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산의 바라봄의 영성과 사랑과 행복 나눔 페다고지

        소태영 ( So Tae Young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08 영산신학저널 Vol.15 No.-

        This article analyzes Young San’s spirituality and proposes a lovehappiness shared pedagogy that overcomes the dualism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and faith and Christian life. Young San’s imaginative spirituality is to mediate God’s love and happiness with people’s love and happiness. When humans love God and others, they can better love themselves and this world. Young San’s imaginative spirituality is defined by the artistic capacity to harmonize God’s vision, human identity, and this world. The imaginative spirituality enables people to visualize and actualize God’s vision. Therefore, the imaginative spirituality is the capacity to expand personal and spiritual faith into participatory and transformative faith. In other words, Young San pursues spirituality that enables humanity to participate in the history of God’s praxis in this world. Young San asserts that humans can be happy when they share with others who are poor and suffer from illness and disease, just as Jesus Christ did on the Cross. He indicates that just as God is happy when God shares God’s love with humans and this world, humans can be happy when they practice God’s care and love in this world. This is the spiritual principle of happiness. Because humans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they are able to view God’s love and practice it in this world. Based on Young San’s imaginative spirituality, I develop a lovehappiness shared curriculum that views the subject matter, sharing, from three dimensions: God, self, and the world. These dimensions enable us to discover God’s visions, to visualize God’s visions, and to actualize them. In these three steps, students can share their visions and decisions with each other. This is the pedagogy that leads people to realize God’s love and to share and practice God’s love in this world.

      • KCI등재

        성령이 베푸는 신비의 향연에 참여하는 교육

        소태영(Tae Young So)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8 No.-

        이 논고는 거룩과 세속의 이분법을 극복한 성령운동을 소개하면서, 성령을 세상을 초월하지만 동시에 인간의 삶 속에 내재하면서 인간과 깊은 인격적 교제를 나누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하나님으로 묘사한다. 이러한 성령 이해를 바탕으로 이 논고는 성령과 기독교교육의 상호관계성을 전개한다. 기독교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실존적 한계를 인정하면서 성령의 신비롭고 경이로운 리듬에 맞춰 성령과 함께 세상을 아름답게 변형시키는 것이다. 분명 성령의 신비는 분명하게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잠재적 교육과정(hidden curriculum)이다. 무어와 로더를 비롯한 몇몇 기독교교육학자들은 공통으로 수업 가운데 경이를 발생시키는 주체를 성령으로 이해하고, 성령이 베푸시는 신비의 향연에 인간들이 응답하고 참여하며 배움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행위를 기독교적 수업으로 정의한다. 성령이 베푸는 신비의 향연에 참여하는 행위로서 기독교교육은 삶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라 삶 가운데서 성령의 경이를 체험하는 교육이다. 이 논고는 삶 속에서 성령의 경이를 체험하는 구체적인 교육방법으로 삶의 이야기들 속에서 발견되는 역설, 삶 가운데서 만난 성령의 경이를 기록하는 영적인 글쓰기, 말씀을 통하여 성령과 깊은 교제를 나눌 수 있는 거룩한 독서를 소개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Spirit and Christian Educa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goal of Christian education as accepting the ontological limit of the human being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Holy Spirit and as transforming this world in accordance to the rhythm of the Holy Spirit. Because the Holy Spirit is mysterious and transcendental, it is impossible to examine it’s role in Christian education. Therefore, the Holy Spirit is by itself hidden curriculum in Christian education. Also, the Holy Spirit brings the wonder into the learning community in which teachers and learners encounter the Holy Spirit and experience the mysterious wonder in the classroom. Christian education as participating in the banquet that the Holy Spirit holds helps people experience the wonder of the Holy Spirit in their lives as well as in the classroom. Finally, this study introduces educational practices based on the wonder of the Spirit such as paradox, spiritual writing, and Lectio Divina as contemplative Bible reading.

      • KCI등재

        예술적 교회교육과정과 교수학습방법

        소태영(Tae-Young S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1 기독교교육정보 Vol.28 No.-

        In the study of church curriculum that emphasizes systematization and effectiveness, mysterious and transcendental dimension for church curriculum development has been ignored. However, today's study of church curriculum tend to turn from goal-oriented curriculum to the curriculum that reflects mystery and wonder of God. Just as artists continue to get inspiration in the process to create an art, church curriculum should be an artistic work to express God's vision in mystery and wonder that people can not expect. Artistic church curriculum is to create beautiful harmony of vision, content, method, environment, and evaluation. Among these five elements for church curriculum development, there is no fixed order, but beautiful dance of interactions to move towards harmony. This dissertation explains how important teaching methods are and introduces how teaching methods such as poetry, picture, and storytelling create harmony with educational vision, content, environment, and evaluation.

      • KCI등재

        성인 발현기(Emerging Adulthood) 청년들(20-29세)의 요구분석에 기초한 교회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제안

        소태영(Tae Young S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5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6

        이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살고 있는 20대 한국 청년들의 가치관의 변화를 소개한다. 또한 전통적으로 “성인 됨”의 기준으로 여겨져 왔던 결혼, 취업, 경제적 자립 등과 같은 생애발달과업들이 점점 늦춰지고 있다고 주장한 아넷(Arnett)의 “성인 발현기” 이론에 근거하여 20대 청년들의 생애발달을 “성인초기”에서 “성인발현기” 즉 “성인 됨”을 준비하는 “성인준비기”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통적으로 “성인 됨”의 사회적 지표로 간주되어왔던 결혼, 취업, 출산,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연령이 현재 30세 전후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의 대상을 한국의 20대(20-29세)로 제한한다. 이 연구는 통계청을 비롯한 여러 사회단체들과 종교단체들이 제시한 20대 청년들의 사회지표들과 종교지표들을 근거로 청년들의 가정형성준비요구, 직업선택 및 취업요구, 관계형성요구, 그리고 봉사활동요구를 분석하고, 그러한 20대의 요구들을 반영하는 교회교육 과정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change of traditional value of Korean twenties who are living in the post-modern society. According to Arnett’s theory that the developmental task of today’s twenties is gradually delayed, today‘s twenties are not in the early adulthood but in “the emerging adulthood” which prepares for independence, interdependence(relationship), role-transition, norm compliance, and family capacity. Most of Korean twenties do not yet marry and not get the full time job and financially still depend on their parents. It means that they have needs for marriage, employment, and interdependence. On the basis of social and religious indicators, this study analyzes needs of family formation, employment, relationship, and voluntary service of Korean twenties in the emerging adulthood.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e necessity of church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reflect and responds to the need-analysis of Korean twenties.

      • KCI등재

        ‘수저계급론’ 논쟁의 중심에 선 한국 청년들의 열등감(inferiority) 극복을 위한 영성교육

        소태영(Tae Young S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0

        이 연구는 오늘날 ‘금수저’와 ‘흙수저’로 대변되는 한국사회의 계급화와 청년들의 절망을 아들러 심리학에 기초하여 흙수저로 상징되는 열등 콤플렉스와 금수저로 상징되는 우월 콤플렉스에 기초하여 분석한다. 청년들의 대학입학과 졸업, 취업, 결혼, 그리고 출산과 같은 청년기 생애발달과업들이 한국사회의 양극화, 불평등한 경제구조, 경쟁구조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한국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삶의 목표와 양식이 한국사회가 형성한 상징계의 욕망을 그대로 쫓고 있음을 여러 통계자료들에 근거하여 제시한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서 한국 청년들의 삶의 목표와 생활양식의 수정을 제안하고 공동체감각의 향상과 사회적 공헌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마지막으로 청년들의 열등감 극복을 위한 영성교육의 목표로서 ‘자기 찾기(정체성교육),’ ‘포용하기(공동체교육),’ ‘용기내기(주체성교육)’를 제안한다.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what causes the despair and complex of today’s Korean young adults i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ir developmental tasks such as higher education, graduation in college or university, employment, marriage, and childbirth are intimately relevant to unequal and competitive system of today’s Korean society. Also, this study indicates that young adults tend to follow not the individual value but the general and universal value that the Korean society has pursued in accordance to statistical data. This study suggests the revision of life style(goal) and the recovery of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Korean emerging adulthood on the basis of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which is today popular in Korea.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spiritual education of rehabilitating identity, the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ity of Korean young adults.

      • KCI등재

        청소년을 위한 지역교회 교육과정 개발

        소태영(Tae-Young S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2 기독교교육정보 Vol.34 No.-

        한국교회는 청소년들의 사회문화적인 요구들과 관심들을 반영할 필요가 있고 지역교회 전통들과 문화들을 형성하고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청소년의 문화와 지역사회 문화에 기초를 둔 교회 교육과정 개발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 연구는 지역교회교육과정과 청소년문화사이의 관계성을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사회문화와 청소년문화, 그리고 한국교회문화와 청소년문화사이의 상호관계성을 Meso, Macro, Micro 시스템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청소년들을 위한 구체적인 지역교회 교육과정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Groome의 공유적 프락시스 모델(Shared Praxis Model)과 Ward의 청소년 교육을 위한 모델을 활용하여 청소년들을 위한 지역교회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교육모델을 제시한다. The Korean church has neglected to respond to cultural changes of adolescents in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curriculum and adolescents" culture, and defines curriculum as an educational process for adolescents as a particular congregation surrounded by a particular culture. This study analyzes three interactions of three cultures: Korean culture, local church culture, and adolescents’ culture. Through these interactions, adolescents’ needs, the church tradition, and the cultural environments encompassing the local church can be integrated into the church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se interactions, this study introduces an alternative curriculum model for the Korean adolescents. I build this model on Groome’s “shared praxis model” that integrates students’ life and church tradition, and students’ vision in light of the church Vision and Ward"s five steps for 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This curriculum model tries to integrate local church culture, the unique culture of adolescents" group in local church, and the Korean culture. The curriculum model helps adolescents have identity as Christians in the present and future.

      • KCI등재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예술 속에 내재되어 있는 종교적 영성과 영성 교육적 적용 및 실천

        소태영(Tae Young So)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3 No.-

        이 연구는 반 고흐의 예술, 생애, 그리고 종교의 상관 관계성을 연구한다. 이것을 통해서 반 고흐 예술의 영성을 이미 영원한 세계를 마음에 품고 살아가지만 아직 영원한 세계에 아직 완전히 이르지 못한 순례자 영성, 아름다운 농촌 풍경과 농부의 고달픈 삶 가운데 경이를 발견하는 성례전 영성, 상처 입고 살아가는 자들에게 거룩한 위로를 제공하는 상처 입은 위로자의 영성으로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반 고흐 예술의 영성을 앞에서 소개한 세 가지 영성의 역설적 특징, 즉 순례자의 고난 속에서 기쁨을 바라보고, 일상에서 경이를 발견하고, 상처를 입은 자만이 위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역설적 미학의 영성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반 고흐의 역설적 미학의 영성은 영성순례나 영성캠프 등을 통해서 순례자의 의미를 발견하는 ‘영성순례교육’, 일상의 삶과 평범한 자연 속에서 하나님의 경외와 경이를 발견하는 ‘성례전 영성교육’, 그리고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고통을 공감하고 그들을 직접 찾아가 ‘위로하는 영성교육’을 고요하게 속삭인다. This study explores relationships among art, life, and religion of Vincent Van Gogh. This study interprets Van Gogh’s art and life in terms of religious spirituality. The first spirituality that Van Gogh’s arts speaks is the pilgrimage towards the Kingdom of God. The second is the spirituality of sacrament that discovers the extraordinary from the ordinary. The third is the spirituality of the wounded healer who offers spiritual comfort to the poor and the suffered. Finally, this study defines Van Gogh’s spirituality as the paradoxical aesthetics that integrates ‘joyfulness’ with ‘sadness’ of the pilgrim, ‘extraordinary’ with ‘ordinary’, and ‘comfort’ with ‘suffer.’ On this spirituality that Van Gogh’s art whispers, this study suggests the pilgrimage education that helps Christians mull over the spiritual life as pilgrims, the sacramental education that helps Christians discover God’s wonder and awe from the ordinary life and nature, and the comforting education that has empathy and sympathy with the suffered and actively takes care of them.

      • KCI등재

        ‘수저계급론’ 논쟁의 중심에 선 한국청년들의 진로정체성회복을 위한 기독교적 진로교육: ‘성인발현기(emerging adulthood)’ 이론을 중심으로

        소태영(Tae Young S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6

        이 연구는 성인발현기(emerging adulthood)의 특징을 청년들의 진로정체성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한국사회의 ‘수저계급’이라는 계층구조가 청년들의 성인발현기 과제수행과 진로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취업경쟁으로 인해 한국의 20대들이 겪고 있는 진로정체성의 혼란을 소개한다. 이 연구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청년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절망을 치유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기독교적 소명, 재능, 가치관에 기초한 진로정체성 교육을 제안한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계층구조와 취업경쟁에 지쳐있는 청년들의 심장에 기독교적 진로정체성을 새겨줄 수 있는 환대공동체교육으로서 ‘거꾸로 하는 헌금,’‘자치/협치 교육공간창조,’‘전국순례여행’을 제시한다. This study at first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 of emerging adulthood in terms of the career identit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economic class and the emerging adulthood in which the career identity is formed, and introduces the confusion of the career identity of Korean twenties in the competitive society. In micro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educating the career identity based on the Christian vocation, gift, and value. In macro perspective, this study proposes ‘hospitality community education’ such as ‘offering backwards’, ‘creating the hospitable space’, and ‘taking the pilgrimage journey’ for Korean twenties who have been tired of the employment competition.

      • KCI등재

        융합의 아름다움: 다음 세대를 위한 미학적 교육

        소태영(Tae-Young S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4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0

        미학적 교육이란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표준을 따르고 그것에 의해 평가받거나 옳고 그름의 이분법적 사고의 함정에 빠지는 교육이 아니라, 각 개인이 갖고 있는 관점과 사고를 융합하여 새로운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이다. 융합을 추구하는 미래의 교육은 “개인의 창의적인 색의 발현을 추구하는 동시에 그러한 각기 다른 색들이 어떻게 하나 됨의 입맞춤을 창조할 수 있는가?”에 대한 미학적 고민으로부터 출발한다. 우선 이 논고는 융합이라는 개념을 Sweet이 사용한 입맞춤의 개념과 연결한다. 융합은 결혼식에서 법적 부부 관계를 공식 선포하는 언약으로서 결혼이 단순한 둘의 합, 그 이상의 신비를 의미하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이 논고는 융합으로 대표되는 미래사회를 하이컨셉의 시대, 하이터치의 시대, 다문화의 시대로 표현하면서 미래교육의 방향으로 일반화와 구체화의 융합, 감각들의 융합, 과학과 예술의 융합, 공동체 안에서 개인들의 융합을 추구하는 미학적인 교육을 제안하였다. 또한 미학적인 예로서 음악, 상징, 놀이와 같은 예술적 활동들을 통한 교회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학적 교육은 흙과 물과 햇빛과 나무가 만나 융합하여 새로운 잎을 형성하고 아름다운 열매를 맺도록 돕는 것이다. The Aesthetic education can be identified as creating beauty by harmonizing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thoughts. The education for the future will put the value on the convergence to create harmony out of differences. At first, this study relates the concept of convergence to the meaning of "Kiss" that Leonard Sweet used in the book, first century passion for the 21st century world. The Concept of Convergence is similar to that of marriage as a covenant between husband and wife. Marriage creates mysterious synergy more than the sum of the two. Convergence create more synergy than the sum of parts. This study describes the future society as High-Concept, High-Touch, and Multi-Culture. Then, this study suggests the aesthetic education to pursue the convergence between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between the science and art, and between the individuals and of human senses. Also,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he church education to use arts such as music, symbol, and play. Likewise, the aesthetic education can be compared as creating fruits from the convergence (harmony) among the earth, water, sunshine, and tree.

      • KCI등재

        ‘현재’의 고난과 ‘영원’한 구원의 징검다리 놓기

        소태영(Tae Young S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3

        이 연구는 ‘현재’의 고난과 ‘영원’한 구원의 통일성을 반 고흐 예술의 관점에서 조명한다. 최근 반 고흐 연구들은 반 고흐 예술을 보이는 실재적인 것과 보이지 않는 이상적인 것을 연결하는 종교적 상징주의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예수 그리스도를 현재의 고난과 영원한 구원을 통합한 ‘위대한 예술가(the greatest artist)’로 표현한 반 고흐의 신학적 미학에 기초하여, 반 고흐 예술에 지대한 영향력을 제공한 쉐퍼(Ary Sheffer)의 〈위로자 그리스도〉를 소개하고, 반 고흐가 사회적 약자들에게 관심을 기울인 ‘누가복음’을 자주 인용했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이 연구는 현재의 고난과 영원한 구원을 하나로 통합한 기독교상징으로서 반 고흐 작품에서 자주 목격되는 말, 마차, 다리, 해바라기, 싸이프러스 등을 소개한다. 말, 마차, 다리가 인생의 고난 그러나 구원을 향한 순례여정을 상징한다고 주장하고, 해바라기와 싸이프러스 역시 고난과 영원의 역설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반 고흐의 〈밤의 카페〉라는 작품을 위고(Victor-Marie Hugo)의 〈목로주점〉과의 관련성 속에서 해석하면서, 이 작품 역시 죄인으로서 인간을 영원한 구원의 문으로 초대하는 종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반 고흐의 상징을 활용한 영성교수학습과정을 소개한다. ‘말, 마차, 다리’를 팔복(눅 6:20-21)과, ‘해바라기’를 ‘빛’과 관련된 성경구절들과, 〈밤의 카페〉를 ‘큰 잔치의 비유(눅 14:15-24)’와 연결하여 현재의 고난과 영원한 구원을 통합하는 교수 학습과정개발 가능성을 소개한다. This study illumin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t suffer and the eternal salvation in terms of the theological aesthetics of Vincent van Gogh. This study identifies the art of Gogh with ‘religious symbolism’ that bridges the real with the ideal, and the visible with invisible. Gogh as a religious symbolist describes Jesus Christ as ‘the greatest Artist’ who integrates the present suffer with the eternal salvation. This study also introduces Ary Sheffer’s 〈Christus Consolator〉 that offered the significant influence to Gogh’s christology and religious symbolism. Then, this study explores religious symbols such as horse, carriage, bridge, sunflower, and cypress that step a stone between human suffer and God’s grace. Furthermore, this study argues that Gogh’s 〈Nihgt Caffe〉 symbolizes God’s invitation towards the salvation for the suffered and the poor in this worl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at connects the Biblical passages with religious symbols of Gogh. This last part introduces the process to teach the Beatitude in Luck 6:20-22 with symbols of horse, carriage, bridge, and the light of Christ in Matthew 5:13-16 with symbols of sunflower and cypress, and 〈The Night Caffe〉 with the parable of the Great Banquet in Luck 14:15-2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