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

        손승철(Son, Seung-Cheu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0

        이글은 통신사 사행록 중 ‘日本國志’의 성격을 지닌, 『海東諸國紀』와 『和國志』의 同異点을 분석하여 조선전기와 후기의 일본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신숙주시대 대일관계의 주요목표는 왜구금압과 통교체제의 구축이었다. 따라서 『海東諸國紀』의 주요내용도 일본인의 약탈적 습성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대책으로 朝鮮來朝者들에게 통교를 허락해 줌으로써 우호관계를 구축해 가는 것이었다. 반면, 원중거시대의 한일관계는 동아시아 국제정세도 안정되고, 조·일간에 큰 외교 갈등도 없었다. 『和國志』는 일본개관에서부터, 역사, 전쟁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산업등 방대한 분량으로 다양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원중거는 여러 곳에서 일본은 조선을 침략한 원수의 나라이니 경계를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일본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할 것을 주장했다. 즉 신숙주의 경우, 왜구에 의한 피해의식, 약탈을 막기 위해 일본과 통교체제를 구축하여 교린을 지속해야 한다는 목적이 있었고, 원중거의 경우는 임진왜란에 의한 피해의식, 일본을 복수의 대상, 재침략을 막기 위한 경계의 대상으로 인식했고, 〈通信有五利〉를 강조함으로써 통신사의 왕래를 통해 교린관계는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이점에서 두 책은 일본과의 교린관계를 유지하려는 외교적인 목적을 위해 쓰여졌다는 공통점을 가지는 반면, 『海東諸國紀』가 약탈자 일본과 어떻게 하면 통교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가가 목적이었다면, 『和國志』는 침략자 일본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비해가면서 우호관계를 유지해 갈 것인가가 목적이었다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characters of ‘Ilbongukji’(日本國志) through the analysis of 『Haedongjegukgi』 and 『Hwagukji』 to understand Joseon’s awareness upon Japan in early and later Joseon period respectively. In the era of Shin Sook-Joo, the main target of the relation with Japan was to prevent Waegu(Japanese pirate raiders) and to construct diplomatic relation. Accordingly, major contents of 『Haedongjegukgi』 is to figure out the plundering habit of the Japanese and to establish relationship by allowing friendly relationship with Joseon’s foreign envoys. On the other hand, the Joseon and Japan relation in the era of Won Jung-Geo was stable in terms of international politics without any huge diplomatic conflicts. 『Hwagukji』 describes the introductory survey of Japan including history, history of warfare,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ultural and industrial aspects. However, Won Jung Geo argued that Joseon should take alert against Japan as a country of invasion, and als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Japan accurately. While Shin Sook-Joo intended to establish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to prevent plunder, Won Jung-Geo saw Japan as a country to be alerted to prevent another invasion thanks to the victim mentality caus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ut as he emphasizes 〈Tongsinyuori〉(通信有五利) he argued to maintain the foreign diplomatic relation through the exchange of the Tongsinsa. In this sense, both books have similarities to keep foreign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But they have differences: 『Haedongjegukgi』 considered how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 with Japan as a plunder, but, 『Hwagukji』 intended how to keep friendly relation with Japan as an invader while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s and preparing measurement against them.

      • 해동제국기의 역사지리학적 연구

        손승철(Son Seung-Cheu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5 No.-

        『海東諸國記』는 일본의 지세ㆍ국정ㆍ풍속ㆍ來朝記事 및 朝聘應接紀 등을 기록한 것으로, 1471년에 申叔舟에 의해 편찬되었다. 이글에서는 『해동제국기』의 「日本國紀」와 「琉球國紀」에 수록된 내조기록을 중심으로 『해동제국기』의 역사지리학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日本國紀」〈天皇代序〉에는 8건의 기사가 있다. 320년 백제에서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는 것부터 시작되며, 고대 삼국과의 교류는 백제, 신라, 고구려 순으로 전개된다. 이 점은 종래 405년을 전후해 일본에 파견된 王仁博士에 의해 유교 및 백제문화가 전수되었다는 기존학설과는 사뭇 다른 견해를 보여준다. 〈천황대서〉에서는 단 8건의 기사만 기록했는데, 그 이유는 한반도와 일본열도가 우호교린을 해야 한다는 기본입장에서, 교류의 시원이 한반도로부터의 사신파견과 문화전수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강조하려 했던 것은 아닐까. 〈八道六十六州〉의 내조기사는 기내 5주에 거주하는 幕府將軍 이외의 8명의 영주들이 巨酋使의 대우를 받으며 내조한 내용이다. 최초의 내조는 1408년부터지만, 대부분은 1460년대부터 1470년의 기록이다. 조선에서는 이들 내조자들에게 線布ㆍ正布ㆍ쌀과 콩을 주었고, 이들은 특산물로 구리ㆍ염료 등을 가져왔다. 8도 가운데는 지금의 규슈지역이 제일 많았다. 하카다[博多]를 중심으로 번성했던 동아시아 해역의 국제무역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8도의 내조자 가운데 특이사항으로는 觀音菩薩 現身을 치하와 對馬島主 宗貞國의 역할이 있다. 세조의 왕권강화책과 그것을 역이용하는 내조자들과 대마도주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對馬島〉의 내조기사에서는 수직인과 수도서인, 세견선약정과 세사미에 대해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완전히 종속되어 있는 대마도의 모습을 상세히 기술했다. 또한 대마도내의 모든 내조자가 거주하고 있는 浦口 및 戶數를 상세히 기록했고, 특히 왜구와 관련해서는 海賊大將이나 魁首라는 표현을 썼다. 倭寇에 대한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해동제국기』의 내조기사를 통해, 당시 조선에 온 일본인들이 어느 지역에서 어떤 사람이 왔고, 또 무슨 목적에서 어떻게 내왕했는가를 일목요연하게 분석할 수는 좋은 사료이다. 『Haedongjegookgi(海東諸國紀)』 recording Japanese physical features, political affairs, customsㆍthe arrival of foreign envoy(來朝記事) and invitation and reception of Joseon(朝聘應接紀), was compiled by Shin, Sook Joo〈申叔舟〉 in 1471. This study attempted a historical, geographical analysis of Haedongjegookgi focusing on the arrival of foreign envoy contained at 「Ilbongookgi(日本國紀)」 and 「Yoogugookgi(琉球國紀)」 in 『Haedongjegookgi』. There are 8 articles in 〈Cheonwangdaeseo(天皇代序)〉 in Ilbongookgi 「日本國紀」. It started from Baekje dispatching envoy to japan in 320, and the exchange with ancient three countries is developed in the order of Baekje, Shilla and Goguryo. This aspect shows quite different opinion from the existing theory that about 405, Wanginbaksa(王仁博士) dispatched to Japan, Confucianism and Beakje culture were transmitted. 〈Cheonwangdaeseo〉 recorded only 8 articles, the reason for which may have stressed that the exchange was originated from the envoy dispatch and cultural transmission from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basic situation that the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should form a friendly relation. The arrival article of foreign envoy in Paldoyookshipyookjo(八道六十六州) is the content that other 8 lords than military generals residing at 5 local states arrived treated as a Geoyoosa(巨酋使). The initial arrival began from 1408, but most of which was written from the 1460s till the 1470s. Joseon gave to these envoys cotton cloth, fine cloth, rice and bean, and instead they brought copper, and dyestuffs as special products. Among the 8 provinces, current Kyushu was the most. It can be conjectured of the international trading circumstances thriven focusing Hacada[博多]. The special matter of envoys from the 8 provinces is the rule of Gwaneumbosal, Hyunshin(觀音菩薩 現身) and role of Jongjeonggook, Daemadojoo(對馬島主 宗貞國). It can be certified of the royal centralization of King, Sejo, and the role of envoys and Daemadojoo making a reverse use of it. The arrival article of Thushima(對馬) minutely described Soojikin, Soodoseoin, Segyunseon convenant and Sesa rice, by which explained the picture of Daemado economically completely subordinated. Also it recorded the ports(浦口) all envoys resided in Daemado and number of houses, especially, in regard to Japanese pirate raiders, it used the term of commander of pirate raiders(海賊大將) or head(魁首). It does not reduce tension. In this respect, the arrival article of Haedongjegookgi 『해동제국기』 is a good data to plainly analyze where Japanese coming to Joseon were from, for what they came.

      • KCI등재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손승철(Son, Seung-cheul)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39 No.-

        울릉도와 독도 근해는 신라시대부터 우산국으로 기술되면서, 신라의 영토에 편입되어 있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고려의 영토로 인식되었고, 1141년부터는 명주도의 관리구역이었다. 『高麗史』에 의하면 東界 울진현의 행정구역으로 소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1350년대에 왜구의 침입하면서, 울릉도는 동해안 지역을 약탈하기 위한 중간 거점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강원도를 비롯한 동해안지역에 대한 왜구의 침탈은 계속되자, 울릉도가 왜구침탈의 중간거점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처로 "居民刷出"을 했다. 그런데 이러한 "居民刷出"이 일인사학자들에 의해 조선의 해양정책으로 규정되어 "空島政策"이란 용어로 불리게 되었다. 당시 대마도에서는 일본인의 울릉도 이주를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태종은 일본인의 울릉도거주를 허용하는 것은 越境이므로 허락할 수 없다고 했다. 즉 일본인의 이주를 청한 것이나, 越境이어서 안된다고 한 것은 일본이나 조선의 울릉도에 대한 경계인식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울릉도 관리를 위해 "武陵等處按撫使"와 "武陵島巡審敬差官"을 파견하였고, 17세기 말 "안용복사건"을 계기로 搜討制가 제도화되어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결국 "공도정책"이란 있지도 않았고, 오히려 "거민쇄출"도 울릉도를 경영하는 하나의 시책이었다. "居民刷出"을 시행하면서 조선에서는 按撫使 - 敬差官 - 搜討官을 파견하여 울릉도에 판한 도서경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다. 한편 于山國이 于山과 武陵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우산과 무릉이 一島인가, 二島인가 하는 문제이다. 『고려사』나 『세종실록』에는 우산과 무릉이 두 섬으로 기술되었는데, 『신증여지승람』에는 한 섬으로 되어있다. 이 사료는 조선왕조가 동해의 도서에 대해 어떠한 영토인식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설명해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一島說"과 "二島說"의 혼란은 『동국문헌비고』에 의해 완전히 "二島說"로 정리된다. 이는 1696년 안용복 도일사건이후 벌어진 조일간의 "울릉도쟁계"의 결과 나타난 영토인식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于山國은 于山과 武陵이며, 두 섬으로 되어있고, 于山은 독도, 武陵은 울릉도"라는 사실이 모두 증명된다.

      • KCI등재

        외교적 관점에서 본 조선통신사, 그 기록의 허와 실

        손승철(Son, Seung-cheul),박찬기(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8 한국문학과 예술 Vol.2 No.-

        通信使의 명칭은 중국이나 일본에는 없고, 일본에 파견했던 사절에만 붙여졌다. 통신사란 漢字音 그대로, 통할 通, 믿을 信, 사절 使로, 믿음을 통하는 사절, 또는 믿음을 통하기 위한 사절이다. 조선시대 전 기간을 거쳐 막부장군에게 총 32회(전기 20회, 후기 12회)의 사신이 파견되었다. 이 가운데 사행록이 남아있는 것은 전기 4회와 후기 12회 등 총 16회의 사행이며, 현존하는 것은 43편에 이른다. 이글에서는 43편 중 4편의 사행록을 대상으로 그 虛와 實을 外交史의 측면에서 재조명하고자 했다. 이들 사행록을 택한 이유는 송희경 『日本行錄』은 조선초기 대일관계 성립기의 사행록이며, 조선시대 최초의 대일사행록이라는 점, 김성일 『海?錄』은 退溪와 栗谷에 의해 朱子學이 심화되어 가는 시기로 임진왜란 직전이라는 점, 元重擧『乘?錄』과 『和國志』는 통신사행의 최절정기라 할 수 있는 18세기 후반으로 江戶까지 왕래한 마지막 통신사였다는 점 등에서 그 특징을 추출해 낼 수 있다. 이들 사행록은 각 사행이 처한 시대적 상황을 충분히 표출하면서, 각기 외교사행의 목적에 충실했다. 송희경의 경우, 그가 기록한 일본의 정치상황은 조선초기 대일정책을 수립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했으며, 김성일의 경우, 임란발발에 대한 부정적인 보고로 오명을 남기기도 했지만, 국체를 지키려는 강직한 의지는 나름대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리고 원중거의 경우는 北學派 내지 燕巖一派의 일본관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정약용과 김정희에게 까지 이어졌다. 따라서 통신사 사행기록은 각 시대마다 일본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전기간을 통해 「華夷觀」적인 세계관을 탈피하지 못했고, 문화우월주의적인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러한 장애로 인해 결국은 일본을 객관적이고 상대적으로 인식할 수 없었으며, 변화하는 한일 관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힘을 자생적으로 키워갈 수 없었다. 그러나 이들 사행록에 나타나는 각자의 화이관도 시대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송희경의 경우, 조선 초기 小中華論이 싹터가는 시기여서, 일본의 문화나 풍속에 대해 지나치게 이적시하거나 배타적인 인식은 적었다. 그러나 退溪ㆍ栗谷에 의해 주자학이 심화되고 禮的 秩序가 강조되는 김성일의 시기에 와서는 철저한 화이론적 입장에서 일본을 夷狄視했고, 화이론적 명분론에 집착한 나머지 일본의 사회나 문화에 대한 현실적인 이해가 결여되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원중거의 사행록은 18세기 실학시대의 산물로 평가될 만큼 화이관의 변화를 보여준다. 조선인과 일본인의 동질성을 밝히고, 조선인과 비교하여 일본인의 장점을 기술했다. 또한 천황과 막부장군과의 관계를 직시하여 尊王運動을 예견하기도 했다. 그리고 ‘通信有五利’와 ‘通信行中有三大弊’를 통해 통신사의 목적과 폐단을 직시하여 통신사제도를 개선할 것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사행록에 나타나는 ‘華夷觀’을 역사적으로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그들의 대일인식이 華夷觀에 기초한다고 해서, 무조건 현실성이 결여되었다고 치부해 버릴 것인가?. 이러한 점에서 조선시대의 절대적인 가치관이었던 朱子學적 세계관을 벗어날 방법은 없는 것인가. 그 점을 따지지 않고, 華夷觀만을 매도한다면, 혹 컴퓨터의 운영체계가 다른 일본의 프로그램을 그대로 한국에서 돌릴 수 있다는 모순은 없는지. 통신사 사행록의 허와 실도 이러한 측면에서 파악해야 하며, 현재의 한일관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There exists no appellation of Tongsinsa in China or Japan, which was named for the delegation dispatched to Japan. Tongsinsa[通信使]-Tong[通] mean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in[信] means to have a faith, and Sa[使] is a delegation in its phonological sound of Chinese itself- was a delegation who communicated with others[Japanese] on the basis of faith, or the one whose aim was to communicate with others[Japanese] on faith.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Joseon, the total frequencies of sending a Joseon delegation to the shogunate government in Japanwere found to be 32 times[20 times during the first half period of Joseon, and 12 times during the second half of Joseon]. Among these still remain a total of travel sketches for 16-time delegation activities including 4-time travel accounts during the first half and 12-time travel sketches during the second half, and the extant number of travel accounts in Japan amounts to 43 volumes. This research is aimed at re-configuring facts and fictions for the 4-volume-chronicle out of 43 volumes in terms of a diplomatic history. The reason for adopting these four chronicles for delegation"s doing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elegation"s activities can be abstracted in that NipponHaengRok(『日本行錄』)by Song,Hee-kyung is the one for the early period of Joseon, when diplomatic ties with Japan was set up and also the first chronicle of delegation"s doings with Japan; Haesarok(『海?錄』)by Kim,Seong-il, contains the historical aspects during the period when Sung Confucianism was getting at the height of its scholastic depth by Taeke(退溪) and Yulgok(栗谷)just prior to the Imjin War[1592][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SungSaRok(『乘?錄』)and Hwagukji(『和國志』)were written by Won, Jungko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which is called the high noon of Tongsinsa"s doings and these two volumes of chronicles contain the last delegation"s going and coming as far as Edo(江戶). These chronicles of delegation"s doings were faithful to individual diplomatic activities while adequately expressing the circumstances of the period with which each delegation was faced. In case of Song, Heekyung, his records of Japanese political circumstances greatly contributed to setting up the policy with Japanduring the early period of Joseon; in case of Kim, Seongil, though ill-famed for negative report on the breaking out of the Imjin War, is highly evaluated for his staunch volition to safeguard the national polity according to his lights. In addition, in case of Wonjungkoe, he had a great effect on the formation of Bukhak School(北學派) and Yeonam School"s(燕巖學派) view of Japan, and such trend was handed over to Jeong, Yakyong(丁若鏞) and Kim, Jeonghee(金正喜). Accordingly, the chronicle of Tonsinsa"s doings can be assessed to make a factual description of Japanese aspects of individual periods. However,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Joseon, these chronicles failed to deviate from a view of the world based on the traditional thought of distinction between Han China and the other barbarian(華夷觀), nor did they escape from the pro-culture supremacy consciousness. Due to these obstacles, Joseon failed to be aware of Japan objectively and relatively after all; besides, Joseon couldn"t enrich its strength to cope actively with the transitory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spontaneously. However, there appear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individual view of discerning Chinese tribes from barbarians as specified in the chronicles of Tongsinsa"s doings according to each period. In case of Song, heekyung, he didn"t think of Japanese culture and traditions as excessively barbarous, nor did he have much exclusive consciousness of them. However, with the deepening of Sung Confucianims by Taege and Yulgok, and in the Kim, Sungil"s period in which ceremonial order was emphasized, Japan was regarded as a barbarian at the positio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후기 수토기록의 문헌사적 연구

        손승철(Son Seung-cheul)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1 No.-

        鬱陵島 搜討에 대한 연구는 1998년, 송병기에 의해 시작된 이래 김호동, 심현용, 유미림, 손승철, 배재홍, 백인기, 김기혁 등에 의해 진행되었다. 이 글은 이들 연구를 종합하여 수토사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전망 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한다. 울릉도 수토는 1694년 8월, 최세철의 예비조사에 의해 시작된 이후, 1894년 종료될 때까지 200년간 지속되었다. 기존의 연구자 모두가 3년에 한번씩 제도화 한 것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수토사의 派遣次數와 週期性에 대해서는 많은 이견이 있다. 또한 搜討官의 임명과 파견 절차에 대해서도 삼척영장과 월송만호의 輪回搜討는 인정하나, 윤회수토의 실상이나 이유, 그리고 출항지와 귀항지, 또한 이들 지역의 현재 위치 등에 대한 검증이나 고고학적 조사는 거의 되어 있지 않다. 수토사의 편성과 역할 등에 대해서도 지역주민의 기여도와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搜討記錄를 통해 볼 때, 수토사의 역할이 倭人探索, 地勢把握, 土産物進上, 人蔘採取 등에 있었음을 염두에 두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했는가도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출항에서부터 귀항까지의 여정과 경로에 대해서도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 수토기간도 일정치 않고, 수토지역에 대한 실측 및 고증도 필요하다. 그리고 수토사들이 울릉도의 어느 지역에서 무엇을 했는지, 현재의 울릉도 지형·지세를 바탕으로 조사와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울릉도의 일주도로, 항만, 비행장 건설이 본격화되기 이전, 울릉도의 고고, 역사와 지리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계획이 수립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수토관련 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수집과 편찬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토관련 자료로는 수토사실을 기록한 各種 史書 등 古文書, 搜討記, 刻石文, 地圖 및 圖形, 山水畵, 待風軒 史料 등이 있다. 물론 새로운 자료 발굴도 계속되어야 하며, 군사, 지리, 민속, 해양, 해류 등 학제간의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조선후기의 ‘鬱陵島 搜討使’ 파견이야말로 울릉도와 독도가 우리영토라는 명백한 증거의 하나이다. 조선시대, 조선정부와 지역민이 울릉도와 독도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가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이며,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논문(論文) : 고려시대 강원지역에 대한 왜구의 침탈과 대응

        손승철 ( Seung Cheul Son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고려시대 말기, 40년간은 왜구약탈이 극심하여 고려를 쇠망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시기에 왜구는 남해안과 서해안 지역은 물론이고, 강원·함경도지역에 이르기까지 침탈하였다. 특히 1380년부터는 내륙으로 진출하였고, 수도인 開京부근까지 침입하여, 도읍을 옮기자는 遷都論까지 제기되었다. 강원지역에 처음 왜구가 출몰하는 것은 1352년 6월, 江陵道이다. 이 지점은 현재의 강릉으로 추측된다. 1372년에는 안변, 함주, 강릉, 영덕에 침입했다. 그리고 1374년에는 강릉, 양양, 삼척, 회양에 침입했다. 1370년대에 왜구가 강원지역을 침입한 이유는 海路를 이용하는 漕運제도를 폐지하고, 육로운송으로 바꾸었기 때문이고, 이후 점차 내륙지방으로 확산되어갔다. 1381년에는 강릉, 울진, 삼척, 평해 등 해안지역에 출몰했고, 1382년에는 영월, 원주, 회양 등 내륙지방으로 침구했다. 1383년에는 영월, 정선, 양구, 홍천, 춘천, 가평에 이르기까지 강원도 전지역을 약탈했다. 영월 등지의 왜구가운데는 假倭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을 왜구에 포함시키는 것은 부당하다. 고려시대 강원지역에 출몰한 왜구기사는 1385년에 양양과 평해를 마지막으로 자취를 감추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강원지역에 대한 왜구의 침구는 계속된다. 한편 고려는 강원지역의 왜구침구에 대해, 중앙차원에서 軍制改編, 水軍再建, 武器體制의 轉換 등으로 대응하면서, 李成桂를 비롯한 장수들을 파견하여 왜구를 진압하는 한편, 동해안 지역에 19개에 달하는 城郭을 재건하거나 새로 쌓으면서 대응해 나갔다. The disastrous plunder of Japanese pirate raiders for 40 years of late Goryeo became a cause of the destruction of Goryeo. During the period, they invaded Gangwon and Hamgyeong provinces as well as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Goryeo. In particular, the raiders progressed into inland from 1380 onward eventually marching on to the capital area Gaegyeong(開京). This raised an argument of transferring the capital(遷都論). It was in June, 1352 at Gangneung-do when Japanese pirate raiders first appeared in Gangwon province. This place might be in present day Gangneung. In 1372, they advanced to Anbyeon, Hamju, Gangneung and Youngdeok. And in 1374, Gangneung, Yangyang, Samcheok and Hoiyang were under attack. The reason why they invaded Gangwon area in 1370s was because they gave up sea-route based Jo-un(漕運) system and they started to take land route transportation instead. This tendency continued to spread out toward further inland. In 1381, Japanese pirate raiders appeared on the coastal area of Gangneung, Uljin, Samcheok and Pyenghae, followed by inland attack in 1382 to the extent of Youngweol, Wonju and Hoiyang. Finally the whole area of Gangwon up to Youngwol, Jeongseon, Yanggu, Hongcheon, Chuncheon and Gapyeong were raided by the year of 1383. Some raiders of Youngweol were actually pseudo-raiders(假倭) whose identity must not be regarded as Japanese pirate raiders. Whereas the news of raiders invasion toward Gangwon province disappeared in 1382 with the Yangyang and Pyeonghea haunting as the last spell, there was a continual invasion of Japanese pirate raiders toward Gangwon province during the Chosun period. Meanwhile, Goryeo responded to the raids of Gangwon with reshuffle of military system, reinstatement of navy and renovation of weapon system. The government also dispatched troops led by Yi Seonggye to repress the raiders, and reconstructed and built 19 fortresses in the eastern coast of Chos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