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교육에서 성격요인이 목표수립과 과업수행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자기존중감과 자기효용성의 이론적 체계화

        소원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직업 교육 (job training)장면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어지고 있는 목표수립을 통한 동기부여 이론을 중심으로, 기존의 대부분의 많은 연구들이 간과했던 성격요인이 동기 이론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 재검토하여 정리하였다. 본인은 성격이론에 관한 연구들이 일관적인 결과를 도출해 내지 못했던 것을 논제의 발단으로 삼아, 목표설정관련 변인들과 성격요인의 연관성을 기존연구들의 결과를 총망라하여 연대기별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성격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목표설정 변수들과의 연관성에 있어서 일관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해내지 못했던 원인으로서의 잠재적인 요소들에 대한 이론적인 파악을 시도함으로써, 향후 성격 연구들이 유의해야 할 점을 지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존중감과 자기효용성으로 대별되는 개인의 특성으로서의 성격 요인들의 개념을 엄격하게 분류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존의 성격연구들이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또는 개념의 틀을 형성하는 이론적인 관점에서 범하였던 오류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외에도 기존의 연구들이 혼용하여 사용하였던 특정 과업 관련자기 존중감(task specific self-esteem)과 전반적인 자기 존중감(global self-esteem), 그리고 성취동기나 내외통제력 등을 아우르는 상위 개념으로서의 일반적인 자기 효용성의 개념을 명확하게 분리하여 정의 내리며, 이를 통해 성격연구들의 비일관적인 연구결과들의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성격5요인을 발단으로 성격모형의 최근까지의 이론적 발달과정의 깊이 있는 고찰을 통해 성격요인이 목표설정의 변수들과 가지는 연관성을 다양한 성격요소들의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상황에 특수화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일반적인 성격특성과 상황 특수적인 성격특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오류를 분석하여 성격특성의 명확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는 것 또한 본 연구가 성격의 이론적 개념의 틀의 재정립을 시도한 연구로서 가치를 부여 받는 점이다. 뿐 만 아니라, 향후 후속 연구들의 이론적인 지침이 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구체적인 성격요인의 이론적 구성개념을 타당도를 근거로 고찰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향후 성격 연구들이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본 연구는 성격요인의 이론적인 발달의 집대성을 통해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강조되는 직무 교육을 비롯해, 더 나아가서는 전반적인 조직 관리 및 경영에 다각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성격요인의 새로운 모형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목표설정과 과업수행과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집단주의 문화 속, 개인의 성격특성과 목표변인들 간의 잠재적인 관련성들을 분석함으로써 서구와 대비되는 동양의 특수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의 개인의 성격요인이 과업수행동기에 미칠 수 있는 가능한 영향들을 탐색하며, 이를 통해 성격요인의 후속연구들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 common criticism of personality in goal setting and work motivation and training research is the lack of consistent findings. The present paper focuses on personality in goal setting research published in past three decades with specific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theories and their implications to goal setting and work motivation. The review is organized in chronological order. The first part of the paper briefly describes the personality and goal setting research during the 1970s and 19870s.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reviews the most recent theoretical and research developments with regard to personality in goal setting. Specifically, I revise the developments in regards to the construct of self-esteem and its effects in goal setting behavior. In fact, the construct of self-esteem has had a checkered history in regards to its use to predict goal variables and performance. Despite the recent optimism in the field of personality in goal setting, there is still much to learn about personality in motivation. With regard to goal setting variables, self-esteem continues to be a popular trait to study even though it seems to be a messy construct. Various terms have been equated to this construct. Accordingly, I explain how researchers are moving away from using narrow measures of traits such as self-esteem toward the use of broader nomological frameworks in order to improve predictive validity of personality measures. Also, current models of personality traits is described, next and following this, the tendencv to integrate personality traits is explained in order to understand motivational variables. The paper concludes with evaluations of these recent developments, discussion regarding new models of personality,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that may advance the study of personality in motivation. Since Locke et al (1981) review of goal setting, much research has been done to link personality to goal setting behavior and work motivation. Although some of these studies still yield conflicting findings, this review shows that theoretical and research developments allowed researchers to draw better conclusions regarding the effects of personality in goal setting and work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ers should continue to explore the role of other individual variables on goal setting and performance besides the traditional personality variables.

      • KCI등재

        Positive Mood and Pooling Unshared Information in Group Decision Making - A Study of Decision Making in the Group Including Northeast Asians -

        소원현,윌리암스 케빈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9

        가능한 많은 정보를 추출하고 획득 (information pooling)하는 것은 최선의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의사결정의 주요과정이다. 한 조직의 집단의사결정은 개인의사결정에 비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다는 면에서 합리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기본 초석을 마련한다는 우위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인 우위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선행연구들은 집단의사결정이 실제로는 풍부한 정보추출을 실현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본 연구는 이전의 다른 연구들이 검토하지 않은, 기분이 정보추출모형 (information sampling model)의 주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입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인의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에서는 기분을 포함한 정서적인 측면의 관점에서 1990년 이후 계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집단의사결정에 대한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지적인 측면에서만 접근이 이루어 졌을 뿐, 조직 구성원들의 기분상태가 정보교환 또는 그 정보교환을 바탕으로 한 의사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도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본 연구는 집단내부의 개별구성원 개인의 기분요소가 집단 응집성 (cohesiveness) 및 의사결정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기분과 정보추출모형의 관계를 더욱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한 조직의 집단구성원 개개인이 긍정적 기분을 가지고 있다면 제시된 유일정보들이 전체적인 의사결정의 과정에서 그 만큼 더 주요하게 고려되며, 둘째, 긍정적 기분이 집단응집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실험적으로 밝혔다. 따라서 긍정적기분과 집단응집성의 관계로 인한 정보추출에 대한 부적인 효과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 실험에 참여한 동북아인들로부터는 집단 의사결정과정에서 다른 특이한 모형을 찾아볼 수 없었다. 즉, 기분이 유일정보교환에 미치는 효과는 문화적 특성과는 관계없는 보편적인 행동양상인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 학습자의 교육자긍심과 교육서비스품질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신뢰성, 확신성, 내용성, 의사소통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소원현,김하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While starting new era,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reshape educational aim and corresponding educational methods. Until recently, with the Korean’s excessive education fever, teacher-led learning and memory test had been major learning methods in Korea. However, in the new era, self-directed learning, developing creative thought process gets more attention, and valued. Education environment including trainer will play a rather assisting role than actively leading trainees. In order to satisfy the need, finding the new educational methods is urgent issues in Korea. Moreover, online education is relatively free from location and time constraints. While previous studies had been focused on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 diverse factors of online education that influence on trainees’ psychological experiences such as learning pride should be investigated. This study surveyed Korean trainees with diverse background who had experiences using online education service previously. Reliability, confidence, content, communication, and general satisfaction were derived as quality factors of education service affecting learning pride through brand value. As a result,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brand value influence on learning pride. The summary of research findings in present study as follows. First, reli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brand value. Second, confidence affect education brand value. Third, content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education brand value. Fourth, communication do not seriously affect education brand value. Fifth, gener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 education brand value. Sixth, education brand valu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rainees’ education pride.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학교교육장면에서 교육 방법의 변화에 대한 관심과 욕구는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의 교육현장에서는 그동안 정해진 해답을 찾거나, 암기를 통한 주입식 교육법이 중심이 되어 왔다. 그러나, 곧 다가올 미래의 새로운 산업상황에 맞는 변화된 교육 방법을 찾는 것은 시급하다. 교육자보다는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법은 무엇이며, 자기 주도적 교육을 위한 새로운 산업상황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자료의 제시는 한국 교육 현장에서 무엇보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당면한 과제이다. 이제는 교육자를 포함한 교육환경은 학습자의 교육을 돕는 보조적 역할로 변화해야 한다는 점에서 온라인 교육은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장소나 시간에 제한받지 않고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들이 온라인 교육의 타당성 및 효용성에 그 관심이 머물러 있었다면, 이제는 온라인 교육에 대한 학습자들의 교육 자긍심과 같은 심리적 측면에 영향을 주는 다차원적 요소들을 탐색하고, 그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학술적·전문적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온라인교육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한국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시행되었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교육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신뢰성, 확신성, 내용, 의사소통, 전반적 만족도를 도출하여, 학습자들의 교육자긍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성은 교육브랜드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확신성은 교육브랜드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용성은 교육브랜드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의사소통은 교육브랜드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다섯째, 수업만족도는 교육브랜드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교육브랜드가치는 교육자긍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The Effect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e’s Perceived Value on Life Satisfaction of Digital Age

        소원현,김하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6

        Digital innovation continues to sprea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are also in the process of rapid change along with digital technology. Studies on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have been conducted targeting the elderly and adolescents. In the paradigm shift changi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model was derived that can connect the perceived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with life satisfaction. The perceived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y affects usage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In many recent studies, perceived value enriches life satisfaction. In the verified study, the value perception of the marginalized plays an important role in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satisfies people's needs. Furthermore, because the speed of change in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is fast, the marginalized class is more likely to be eliminated. For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information technology skills and play a role in perceived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and the influence of use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PSS 22.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Concentrated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package Smart PLS 3.0 for hypothesis testing. A total of 399 responses were gathered through the Naver survey, and 33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68 invalid answers. Factors determining the perceived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y were divided into functional value, experience value, and social value. A summary of the study follows. First, the perceived value (functional value, experience value, social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age attitude. Second, usage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스마트학습특성이 한국 대학생의 학업태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동성, 양방향성, 즉시성, 현실성, 협력성을 중심으로

        소원현,김하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Recently,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and the expansion of smart devices with the rapid changes of information technology have had a great impact on many aspects of our society. Its influence has spread rapidly to the education field in Korea. Previous research on smart learning has shown a wide range of researches ranging from research using smart technologies such as smart phones and smart pads in education to technology and system development related to smart education environm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Korean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s of using smart learning service in online educatio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using mobility, interactivity, immediacy, reality, and cooperation as key factors of smart learning services, and with their influence o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mmary of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mobility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leaning attitude. Second, interactiv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ning attitude. Third, immediac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attitude. Fourth, reality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leaning attitude. Fifth, cooper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ning attitude. Sixth, leaning attitud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s empirical study showed that communication related factors such as immediacy, interactivity, cooperat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attitude and achievement. The result may contribute to the area by suggesting guidelines of developing smart learning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in Korea. 최근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무선 인터넷의 발달뿐 아니라 스마트기기의 급속한 보급은 한국 사회 다방면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스마트기기의 영향력은 한국 교육 분야에까지 급속히 파급되기 시작하였다. 스마트학습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최신 정보기술의 발전사항을 교육 분야에 활용하는 것과 관련한 연구에서부터 스마트교육 환경과 시스템 구축연구에 이르기까지 그 관심의 범위는 매우 넓고 다양하다. 본 연구는 온라인교육에서 스마트학습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한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스마트학습특성의 변수로 이동성, 양방향, 즉시성, 현실성, 협력성을 도출하고,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모형으로 정하였다.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성은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양방향성은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즉시성은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현실성은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다섯째, 협력성은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학습태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 학습 특성과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즉시성, 양방향성, 협력성과 관련한 반응적 특성이 학습 성취와 관련이 있었음을 보였다. 스마트학습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Effect on Brand Value and Attachment in Online Education: Focused on Chinese Education Market

        소원현,김하균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17 水産海洋敎育硏究 Vol.29 No.6

        With rapid changes in the IT industry, the perception of online education as an auxiliary means of offline education has also changed. Online education is becoming an alternative to offline education, and online education sit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specialized. Together with such socioeconomic changes and the rapid growth of the IT industry, online education is also growing and spreading. The role of online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since it can help provide everyone with an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This study surveyed Chinese users of online education servic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 research model on the effect of education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brand value and attachment in online education was developed, where basic education facilities represent education environment and content, communication, and class satisfaction represent education service quality. SPSS22.0 was used for basics statistics while Smart PLS2.0 was utilized for reliability, validity, and hypothesis tests. Smart PLS2.0 is a statistical software specialized in the structural equation method of partial least squ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ic education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brand value. Second, education environment significantly affected education brand value. Third, content quality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 brand value. Fourth, commun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ducation brand value. Fifth, class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education brand value. Sixth, education bran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attachment.

      • KCI등재

        A Study on the Online School Violence of Teenagers in Cyberspace

        소원현,김하균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

        Adolescents may deliberately experience violence from someone they know, but they may also experience violence spontaneously from someone they do not know. Online, the peculiarity that people you know and people you don't know are connected together enhances various damage experience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causes of cyber violence by dividing the types into targets for specific people and targets for unspecified people. Cyberbullying is a different concept from traditional offline school violence, but it is clear that it has a theoretical connection. Cyberbullying differs from physical violence because the violence (harassment, insults, and stalking) occurs in cyberspace. Therefore, it can happen anytime and anywhere without being limited by time and space. While they are closely related, Cyberbullying can be fatal to young adolescents and cause profou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survey analysis used SPSS 22.0 for basic statistics and Smart PLS 2.0 for hypothesis testing.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negative emotions, and cyberbully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cyberbullying are harassment, insults and stalking. A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school viol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negative emotions. Second, negative emotions significantly affect harassment. Third, negative emotions significantly affect insults. Fourth, negative emotions significantly affect the stalking. Therefore, given that anger searches affect cyberbullying searches, it is believed that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control tension and anger with healthy life practices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동북아 집단주의 문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적 태만의 변인: 사회적 태만의 요인적 기제 고찰과 해결책 연구

        소원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5

        Many of our important tasks can only be accomplished in groups, and many group tasks are collective tasks that require the pooling of individual members' inputs. However, task performing groups rarely achieve their productive potential. individuals frequently exert less effort on collective tasks than on individual tasks. Social loafing is the reduction in motivation when individuals work collectively compared with when they work individually or coactively. The identification of direct or indirect causes in social loafing is a problem of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ortance. In terms of theoretical importance, specifying which variables influence social loafing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processes and mechanisms of group performance. Since Inghamn Levinger, Graves, and Peckman conceptualize social loafing,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clarify its causes and cures. In terms of practical importance, determin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individual do or do not engage in social loafing may provide ways of interventions by which social loafing may be reduced in applied settings.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review research findings (1) about a variety of causes of social loafing to understand the processes and mechanisms of group performance, (2) about several cures to enhance group motivation to provide ways of interventions in applied settings, and (3) about the impact of cross-culrtural context on social loafing. For these purposes, I would like to summarize first, the history of important researches regarding social loafing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second, a variety of causes based on different theories proposed by many of social loafing researchers, and last, some of the cures of social loafing.

      • KCI등재

        정보기술에 따른 금융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소원현,김하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1

        은행이 환경변화에 적응하여 생존하기 위해서는 변화된 환경에 적합한 은행원의 역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은행원의 직무역량과 직무성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산업의 환경변화가 은행원의 직무역량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금융산업의 환경변화, 직무역량, 직무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금융산업의 환경변화를 정보기술 능력, 인터넷전문은행의 증가, 은행간의 경쟁심화 등 3가지 범주로 분류하였으며, 직무역량을 개인역량과 조직역량으로 구분한다. 자료수집은 국내 은행에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를 위해 SPSS23.0, 가설검정을 위해서 Smart PLS 4.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기술 능력과 은행간 경쟁심화는 개인역량과 조직역량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전문은행의 증가는 개인역량과 조직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개인역량과 조직역량은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요인이 은행원의 업무역량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It has become difficult for banks to secure sustainability with existing management techniques. For banks to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surviv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apabilities of bankers suitable for the changed environment and to analyze the job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of bank employee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financial industry on the job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of bankers. Prior studies on environmental changes, job competencies, and job performance in the financial industry are reviewed. Furthermor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financial industr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an increase in Internet banks, and intensifying competition among banks. Job competencies are divided into individual competencies and organizational competencies.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domestic bankers. For the hypothesis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erformed using Smart PLS 4.0. The main demonstr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technology skills and intensifying competition between bank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he increase in internet bank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Seco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ompetenc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bank employees' work capabilities and job performance was empirically analyzed as a factor due to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 KCI등재

        사이버블링에서 계획된 행동이론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소원현,김하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0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하면 특별한 행동을 할 때는 행동을 하려는 의도가 있으며, 이는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행위의도란 특별한 행동을 스스로 수행하거나 그 행위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는 개인적인 의사를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계획된 행동이론은 다양한 심리학적 분야에서 연구되었다. 사이버블링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인간의 사회적, 심리적 행위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계획된 행동이론은 심리학의 기반에서 시작되었지만, 미디어, 정보, 사이버 등의 다양한 관련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사이버블링에서는 인터넷 이용, 정보사용, 해킹, 불법다운로드, 그리고 온라인상에서 다양한 유형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한다. 본 연구는 사이버블링에서 계획된 행동이론이 행위에 대한 태도와 행위의도에 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둔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주관적 규범, 참된 자아, 인지된 행위통제감으로 나누었다.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규범은 행위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참된 자아는 행위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인지된 행위통제감은 행위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행위에 대한 태도는 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계획된 행동의 모든 요인이 행위에 대한 태도와 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According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re is an intention to act in a particular behavior, which is well predictable. An behavior intention is to express a personal will to perform a particular act on its own or to try to perform it. Planned behavior theory has been studied in a variety of psychological fields. It is used to predict social and psychological behavior of human beings in various domains including cyberspace. Althoug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iginated on the basis of psychology, it is applied in various related fields such as media, information, and cyber. It is predicts and explains various types of behavior on the Internet, information use, hacking, illegal downloading, and online in the cyber bulling.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behavior, attitude toward behavior,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are subjective norm, true self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 summary of research findings is subscribed. First, subjective norm aspect has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 toward behavior. Second, true self has significantly affect attitude toward behavior. Thir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s significantly affect attitude toward behavior. Fourth, attitude toward behavior has significantly impact behavior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