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중심주의는 동물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는가?

        소병철 ( Byung Chul So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5 No.3

        오늘날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과 같은 응용윤리적 도전은 무수히 많은 동물의 고통과 죽음에 우리의 주의를 환기하는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다. 오랜 세월 동물을 먹고 입고 신어 왔던 사람들은 그러한 도전에 자극을 받아 인간만이 창조의 월계관이라는 인간중심주의적 선입관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게 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이제는 인간의 하찮은 이익을 위해 무수한 동물을 처참한 고통과 죽음으로 내몰던 기존의 관행을 옹호하는 사람들이 자기정당화의 부담을 지게 된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이는 오직 인간만의 것이던 윤리공동체의 성원권을 인간 이외의 다른 동물에게도 부여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널리 확산된 상황에 우리가 처해 있음을 함의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 싱어의 ‘종차별주의’와 같은 술어가 강력히 시사하는 것처럼 인간과 인간 아닌 동물의 관계에 관한 윤리적 문제에서 이제는 기존의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이 더 이상 정당한 발언권을 행사할 수 없는 한 시대가 도래한 것일까? 나아가 그러한 관점에 기초한 종래의 윤리는 전혀 다른 관점과 전망에 입각한 모종의 ‘새로운 윤리’로 대체되어야 하는가? 논자는 이 글에서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시론적인 방식으로 제시해 보았다. 논자의 목표는 호모 사피엔스 종에의 소속 여부를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판단의 절대적 기준으로 삼지 않는, 온건하며 계몽된 종류의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을 옹호하는 것이다. 논자는 상이한 윤리적 의의를 지닌 인간중심주의의 두 형태, 즉 ‘편협한 인간중심주의’와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를 구별하고 후자를 옹호하는 방식으로 그러한 관점의 윤곽을 그려 보았다. Today, Peter Singer``s theory of the so-called ``animal liberation`` calls our attention to the pain and death of innumerable animals. In fact we have eaten and worn animals for a long time, but such a challenging theory leads us to critically examine our anthropocentric prejudice that we alone are the laurel crowns of the Creation. In this situation, people who support our current practice that throws innumerable animals into the bloody pain and death for the sake of human trivial interests might have to justify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in front of ethical challengers. And this means that the membership in our ethical community might not belong only to humans as before, but also to non-human animals. Then, how must we understand and accept this situation? As Singer``s terminology ``speciesism`` suggests, as for the problem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has our anthropocentric viewpoint completely lost its voice? Hence, must all the existing anthropocentric ethics be replaced by a totally different and new sort of ethics? In this paper, I answered these questions in a tentative way. My Purpose is to advocate a sound and enlightened form of anthropocentric viewpoint which doesn``t regard whether an animal belongs to Homo sapiens or not as an absolute criterion of decision about its moral status. I outlined such an anthropocentric viewpoint by distinguishing two different sorts of anthropocentrism, ``narrow-minded one`` and ``expansive one``, and advocating the latter.

      • KCI등재

        실천적 합리성 개념의 현대적 편향에 대한 검토

        소병철(So Byung-Chul)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4 No.-

        이 글의 목적은 오늘날 실천적 합리성에 관한 철학적 담론들의 출발선을 상당 부분 선점하고 있는 도구적 합리성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도구적 이성의 과도한 권리 주장을 비판하고 그것의 의의와 한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우리의 실천 이성은 분명 도구적 이성을 내포한다. 다시 말해 ‘주어진’ 목적에 대한 ‘선택될’ 수단의 적합성을 고려하는 일은 실천 이성에 부과된 외인적 요구 사항이 아닌 실천 이성 자체의 고유 기능들 중 하나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도구적 이성은 행위의 목적 자체가 정당하거나 이성에 부합하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자임하지 않는다. 도구적 이성에게 있어 목적은 행위자의 욕구나 선호에 의하여 이미 ‘주어진’ 것이며, 그 자신은 그러한 목적의 달성에 기여할 최적의 수단을 탐색하고 선별하는 데에서 탁월한 도구적 효능을 발휘하는 하나의 계산 기능일 뿐이다. 이러한 도구적 이성의 무도덕주의는 행위자로 하여금 가장 직접적이고 자연적인 욕구와 그것의 충족에 관련된 목적을 아무런 도덕적 부담 없이 그 자체로서 승인하게 함으로써 자체의 성립 근거였던 가치중립성의 신화를 스스로 무효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다면 도구적 합리성 개념은 그보다 더 포괄적이고 유연한 합리성 개념에 의하여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때 후자는 도구적 이성의 판단 중지를 적시에 요구함으로써 그것의 규범적인 맹목을 보정할 수 있는 실천 이성의 특수한 반성적 기능을 반영한 개념이어야만 한다. 그 개념의 실마리는 칸트를 비롯한 수많은 철학자들이 밝히려고 노력해 왔던 실천 이성의 반성적인 구조에서 발견될 수 있다. 우리의 내면에는 우리의 욕구가 상호주관적으로 승인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놓고 우리 자신을 심문할 수 있는 자기반성의 심급이 실천 이성의 구성적인 기능들 중 하나로서 존재한다. 그것은 말하자면, 어떤 욕구를 충족시키고 어떤 욕구를 억제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평가적 심급이다. 그러한 실천 이성의 공평한 도덕적 고려들은 행위의 이유를 결정하는 과정에 개입하여 오로지 자기 이익의 극대화만을 꾀하는 합리적 계산을 중단할 것을 우리에게 요구할 수 있다. 그러한 철학사적 유산들을 재발견하여 실천적 합리성 개념을 도구적 합리성 개념보다 더 포괄적이고 유연한 개념으로 보완하는 데 이용하는 것은 분명 계몽의 계몽자 역을 자임한 모든 사람들의 중대한 임무이지만, 아마도 그들이 지닌 도구적 이성의 임무는 아닐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the immoderate claims of instrumental reason and to clarify its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by examining the instrumental conception of rationality which tends to predetermines the philosophical discourses on our practical rationality today. It is clear that our practical reason contains an instrumental part.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correspondence of a ‘chosen’ means with a ‘given’ end must be one of the essential functions of practical reason itself. But the instrumental reason doesn’t judge whether the end of action itself is reasonable or not. It regards itself as only a calculator which selects the optimal means to the end which is ‘given’ by the agent’s desires or preferences. This amoralism of instrumental reason tends to invalidate its myth of being valuefree of its own accord by making the agent approve his most direct and natural desire and the end related to its satisfaction without any moral reservation. Then the instrumental conception of rationality needs to be complemented by more comprehensive and morally flexible one. Here this must represent the moral reflectiveness of practical reason which can correct the normative blindness of instrumental reason by requiring its epoche timely. The clues to this new conception can be found in the reflective thinking-structure of practical reason which many philosophers headed by Immanuel Kant have tried to clarify. Our practical reason contains as one of its constitutive functions the instance of self-reflection which can try ourselves for whether our desires could be intersubjectively approved or not. This instance is, so to speak, an evaluative one which decides what kind of desires we should satisfy or restrain. Its impartial moral considerations take part in determining the reasons of action and require us to stop the rational calculation for the maximization of self-interest if necessary. To rediscover that kind of philosophical heritages and use it to complement the instrumental conception of rationality with more comprehensive and morally flexible one is obviously a grave task which the so-called enlighteners of enlightenment should take. But it is not the task of their instrumental reason.

      • KCI등재

        ‘좋은 삶’의 상호 주관적 가능 조건

        소병철(So Byung-chul)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1 No.-

        이 논문은 현대 세계의 일상성을 구성하는 가장 유력한 요인들 중 하나인 경제적 합리성의 헤게모니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 준거하여, 순수한 경제적 동기들로 환원될 수 없는 이른바 ‘좋은 삶’(good life)의 상호 주관적가능 조건을 정치철학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은 모색의 출발점으로서 논자는 우선 최근 수십 년간 이른바 ‘자유주의 대 공동체 주의’ 논쟁의 지형도 안에서 전개되어 온 영미 정치철학계의 좋은 삶에 관한 논의들을 간략히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논자는 궁극적으로 ‘자유주의 대 공동체주의’라는 상투적인 대결 구도와 거기에 함축된 ‘권리대 공동선’이라는 가치의 양자택일적 대비가 다소 작위적이고 허구적인 것임을 밝혀내는 한편, 좋은 삶에 대한 전망들은 상호 주관적으로 승인된 정의의 토대 위에서 다원적으로 연출되는 드라마들이라는 정치철학적 입장을 옹호하려고 시도한다. 여기에서 관건이 되는 문제는 개인들의 자율적인 자기실현이라는 이상이 호모에코노미쿠스들의 무정부주의에 경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상호 주관적 도덕성의 정치적인 매개체가 어떻게 확보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논자는 그러한 상호 주관성의 차원이 존재론적으로 개인들의 상위에 있는 어떤 실체적인 권위에 의해서 확보된다기보다는 오히려 자율적인 개인들의 수평적 상호 인정에 기초한 ‘개체성의 초월’에 의해서 담보된다는 생각을 개진해 보려고 한다. 또한 논자가 보기에 지난 수십 년간 존 롤스(John Rawls)와 그의 정의관에 공감 하는 철학자들이 이끌어 온 자유주의적 정치철학의 한 전통은 그와 같은 개체성의 초월에 대한 규범적인 요구를 정치철학적으로 정식화한 하나의 적실하고도 합당한 실례를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intersubjective condition of possibility of so-called "good life" which cannot be reduced to mere economic motives, according to my own critical perspective of the hegemony of economic rationality, the most influential one of the factors which form the dailiness of modern world. To start with, I will critically examine the Western political-philosophical debates upon good life,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the form of "liberalism vs. communitarianism" over recent several decades. Hereby I will make clear that the conventional composition of confrontation of "liberalism vs. communitarianism" or the alternative contrast of value of "right vs. common good" is somewhat artificial and fictional, and then defend the political-philosophical position that the visions of good life are plurally directed dramas on the basis of intersubjectively recognized justice. At this point, the core question is how the political medium of the intersubjective morality can be secured, which will prevent the modern ideal of the autonomous self-realization of individuals from degenerating into the anarchism of homo economicus. Hereupon I will set forth the view that such a dimension of intersubjectivity is not secured by a substantial authority which ontologically outranks individuals, but by the "transcendence of individuality" based on the horizontal mutual respect of autonomous individuals. And what is more, a tradition of the liberal political philosophy, which John Rawls and his followers have led over recent several decades, gives us an apt and reasonable instance of the political-philosophical formulation of such a normative demand for the transcendence of individuality.

      • KCI등재

        사회생물학적 도덕 이론의 메타윤리학적 타당성 검토 -도덕성의 합리적 정당화 문제와 관련하여-

        소병철 ( Byung Chul So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7 철학연구 Vol.0 No.34

        도구적 합리성에 의거해서 도덕성을 정당화하려는 현대의 유력한 메타윤리학적 기획은 최근 들어 그것의 자연과학판이라 할 수 있는, 사회생물학이라는 이름의 야심적인 기획에 의하여 ``과학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사회생물학자들은 대체로 인간의 도덕성을 이른바 ``유전자 이기성``이라는 진화적 기원으로 환원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기적인 유전자의 생래적인 프로그램으로 이해된 혈연 이타성과 호혜적 이타성은 도덕성의 그러한 진화적 기원을 밝혀 주는 핵심 개념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일부 사회생물학자들은 그와 같은 도덕성의 기원에 관한 설명을 도덕성의 정당성에 관한 논증으로 전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에서 논자는 도덕성의 기원에 관한 설명으로서의 사회생물학과 도덕성의 정당성에 관한 논증으로서의 사회생물학을 각각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첫째, 논자는 혈연 이타성과 호혜적 이타성이 유전적 자기 이익에 대한 관심과 무관한 도덕성의 현상들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서 도덕성 일반의 기원에 관한 설명의 도구가 되기에는 미흡하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둘째, 논자는 유전자 이기성에 기원을 둔 인간의 도덕성이 다시 유전자 이기성에 의거해서 정당화된다는 주장은 이른바 자연주의적 오류라는 치명적 결함을 극복할 수 없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Recently the contemporary influential metaethical project to justify our morality on the basis of the instrumental conception of rationality is ``scientifically`` supported by its scientific version, an ambitious project called ``sociobiology``. Most sociobiologists reduce human morality to its evolutionary origin, so-called ``gene selfishness`` to explain it. Here ``kin altruism`` and ``reciprocal altruism`` as the innate programs of selfish genes are the keywords that are proposed to clarify such an evolutionary origin of morality. But some sociobiologists tend to misuse such an explanation of the descriptive origin of morality as an argument for the normative binding power of moral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sociobiological moral theory as an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morality and that as a normative justification of morality respectively. First, I will clarify that ``kin altruism`` and ``reciprocal altruism`` are insufficient for the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morality in general in that they cannot explain the phenomena of morality which are unconcerned with the genetic self-interest. Second, I will clarify that the assertion that human morality originating in the ``gene selfishness`` is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same ``gene selfishness`` cannot overcome the fatal defect called ``naturalistic fallacy``.

      • KCI등재

        “이성의 사실”은 도덕성을 정당화하는가? -칸트 도덕 철학의 메타윤리학적 의의-

        소병철 ( Byung Chul So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8 철학연구 Vol.0 No.36

        왜 우리는 도덕적이어야만 하는가? 비도구적인 도덕성 개념의 한 패러다임을 제시한 칸트는 도덕 법칙의 근원적인 소여성을 나타내는 ‘이성의 사실’이라는 개념으로 도덕성의 궁극적인 정당화를 요구하는 이 물음에 대응한다. 이 개념은 도덕 법칙의 이론적인 연역이 불가능하다는 제1비판의 판결에 따른 대안적 정초의 전략이지만, ‘사실’이라는 술어의 현대적인 함의로 인하여 그 개념에는 칸트적인 도덕성의 패러다임적인 의의를 무효화할 수도 있는 자연주의적 오류의 혐의가 종종 수반되어 왔다. 그러나 논자는 칸트가 말한 이성의 사실이란 자연의 사실이 아닌 인격의 사실이며, 따라서 그러한 혐의에는 정당한 근거가 없다는 점이 논증될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논자는 칸트가 옹호하고 있는 도덕적 자기규정의 ‘유아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칸트적인 도덕성은 여전히 자기 이익과 같은 자연적 동인으로 환원될 수 없는 본래적 도덕성의 유력한 패러다임으로서 도구적 합리성의 도덕적인 월권에 대응할 수 있는 비판적 힘을 갖는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Why should we be moral? This question requires us to finally justify our morality. Immanuel Kant, an advocate of the non-instrumental conception of morality, answers to it with the concept of `Faktum der Vernunft(fact of reason)` which represents the original givenness of moral law. This concept is an alternative strategy of moral ground-making in accordance with the judgement of his first critique that the theoretical deduction of moral law is impossible. However, on account of the modern implications of the term `Factum(fact)` it is often accompanied by the charge of so-called naturalistic fallacy which might invalidate the paradigmatic significance of Kantian morality. But Kant`s `Faktum der Vernunft` is not `Faktum der Natur(fact of nature)` but `Faktum der Pers?nlichkeit(fact of personality)`, and so it can be demonstrated that such a charge has no good ground. From this point of view, Kantian conception of morality, regardless of the `solipsistic` limitations of the moral self-determination which it advocates, is still a leading paradigm of the original morality which cannot be reduced to such natural drives as self-interest and, as such, still has the critical authority with which it can face the moral arrogations of instrumental rationality.

      • KCI등재

        ‘원조의 의무’에 대한 인지적 장해의 한 연구

        소병철(So, Byung-Chul)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1

        이 글의 목적은 세계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원조의 의무’를 ‘부정적 논증’의 방식으로 정당화하는 데 있다. 필자는 원조를 단순히 오지랖 넓은 자의 초윤리적 과잉 행동으로 여기게 만드는 우리의 일상 속 윤리적 선입관들과의 대결을 통하여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선입관들은 ‘원조의 의무’에 대한 공적 인식의 성숙을 가로막는 인지적 장해로 기능해 왔는데, 필자는 그것을 네 종류로 나누어 본문에서 하나하나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 과정에서 필자는 네 가지 선입관 모두가 ‘원조의 의무’를 기각할 근거로서는 무력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맨 먼저, ‘세계의 빈곤은 내 탓이 아니므로 내가 책임질 이유가 없다’는 요지의 윤리적 선입관은 부유한 나라들이 가난한 나라들을 직간접적으로 수탈해 온 역사적 사실 앞에서 특유의 실증적 무력함을 드러내며, 이로써 부유한 나라들이 져야 할 ‘보상적 정의’의 책임을 오히려 더 뚜렷이 가시화하는 자가당착에 빠진다. 둘째로, ‘세계의 빈곤은 내 탓일 때에만 나의 의무를 호출한다’는 요지의 윤리적 선입관은 윤리적 책임의 주체와 대상을 각각 ‘가해자’와 ‘피해자’로 간단히 한정함으로써 우리의 힘으로 막을 수 있는 타인의 불행한 죽음을 우리의 탓이 아니란 이유로 방치하게 만드는 치명적 결함을 갖는다. 셋째로, ‘머나먼 타국의 빈곤에 우리가 신경쓸 필요는 없다’는 요지의 윤리적 선입관은 우리와 가까운 사람만 돌보는 우리의 자연적 편향에 억지로 윤리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환원주의적 독단을 드러낼 뿐이며, 이로써 ‘공평성’을 근간으로 하는 윤리의 본성을 ‘근친성’이라는 임의적 요인으로 훼손하는 중대한 결함을 갖는다. 넷째로, ‘개인의 재산권은 그 어떤 타자의 규범적 개입에 의해서도 침해될 수 없다’는 요지의 윤리적 선입관은 부자와 빈자가 인생을 시작할 때 마주하는 출발선의 차이를 간과함으로써 노력의 결실도 죄과의 처벌도 아닌 태생적 요인에 인간의 일생이 좌우됨을 당연시하는 결정적 맹점을 갖는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justify the ‘duty of assistance’ to the poor in the world in the way of a ‘negative demonstration.’ I tried to attain this aim by challenging our common ethical preconceptions which induce us to regard the assistance to the poor as the super-ethical overreaction made by the broad-minded. Those preconceptions have ever functioned as the cognitive obstacles which interrupt the growth of the public awareness of ‘duty of assistance.’ So I classified them into four sorts and critically examined each of them in the text. As a result, I made sure that all of them are not reasonable enough to make us reject the ‘duty of assistance.’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ethical preconception that ‘the world poverty is not due to my misdeed, and so I am not responsible for it’ reveals its own empirical incapacity in the face of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rich countries have ever plundered the poor ones directly or indirectly, and so comes to fall into an unintended self-contradiction by reversely making visible the responsibility of ‘compensatory justice’ which the rich countries should accept for the poor ones. Second, the ethical preconception that ‘the world poverty calls forth my sense of duty only if it is due to my misdeed’ has a fatal flaw that it induces us to confine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ethical responsibility to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respectively and thereby to ignore the other people’s miserable death which we could prevent even with our little efforts on the pretext that such death is not due to our misdeed. Third, the ethical preconception that ‘the poverty of remote foreign countries is of no concern to us’ has a serious flaw that it reveals its own reductionist dogmatism ethically justifying our kin-friendly natural inclination in itself, and thereby damages the ‘impartiality,’ the essential nature of ethics, with the ethically indifferent ‘nearness.’ Fourth, the ethical preconception that ‘the individual property rights should not be violated by any normative intervention’ has a crucial defect that it ignores the difference of the starting lines which the rich and the poor must confront at the beginning of their lives, and thereby takes it for granted that the human lifetime must be swayed by an inborn factor which is neither the fruit of efforts, nor the punishment for the crime.

      • KCI등재

        다문화시대의 세계정의에 관한 시론 -다문화주의와 애국주의의 긴장관계를 중심으로-

        소병철 ( Byung Chul So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科學 Vol.105 No.-

        Today, we are witnessing our world in the process of rapid multicultural change. In Korea also, quite a few groups of married immigrants and immigrant workers are creating a multicultural spectacle, and this has become the familiar background of Korean daily lives. Furthermore, a growing number of people are accepting that this multicultural coexistence increases the cultural magnanimity and life force of both those groups and Korean society reciprocally. But the movement of resistance to this is wielding formidable power, too. Throughout the world including Korea, the stream of exclusive patriotism is still gaining incendiary influence. In this essay I tried to show in what way such a quasi-religious absolutizing of nation-state comes into collision with recent multicultural zeitgeist and propose a practical-philosophical criterion to contribute toward thinking of the rational orientation and compatibility of both multiculturalism and patriotism. With this, I intended to discover what a universal prerequisite to the normative approval of the both is. And in arguing over the global justice in a multicultural age in that way, I made the working hypothesis that there is a universal viewpoint of justice to normatively limit the arbitrary claims of both multiculturalism and patriotism of my starting point. I emphasized that, without such a universal and impartial criterion, patriotism will be in danger of falling into a ruthless totalitarianism and hegemonism, and multiculturalism into an amoral cultural relativism some time or other. At the same time, I presented the notion of human rights based on a democratic constitution as such a criterion.

      • KCI등재후보

        자율의 기획으로서의 반(反)소비주의 : 소비주의적 생활문화의 한 비판

        소병철(Byung-Chul So)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0 OUGHTOPIA Vol.25 No.3

        오늘날 우리는 노동이라는 프로메테우스적 고난과 소비라는 오르페우스적 황홀경이 순환하는 일상을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소비에 부여된 이러한 의미의 과부하는 노동에 의해 손상된 삶의 자율을 벌충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가 바로 소비의 향락에 의해 제공된다는 매우 의심스러운 일반의 신념에 기인한 것이다. 하지만 ‘타율적인 노동’의 고통이 ‘자율적인 소비’의 쾌락에 의해 상쇄될 것이라는 일반의 신념은 과연 얼마만큼의 진실을 포함하고 있을까? 우리는 과연 기계처럼 일해 번 돈으로 산 ‘내’ 집과 자동차, 고성능의 가전제품과 적정한 품격의 문화상품으로 형해만 남은 우리의 삶의 자율성을 지탱할 수 있을까?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논자는 이 글에서 이 시대의 표준적인 생활양식으로서의 소비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이는 ‘자율적인 인격’의 개념을 요체로 하는 현대인의 규범적 자아상이 억압적인 노동과 맹목적인 소비의 메커니즘에 의해 어떻게 왜곡되어 왔는지를 규명하는 한편 그러한 인격의 개념에 부합하는 대안적 생활양식의 윤곽이 무엇인지를 시론적으로 제시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Today, man believes that the only opportunity to recover the autonomy of life damaged by the alienated work would be provided by the pleasure of consumption. But would such a belief that the pain of 'heteronomous work' could be counterbalanced by the pleasure of 'autonomous consumption' be true as expected? Could we preserve the endangered autonomy of our life with the help of 'my' house and car, highly efficient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cultural commodities of every sort and kind which we buy with money earned by the alienated work? With these questions I will critically analyze the consumption ism as our present standard lifestyle in this paper. Thereby I will clarify how the systematic mechanisms of oppressive work and blind consumption have perverted our normative self-imag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autonomous person' and give a rough idea of the alternative lifestyle corresponding with such a concept.

      • KCI등재

        현대인의 죽음관과 지리산권 장수벨트의 미래

        소병철(So, Byung-Chul)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4 No.-

        2003년 6월에 지리산 권역의 4개 군(구례, 곡성, 순창, 담양) 지방 자치단체가 공동으로 구성한 장수벨트는 해마다 ‘구곡순담 100세인 축제’를 비롯한 장수 관련 이벤트를 개최하며 전국의 관광객들을 유치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장수의 복됨에 대한 행정 당국의 일면적 강조로 인하여 장수의 필연적 종말인 죽음에 관한 성찰적 논의는 뒷전으로 밀려나 있는 실정이다. 일차적으로 이것은 장수 산업의 흥행을 목표로 한 장수촌 이미지의 상업적 브랜드화 전략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의 이면에는 현대에 만연한 죽음에 대한 공포가 숨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필자는 이 글에서 다음의 순서로 그러한 죽음에 대한 공포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첫째로, 죽음에 대한 공포의 진원인 죽음의 부정성에 대한 불안과 이것에 기인한 삶과 죽음의 분리 및 죽음의 금기화 현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죽음의 부정성을 상쇄할 죽음의 긍정성을 인간 생명의 세속적 불멸성으로 상정하고, 이러한 불멸성을 ‘역사적 불멸’과 ‘자연적 불멸’로 대별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지리산권 장수벨트 프로젝트가 죽음의 부정성과 긍정성에 관한 균형된 견해로 지역민의 세대 간 유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고, 그러한 방안을 ‘죽음 준비 교육’의 활성화와 ‘세대 공감 프로그램’의 개발로 대별하여 제시하였다. 그러한 방안들이 성공적으로 안착될 경우에 지역민은 더 이상 죽음에 대한 병적 공포에 얽매임이 없이 삶과 죽음의 화해에 대한 자각을 바탕으로 건강 장수의 복됨을 구가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삶 밖으로 추방되었던 죽음은 그것을 향해 온 유한의 삶 속으로 다시금 담담한 부름을 받을 것이고, 죽음을 피해서 달아났던 삶은 세속적 불멸의 관문인 죽음과 두려움 없이 재회하게 될 것이다. On June, 2003, the four local governments in Mt. Jirisan region(Gurye, Gokseong, Sunchang, Damyang) organized a longevity belt jointly, and have so far attracted tourists from all over the country, holding the several longevity-related events including the ‘Centenarian Festival’ every year. However, because of their one-sided emphasis on the blessedness of longevity, the significance of the reflective discourses on death as its necessary end has been often forgotten by their local people. At first glance, this lacking interest in death seems to have originated in the local administration’s commercial branding of longevity villages for the promotion of ‘longevity industry.’ But we cannot deny that, on the hidden side of this phenomenon, the modern prevailing fear of death exists. In this essay I examined this fear of death as a problem to be solv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 critically analyzed our anxiety about the ‘negativity of death’ as the origin of that fear, and the resultant ‘separation of life and death’ and ‘tabooing of death.’ Second, I defined and analyzed the ‘positivity of death’ countervailing that ‘negativity of death’ as the ‘earthly immortality of human life’, roughly dividing it into the ‘historical immortality’ and the ‘natural immortality.’ Third, I tried to find the ways how the local administration of the longevity belt along Mt. Jirisan region could contribute to strengthen the ties between the old and young members of local communities on the basis of a balanced view of the negativity and positivity of death, and proposed two ways here, roughly dividing them into the activation of ‘death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tergenerational empathy program.’ If those ways are practiced successfully, the local people inhabiting the longevity belt would come to be able to applaud the blessedness of healthy longevity on the basis of awareness of the harmony of life and death without feeling any pathological fear of death. So the death previously exiled from life would be again called into the finite life compatible with it calmly, and the life previously never acquainted with death would be reunited with the death as the gateway to earthly immortality without fear.

      • KCI등재

        칸트적 이성 종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 기독교 현실의 부정성

        소병철 ( So Byung-chul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3 No.-

        이 글의 목적은 18세기 독일의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1724~1804)가 기독교에 초점을 두고 표명한 이성 종교의 관점이 한국의 종교 현실에 던져 주는 규범적 시사점을 시론적으로 제시해 보려는 것이다. 칸트적 이성 종교의 관점은 전통적 계시 종교의 관점과 한 가지 중요한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무엇보다도 칸트는 이성적 존재자인 인간의 도덕적 예지와 이상을 훼손하지 않는, 다시 말해 그것과 양립이 가능한 신 개념이 아니면 받아들일 가치가 없다고 보았다는 점이 그것이다. 단적으로 말해 칸트는 이성적 존재자의 도덕적 요구에 부응하는 종교만이 참된 종교일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칸트는 인간의 선한 심성을 가꾸는 도덕적 과업을 내팽개치고 기복(祈福)과 사죄(赦罪)의 의식에만 온 힘을 기울이는 제사 종교를 불순한 종교로 평가한다. 그러한 종교는 전선(全善)한 신의 인도를 받아 도덕적 완전성에 다가가도록 신앙인을 독려하는 참된 종교, 즉 도덕 종교를 멀찍이 이탈했다는 이유에서다. 이렇게 칸트는 신의 뜻에 부응하는 도덕적 수심(修心)을 뒷전에 두고 도덕과 무관한 제사 의식으로 행복만 구걸하는 종교는 순전한 ‘이성의 탈선’이요 ‘광신’일 뿐임을 끊임없이 일깨운다. 그런데 이러한 칸트적 이성 종교의 관점은 이기주의적 기복 신앙이 기독 신앙의 주류로 자리잡은 지금의 한국 교회 현실에 뚜렷한 비판적 시사점을 던져준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칸트의 신은 무조건적 복종이나 성대한 예배 의식, 거액의 헌금 따위가 아니라 자신의 도덕적 창조 의지에 바쳐진 진정의 존경에만 반응하는 ‘도덕신(道德神)’인 반면, 한국 기독 신앙의 주류는 절대자의 은총과 강복(降福)을 간구하는 스테레오타입의 제사 의식과 율법주의적 성서주의적 엄격성 같은 무도덕적 신앙 형식들을 경건한 영성의 표지로 간주하며, 이에 따라 전문적 제례 기술과 성서학 지식을 가진 성직자에게 절대자의 마음을 사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를 결정할 ‘주술적’ 권한을 면허처럼 부여해 온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논자는 이 글에서 기독교를 비롯한 다양한 종교가 인생의 건전한 길잡이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도덕 종교로 이해된 칸트적 이성종교의 개념을 최소한의 규범적 ‘필요조건’으로 전제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 기독교 현실의 부정성을 극복할 방향과 기준을 사유하는 데 칸트적 이성 종교의 관점이 종교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공통의 ‘도덕적 여과기(moral filter)’로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작업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tentatively clarify the normative implications of the standpoint of rational religion which Immanuel Kant(1724-1804), a German philosopher of the 18<sup>th</sup> century, expressed concerning Christianity,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Korean negative religious realities. Kantian standpoint of rational religion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standpoint of revealed religion in one crucial point. Above all, Kant regarded only one concept of God as acceptable, which does not damage, in other words, is compatible with the moral ideals of humans as rational beings. To come to the point, he thought that only a religion satisfying the moral demands of rational beings is a true religion. From this standpoint, he regarded the ritualistic religions as impure, which do not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the moral task of developing human good disposition, but only on the ritual task of wishing for the absolution and blessing of God. The reason is because all such religions are the breakaways from the above-mentioned true religion, in short, ‘moral religion’, which encourages us to approach the moral perfection, guided by the perfectly good God. Like this, Kant continuously reminds us that the religions neglecting the moral character-building satisfying the divine will and only begging the blessing of God by means of amoral rituals are nothing but the sheer irrational deviations and fanaticisms. For such reason, Kantian standpoint of rational religion can be considered to have many critical implications for the negative realities of the Korean church where presently the egoistic belief wishing for the blessing of God is a main stream of Christian faith. The reason is because Kantian God is a ‘moral God’ responding not to the unconditional obeyance, the grand worship rituals, a huge amount of offering, and the like, but only to the sincere respect for his moral will to the Creation, whereas a main stream of Korean Christian faith has regarded the stereotyped rituals begging the blessing of God and such amoral forms of belief as the legalistic and biblicist rigor as the signs of pious spirituality, and accordingly granted the ‘magic’ power to decide what we must do to gain the favor of God to the priest class equipped with the professional skill in rituals and the technical biblical knowledge. With this critical mind I will argue that the various religions including Christianity could function as the healthy guides of our life, only if they premise Kantian concept of rational religion understood as ‘moral religion’ as a minimal normative ‘necessary condition’ in this essay. Hereby I will show that Kantian standpoint of rational religion can contribute toward setting up the normative standards with which we could overcome the negative realities of the Korean church as a common ‘moral filter’ to judge the healthiness or illness of various religions w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