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oBERT 기반 일반상식 추출 및 반영한 KoBART 기반 대화생성모델

        손건영(Geonyeong Son),김미숙(Misuk Kim)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대화 시스템은 사람과 기계 사이에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게 해주는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주로 인코더-디코더 구조의 시퀀스-투-시퀀스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 질의에 대한 답변을 생성한다. 이러한 답변을 생성할 때 일반상식을 반영하게 되면 흥미로운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전 학습된 Korean Bidirectional and Auto-Regressive Transformers (KoBART) 모델의 질의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전 학습된 Korean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KoBERT) 모델을 사용하여, 해당 질의에 가장 관련 있는 일반상식을 선택하여 답변을 생성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일반상식을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질의와 가장 관련된 일반상식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제안한 모델을 다양한 모델과 비교한 결과, 제안한 모델이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질의에 대해 각 모델 별로 답변을 생성하여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고, 가장 적절한 답변을 생성하는 것을 정성적으로 확인하였다.

      • 肝臟損傷이 肝의 Superoxide Dismutase에 미치는 影響

        孫健英,曺準承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2 慶北醫大誌 Vol.23 No.2

        간장손상시 간의 superoxide dismutase의 변화를 알아보기위하여 흰쥐에게 CCl_4를 투여하거나 또는 총담관을 결찰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간장의 superoxide dismutase 변동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정상흰쥐 간세포에서의 superoxide dismutase 분포는, 세포질에는 세포 총 superoxide dismutase의 95.2%. mitochandria에는 4.8%가 분포되어 있었다. CCl_4단회 투여시에는, 세포질 superoxide dismutase는 투여후 6시간네 감소되기 시작하여 24시간에 최저치를보이다가 이후 증가하여 72시간에는 대조군의 약 82%까지 회복되는 경향이었고, mitochondrial superoxide dismutase는 투여후 12시간에 감소하기 시작하여 24시간에 최저치를 나타내고 이후 증가하여 72시간에는 대조군의 약 79%까지 회복되는 경향이었다. CCl_4간격투여시에는 세포질, mitochondrial superoxide dismutase 모두 투여후 9일까지 감소되어 회복되지 않았다. CCl_4 간격투여시에는 세포질, mitochondrial superoxide dismutase 모두 투여후 6일까지는 감소되어 있었으나 9일에는 다소 회복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총담관 결찰시에는 의의있는 변동을 볼 수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Cl_4에 의한 간손상시에는 간세포내 superoxide dismutase가 감소하며 세포질의 superoxide dismutase 감소가 mit-ochondrial superoxide dismutase의 감소보다 빨리 일어나나, 담관결찰시에는 이 효소의 변동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o study the influence of liver injury on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in rats, superoxide dismutase was determined in rat liver after either CCl_4 injection or common bile duct ligation. In normal rat liver cells, 95.2% of total 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was distributed in cytosol and 4.8% was in mitochondria, respectively. In single injection of CCl_4, cytocolic superoxide dismutase was decreased at 6 hours after injection and revealed minimum value at 24 hours, thereafter increased to 82% of the control level at 72 hours. Mitochondrial superoxide dismutase was decreased at 12 hours after injection and revealed minimum value at 24 hours while increasing to 79% of the control level at 72 hours after injection. In 2 day-interval injection of CCl_4, both cytosolic and mitochondrial superoxide dismutase showed decreased levels until 9 days after the first injection and did not recover. In 3 dua-interval injection of CCl_4, both cytosolic and mitochondrial superoxide dimutase showed decreased levels until 6 days after the first injection and recovered to 75% and 64% of the control at 9 days, respectively. No significant changes were noted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All of these findings are compatible with the views that 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decreases in CCl_4-induced liver injury and decrease of cytosolic superoxide dismutase precedes that of mitochondrial superoxide dismutase. But superoxide dismutase did not change after the ligation of common bile duct.

      • KCI등재

        Effect of Flooding and Soil Salinity on the Growth of Yam (Dioscorea batatas) Transplanted by Seedling of Aerial Bulblet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용만,송재도,건영,김두환,박무언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1

        The effect of flooding and soil salinity on the growth of yam (Dioscorea batatas) were studied on the experimantal site temporally establish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near Gwanghwal myun, Gimjae-gun, Jellabukdo, Korea). Yam seedlings planted by using aerial bulblet as alternative of sliced tubers, were grown for 20-days and transplanted in black-vinyl mulched ridges (about 20cm in height) at 70cm interval by 20 x 60cm spacing in the 4^th of May, 2010. Soil salinity was maintained at lower than 1.2 ds m^-1 during the growing period and did not result to salt injury in all plants. However, flooding injury very seriously led to plant death and plant mortality rates at 67 ± 21 and 82 ± 9% of yam plants in the compost and no compost treatment, respectively, died by heavy flooding during the rainy summer season. The main reasons of the flooding injury included the decreased rainfall acceptable capacity (RAC) after the rising of water table and a slowdown of water infiltration rate after the formation of an impermeable soil crust in the furrow bottom with continuous and heavy downpour during the rainy summer season. The effect of compost treatment was not statistically observed because of the severe spatial difference caused by wet injury, although yam tuber yield was higher at 30 kg 10^-1 in the compost treatment than in the no-compost treatment at 20 kg 10^-1. However, the size of tuber ranged at 1.23 to 1.60 cm in diameter and 3.7 to 5.0 cm in length in all both treatment, which means they are still reproducible for the next cropping season. Conclusively, proper counter-flooding measure and soil salinity control critically important for successful yam production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KCI등재

        서해안 신간척지에서 유채-피마자 작부체계시 토양염농도 및 침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용만(Yong-Man Sohn),건영(Geon-Yeong Jeon),송재도(Jae-Do Song),이재황(Jae-Hwang Lee),박무언(Moo-Eon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5

        간척조성지 밭작물 재배기술개발의 일환으로서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피마자와 유채를 공시작물로 하는 작부체계로 유지작물의 재배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피마자의 생존개체율은 토양염농도 4 dS m?¹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초장이 50% 정도 단축되는 토양염농도는 4 dS m?¹으로 추정되었다. 유채의 초장생육이나 수량은 토양염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초장은 6 dS m?¹일 때, 수량은 2~2.5 dS m?¹의 범위에서 50%가 감소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강우가 많은 계절에 재배되는 피마자는 염농도 뿐만 아니라 습해에도 약하여 배수가 불량한 영상강과 화옹 간척지에서 각각 0.8과 6.5 ㎏ 10a?¹로 적었으나 배수가 좋은 이원 간척지는 42 ㎏ 10a?¹로서 비교적 높은 경향이었다. 겨울작물인 유채는 비강우기간의 재염화가 심하였던 화옹 간척지에서 전혀 수량을 얻지 못하였으나 출현불량과 염농도의 변이가 심하였던 이원 간척지는 종실수량이 평균 9 ㎏ 10a?¹로서 매우 낮았고, 염농도가 낮게 유지된 영산강간척지는 332 ㎏ 10a?¹로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서해안 간척지에서 피마자와 유채의 생육 및 수량성을 고려해 볼 때 토양염농도가 피마자 4 dS m?¹, 유채 3 dS m?¹ 이하로 관리되고, 침수피해가 없도록 배수관리가 된다면 유지작물재배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Double cropping system of oilseed crops introduced rape and castor bean was studied in the newly reclaimed tidal land of Korea. Surface soil EC to reach at 50% of growth reduction to the tallest height of crops was estimated 4dS m?¹ for castor bean and 6dS m?¹ for rape by logarithmic function. The castor bean cultivated during rainy summer much more suffered serious growth and yield reduction by flooding damage in the Hwaong and Yeonsangang reclaimed lands having low soil conductivity and finer textured soil than in the Iweon reclaimed land having higher soil conductivity and coarse sandy textured soil. Rape cultivated during dry winter-spring much more suffered serious growth and yield reduction by high soil salinity come from re-salting process. 50% yield reduction was estimated at 2.0 2.5 dS m?¹ of surface soil EC by logarithmic function. Consequentially, it was concluded that oilseed production for energy by double cropping system of rape and castor bean might be possible under good controling soil salinity below 4 dS m?¹ for castor and 3 dS m?¹ for rape in the newly reclaimed land of Korea.

      • KCI등재

        점적관수가 토양염농도 제어와 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용만(Yong-Man Sohn),건영(Geon-Yeong Jeon),송재도(Jae-Do Song),이재황(Jae-Hwang Lee),박무언(Moo-Eon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6

        간척조성지 밭작물재배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점적관개가 간척지토양의 염농도관리와 배추 및 양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영산강간척지, 이원간척지 및 화옹간척지에 시험지를 조성하여 시험재배를 하였다. 점적관개는 표토의 염농도를 비교적 효과적으로 염스트레스 기준이하로 제어할 수 있었지만 토양의 염농도에 대한 공간변이성을 완전히 해소시키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고 이 공간변이성이 생산물의 상품화율을 낮추는 원인중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표토의 염농도가 높을수록 유거수의 염농도가 직선적으로 증가함으로 고농도의 유거수는 간척지의 염농도관리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적기 이식재배를 한 이원간척지에서는 평균 수량이 배추가 약 6-7톤/10a, 양배추가 5톤 정도로 비교적 높은 수량을 보였고 상품화율도 배추 51.2%, 양배추 59.4%로 어느 정도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적기에 비하여 이식이 늦은 화옹간척지와 영산강간척지는 수량도 매우 낮았고 상품화율도 거의 없거나 매우 낮아 적기를 맞추지 못한 것이 저수의 가장 큰 변수였다. 배추와 양배추의 결구비대는 토양염농도가 증가할수록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결구배추가 최고 구중의 50% 이하로 감소되는 토양EC는 적기에 이식한 이원간척지의 경우 배추 6.1dS m?¹ 양배추 5.7dS m?¹이었다. Effect of drip irrigation on soil salinity control and growth of vegetable crops was studied in the three reclaimed lands of Korea in 2007. Drip irrigation was done one or two times per month for reduction of salt stress by using vinyl hose with tiny holes laid on ridge surface under black plastic film mulch during growing season of cabbage and chinese cabbage. It was observed that drip irrigation was generally effective to soil salinity control, but soil salinity variation of some place was not fully solved to lower down under level of free salt stress. It is also considered that high salinity of runoff water spilled out from cultivation ridge plays another key role for soil salinity management. Consequentially, this soil salinity variation might be one of factors brought low average yield and low commercial ratio of agricultural products. Relation between soil salinity and head growth of cabbage and chinese cabbage was well expressed as logarithmic function. Surface soil EC to reach at 50% of growth reduction to the heaviest head can be estimated was 6.1dS°§m-1 for cabbage and 5.7dS m?¹ for chinese cabbage transplanted at optimum season.

      • KCI등재

        새만금간척지에서 토양염농도 및 재배조건이 이랑의 유지와 밭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용만(Yong-Man Sohn),송재도(Jae-Do Song),건영(Geon-Yeong Jeon),김두환(Doo-Hwan Kim),박무언(Moo-Eon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5

        최근 조성된 새만금간척지의 범용화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간척지의 밭작물재배를 위하여 새만금간척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염농도, 배수 및 이랑안전성에 대한 연구검토가 시급하다. 시험연구는 새만금간척지에 조성된 시험포에 옥수수, 콩 및 고구마를 공시작물로 하여 각 작물당 3-4개의 품종을 파종하여 유기물시용과 비닐피복, 염농도변화, 토양의 수분 및 침수 등 재배조건이 이랑의 안전성과 작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작물의 수량은 옥수수가 청예수량 170~1,465 kg 10a<SUP>-1</SUP>, 건물수량 83~649 kg 10a<SUP>-1</SUP>, 옥수수의 이삭수량이 0.07~0.78 No. plant<SUP>-1</SUP>이었고, 콩은 청예수량이 320~1,746 kg 10a<SUP>-1</SUP>, 건물수량 117~566 kg 10a<SUP>-1</SUP> 종실수량 19~90의 범위였고, 고구마는 생물총량 1,108~3,998 kg 10a<SUP>-1</SUP>, 식용부분인 고구마괴근 수량 306~1,729 kg 10a<SUP>-1</SUP>로 일반 경지에 비하여 수량성이 매우 낮았다. 이처럼 수량성이 낮은 원인은 ① 새만금 간척지에 조성된 시험지는 극세사 함량이 높은 양질 사토로서 제염상태가 많이 진전되어 대부분 2 dS m<SUP>-1</SUP>이하로 제염되어 염농도가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일부 지역에서 염농도가 16 dS m<SUP>-1</SUP> 이상으로 높아서 출현되지 못하거나 생육불량 정도가 극심하였고, ② 새만금간척지 토양은 견지성이 약하여 이랑침식으로 인한 도복과 뿌리노출로 고사하는 피해가 극심하였으며, ③ 토양의 투수력은 빠르나 지하수의 상승으로 토양의 강우수용능력이 감소되어 과습과 침수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④토양이 척박하고 보비력이 약하여 세탈이 심하여 비절에 의한 양분장해가 심하였던 것으로 요약되었다. 유기물시용과 비닐피복은 이랑의 붕괴와 침식을 감소시켜 이랑유지능력이 증가하고 토양의 치밀화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수량증가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soil salinity and culturing conditions including compost application and vinyl mulching on the maintenance of ridge and the growth of upland crops, three crops such as corn, soybean and sweet potato were experimented by using three or four cultivars of crops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Average soil salinity before seeding was 2 dS m<SUP>-1</SUP>, which was low enough for general upland crops to grow. However, high soil EC more than 16 dS m<SUP>-1</SUP> was observed in some parts of the experimented field. In the experiment, it was concluded that growth retardation and yield reduction of summer upland crops might be from severe erosion of ridge, soil compaction, flooding or wet soil condition and high salinity of some parts, and then these deteriorations were possibly improved for good crop growth and yield increase by compost application and vinyl mulching cultivation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KCI등재

        신간척지토양의 공간적 토양염농도 변이가 보리, 호밀 및 귀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용만(Yong-Man Sohn),건영(Geon-Yeong Jeon),송재도(Jae-Do Song),이재황(Jae-Hwang Lee),박무언(Moo-Eon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6

        간척조성지에서 녹비ㆍ사료작물의 연중 재배기술개발을 위하여 화옹간척지, 이원간척지 및 영산강간척지에 시험포장을 설치하여 하계 녹비ㆍ사료작물인 수단그라스, 세스바니아, 제주재래피의 후작으로 동계 녹비ㆍ사료작물인 보리, 호밀 및 귀리를 공시하여 시험재배하였다. 토양염농도와 공간변이성은 이원간척지와 화옹간척지가 시험작물의 고사나 생육저해를 유발할 정도로 매우 높은 반면에 영산강간척지는 작물의 생육저해를 유발하지 않을 정도로 매우 낮았다. 시험작물의 파종 후 출현개체수는 염농도의 증가에 따라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여 최고 출현개체수의 50%로 감소하는 EC(dS m?¹)가 보리 6.5, 호밀과 귀리 5.1로 추정되어 토양염농도가 평균 6 dS m?¹을 초과할 경우 맥류의 출현이 크게 감소하였다. 시험작물의 수량은 염농도의 증가에 따라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여 청예수량이 50% 이상 감수되는 염농도(dS m?¹)는 보리 4.9, 호밀 6.2, 귀리 6.0으로 추정되고, 건물수량은 보리 5.5, 호밀 6.2, 귀리 5.8로 추정되며, 종실수량은 보리 5.6, 호밀 5.8, 귀리 5.7로 추정되어 동작 맥류재배를 위해서는 적어도 6 dS m?¹ 이하로 염농도가 관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원과 화옹간척지는 염농도가 10 dS m?¹ 이상으로 높아서 출현부진과 생육저해 및 고사가 많아서 수확이 불가능하였으나 영산강간척지는 염농도가 6.17 dS m?¹ 이하로 유지되어 염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서 청예수량(㎏ 10a?¹)은 호밀 1,479, 귀리 1,328, 보리 1,582이었고, 건물수량(㎏ 10a?¹)은 호밀 689, 귀리 683, 보리 701이었으며, 종실수량(㎏ 10a?¹)은 보리가 395, 호밀이 164, 귀리가 325를 얻었다. Effect of soil salinity variation on the growth of barley, rye and oat was studied at the Hwaong, Iweon and Yeongsangang reclaimed lands in the western seaside of Korea. Soil salinity variation and soil EC were very high for crops to be killed or to be brought serious growth retardation during the growing season at the Iweon and Hwaong reclaimed lands, but fully low not to bring growth retardation at the Yeongsangang reclaimed land. Relation between soil salinity and crop growth and yield was well expressed as logarithmic function. Surface soil EC to reach at 50% of seed-emergence reduction was estimated 6.5 dS m?¹ for barley and 5.1 dS m?¹ for rye and oat by logarithmic function. In addition, surface soil EC to reach at 50% of grain yield reduction to the best growth in the experimental site was estimated 5.6 dS m?¹ for barley, 5.8 dS m?¹ for rye and 5.7 dS m?¹ for oat, while soil EC to reach at 50% of dry matter reduction was estimated 5.5 dS m?¹ for barley, 6.2 dS m?¹ for rye and 5.8 dS m?¹ for oat by logarithmic function. Grain yield of barley, rye and oat was 395, 164 and 325 ㎏ 10a?¹ in the Yeongsangang reclaimed lands naturally controlled below condition of 6 dS m?¹ of soil EC, but no harvest was obtained in the Hwaong and Iweon reclaimed land because of high salinity more than 15 dS m?¹ in maximum soil EC during growing period. Consequentially, it was concluded that soil salinity must be controlled below 6 dS m?¹ for good growth and high yield of winter barley, rye and oat in the reclaimed land in Korea.

      • KCI등재

        신간척지토양에서 토양염농도, 퇴비 및 추비량 차이가 밀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용만,송재도,건영,김두환,박무언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5

        Recently, upland crops cultivation instead of paddy crops are more popular and highlighted by increase of social demand in agricultural land use. Especially, wheat cultivation for replacing of import food grain are more interested by government, and it is urgently needed that possibility of wheat cultivation is evaluated in the reclaimed tidal land. Crop cultiv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soil salinity and cultivation method in the reclaimed tidal land. In order to evaluate possibility of wheat cultivation, effect of different application level of compost and nitrogen additional fertilizer, also soil salinity on the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three wheat cultivars was studied at the newly reclaimed Saemangeum and Hwanong tidal lands in Korea. 270-300kg 10a^-1 of grain yield were obtained at the experimental site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where soil salinity was less than 4 dS m^-1 during growing periods from December, 2009 to June, 2010. However,almost no grain yield was obtained at the experimental site in the Hwaong reclaimed tidal land, where soil salinity was more than average 8 dS m^-1 ranged from 2.0 to 25.9 dS m^-1 during growing period and then salt demage was severe. Yiel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pplication level of compost and nitrogen additional fertilizer in the newly reclaimed Saemangeum tidal land.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ree cultivars such as Chopum, Chogyung and Geumgang, have similar sensibility to soil salinity and fertilizer level, because there i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among ciltivars in Hwaong and Saemangeum, and also among cultivars in the different levels of compost and fertilizer.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wheat can be possibly produced by reasonable fertilizer application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but wheat cultivation is impossible because of high soil salinity in the Hwaong reclaimed tidal 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