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법상 가족법과 거래법과의 관계

        소재선(So, Jae-Seon) 경희법학연구소 2004 경희법학 Vol.39 No.1

        In Frankreich war die Beziehung vom Familienrecht und Börsengesetz eine lange Zeit durch eine Zumutung. Dieses war anfänglich mehr dem Handelsrecht gemessen als dem Zivilrecht, welches die freie Benutzung des Zivilrecht behindern das Ehepaar oder deren Kinder. Bei Behinderung der Handelstätigkeit war nach dem code Civile eines der Prinzipien die rechtliche Unfähigkeit der Verheirateten. Damals war zwar das Junfernleben ungezwungen, aber die einseitige Unfähigkeit der Verheirateten wurde 1804 um französischem code Civil angewendet. Natürlich war diese Verfassung der Unfähigen kein absolutes Hindernis für die Handelstätigkeit der Ehefrau, aber in dem französischem Handelsgesetzbuch von 1807 in Übereinstimmung mit Artikel 5 der Verordnung steht, daß für die Handelstätigkeit der Ehefrau ein Einverständnis des Ehemannes erforderlich ist. Seit dem erhält die französiche Präzendens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als gesetzliche Voraussetzung und um diese Bestimmung zu mäßigen und zu interpretieren ist es noch zu früh. D.h., daß die Präzendenz, im Falle Schweigen das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genügt und die Tatsache, daß die Ehefrau allein eine persönliche Handelstätigkeit vor Augen des Ehemannes ausführt, kann diese Einwilligung anerkannt werden. Danach wurde die Voraussetzung,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am 2.09.1942 laut Gesetz verfallen. Demzufolge bleibt dem Ehemann nur noch das patriarchalische Einspruchsrecht gegen die In Frankreich war die Beziehung vom Familienrecht und Börsengesetz eine lange Zeit durch eine Zumutung. Dieses war anfänglich mehr dem Handelsrecht gemessen als dem Zivilrecht, welches die freie Benutzung des Zivilrecht behindern das Ehepaar oder deren Kinder. Bei Behinderung der Handelstätigkeit war nach dem code Civile eines der Prinzipien die rechtliche Unfähigkeit der Verheirateten. Damals war zwar das Junfernleben ungezwungen, aber die einseitige Unfähigkeit der Verheirateten wurde 1804 um französischem code Civil angewendet. Natürlich war diese Verfassung der Unfähigen kein absolutes Hindernis für die Handelstätigkeit der Ehefrau, aber in dem französischem Handelsgesetzbuch von 1807 in Übereinstimmung mit Artikel 5 der Verordnung steht, daß für die Handelstätigkeit der Ehefrau ein Einverständnis des Ehemannes erforderlich ist. Seit dem erhält die französiche Präzendens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als gesetzliche Voraussetzung und um diese Bestimmung zu mäßigen und zu interpretieren ist es noch zu früh. D.h., daß die Präzendenz, im Falle Schweigen das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genügt und die Tatsache, daß die Ehefrau allein eine persönliche Handelstätigkeit vor Augen des Ehemannes ausführt, kann diese Einwilligung anerkannt werden. Danach wurde die Voraussetzung, die Einwilligung des Ehemannes, am 2.09.1942 laut Gesetz verfallen. Demzufolge bleibt dem Ehemann nur noch das patriarchalische Einspruchsrecht gegen die

      • KCI등재

        항공법,정책 : 항공안전관리에 관한 법적 고찰

        소재선 ( Jae Seon So ),이창규 ( Chang Kyu Lee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9 No.1

        항공안전관리는 항공운용 등에 있어서 승무원, 항공기 및 기타 자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항공산업 전반에 대한 관리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안전한 항공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국제 기술표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제민간항공협약에서 19개 부속서(Annex 19)를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각 회원국도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정책에 맞춰 항공법령에 국제표준 및 권고사항을 수용하게 되었으며 2013년 11월 14일부터 적용되는 부속서 19에서는 그간 항공안전에 관한 각국의 의견을 반영하여 항공안전관리체계가 제시되었다. 이 같은 국제적 흐름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2012년 1차 항공정책 기본계획으로 사전예방적 안전관리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공표하였으며 부속서 19의 안전관리에 대한 핵심인 항공안전프로그램(SSP) 및 안전관리시스템(SMS) 등을 통합하여 기술·인적자원 정보공유와 투자우선순위 결정, 항공안전관련 주체들의 협력강화를 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부속서 19는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SSP),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 항공안전감독시스템, 안전정보수집, 공유 및 보호정책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며 예방적인 안전관리의 체제로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항공안전프로그램은 안전 증진을 목표로 정부의 규정과 활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체계를 의미한다.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항공운송사업자, 항행서비스 공급자, 공항운영자, 훈련 및 정비 기관에서 제공하는 항공 서비스의 허용 가능한 안전 수준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항공안전관리시스템은 위험정보 통계에 근거하여 예측적인 위험관리가 핵심인바 항공안전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풍부한 위험정보의 수집이 필수적이다. 수집되는 정보 중 대형사고는 의무보고제도에 의해 보고를 받게 되지만(「항공법」 제49조의3), 소규모 사고는 자체보고하지 않는다면 진지한 조사가 행해지지 않고서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위험사고 수집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 항공교통의 안전확보는 정부의 주요 임무이다. 정부는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기준과 국내항공법규 요건을 준수하고 안전한 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략과 프로세스를 수립·시행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민간항공사는 안전관리의 향상과 안전문화 조성을 위하여 전자적인 안전관리기법을 적용하여 안전제반기능이 구현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항공안전은 항공실무를 토대로 규칙을 제정하여야 하는바 항공안전 규제 사항에 대하여 항공산업계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야 한다. 또한 항공안전 보고제도와 자유로운 정보교환 여건을 조성하여 효율적인 안전관리 실현을 지원해야 하며, 안전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민간항공사와 공조해야 한다. 항공안전 활동을 위하여 적절한 자원을 배정하고 직원의 교육·훈련을 통해 안전관리에 관한 기량을 유지시켜야 하며, 안전목표의 달성도 평가 및 위험도 평가와 같은 성과기반의 점검과 안전기준·절차이행점검 방식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Safety Management System is the aviation industry policy for while operating the aircraft, to ensure the safety crew, aircraft and passengers. For operating a safe aircraft, in order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technical standards,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has established the Annex 19 of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As a result, member country was supposed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to accept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domestic air la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promote active safety management strategy in primary aviation policy master plan of 2012. And, by integrating and state safety programmes(ssp)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ms) for the safe management of Annex 19 is to enforce the policy on aviation safety standards. State safety programmes(ssp) is a system of activities for the aim of strengthening the safety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activities of government. State safety programmes(ssp) is important on the basis of the data of the risk information. Collecting aviation hazard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state safety programmes(ssp) Korean government must implement the strategy required to comply with aviation methods and standards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Airlines, must strive to safety features for safety culture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is realized. It is necessary to make regulations on the basis of the aviation practice, for aviation safety regulatory requirements, aviation safety should reflect the opinion of the aviation industry.

      • KCI등재후보

        中國內地와 홍콩간의 二重法體制에 관한 小考

        蘇在先(SO, Jae-Seon),?欣(Tong Xin) 한국국제사법학회 2012 國際私法硏究 Vol.- No.18

        홍콩은 19세기 중엽 청국말기에 영국정부에 할양되었는 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84년 12월 중ㆍ영 양국은 「中英關與香港問題的聯合聲明」의 조인에 따라 1997년 7월 1일부터 중국령으로 반환되었다. 반환 이후 홍콩에서는 “一國兩體制”의 방침에 따라 특별행정구를 설립하여 향후 50년 동안 자본주의제도를 그대로 유지하며 국방ㆍ외교를 제외한 사무에 대하여는 행정관리권ㆍ입법권ㆍ독립적인 사법권과 종심권을 포함한 고도의 자치권을 향유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중국내지와 홍콩은 하나의 국가 안에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개의 법역이 되었다. 즉 중국내지에서는 사회주의법제를 시행하고 전국인민대표 대회와 그 상무위원회가 제정하는 법률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에 반하여 홍콩은 영국법상의 보통법(Common Law)을 기초로 하는 자본주의법제를 시행하고 있다. 결국 두 법역은 법률체계에 있어서 확연히 큰 차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계약법분야에 있어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홍콩반환 이후에 중국내지와 홍콩간의 경제ㆍ문화ㆍ인적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양 지역에 관련되어 있는 법률관계도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계약은 오늘날 섭외적 교류에 있어서 가장 중심을 이루는 기본적 수단으로써 양 지역에 관련된 계약관계에 둘러싸고 사적 분쟁이 생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중국내지와 홍콩의 계약법규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당해 계약관계를 규율함에 있어서 양 지역의 계약법은 법률저촉이 생길 것은 자명하다. 즉 당해 계약관계에 어느 법역의 법이 적용되느냐는 사정에 따라 재판결과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야기되어 결국 법적 안정성이 크게 저해된다. 따라서 중국내지와 홍콩에 관련되어 있는 계약의 사적 분쟁에 가장 적절한 법역의 법을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계약관계의 분쟁에 대하여 동일한 준거법에 따라 동일한 재판결과를 가져오게 하여 양 지역간 계약관계의 법적 안정성과 예견가능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중국내지와 홍콩이 불통일법국의 이법지역으로써 양 지역에 관련된 법률관계에 있어서의 법적 정의를 실현하고 법률관계 규율의 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하며, 나아가 재판결과의 법적 안정성 및 국가내 사법의 통일성을 추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우리나라와 홍콩, 중국내지 와의 물류교류가 엄청난 속도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법체계의 이해는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Hong Kong, which had been ceded to the Great Britain at the middle of nineteenth century, was returned to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ince June 1st 1997 based on the ‘Sino-british Joint Declaration’ signed by the two states, the People’s Repulic of China and the United Kingdom. However, Hong Kong was, since its return, entitled to the right of autonomy including administrative power, legislative power and independent judicial power to examine the final trial under the regime of ‘two systems in one country’, which resulted in maintaining its traditional capitalistic system performed for the last 50 years, by establishing it as special administrative district. Accordingly, it is apparently acknowledged that both of districts have differences in the legal system. And there’s no exception in the field of the contractual law based on the universal validity. Generally, it is the most ideal solution to apply the unified private law for the settlement of those sorts of conflicts of law, which is however, practically, impossible on the grounds that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s declared to guarantee Hong Kong its judicial independence, autonomy, and traditional system. Eventually, there is no option but depending on method used in International Private Law which designates and applies the most appropriate one as governing law to settle the conflicts of law in the inter-regional privity of contract.

      • KCI등재

        일본가족법상 유류분제도의 재조명

        소재선 ( So Jae-seon ),양승욱 ( Yang Seung-uk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외법논집 Vol.35 No.2

        This study is about the change of the point of view on the Reserve in Japan and Korea. In 1977, Korean Civil Law adopt reserve system. The main reason of the adoption is to help the legal heir(s) to keep its livelihood after the death of the inheritee. And and to secure the equality between coheirs as the persons entitled to legally secured portions. Janpanese Civil Law adopt this system earlier than Korean Civil Law for the similar reason. Although the background of the adoption in Japan is different from Korean, the main reason of the adoption is very similar. Japan started modernization of legal system earlier than Korea. Besides Japan has experienced 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 of social consciousness earlier than Korea. Korea experience the same or similar experience in Japan little bit later. So it is very important and useful to observation of the change of the view and article in japanese civil law for prospecting korean civil law. Through observation of the change of the view on the reserve in Japan, we can discover new approach to solve problem related reserve and to suggest new way of application. The theories in Korean is mostly focusing mutual relation between the liberty of legator and the equality of right of a legal heir's to inherited property. but the theories in Japan may be focusing on even consultation to stop infringement in advance. Therefore the some legislations was available to stop dispersing of property. Despite risk of infringement of reserve, these legislations opened a way to deal with in new problem of reserve case by new social and economic needs. These facts are very suggestive to theories in Korea and It can help resolve surrounding reserve by changing point of view on reserve in Korea.

      • KCI등재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원인에 관한 법적 고찰 -여객 손해배상책임을 중심으로-

        소재선 ( Jae Seon So ),이창규 ( Chang Kyu Lee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8 No.2

        오늘날 항공운송은 국가 간 인적.물적 교류를 위한 최적화된 운송 수단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은 효율적인 항공운송을 이용하기 위해 국제항공협정을 체결하여 항공사 노선확장과 운항횟수의 증가 등을 이룩하였지만 동전의 양면처럼 항공운송사고의 발생가능성도 높아졌다. 항공운송 사고의 발생 빈도는 타교통수단 사고와 비교 하였을 때 높지는 않아도 항공사고가 발생하면 대형 참사로 이어진다. 항공운송 사고 는 국내 운송사고보다 국제 운송사고가 많으며,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항공운송인 과 여객 또는 송하인 등의 법적 책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항공운송 사고의 법적규율에 대한 선순위 판단은 항공운송계약의 종류의 구분이다. 항공운송계약은 객체에 따라 항공여객운송계약과 항공물건운송계약으로 분별된다. 특히 항공여객운송 사고 는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법적 규율에 대한 논의가 더욱 필요하다.개정 『상법』 항공운송편은 국제항공운송에서 세계적으로 활용되는 조약들의 내용 을 우리 실정에 맞게 반영하여 국제적 기준에 맞으면서 체계상으로도 육상·해상·항공운송을 포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법』은 운송계약상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문제를 규율하는 몬트리올협약을 주로 반영하면서 동 협약이 가지고 있던 문제 로 인하여 국내 상황에 맞게 변형 및 생략을 통해 동 협약의 규정을 수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도 생겨나게 되었다. 특히 여객 손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발생 원인으로서 사고의 개념은 판례의 해석이 반영된 관련 조약과 『상법』에서 어느 정도 명확한 개념 정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상법』 항공운송편의 모법인 몬트리올 협약은 여객의 사망 또는 신체상해의 원인이 된 사고가 ‘항공기상에서’ 또는 ‘승강을 위한 작업 중’ 발생한 경우에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바르샤바 협약부터 이를 개정한 전 협약에 걸쳐 동일하게 규정되었고 ‘사고’의 개념 및 ‘승강을 위한 작업 중’의 범위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중이다. 또한 손해배상의 대상 범주인 여객 손해중 ‘신체상해’에 여객이 항공운송 중에 입은 정신적 손해를 포함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두고 논쟁 중이다.현행법상 신체적 상해의 경우 특정 상황에서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이 가능하고항공사고로 인한 발생한 정신적 손해는 중대한 신체적 상해와 같이 피해자로 하여금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게 할 만큼 심각한 피해이다. 그래서 여객의 정신적 손해는 관련 조약이나 『상법』상 신체적 상해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으며 항공운 송인의 합리적인 보호와 남소의 예방 측면에서 명백히 증명될 수 있는 정신적 손해만을 배상하여야 할 것이다. 연착 손해의 배상은 바르샤바 협약, 몬트리올 협약, 『상법』은 여객·수하물 및 운송물의 연착으로 인한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규정은 있지만 연착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착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 연착의 개념에 대한 엄격한 해석은 항공운송인의 안전한 운항을 저해할 소지가 있으므로 여객·수하물 또는 운송물이 항공운송계약에 명시된 도착 예정인 공항에 합의된 시간내에 또는 이러한 합의가 없을 경우 당해 상황을 고려해 선의의 운송인에게 요구할수 있는 합리적인 시간 내에 도착 또는 인도되지 아니한 경우를 말한다와 같이 정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항공사 약관의 손해는 여객 손해는 대한항공의 국제여객운송약관에 의하면 협약이나 기타 법령에서 정하는 경우 이외에 해당하는 항공운송이나 대한항공이 행하는 서비스로부터 여객에게 발생한 손해는 대한항공이 원칙적으로 책임을 부담하지 않고 대한항공의 태만 또는 고의적인 과실에 기인하여 발생하였다는 사실이 증명되고 동 손해에 여객의 과실이 개재되지 않았다는 점이 판명된 경우에만 책임을 부담한다. 협약 또는 법령에서 정하지 않은 손해의 경우에는 항공사 측의 과실이 증명된 경우에만 책임을 부담한다는 조항인데 대한항공 약관상 ‘태만’ 또는 ‘고의적인 과실’이라는 용어의 적합성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며 중과실이라고 함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수하물 손해는 대한항공 국제여객운송약관은 여객의 위탁수하물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제품 등의 손상 또는 인도의 지연에 대하여 대한항공은 사실을 알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책임을 부담하지 않지만 미국을 출발 또는 도착하는 국제선 운송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따라서 미국을 출발 또는 도착하는 국제선 여객을 다른 나라에 출발 또는 도착하는 국제선 여객을 불합리하게 차별하는 것으로 조약의 내용과 동일하게 물품에 대하여 항공사가 책임을 부담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Air transport today is a means of transport that is optimized for exchanges between nations. Around the world, has experienced an increase in operating and the number of airline route expansion that has entered into the international aviation agreement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air transport efficient, but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air transport accidents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accident of other means of transport, development of air transport accidents, not high, but it leads to catastrophe aviation accident occurs. Air Transport accident many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accident than domestic transportation acciden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analysis of the legal responsibility of the shipper or the like is necessary or passenger air carrier. Judgment of the legal order of discipline of air transport accident is a classification of the type of air transport agreement. Depending on the object, air transport agreements are classified into the contract of carriage of aviation of the air passenger transportation contract. For casualties occurs, air passengertransportation accident is a need more discussion of legal discipline for this particular.Korean Commercial Code, it is possible to reflect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South Korea the contents of the treaty, which is utilized worldwide in international air transport, even on the system, to control land, sea, air transport and welcom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However, Korean Commercial Code, the problem of the Montreal Convention has occurred as it is primarily reflecting the Montreal Convention. As a cause of liability for damages, under the Commercial Code of Korea and the contents of the treaty precedent is reflected, the concept of accident is necessary definition of the exact concept for damages of passengers in particular. Cause of personal injury or death of passenger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o the “working for the elevation” or “aircraft” on, the Montreal Convention is the mother method of Korea Commercial Code, liability for damages of air carrier defines. The Montreal Convention such, continue to be a matter of debate so far in connection with the scope of “working for the lifting of” the concepts defined in the same way from Warsaw Convention “accident”. In addition, it is discussed and put to see if you can be included mental damage passenger suffered in air transport in the “personal injury” in the damage of the passenger is in the range of damages.If the operation of aircraft, injury accident, in certain circumstances, compensation for mental damage is possible, in the same way as serious injury, mental damage caused by aviation accidents not be able to live a normal life for the victim it is damage to make. So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and what is included in the injury to the body in Korea Commercial Code and related conventions, non-economic damage of passengers, clearly demonstra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prevention of abuse of litigation and reasonable protection of air carrier it must compensate only psychological damage that can be. Since the compensation of delay damages, Warsaw Convention, the Montreal Convention, Korea Commercial Code, there are provisions of the liability of the air carrier due to the delayed arrival of passenger and baggage, but you do not have a reference to delayed arrival, the concept of delay arrangement is necessary. The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delayed arrival, because it may interfere with safe operation of the air carrier, within the time agreed to the airport of arrival that is described in the aviation contract of carriage of passenger baggage, or, these agreements I think the absence is to be defined as when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is situation, requests the carrier in good faith is not Indian or arrive within a reasonable time is correct. The loss of passenger,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passenger Conditions of Carriage of Korean Air, in addition to the cases prescribed by law and other treaties, loss of airline contracts, resulting in passengers from a service that Korean Air and air transport in question do damage was is, that the fact that Korean Air does not bear the responsibility as a general rule, that was caused by the negligence or intentional negligence of Korean Air is proof, negligence of passengers of the damage has not been interposed bear responsibility only when it is found. It is a clause in the case of damage that is not mandated by law or treaty, and responsible only if the negligence of the airline side has been demonstrated, but of the term negligence “for” intentional or negligent “Korean Air``s Terms” I considered judgment of compatibility is required, and that gross negligence is appropriate. The “Korean Air international passenger Conditions of Carriage”, airlines about the damage such as electronic equipment that is included in the checked baggage of passengers does not bear the responsibility, but the loss of baggage, international to arrive or depart the U.S. it is not the case of transporta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o discriminate unfairly passengers of international flights arriving or departure to another country passengers of international flights arriving or departure, the United States, airlines will bear the responsibility for the goods in the same way as the contents of the treaty it should be revised in the direction.

      • KCI등재
      • KCI등재

        식물신품종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연구

        소재선(So, Jae-Seon),이혜은(Lee, Hye-Eun) 한국재산법학회 2014 재산법연구 Vol.31 No.1

        최근 식량자급률이 낮아지면서 우리나라도 불안정한 식량수급을 염려하고 있다. 식량안보가 위협받고 있는 이 시점에서 안정적 식량 확보를 위한 우리나라 고유의 종자 및 새로 개발한 신품종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종자산업법이 종자의 보증ㆍ유통관리 등에 관한 실체적 규정과 품종보호에 관한 절차적 규정이 혼재되어 있어 법의 체계와 내용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대한 현실적인 반영으로 식물신품종보호법이 제정되었다. 새로운 종자산업법은 대체로 기존의 체제와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분리개정 되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분쟁종자의 대상을 보증종자에서 모든 종자로 확대하고, 그에 따른 수수료 규정과 조정절차를 도입함으로써 일반 무보증 유통종자가 대부분인 현실을 인정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분쟁남발을 방지하고자 한 조치이다. 이와 별도로 정부 보급종으로 인한 피해 지원근거를 마련한 것은 민원 해결과 종자분쟁에 있어 매우 의미 있고 선진적인 조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종자산업 활성화를 위한 민간육종연구단지 설립은 종자산업 전문 인력 육성체계 구축을 통해 현재의 전문 인력 양성 부족문제를 해결하고, 종자산업육성정책 연계를 통한 연구기능 강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품종의 육종기술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식물신품종보호를 위한 기탁제도 도입과 식물의 특성을 고려한 규정 마련, 특허법과 특별법의 상이한 보호체계 개선, 품종 육종가를 보호 및 지원하고 품종관련 비즈니스가 지속가능하도록 선진국의 성공적인 로열티제도를 참고하여 국내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생물다양성과 유전자원 접근제한, 기후변화라는 문제들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가 공통으로 직면한 과제이기 때문에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종자산업의 중요성은 더욱 대두될 것이다. While a food self-sufficiency rate becomes low these days, our country is also Worried about unstable demand and supply of food. When food security has received the threat, it can be said that the importance for the Korean own seed and the current cultivar developed new varieties of plants of our country for stable food reservation is still larger. Substantive regulation concerning the existing Seed Industry Act a guarantee, distribution management, etc. of a seed and the procedural regulation about kind protection are intermingled, and Law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was enacted by the realistic reflection to indication of the system and the contents of law being complicated and being hard to understand. It is said that a new Seed Industry Act has an important meaning while separation revision is carried out, although it has existing organization and the contents generally. It is the measure which thought especially the object of a dispute seed is expanded to all the seeds with a certified seed, a general uncertified circulation seed would mostly come out, a certain reality would be accepted by introducing the commission regulation and adjustment procedure accompanying it, and would prevent an unnecessary dispute excessive issue simultaneously. It is in settlement of civil complaint and seed dispute to have prepared the damage support basis by a government spread kind aside from this, and it is received as it being very meaningful and there being an advanced measure. Probably the private sector breeding research housing complex establishment for seed industry activation could solve the present special staff training insufficient problem through seed industry special personnel training system construction, and could also expect and see the breeding technology of a higher value-added varieties through the research functional enhancement through seed industry training policy cooperation. It is also required the deposition system for Law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and to take care of and support the protector system improvement and breeder from whom the regulation and Patent Law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introduction and a plant, and special law differ, to refer to the successful loyalty system of advanced countries, and to reflect it at home so that varieties related business can be maintained. The importance of seed industry will gain power further, also in order to conquer this crisis, since the problem of biodiversity, genetic resource approach restrictions, and a climate change is a subject which not only our country but the world was common, and was faced.

      • KCI등재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상 채권추심자 범위 확대적용 필요성에 관한 소고

        소재선(SO, Jae-Seon),류석희(Ryu, Seok-Hee)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42 No.-

        2009.2.6.에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1997년 IMF금융위기의 과정을 거쳐 금융기관에 발생된 부실채권 등을 최소화하고 금융채권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 채권추심업이 도입되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2014년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 -petency standards, ‘NCS’)개발과 관련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분류(안)에 대분류(3. 금융보험), 중분류(1. 금융), 소분류(5. 금융영업지원), 세분류(2. 채권추심)를 지정하여 표준화 개발을 하고 있다. 이는 채권추심업무에 대한 중요성을 판단하게 되면서 이에 대한 직무의 정의부터 교육에 대한 전체적인 표준화를 개발하여 해당 직무에서 일하는 채권추심자 및 예비채권추심자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겠다는 중요한 목적이 있다고 생각된다. 채권추심업무는 경영과 법률이 결합된 학문으로, 법률과 관련하여서는 민법(총칙, 채권법, 물권법 등)과 상법(총칙, 회사법, 어음?수표법 등)이 총 망라되어 있는 중요한 직무라고 본다. 채권추심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므로 채권추심업무의 전문가로서 책임감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현행 채권추심법은 금융기업에 한정하여 시행되고 있으며 실제 금융기업 이외에도 일반 유통기업 등의 상행위로 인해 발생된 채권과 관련하여 채권자(정규직 채권담당자 포함)가 직접 채권추심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불법적 채권추심행위를 하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현행 채권추심법 제2조 제1호의 채권추심자 범위를 확대하여 시행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유류분제도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과 북한의 유류분

        소재선(So Jae-Seon),양승욱(Yang Seung-Uk)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연구 Vol.53 No.2

        유류분을 둘러싼 고령화와 생전증여와 사인처분에 대한 인식변화 등의 환경 변화는, 기존의 유류분제도에 대한 많은 비판이 나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유언의 남용으로 인한 부양가족의 생활 곤란의 방지책이라는 유류분의 취지 및 의의는 퇴색되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유류분의 취지인 부양과 관련해 문제되는 것은 고령화의 이면인 저출산이다. 이러한 저출산의 경향은 가정의 범위를 좁혔으며, 또한 개인주의의 강화로 인하여 가족 간의 연대를 약화시켰다. 이러한 점에서 유류분은 오늘날에 있어 어떠하여야 하는지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유언의 자유와 상속인의 상속받을 권리 사이의 충돌문제는 헌법적으로 유류분이 어떠한 근거를 가지는가 하는 문제로도 이어지게 된다. 결론만을 이야기 한다면, 한국민법상 유류분제도는 제도적 보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류분제도를 폐지하는 것과 같은 일은 헌법상 허용되지 않는다고 본다. 따라서 유류분 제도의 존재 필요성에 대해서는 수긍할 수 있다. 그러나 유류분 규정은 현재화된, 그리고 앞으로 더욱 일어나게 될 환경 변화에 적응하여야 하며, 입법자에 의하여 재량형성이 가능한 만큼 지금은 새로운 환경에 맞는 유류분 제도의 모습에 대한 연구들이 모색되고, 모색되어져 가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방법들은 각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섣불리 어떠한 방향으로 이를 규정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변화를 보이고 있는 북한의 가족법과 상속법이 규정하고 있는 유류분은 우리에게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북한의 유류분 제도는 '부양을 받던자의 리익'을 침해하는 유언을 무효로 하고 있다. 즉, 남한 민법과 같이 일률적인 비율로서 정하여 피상속인을 보호하는 방식을 취하지 않고, 부양을 고려하지 않은 유언에 대하여 무효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규정형태는 현재 유류분의 가장 비판 받고 있는 부양의 필요성과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유류분을 주는 것에 대하여, 유류분을 부양과 연관시키고, 부양이 필요성이 있는 자에게도 일률적 비율이 아니라 유언 자체를 '무효'로 함으로써 부양이 실제적으로 필요한 자를 보호하고, 유언자의 입장에서는 사전에 무효가 되지 않도록 보다 신중히 유언할 것을 지시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는 유류분의 청구형태를 법정상속인들간의 문제와 법정상속인 외에서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처리되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家'내로 상속재산을 유지시키고자 하는 전통적인 상속관행과도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유류분의 기능으로서 유류분의 옹호입장에서 드는 가족연대유지와 공평성유지라는 측면에서도 유류분이 법정상속인들간의 유류분에 관한 다툼에서와 법정상속인들 이외의 자들 간의 다툼을 나누어 각각의 논리를 적용하면 더욱 그 근거가 명확해진다. 북한의 유류분 규정은 그 실제적 적용은 논외로 하고 그 규정에 있어서는 가족의 유대를 강조하는 한국적 전통도 포함하며 상당히 합리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다고 볼수 있다. 이러한 북한의 규율 방식은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유류분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분명 가지고 있다고 본다. 북한은 경제개혁과 개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북한이 경제개혁에 많은 참고를 하고 있는 중국의 움직임으로 볼 때에도 앞으로 남북한의 법은 접근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남한과 북한의 통일 후에 상속과 관련된 문제가 가장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될 것이며, 이를 위한 해결책의 모색을 위하여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漁業權의 特徵과 法的 性質에 관한 小考

        소재선(SO, Jae-Seon),임종선(Yim, Jong-S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2 土地公法硏究 Vol.57 No.-

        21세기에 들어서서 세계 각국은 해양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의 증가는 연근해 어업에 해당하는 어업권 중 양식어업에 대한 것이다. 우리 수산업법상의 어업권이란 일정한 수면에서 특정한 어업을 배타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권리를 행정관청의 면허에 의해 부여되어 행하는 어업을 말한다. 어업권의 법적성질에 대해 우선 사권인가 공권으로 볼 것인가의 견해에 있다. 그러나 어업권의 본질이 일정수역에 있어서 제3자를 배제하여 독점적으로 수산동식물을 채취•포획할 수 있는 권리이고, 면허를 받은 특정인이 투자한 수면에 대하여 사적인 경제이익을 법적으로 보호하자는데 있으며, 그 법적 보호는 침해자에 대해서 물권적 청구권의 행사 혹은 손해배상청구권 등의 행사에 의해 사법적 관계에 의해 완성된다. 따라서 어업권은 공권이 아닌 사권인 것이다. 그리고 사권으로 보는 통설적인 견해에 있어서도 재산권으로 볼것인가 물권으로 볼 것인지 견해가 나누어져 있지만, 양도성과 담보성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수산업법에서 물권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법적 성질을 물권으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물권인 어업권에 대해서 단순물권부정설, 물권취득권설, 어업행위절대설, 어장지배설의 견해가 대립하고 있지만, 어업권은 물권이며 그 객체는 어장과 수산동식물로 보아지므로 어장지배설의 견해가 다른 견해에 비해 타당하다. 따라서 우리 수산업법 제16조 제2항에서 어업권은 물권으로 하며, 이 법에서 정한 것 이외에는 민법 중 토지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interest in the ocean and its resources from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increasing and the reason for such increased interest is due to sea farming which is considered to be a fishery right that is a common part of coastal fishing. Under the Fisheries Act, the term “fishery right” means a right to exclusively operate a certain fishery business within certain ocean surfaces by obtaining a license from the relevant administrative office. There are competing views as to whether the legal characteristic of a fishery right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private right or a public right. However, the nature of fishery rights grants the exclusive right to catch and gather marine animals and plants in specific waters and excluding third parties from enjoying such right, and is intended to legally protect the private economic interest derived from the specific water surface invested in by the particular person having such license. Such legal protection is afforded when a legal relationship is created between the licensee and a trespasser when the licensee enforces its claim of real right or claim for damages against such trespasser. Therefore, fishery righ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private right rather than a public right. Within the popular view that fishery rights should be treated as a private right, there are divides as to whether it should be viewed as a property right or a real right. However, as the transferability of fishery rights and provision thereof as security are limited and the Fisheries Act treats it as a real right, the legal characteristic of a fishery right should be viewed as a real right. Also, with respect to the view of the fishery right as a real right, although the theory of denial of a simple real right, the theory of real right ownership, absolute theory of acts of fishery business and the fishing ground dominance theory are at odds with each other, fishery right is a real right and, as the object of a fishery right is the fishing grounds and the marine animals and plants, the fishing ground dominance theory is relatively more reasonable than the other theories. Thus, Article 16(2) of the Fisheries Act states that a fishery right is a real right, to which provisions of the Civil Act governing land will apply mutatis mutandis, except as provided otherwise in the Fisheries Act. The Fisheries Act, as a special law, considers the fishery right as a real r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