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중반 경성의 초상: 1935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서울풍경(風景)」 연구

        성효진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0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6 No.-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capes of Seoul,”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 the Dong-A Ilbo (Dong-A Daily Newspaper) in 1935, and the city image of Gyeongseong in the mid-1930s. The “Landscapes of Seoul” is composed of illustrations by the eminent artist Yi Ma-dong (1906-1980) and writings by Seo Hang-seok (1900-1985) and Sin Nam-cheol (1907-1958). There are two main points of focus in this study. Firstly, the growing interest in the urban space and visual culture of Gyeongseong was heightened when the “Landscapes of Seoul” was published. Secondly, the “Landscapes of Seoul” was published in the form of newspaper illustrations based on the premise of readers. The most popular themes for Koreans were chosen and dealt with in the “Landscapes of Seoul.” Therefore, the main focus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at the “Landscapes of Seoul,” serialized in the form of newspaper illustrations, was a portrait of the city in the middle of the 1930s when interest in the city and art markedly increased. In the mid-1930s, Gyeongseong called Dae-Gyeongseong (Great Gyeongseong) and the area of Gyeongseong expanded. The urban space of Gyeongseong was considered a huge spectacle. The royal palaces symbolizing Hanseong, the old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1392-1897), were turned into representative amusement parks in Gyeongseong. The department store, symbolic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was established as the center of urban culture. The situation was also frequently dealt with in the newspapers. The newspaper was one of the most popular visual media. Theserialization of the novel was a powerful strategy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Novel illustrations painted by prominent artists of the time played a key role in creating the urban images of Gyeongseong. Along with novel illustrations, newspaper illustrations in the mid-1930s gained enormous popularity. The “Landscapes of Seoul” exploring the urban space of Gyeongseong under the title of Seoul is one of the most unusual works of art. The “Landscapes of Seoul” is a collaborative work consisting of illustrations and writings published for about a month between June and July 1935. Yi Ma-dong drew illustrations and wrote the first four episodes. From the fifth to the 13th episodes, Yi drew illustrations and Seo Hang-seok and Sin Nam-cheol wrote episodes, while the other two episodes only featured Yi Madong’s illustr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places covered in the work are limited to the Bukchon (Northern Village) area. Namchon (Southern Village), the urban center of Gyeongseong, was excluded. Secondly, the perception of urban space is demonstrated, as seen in modern buildings, asphalt roads, and utility poles that are considered to symbolize modern cities. Thirdly, the places that appear on popular postcards are differently depicted in the “Landscapes of Seoul.” The selection and exclusion of sites in the “Landscapes of Seoul” are similar to visual media such as postcards. Both newspaper illustrations and postcard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iffusion and proliferation of urban images of Geyongseong. The “Landscapes of Seoul,” aimed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shows how the urban city of Gyeongseong looked and how the visual images of the modern city appealed to the public. The use of the name Seoul, not Gyeongseong, however,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Landscapes of Seoul.” It was not easy to find the remaining traces of the old city of Seoul in the mid-1930s. As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rapidly developed, old villages and monuments all disappeared. What represented the old capital city of Seoul vanished. Nostalgia for the old city emerged in the mid-1930s. Therefore, the “Landscapes of Seoul” is a portrait of Gyeongseong which was overlapped with the fragmented memories of Koreans about the old city. Both the present ... 이 글은 1935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서울풍경(風景)」이 1930년대 중반 경성(京城)의 도시 이미지와 맺고 있는 관계를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서울풍경」은 미술가 청구(靑駒) 이마동(李馬銅, 1906-1980)의 삽화와 문필가인 경안(耿岸) 서항석(徐恒錫, 1900-1985) 및 양산(凉山) 신남철(申南澈, 1907-1958)의 글로 이루어져 연재된 기사이다.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 「서울풍경」이 게재된 1930년대 중반은 경성의 도시 공간과 시각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시기였다. 무엇보다 경성의 도시 공간 자체가 당시 하나의 거대한 구경거리였다. 둘째, 「서울풍경」은 독자를 염두에 둔 신문 삽화의 형태로 연재되었다. 「서울풍경」에는 신문이 발행된 시점에 신문의 독자, 즉 당대인들에게 가장 화제가 된 주제들이 선택되었다. 따라서 본고의 초점은 1930년대 중반 도시와 미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상황에서 신문 삽화의 형태로 연재된 「서울풍경」이 도시 이미지의 한 단면임을 구체적으로 밝히려는 데 있다. 「서울풍경」이 연재된 1930년대 중반 경성의 도시 공간은 볼거리가 넘쳐났다. 한성(漢城)을 상징하는 장소들인 궁궐은 경성의 대표적인 유원지가 되었다. 경성을 상징하는 백화점은 문화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무엇보다 1934년 조선시가지계획령(朝鮮市街地計劃令)이 경성에 적용되면서 1936년 경성은 그 영역이 확장된 대경성(大京城)으로 탈바꿈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당시 가장 대중적인 매체인 신문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주목되는 점은 신문 간의 구독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신문 역시 독자에게 볼거리를 제공해야 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소설 연재는 독자를 유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전략으로 여겨졌다. 또한 소설 삽화는 소설 연재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소설 삽화는 점차 소설만큼 이나 인기를 끌었다. 그 결과 1930년대 중반에 이르러 소설에서 독립된 형태의 신문 삽화가 등장하였다. 「서울풍경」은 이례적인 예로 이마동의 삽화 및 문필가 서항석, 신남철의 글과 함께 이루어져 1935년 6월에서 7월 사이에 약 한 달간 연재되었다. 「서울풍경」이 신문에 게재된 형태를 보면 삽화가 글의 부연(敷衍)이기보다는 삽화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첫 4회는 이마동이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썼다. 5회에서 13회까지는 이마동이 그림을 그리고 서항석과 신남철이 글을 썼다. 마지막 2회에는 이마동의 그림만 실렸다. 삽화 및 글의 특징은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작품에서 다루어진 장소들 대부분은 북촌(北村) 일대에 한정되어 있다. 경성역(京城驛)조차도 봉래교(蓬萊橋)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이로 인해 식민 근대 도시 경성을 상징하는 남촌(南村) 일대와 백화점은 배제되었다. 둘째, 근대화된 도시 공간에 대한 인식이 나타났다. 대부분의 삽화에 조각난 형태로 얽혀진 근대식 건물들, 넓고 평평한 도로, 높은 전신주, 거미줄 같이 엮인 전선 등이 나타났다. 셋째, 일부의 장소들은 엽서에 나타난 장소들이지만 경성역을 제외하고는 엽서와는 다르다. 마지막 4회에서 다루어진 동소문(東小門)은 거의 허물어질 듯한 모습이다. 「서울풍경」에서 확인된 장소의 선택 및 배제, 엽서와 같은 시각 매체와의 유사성 등은 도시 이미지의 형성과 닮아있다. 명소 엽서들은 당대인들에게 도시를 대표할 만한 이미지들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서울풍경 ...

      • KCI등재후보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수퍼비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효진,신승연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5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7 No.-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수퍼비전이 소진의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을 완충하는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150개의 장애인거주시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4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재활교사의 소진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쳐 생활재활교사의 소진정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퍼비전의 세 가지 기능은 지지적, 교육적, 행정적 수퍼비전 순으로 생활재활교사의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비전의 세가지 기능은 각각 생활재활교사의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이직의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나타났 으며 지지적 수퍼비전이 조절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재활교사의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수퍼비전의 조절효과를 밝히고 이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Highe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have been documented among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test if burnout and supervision can interact to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among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A sample of 345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ere surveyed.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higher levels of burnout will b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Results also supported the moderation model, the three functions of supervision(educational, administrative, supportiv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Supportive supervision was the strongest moderator among the three functions of supervis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have been suggested for the efforts to enhance the supervision functions in order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KCI등재

        국내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의 미래 치료 비용 연구

        성효진,김지원,송선옥,손강주,박성용,정은지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

        Purpose: To analyze the incidence and treatment costs associated with vision-threatening diabetic retinopathy (VTDR) in type 2 diabetes and to predict future VTDR populations and treatment expenditures. Methods: Us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from 2006 to 2017, we analyzed VTDR treatment costs by year, sex, and age. Based on the results and changes in future population distributions, we estimated the future number and cost of treatments for VTDR. Results: The number of treatments increased by 2.5-fold from 37,634 in 2006 to 96,214 in 2017, and treatment costs increased 3.4-fold from $13,528,587 in 2006 to $45,643,561 in 2017. When analyzed by year, age, and sex, all showed an increasing trend. Future number of treatments was estimated to increase from approximately 96,000 in 2017 to 220,000 by 2030 and treatment costs were projected to increase by 129% from about $45,643,561 in 2017 to about $1,043,055,262 by 2030. Conclusions: As the incidence of VTDR rises due to an aging population and the frequency of intravitreal injections increases due to insurance reimbursement, future treatment expenditures for VTDR are expected to increase as well. Therefore, appropriate policies must be put in place now to secure medical and financial resources to manage VTDR and reduce medical expenditures in the future. 목적: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의 치료 비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치료 비용을 예측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총 12년간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를 이용하여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의 치료 비용을 연도별, 연령별, 성별로 분석하고, 장래미래인구 추계를 바탕으로 2형 당뇨병 유병 인구의 변화에 따른 시술 건수 및 치료 비용을 계산하였다. 결과: 12년간의 청구자료를 바탕으로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 치료와 관련된 의료 비용을 분석한 결과, 2006년 총 시술 건수 37,634건에서 2017년 96,214건으로 약 2.5배 증가하였고, 요양급여 비용 총액은 2006년 162억 4천 5백만 원에서 2017년 555억 원으로 약 3.4배 증가하였다. 이를 연도별, 연령별, 성별로 분석하였을 때 모두 증가 추세를 보였다. 또한 향후 인구 변화에 따른 시술 건수와 치료 비용의 변화를 추산하였을 때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의 시술 건수는 2017년 약 9만 6천 건에서 2030년 22만 건으로 약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추계되었다. 이에 따른 치료 비용은 2017년 약 555억 원에서 2030년 약 1,269억 원으로, 129%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하였다. 결론: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 유병자수 증가 및 보험 급여화에 따른 유리체강내 주입술의 빈도 증가로 인해 향후 치료 비용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의 관리에 필요한 의료 재원과 재정의 확보 및 환자 의료비 경감을 위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성과 경성의 불안한 공존: 식민지시대 서울의 도시 이미지 형성에 대한 연구

        성효진 ( Sung Hyoji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8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2 No.-

        이 글은 식민지시대 서울의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한성(漢城)과 경성(京城)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공존한 양상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는 한성에서 경성으로의 변화와 그 이미지의 형성을 이분법적인 분리보다는 복잡하게 얽힌 중첩으로 이해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 한성과 단절된 듯한 도시로 여겨진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서 한성을 상징하는 요소들이 발견된다는 사실이다. 둘째, 경성의 도시 이미지는 당대인들의 인식 및 반응과 시각문화를 활용한 일본의 정책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다는 것이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 본고는 1897년에서 1939년까지의 시기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한성과 경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기 구분은 당대인들이 한성에서 경성으로의 전환을 인식할 만한 시각적인 변화들이 나타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었다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1897년에서 1910년까지의 시기에 한성의 도시 공간에서 나타난 변화들은 한성의 저항과 경성의 태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성의 도시 공간에서는 대한제국의 상징인 경운궁(慶運宮)을 중심으로 근대화사업이 시행되었으며 아울러 서양 공사관 영역과 일본인 거류지가 형성되었다. 이들 사이의 균형은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무너졌다. 한성은 경성으로 불리기 시작하였으며 남촌 전반으로 확장된 일본인 거류지 인근에서는 경성박람회(京城博覽會)가 열렸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인 남대문(南大門) 일대의 성벽은 해체되었으며 창경원(昌慶苑)은 동물원으로 격하되었다. 덕수궁(德壽宮)으로 불리게 된 경운궁에는 1910년에 서양식 건물인 석조전(石造殿)이 완공되었다. 이와 같이 경성의 태동과 한성의 쇠락은 도시 공간에서 압축적으로 드러났다. 1910년에서 1920년대 중반까지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어가던 과정은 식민지 조선의 수도인 경성의 건설과 조선왕조의 왕도(王都)였던 한성에 대한 기억의 공존으로 논의될 수 있다. 경성으로 바뀐 도시 공간에서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점차 사라졌다. 이 공간은 식민 지배를 상징하는 건물들인 조선총독부 청사(朝鮮總督府廳舍), 조선신궁(朝鮮神宮) 등으로 채워졌다. 경성의 건설은 다양한 행사와 매체를 통해 기념되었다. 당대의 조선인들은 새로운 시각 경험을 즐겼으나 동시에 조선인 지역인 북촌과 일본인 지역인 남촌을 구분 지으며 일본인들의 북부 진출을 우려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사라져간다는 사실을 인식하며 이 장소들을 기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는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지속적으로 남아있었다. 경성은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대경성(大京城)’으로 불렸다. 1926년에서 1939년에 이르기까지 대경성과 그 이미지는 소비문화의 정점에 있었으나 이는 허상에 가까웠다. 남촌의 중심인 조선은행 일대는 백화점과 함께 근대 도시 대경성의 핵심적인 이미지로 굳어졌다.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여가의 중심지인 공원으로 변용되었다. 그러나 대경성은 남촌과 북촌이라는 각각의 도시로 여겨질 정도로 격차가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대인들은 대경성의 도시 이미지 속에서 스스로를 파편으로 보았다. 산책자(flaneur)도 그들 중 하나였다. 대경성의 거리를 부유하며 남촌과 북촌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한 이들은 조각난 대경성이미지 그 자체였다. 이는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하나의 이미지가 아닌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종합으로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음을 보여준다. 경성의 도시 이미지 안에서 이렇게 한성과 경성은 불안하게 공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 to explore the coexistence of Hanseong and Gyeongseong in the urban image of Seoul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examines the transition from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anseong to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and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the city. There are two main focuses in this study. Firstly, it is the fact that elements representing Hanseong are found in the image of Gyeongseong, which seems to be disconnected from Hanseong. Secondly, the image of Gyeongseong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Japanese politics. The period from the founding of the Great Korean Empire (Great Han Empire) to the 1910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witnessed the birth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Modernization projects on the Gyeong’un Palace (Gyeong’ungung) were carried out. At that time, there were a Legation Quarter around the Gyeong’un Palace and a Japanese town near the Catholic Cathedral. The political balance among the Korean Empire, the Western superpowers, and Japan collapsed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After this event, Hanseong began to be called Gyeongseong. The Gyeongseong Fair was held near the Japanese settlement that extended to the whole of Namchon (South Village). In contrast, the walls near Namdaemun (the Great Southern Gate), a place symbolizing Hanseong, were demolished. In the Gyeong’un Palace, which was called Deoksu Palace (Deoksugung), the construction of Seokjojeon (Stone Hall), a Western-style building, was completed. The emergence of Gyeongseong and the decline of Hanseong appeared together simultaneously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ity of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1910 to the mid-1920s, when Hanseong was replaced by Gyeongseong, the image of Seoul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colonial capital was created. During the time, Korean people attempted to remember the lost Hanseong. Their strong feelings of nostalgia for the lost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were found in numerous textual records. The places symbolizing Hanseong were gradually dismantled. This space was filled with buildings that symbolized colonial rule. The construction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was commemorated by various events and popular media. While Koreans enjoyed a new visual experience of witnessing the birth of a modern city, they worried that the Japanese would occupy Bukchon (North Village), the Korean territory in the city. In this process, they recognized and remembered the places symbolizing the old capital city of Hanseong that was disappearing and fading into oblivion. As a result, the urban image of the new capital city of Gyeongseong was filled with Korean people’s sorrowful memories of Hanseong. After the mid-1920s, Gyeongseong came to be called Dae-Gyeongseong (Great Gyeongseong). The image of Dae-Gyeongseong was created and constantly reproduced in popular media. The rise of modern consumer culture played a key role in the proliferation of the urban image of Dae- Gyeongseong. However, the image of Dae-Gyeongseong was nothing but an illusion. In the urban space of Dae-Gyeongseong, the difference between Namchon and Bukchon was extremely huge to the extent that they appeared to be two separate cities. In this situation, the city-dwellers of the time saw themselves as fragments in the city. The flaneur was one of them. The flaneur who did not belong to either Namchon or Bukchon strolled the streets of Daegyeongseong. The sense of alienation and uncanniness that the flaneur felt was inseparable from the fragmented urban landscape of Dae-Gyeongseong. The urban image of Dae-Gyeongseong can only be achieved by a synthesis of fragmented images rather than a single image.

      • KCI등재

        경성의 결절점: 식민지 시기 조선은행 앞 광장에 대한 연구

        성효진 ( Sung Hyoji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1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8 No.-

        이 글은 조선은행(朝鮮銀行) 앞의 광장과 그 일대가 경성(京城)의 도시 이미지와 맺고 있는 관계를 논의하려는 시도이다. 조선은행 앞의 광장은 역사적으로 특수한 지점에 있다. 조선은행 앞의 광장은 한성(漢城)이 경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교통의 중심지이자 문명의 통로였다. 미츠코시백화점(三越百貨店)이 지어져 광장을 이루는 하나의 요소가 된 1930년대의 조선은행 일대는 경성을 대표하는 시가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 조선은행 앞의 광장과 그 일대는 이른 시기부터 도로가 정비된 이후 문명 시설이 갖추어졌다. 둘째, 당대인들이 조선은행 앞 광장에 대하여 가진 복합적인 감정은 경성의 도시 이미지 형성과도 맞닿아 있다는 점이다. 당대인들은 조선은행 앞의 광장에서 극대화된 문명과 그로 인한 소외 모두를 마주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의 초점은 조선은행 앞의 광장이 이상과 현실이 중첩된 장소로서 경성의 도시 이미지의 한 단면임을 살피는 데에 있다. 조선은행과 남대문통(南大門通)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조선은행 앞의 광장은 한성이 경성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부상한 지역이다. 조선은행 앞을 지나는 가장 중요한 도로인 남대문통은 이른 시기부터 정비되었다. 그중에서도 남대문(南大門)에서 조선은행으로 이어진 도로는 경성의 도시 계획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1912년 이전부터 그 정비가 진행되었다. 이는 세 가지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첫째, 남대문통은 일본인 거주지인 본정(本町, 혼마치)으로 이어졌기에 일본인들은 남대문통 일대의 정비에 주력했다. 둘째, 본정에 있던 조선총독부는 남대문 일대를 중심지로 만들고자 했다. 셋째, 남대문에서 조선은행 일대를 지나 경성으로 들어가는 도로는 문명의 통로로 만들어져야 했다. 이로 인해 남대문통이 지나는 조선은행 앞 광장은 점차 높은 건물, 반듯하고 넓은 도로, 밤에도 붉을 밝히는 전등 등으로 채워졌다. 1930년대에 들어 조선은행 앞 광장은 문명이 극대화된 번화가가 되었다. 이는 두 상황을 통해 비롯되었다. 첫째, 미츠코시백화점이 1930년대에 지어져 조선은행 앞 광장을 이루는 요소가 되었다. 당시 백화점, 특히 미츠코시백화점은 선망의 대상으로서 경성의 유행을 선도하며 도시문화를 이끌었다. 둘째, 조선은행 앞 광장이 번화가가 되자 교통난을 해결한 과정에서 그 일대는 다시 한번 정비되었다. 광장 가운데는 로터리 형식으로 만들어져 통행 방식이 바뀌었으며 분수대가 자리하며 작은 공원으로 꾸며졌다. 심지어는 지하도를 만드는 계획까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은행 앞 광장은 경성의 중앙시가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당대인들의 조선은행 앞 광장에 대한 인식 및 반응은 한 방향으로만 귀결되지 않았다. 당대인들에게 조선은행 앞 광장은 근대 도시 경성으로 기대되는 장소이면서 동시에 문명의 그늘을 드러내는 장소이기도 했다. 조선은행 앞을 부유하는 부랑자들의 모습이 바로 그 예이다. 인텔리와 룸펜의 경계에서 관찰자라고 불린 이들조차도 조선은행 일대를 배회하며 광장에 쉽게 발을 디디지 못했다. 이는 당대인들의 인식 및 반응을 통해 만들어진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서 조선은행 앞 광장이 이상과 현실 사이를 매개하는 결절점(結節點)과 같은 지역임을 알려준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za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and the city image of Gyeongseong (present-day Seoul). A plaza is an open space in the city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urban culture. However, the plaza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is an unusual area. The plaza, a hub of transportation, was the passage of civilization which was formed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Hanyang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to Gyeongseong. In the 1930s, the Mitsukoshi Department Store was built and became a part of the plaza. As a result, the plaza was also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place of Gyeongseong. There are two main focuses in this study. Firstly, the plaza was a hub of transportation and came to be transformed into the center of urban culture. Secondly, people’s various feelings about and perceptions of the plaza are linked to the formation of the city image of Gyeongseong. In the plaza, people could experience both civilization and alienation. Therefore, the main focus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at a fragment of the city image with the plaza is the node between ideal and reality. The plaza, centering around the Bank of Joseon and Namdaemun-tong (the Southern Gate District), is an area that emerged during the transition from Hanseong (Hanyang) to Gyeongseong. Namdaemun-tong, the most important road passing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has been maintained since an early age. The road from Namdaemun to the Bank of Joseon was made before 1912, when the urban planning of Gyeongseong began. As the Bank of Joseon was built, the plaza already had a basic form. The main roads which were connected to the plaza were also repaired early. This is due to three situations. First, the Japanese focused on the maintenance of Namdaemuntong because it was connected to their residence. Second, the building fo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was located on Namsan (South Mountain) and wanted to make the Namdaemun area a center. Third, the road from Namdaemun to the Bank of Joseon area had to be built as a path to civilization. The plaza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was filled with tall buildings, straight and wide roads, and street lights to illuminate at night, like the entrance to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In the 1930s, the plaza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had become a bustling downtown. There are two reasons. Firstly, the Mitsukoshi Department Store was built in the 1930s and became a part of the plaza in front of Joseon Bank. Department stores were the center of trendy urban culture. Secondly, the road was completely renovated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raffic difficulties around the plaza. A rotary was built and the city space changed. Above all, it should b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plaza is the entrance to Gyeongseong and the central city. The perception and reaction of the people of the time towards the plaza varied in its layers. In the postcards portraying the attractions of Gyeongseong, the plaza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appeared as the central place of Gyeongseong. However, the plaza was both a symbol of modernized Gyeongseong and a place to reveal alienation. One of the examples is the appearance of the low-class people wandering around the square. This depicts the plaza in the city image of Gyeongseong as an area like a node that mediates between ideal and reality.

      • KCI등재

        일상화된 공공미술을 통한 새로운 방향성의 모색

        성효진(Hyojin S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고의 목적은 도시적 삶에 유입된 공공미술 작품인 안토니 곰리의 <지평선>을 통해 공공미술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관람객과 그 일상을 공공미술 안으로 끌어들여 그영역을 확장한 안토니 곰리의 <지평선>을 통해 공공미술이 나아갈 방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논의를 위해 2장에서는 공공미술의 개념과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안토니 곰리의 대표적인 공공미술 작품이 지역 사회와 어떻게 조화를 이루었는지를 다루었다. 4장은 런던에서의 전시를 중심으로<지평선>이 갤러리를 도시 공간으로 확장하여 도시의 문화적 지형을 포괄하며 동시에 일상으로 유입된공공미술 작품임을 조명하였다. 5장은 뉴욕에서의 전시를 통해 <지평선>이 시공간을 넘어선 공공미술작품으로서 갖는 의미와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공공미술이 도시인들의 삶과 어우러져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가는 것이 공공미술이 추구해야 할 새로운 방향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new direction for public art through Antony Gormley's “Event Horizon”, a public art work introduced into urban life. Therefore, Chapter 2 deals with how Antony Gormley's representative public art works harmonized with the local community. Chapter 3 sheds light on the fact that “Event Horizon” expanded the gallery into an urban space and established itself as a public art encompassing the cultural topography of the city. In Chapter 4,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public art were identified through the “Event Horizon” that led to New York.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public art is a new direction to become the lives of urban people and to create a better tomorrow by illuminating the various lives of the city.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장애 발생 전후 의료 이용 및 비용 변화

        성효진(Hyo Jin Seong),김지원(Jiwon Kim),육태미(Tae Mi Youk),전하라(Ha Ra Jeon),김현기(Hyunki Kim),정은(Eun Jee Chung)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2

        목적: 시각장애 발생 전후 의료 이용 및 비용 변화와 시각장애 중증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와 장애인 등록자료를 이용하여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시각장애인으로 등록된 18세 이상의 환자들을 선정하였다. 관찰 기간은 시각장애 등록 전후 3년으로 정하였으며, 이를 6개월 단위로 구분하여 총 12개의 관심 시점에서 평균 의료 비용, 외래 이용 횟수, 및 입원 일수를 분석하였다. 대조군은 성별과 연령이 일치하도록 10배수 층화랜덤추출한 뒤, 보험료 분위와 거주지역에 대해 1:1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선정하였다. 결과: 총 131,434명의 시각장애인과 같은 수의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관찰 기간 동안 시각장애인에서 비장애인에 비해 평균 의료 비용이 1.9배 더 컸으며(p<0.001), 외래 이용 횟수와 입원 일수도 더 많았다(각각 1.4회, 3.5일, p<0.001). 또한 중증 시각장애인에서 경증보다 평균 의료 비용이 1.6배 더 컸으며(p<0.001), 외래 이용 횟수와 입원 일수도 더 많았다(각각 0.5회, 12일, p<0.001). 의료 비용과 입원 일수는 시각장애 등록 18개월 전부터 시각장애 여부와 중증도에 따라 격차가 벌어진 반면, 외래 이용 횟수는 장애 여부 및 중증도와 관련 없이 비교적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시각장애인에서 장애 정도가 중증일수록 비장애인에 비해 의료 이용과 의료비 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각장애인들이 경제적 부담을 덜고 적절한 치료와 꾸준한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비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정책적 개입을 고려해야할 것이다. Purpose: To identify changes in medical expenditure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before and after visual impairment onset, then analyze differences according to visual impairment severity. Methods: Patients aged ≥ 18 years who were registered as visually disabled from 2005 to 2013 were selected using the database from the registry of the disabled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observation period of 3 years before and after the registration was divided into 6-month units (12 points of interest). At each point of interest, medical cost, number of outpatient visit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LOS) were analyzed. The control group was obtained through 1:10 stratification randomization to match sex and age; individuals in the control group were then selected via 1:1 propensity score matching for the premium quantile and residential area. Results: In total, 131,434 patients with visual disability and the same number of non-visually impaired controls were included. Compared with non-disabled individuals, the mean medical cost and number of outpatient visits were higher for patients with visual disability (1.9- and 1.4-fold, respectively, p < 0.001); the LOS was also 3.5 days longer (p < 0.001). The mean medical cost and number of outpatient visits were greater in severely visually disabled patients than in mildly disabled patients (1.6- and 0.5-fold, respectively, p < 0.001); the LOS was also 12 days longer in severely disabled patients (p < 0.001). From 18 months before disability registration, medical costs and LOS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visual disability;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increased uniformly, regardless of disability and severity. Conclusions: More severe cases of visual impairment are associated with greater health care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Policy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ensure that patients receive appropriate treatment and steady health care by reducing the burden of medical expenditures.

      • KCI등재

        시각장애인에서 장애 등록 시점 전후 만성 및 외상질환 발생 변화에 관한 연구

        성효진(Hyo Jin Seong),김지원(Jiwon Kim),육태미(Tae Mi Youk),김현기(Hyunki Kim),정은지(Eun Jee Chung)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8

        목적: 만성 대사질환과 외상질환의 시각장애 등록 전후 발생 변화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시각장애인으로 등록된 환자들과 연령, 성별, 보험료 분위수, 거주 지역 분포에 대하여 1:1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선정한 대조군에서 질병 발생 비율과 위험도를 비교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관찰 기간은 시각장애 등록 시점을 기준으로 2년 전부터 5년 후까지로 정하였다. 관심 시점에서 질환의 발생 비율(%)은 장애 등록 연도별 발생 비율의 평균으로 구하였고, 위험도는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결과: 총 131,434명의 시각장애 환자군과 동일한 수의 대조군이 포함되었다. 만성 대사질환과 낙상 관련 부상의 발생 비율은 장애 등록 이전에는 시각장애인에서 더 높았으나, 장애 등록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여 대조군과 유사하게 변화하였다. 또한 장애 등록 후 2년까지 시각장애인에서 만성 질환의 발생 위험이 더 높았던 반면, 낙상 관련 부상의 발생 위험은 시각장애인에서 관찰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높았다. 고관절 골절은 시각장애인에서 장애 등록 이전 약 1년 전부터 점차 증가하여 대조군에 비해 발생 비율과 위험이 지속적으로 높았다. 결론: 시각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만성 질환의 발생 빈도가 높고, 고관절 골절이나 낙상 등 외상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시각장애인 환자들뿐만 아니라 장애 등록 예정인 환자들에서 각종 질환들의 발생을 예방하고 조기에 치료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인프라를 확충하고, 복지 서비스를 확대 실시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o analyze changes in the incidences of chronic and traumatic diseases before and after registration as visually disabled. Methods: The incidence and risk of chronic and traumatic disease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registered as visually disabled from 2005 to 2013 and a control group, selected through 1:1 propensity score matching for age, sex, premium quantile, and residential area distribution.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ere used and the observation period was set from 2 years before to 5 years after the time of registration as visually disabled. The incidences (%) of chronic and traumatic diseases at the point of interest were determined as the mean values according to year of registration, and the risk was measured by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31,434 visually disabled patients and the same number of non-visually impaired controls were included. The incidences of chronic disease and fall-related injury were higher in the visually disabled group before registration, but gradually decreased and became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after registration. In addition, the risk of developing chronic diseases was higher in the visually disabled group until 2 years after registration, while the risk of fall-related injury remained consistently higher in the visually disabled group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incidence and risk of hip fracture in the visually disabled group increased gradually from approximately 1 year before registration and remained consiste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People with visual disability have higher incidences of chronic diseases than do non-visually impaired people and are at greater risk of traumatic injuries, such as hip fractures or fall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community infrastructure and expand welfare services for the prevention and early treatment of comorbidities, both for patients with registered visual disabilities and for patients who have not yet regist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