거래법의 규제목적이 경쟁자의 보호가 아닌 경쟁의 보호 및 경쟁질서의 보호, 다시 말해, 시장에서의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질서를 통하여 경쟁자도 보호하고 소비자도 보호하는 것임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감몰아주기를 포함한 부당지원행위와 관련하여 공정거래법 개정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제시한 개정안의 내용상 특징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당지원행위를 종래와 같이 제5장 불공정거래행위로 규정하며 현저성 요건을 상당성 요건으로 완화하였다. 둘째, 부당지원행위의 추정규정을 두었다. 정무위원회의 대안과는 달리 매출액 기준 100분의 50 이상의 부당지원행위에 대하여 부당한 지원행위라는 추정규정을 두었기 때문에 과잉금지의 문제라든지 위헌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종래 부당지원행위의 유형으로 포섭되지 않던 회사기회유용과 관련한 내용도 새로이 부당지원행위의 내용으로 규정하였다. 넷째, 부당지원행위의 객체에 대한 의무규정과 과징금규정을 두었다. The Article 23 §1(ⅶ)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herein after MRFTA) stipulates supporting conduct between affiliated firms. It is a unique regulation in Korea. An act of supporting with volumes of trade(So-called Il-Gam-Mol-Ah-Joo-Gi) to a certain company by large-sized companies is an one type supporting conduct between firms. Act of supporting with volumes of trade to a company by affiliates of the Group has problem excluded from the relevant market the other competition companies belonging to the industry in question. So, act of supporting with volumes of trade must be regulated in order to protect the order of fair and free competition in the market. However, it must also be noted that there is normal internal transactions tha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market order of fair and free competition market. The normal internal transactions conduct for corporate confidentiality and logistics cost savings, logistics and subcontracting stable and ensuring quality etc. To maintain the competitive order in the market and must be done only in order to prevent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in principle. Several legislative action were made to regulate unfair transactions recently. Expansion of the self-dealing on directors and the introduction the company’s opportunity theory were legislated to the Commercial Act. And the taxation on gains from transaction between affiliate firms was introduced to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in 2012. In addition, published criteria of internal transactions of the Group in has been enhanced by the MRFTA enforcement decree amendment, it has become possible to monitor the transaction between affiliate firms more easily. The MRFTA must be executed faithfully to the original purpose of maintaining order of fair and free competition in the market. In other words, it regulates only unfair supporting conduct to be connected to the concentration of excessive economic power or can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competitive order in the relevant market. Traditionally, this can be achieved by amending the provisions relating to unfair support conduct. The regulatory purposes of the MRFTA is the protection of competition rather than the protection of competitor. In other words,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he competitor is protected and consumers are protected through a competitive order fair and free in the market. In this study, in relation to unfair support act it contains at act of supporting with volumes of trade has been presented in detail the MRFTA amendment.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in the conventional the unfair support conduct, it is defined as unfair trade act Chapter 5. However, requirements were modified from the prominent to the reasonableness. Second, placing the presumptive rule of unfair support conduct. It is presumed to be unfair support conduct the internal transaction more than 50% in terms of sales. Third, it was defined as the contents of the unfair support conduct anew the contents associated with useful on the occasion of the company. Fourth, placing the surcharge provision obligations and provisions of the object of unfair support con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