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민족의 이동 흔적(2): 알류산열도에서 캐나다 서해안까지

        손성태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6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0 No.1

        In the present paper I presented evidences that the Korean ancestors went across the Aleutian Islands to Alaska and continued their movement to the south along the west coast of Canada. The evidences that I found consist of relics, customs, religious belief and languages. The relics that Korean ancestors left in the Aleutian Islands are separable fishing hooks, semi-lunar stone knives, stone lamps, and Ondo-the Korean traditional heating system. Above all the Aleutian had the same custom as the Korean in that they used to put lamps in a small space in the walls of their dugout huts. And they had the same religions and funeral customs of the Korean’s. The evidences that the Korean ancestors passed through the west coast of Canada consist of relics, customs, religion and language. The indians that inhabited the coast of Canada used semi-lunar stone knives. Men wore a topknot and women put on rouges on the cheeks. They had the same funeral customs as the korean’s in that they used to sing manca, a sad song for funerals. The most important evidence that their ancestors were Koreans is that they called ‘Kooteeyaa’ the Totem poles, their traditional monuments made of wood and that they called ‘kopi’ the ropes made of twisted bark of trees or reeds. Kooteeyaa and Kopi are Korean words. The last evidence that the Koreans went across the route ‘the Kamchatka peninsula-the Aleutian Islands- Canaca’ is iron relics used between the 3rd century the 10th century in those regions. 본 연구에서는 ‘우리민족의 이동-아무르에서 캄차카반도까지’라는 제목하의 손성태(2015) 연구에 이어, 알류산열도에서 캐나다 서해안으로 이어지는 우리민족의 이동루트에, 우리민족 고유의 어떤 흔적이 남았는가를 다루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알류산열도를 중심으로 양쪽 대륙 연안에 해당하는 춥지(축치)-캄차카반도와 알래스카에 기원후 3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사용된 철기유물을 다루었다. 이 철기 유물은 종래의 인류학이 아메리카 인디언의 기원으로 기원전 1만 5천 년 전의 빙하기에 베링해를 건넜다는 설이 잘못되었고, 그 시대뿐 아니라 삼국시대 우리민족도 아메리카로 건너갔다는 종래의 필자의 주장을 더욱 뒷받침해주는 증거이다. 알류산열도를 통하여 우리민족이 태평양을 건넜다는 증거를 유물, 신앙, 풍습, 언어로 나누어 제시했다. 유물로는 온돌을 비롯하여, 결합식 낚시바늘, 반달형 돌칼, 등잔을 제시하였고, 신앙으로는 태양신 신앙, 풍습으로는 문신과 실뜨기 놀이, 그리고 거실장을 다루었다. 또 언어적 증거로, 알류산열도의 섬 명칭이나 마을 명칭이 우리말로 해석된다는 사실도 밝혔다. 캐나다 서해안에 남은 우리민족의 흔적으로, 유물, 풍습, 언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유물로는 반달형 칼과 토템폴, 꼬아서 만든 새끼줄 등을 제시했다. 특히 토템폴을 ‘굿대야’라고 했다는 사실은, 언어는 우연히 일치하는 법이 없다는 진리하에 고려할 때, 우리민족의 가장 뚜렷한 흔적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캐나다 서해안 인디언들은 19세기 말까지도 남자는 상투를 했고, 여자는 볼에 붉은 볼연지를 했다. 그들의 장례식은 매우 길어 조문객들이 이제 그만하라고 말리기까지 했는데, 이는 「삼국지」위지동이전에 기록된 우리의 부여 풍속과 같다. 특히 캐나다와 미국 서해안의 인디언들이 20세기 초까지도 장례식 노래 ‘만가(輓歌)’를 불렀는데, 이것은 삼국시대부터 우리민족 장례식의 매우 두드러진 특징이다. 종교적으로도 무당의 굿하는 모습이나 저주하는 방법 등을 다루어, 종교적 가치관과 정신세계까지 인디언들과 우리민족이 같았다는 사실을 밝혔다.

      • KCI등재후보

        우리민족의 이동 흔적-아무르에서 캄차카 반도까지

        손성태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5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9 No.1

        According to ancient Chinese books, the Korean nation was the greatest nation in population number among nations that occupied territory north to China. They inhabited a vast territory including Manchuria, Liáodōng and the Peninsula Han. But the Koreans lost Manchuria after the 10th century, because their population decreased in number in comparison with other nations. Some ancient Chinese documents wrote down the reason: The koreans of Manchuria and Liáodōng left toward the Amur. In 2007, Prof. Son Sung Tae found in ancient Mexican documents that the Korean ancestors had lived in Mexico before the Discovery of the New World by Colombus in 1492. He got to know that So many number of korean ancestors of Manchuria came to America during the period from the 3th to the 7th century. Owing to some ancient mexican document saying that the Mexican native's ancestors came across many islands located in a line, he found that the route of the Koreans exodus was Aleutian Islands. It means that the exodus route is Manchuria-the Amur- seaside of the Sea of Okhotsk- the Peninsula of Kamschatka. In present study I present many evidences that the Korean ancestors passed through the territory from the Amur to the Kamschatka. First I present lingual evidence that many tribes of the route used Korean words for their tribal names and in conversation of daily lives. Second I present evidences that the natives of the route kept customs identical to that of ancient Koreans. Finally I present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the Koreans ancestors lived some times in many places on the route. The evidences consists of semi-lunar stone knives, arrowheads of stumpy point, pictures of whales and Ondol-the Korean traditional heating system.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그동안 여러 연구와 저서를 통하여 밝힌, 우리민족의 이동루트로서 만주-아무르-오호츠크해 연안-춥지·캄차카 반도에 어떤 우리민족의 흔적이 남아있는지 다루었다. 필자는 그 흔적을 언어, 풍습, 유물이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다루었다. 먼저 언어 분야에서는, 길약족의 종족 명칭으로 알려진 ‘길에께, 길래미, 질래미, 니부히’가 모두 우리말이고, 그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매우 많은 우리말을 사용했다는 증거를 다루었다. 특히 길약족은 다른 민족이 차용해 갈 수 없는 우리말 ‘조사’까지도 사용했다. 오호츠크해 연안에 사는 에벤키족도 다양한 우리말을 사용했다는 증거를 제시했으며, 춥지-코리약족의 언어에도 다양한 우리말들이 발견되고, 캄차카라는 지명도 우리말 ‘깜짝’에 ‘장소’를 의미하는 고대 우리말 ‘간’이 합쳐진 말이라는 것을 밝혔다. 또 춥지족의 명칭은 그들이 자주 말했던 ‘춥지, 차브추어’에서 유래했는데, 이 말은 추운 그곳 자연환경을 반영한 우리말임을 밝혔다. 코리약이라는 종족 명칭도 고대 우리민족을 가리키는 ‘고리’라는 말에 서술어 ‘~야’가 붙어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 풍습으로는 부여-고구려의 고대 풍습으로 알려진, ‘형사취수, 데릴사위, 음란한 부인을 쉽게 죽이는 풍습, 나물 먹는 식습관, 고수레, 별자리에 대한 깊은 지식’ 등을 다루었다. 유물·유적과 관련하여서도, 고대 우리선조들의 특징적 도구였던 반달형 돌칼, 전쟁용과 구별되는 뭉턱한 사냥용 화살촉이 그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확인했고, 춥지-코리약족의 순록 가죽에 그려진 고래 그림과 울산 반구대의 고래 암각화를 비교하여, 두 그림이 고래의 생태 습관과 부구를 이용한 고래 사냥 방법에서 깊은 일치를 보인다는 사실을 다루었다. 우리민족이 아무르강 하류를 거쳐 캄차카반도를 지나 알류산열도를 건너갔다는 무엇보다 중요한 증거로, 아무르강 하류에 19세기 말까지 있었던 온돌과 알류산 열도에 유적으로 남아있는 온돌의 구조가 정확하게 같다는 사실을 다루었다.

      • 하지 자세에 따른 근전도, 심박수 및 주관적 불편도 분석

        손성태,김대민,이수진,이용호,이재훈,이경숙,공용구 대한인간공학회 2008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근골격계질환의 여러 주요 요인들 중 작업자세와 관련하여 하지에 대한 연구는 상체에 비해 미비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지 자세에 따른 하지 근육의 근육활동(근전도, EMG)과 주관적 불편도 그리고 심박수를 분석하였다. 피실험자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30명이며, EMG 분석을 위한 근육은 척추세움근, 대퇴이두근, 내측광근, 그리고 비복근과 전경골근이었다. 각 피실험자는 13가지 자세에 대하여 15분씩 자세를 유지 하였으며, 매 3분 각 신체부위(전신, 허리 허벅지, 종아리)에 대한 주관적 불편도를 Borg’s RPE와 Borg’s 10 scale 로 조사하였고, 심박수도 측정 하였다. 주관적 불편도와 심박수에 관한 실험결과로는, 전신, 허리, 허벅지, 종아리가 무릎각도 60도, 90도, 120도에서 높은 불편도와 높은 심박수를 보인 반면, 의자높이 40㎝, 20㎝, 0㎝ 그리고 책상다리로 앉은 자세와 선자세에 대해서는 낮은 불편도와 낮은 심박수를 보였다. 근육의 피로도를 평가할 수 있는 MDF값을 분석한 결과 무릎각도 60도와 90도 그리고 120도에서 근육이 다른 자세보다 더 쉽게 피로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하고 있던 하지 자세에 대한 부하와 위험도를 분석하고, 측정함으로써 하지에 관련된 근골격계질환의 발생과 예방을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스페인어 접어 대명사 : 그 이론과 문제점 las teorias y sus problemas

        손성태 한국서어서문학회 1999 스페인어문학 Vol.15 No.1

        En el presente trabajo hemos estudiado el cara′cter fundamental de los cli′ticos espan~oles, sobre todo, de tercer personal. Nos interesa co′mo se refleja en su comportamiento sinta′ctico el eara′cter en cuestio′n. Primero hemos llegado a proponer la idea de que los cli′ticos deben tratarse diferentes de los afijos o de las palabras, mediante la comparacio′n y estudio de varies propuestas planteadas sobre su colocacio′n sinta′ctico. Para entenderla bien, hemos estudiado, en primer lager, en que′ posicio′n se licencia en la base y, en segundo lager, de que′ manera se mueve a la posicio′n final. Lo que hemos propuesto en cuanto al primer problema lo constituye que los cli′ticos se licencian en la posicio′n de nu′cleo de SD. Para entender el proceso de su dislocacio′n hemos clasificado en seis tipos las oracionea en que se emplean los cli′ticos. Creemos que los cli′ticos se mueven en su primer peso a la posicio′n exterior de ESPEC de S υ, una posicio′n planteada en Chomsky(1995), descartando la idea de que ellos mueven adjunta′ndose al verbo en su primer peso debido a la excorporacio′n, la que se rechaza por lo general en la teori′a sinta′ctica. En cuanto a su segundo paso, hemos planteado varies posibilidades: se adjuntan al verbo directamente o despue′s de adjuntarse a SFLEX. La segunda posibilidad estriba en la construccio′n en la que se mueve el verbo a COMP. Proponemos la idea de que los cli′ticos se adjuntan al verbo con su u′ltimo movimiento y que este movimiento se realize solamente bajo la condicio′n de adyacencia.

      • 都市計劃制限과 그 權利救濟에 관한 硏究

        손성태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97 經營論叢-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Vol.21 No.-

        There are a substantial number of cases in connection with urban planning restrictions in which proper compensation may be excluded due to social limitations or regional constraints on a certain property. However, appropriate compensation must be reconsidered in certain cases as long as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re have been some kind of sacrifice on part of the property owner. In other words, when it comes to restrictions on urban planning, there is no one specific legal provisions related the area of compensation. According, in handling such compensation cases, there are two prominent compensation theories that are in conflict : one is based on the present method of land expropriation and the other is based on the National Property compensation Law. The former, grounded upon laws which lack compensation regulations, calls for, in cases in which the property of the individual has been sacrificed in the process of urban planning, the application for compensation of property loss directly based on the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 of the expropriation of public property. The latter argues that laws on city planning based on laws which lack compensation regulations violates the Constitution and because of its unconstitutionality, the individual whose property rights have been violated is subject to compensation of loss according to the national Property Compensation Law. However, it is difficult for either arguments to effectively deal with the present legal circumstance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roper legal mechanism and regulations that provide transparent and specific standards in this regard.

      • 우리나라 用途地域·地區制의 運營上의 問題와 改善에 관한 硏究

        손성태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98 經營論叢-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Vol.22 No.-

        This study critically observe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land-use zoning system in Korea, particularly the inefficient legal provisions of zoning that could potentially imped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nation's limited lands. Specifically, confusing definitions of the core concepts, practices of overlapping designation of zones, and ambiguity in zoning classification on account of the size of land frequently render the managerial difficulties for the Authority as the inconvenience in the part of the land users. Recognizing such shortcomings a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zoning system could be achieves through the systematic integration and reduction of the current land-use related laws regulations. Major recommendations propos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necessary redundancy between the related laws need to be removed and simplified to improve clarity, i.e., to clarify the regulatory control of land uses, the functions and hierarchical orders of the 'Area(Guyok)', the 'Zone(Jiyok)', and the 'District(Jigu)' should strictly be distinguished to avoid mutual overlaps. For example, the comparable zoning regulations provided separatedly in the Urban Planning code and the Building Code should be pooled exclusively into the former so that the latter only covers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In the current Building Code, some terminology in Japanese style and other articles that complicates the public's understanding should also be revised through the legislative process. Second, in order to minimize the coexistence of the conflicting uses of land within the same zone, and to discriminate the mutually differing zoning concepts, each hierarchical unit of fuctions. For instance, the'Area(Guyok', defined as the zoning unit that commands the most fundamental uses of land, sh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region that is under the urban redevelopment planning process: the 'Zone(Jiyok)', defined as the zoning unit that particularizes the detailed land use activities, should be applied to those sectors in the 'Area' where the development activities are permitted: and, finally, the 'District(Jigu)', defined as the zoning unit with a single regulatory purpose, should be applied to where is it necessary to partially compliment the limitation of the zoning provisions available at the level of 'Zone' alone. Third the zoning regulations should be improvised adap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the particular sizes of cities.Since the zoning regulation intrinsically bears the operational rigidly that can not suffice the diverse demands for land, it is necessary,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ramework of the zoning system, to delegate the local governments more discretion in implementing the zoning regulation so that each locality can better reflect the peculiarities of its region and/or its city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