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브라질 WTO 면화보조금 분쟁에 관한 사례연구

        성영화,박명섭(MyongSop Pak) 법무부 국제법무정책과 2010 통상법률 Vol.- No.92

        In late 2002, Brazil initiated a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dispute settlement case (DS267) against certain aspects of the U.S. cotton program. On September 8, 2004, a WTO dispute settlement panel ruled against the United States on several key issues in case DS267. The ruling was upheld on appeal to the WTO’s Appellate Body on March 3, 2005. Key findings included (1) U.S. domestic cotton subsidies do not afford to be protected by the “Peace Clause”; (2) the two major types of direct payments made under U.S. farm programs do not qualify for WTO exemptions from reduction commitments as fully decoupled income support; (3) Step 2 program payments are prohibited subsidies; (4) U.S. export credit guarantees are effectively export subsidies; and (5) U.S. domestic support measures that are “contingent on market prices” have resulted in excess cotton production and exports that caused low international prices and resulted in “serious prejudice” to Brazil. In response to the WTO ruling, the United States has made several changes to its cotton support programs. However, in August 2006, Brazil requested a WTO compliance panel to review whether the United States had fully complied. In December 2007, a compliance panel ruled that the United States had not fully complied with earlier WTO recommendations. The compliance panel ruling was upheld on appeal in June 2008. On March 3, 2009, at a meeting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s (WTO’s) Dispute Settlement Body (DSB) in Geneva, Brazil claimed the right to impose $2.5 billion in retaliatory sanctions against the United States in its long-running case against certain U.S. cotton subsidies. As part of its prohibited subsidy countermeasure, Brazil is seeking “cross-retaliation” rights that would permit retaliation in sectors other than just the goods sector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rade in services. The United States has expressed strong disagreement both with the amount of countermeasure requested and with any right of “cross-retaliation.” Eventually Brazil and U.S. requested a resumption of the arbitration proceedings to review its proposed retaliatory countermeasures. On August 31, 2009, an arbitration panel ruled that Brazil can retaliate $294.7 million for the fiscal year 2006 (will change from year to year) against U.S. trade-distorting practices involving cotton subsidies. An arbitration ruling in favor of both Brazil’s retaliation amounts and the requested “cross-retaliation” feature could raise the stakes in this particular dispute by expanding retaliation into TRIPS and GATS. But the panel did not specifically reclassify U.S. PFC and DP payments as “amber box,” nor did the panel recommend that the United States should notify such future payments as “amber box.” This is a subtle but critical distinction because of the enormity of PFC and DP payments. The specific finding on the apparent failure of U.S. “decoupled” payments to meet WTO green box criteria leaves such programs open to future charges, and that third countries may feel emboldened by knowing how a WTO panel is likely to rule on such matters. Actually in 2007, Canada and Brazil initiated separate but similar WTO cases against certain U.S. farm programs that has exceeded the subsidy spending limit, and that the U.S. operates its agricultural export credit guarantee program in such a manner as to provide prohibited subsidies. The European Union (EU) is also likely to be concerned about this finding since the EU’s agricultural program relies heavily on “decoupled” payments similar to the those of the U.S. program. The U.S. response to the WTO cotton ruling is being watched closely by developing countries, particularly by a consortium of four African cotton-producing countries that has submitted its own proposal to the WTO calling for a global agreement to end all production-related support for cotton growers of all WTO member countries. This is rare case that takes the almost full tracks of WTO dispute settle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성영화,박지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arents’ perception and meaning of outdoor play in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 metaphor analysis. Methods For this, 143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ere selected an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m. Parents were completed the metaphorical analysis questionnaire about ‘the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s like _____. Because ________.’ The collected metaphorical express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ents’ perceptions of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classified into seven themes: healing time, young children life itself, growth, various experiences, health requirements, and double standards, insecurity. Conclusions It was expected that the derivation of positive meanings of parents about the necessity and value of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ill help to revitalize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line wit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목적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143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모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외놀이는 ________(이)다. 왜냐하면 ________(이기) 때문이다’라는 은유분석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수집된 은유 표현은 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힐링 시간, 유아 삶 자체, 성장의 장, 다양한 경험의 장, 건강의필요조건, 이중 잣대, 불안전으로 총 7개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결론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외놀이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인 의미 도출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맞추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외놀이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관련 전공 서적 분석: 놀이 관찰을 중심으로

        성영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ajor books related to child observation and behavioral research that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o develop basic knowledge necessary for observing young children. Methods In this study, 20 major books related to child observation and behavior research published from August 2019 to August 2021 were analyzed. The selected major book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subjects, and play observations. The collected analysis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using an Excel program. Results In the subjects of major books, basic concepts such as concepts, necessity, and purpose were dealt with in relation to child observation. In addition, the subjects of the major books included understanding child observation, types of child observation, and methods of child observation. On the other hand, some major books did not cover understanding child behavior research, types of child behavior research, and methods of child behavior researc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observation of play, the observation of young children was presented rather than observation of infants at the age of play. In the play space, all major books suggested observation of indoor free play. In the indoor play by interest area, bo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were able to see dramatic play area and block play area. The play observation methods were mainly anecdotal records and timetable method. Conclusions As the importance of observation, including early childhood play, has grow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was proposed a direction for the composition of major books related to child observation and behavioral research.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에게 영유아를 관찰하는데 필요한 기초 지식을 함양하도록 돕는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와 관련한 전공서적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8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출판된 총 20권의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관련한 전공 서적을 분석 대상으로하였다. 선정한 전공 서적은 주제와 놀이 관찰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분석 자료는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와 관련한 전공 서적의 주제를 살펴보면, 전공 서적은 아동관찰과 관련한 개념, 필요성, 목적과 같은 기초개념을 다루었다. 또한 전공 서적의 주제는 아동관찰 이해, 아동관찰 종류, 아동관찰 방법을 포함하였다. 반면 아동행동연구 이해, 아동행동연구 종류, 아동행동연구 방법은 다루지 않는 전공 서적도 있었다. 놀이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놀이 관찰 연령은 영아보다 유아로 나타났다. 놀이 공간에서는 모든 전공 서적에서 실내자유놀이 관찰을 제시하고 있었다. 실내 흥미영역별 놀이는 영아와유아 모두 역할 놀이와 쌓기 놀이를 찾아볼 수 있었다. 놀이 관찰 방법은 주로 일화기록법과 시간표집법이었다. 결론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유아 놀이를 포함한 관찰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 만큼, 본 연구에서는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와 관련한 전공서적의 구성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유아 교재・교구 제작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성영화,윤수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은유분석을 통해 본 유아 교재・교구 제작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성 영 화*ㆍ윤 수 진** 요약: 본 연구는 은유 분석을 통해서 유아 교재・교구 제작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G시와 C시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50명의 예비유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는 개방형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유아 교재・교구 제작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기초 소양, 유아교사로 발달 기회, 마음 자세, 유아를 위한 선택, 유아의 반응, 교수자료로써 교재・교구, 교재・교구의 다양함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유아교사로서 수행해야 하는 기초 소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들에게 교재・교구 제작을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핵심어: 은유, 유아, 교재・교구, 예비유아교사, 인식 □ 접수일: 2022년 2월 8일, 수정일: 2022년 3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백석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First Author, Associate Professor, Baekseok Univ., Email: danb21c@bu.ac.kr)** 교신저자, 송원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ongwon Univ., Email: angela0515@hanmail.ne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wareness About MakingTeaching Materials Through Metaphor AnalysisYounghwa Sung & Soojin Y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for making teaching materials using metaphor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5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ing in universities located in G and C are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filled out an open-ended questionnaire onlin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using an Exce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revealed basic skill, development opportunity, mind posture, teaching materials, variety of teaching materials.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highest in the basic skill that should be performed as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lan to support the produc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discussed. Key Words: Metaphor, Young Children, Teaching Materia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warenes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대한 예비교사의 기대수준

        성영화,윤수진 인지발달중재학회 201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대한 예비교사의 기대수준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 다. 이를 위해 선정된 연구대상은 경기도 및 충청남도에 위치한 2~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 인 238명의 예비교사이었다.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대한 기대수준 과 관련한 질문지에 체크하거나 이유에 대해 직접 기술하며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치, t-test, 그리고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예의범 절 발달에 대한 예비교사의 기대수준은 다른 발달 영역에 대한 예비교사의 기대수준보다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여부에 따른 유아의 발달에 대한 예비교사의 기대수준 은 집단 간 차이를 보여, 비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대한 예비교사의 기대수준이 다문화가 정 유아의 발달에 대한 기대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와 비교해 볼 때, 다 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대한 예비교사의 기대수준은 4가지 관점으로 나타났으며 그러한 기 대수준을 갖는 이유는 부모를 포함하는 가정, 실습과 같은 개인적 경험, 그리고 편견 등의 기 타 의견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대해 올바른 기대를 갖도록 그에 적합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 측정도구 개발

        성영화,현은자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236명의 유아교사가 5점 척도로 구성된 다문화 신념 설문지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 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 측정도구는 다문화 이해, 다문화 민감성, 다문화 교육과정, 다문화 교실운영, 다문화 기관풍토, 지역사회, 기관, 그리고 부모 파트너십으로 구성되었다. 타당도 검증 결과 요인 부하량은 .46~.78이었으며, 누적 변량은 64.07이었다. 또한 각 항목의 신뢰도 검증 결과 각 요인 별 신뢰도 계수는 .77~.91이었고, 전체 신뢰도는 .96이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 측정도구는 타당하며 신뢰도운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cultural belief assessment tool for early children teacher. 236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responded a multicultural belief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was us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Cronbach a about the reliability. The questionnaire has been consist of the following six fact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curriculum, multicultural classroom management, multicultural organization climate, and partnership among community, organization, and parent. The validity of each factor were .46~.78 and cumulative variance was 64.07. Cronbach a of each factor was .77~.91 and Cronbach a of total items was .96. The results for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tool had validity and reliabi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영유아 학대예방 관련 부모교육 및 가정에서의 자녀교육 실태

        성영화,이숙자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parent education experienced by parents and the state of child education at home relation to infant/preschooler abuse preven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2 selected parents who resided in I city and whose children were in infancy or early childhood. A survey was conducted, and frequency analysis or chi-square test was carried out after their answer sheets were gathe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state of parent education, the parents who received education related to infant/ preschooler abuse prevention accounted for 12.6 percent, and the parents who were taught about all the four types of abuse outnumbered the others who weren't. The parents received that education at institu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perts in child abus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y replied they were satisfied with that education. As for the state of child education, the parents who replied they provided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t home accounted for 25.2 percent, and they answered they taught about physical abuse and how to cope with abuse. They responded they started to conduct this education in their homes when their children were in infancy, and they did it frequently in daily life mainly through conversations. They told it's difficult for them to offer this education at home due to a shortage of abuse-related materials. And whether they offered that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or not at ho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they received parent education or no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manuals for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at can easily be used at home without any modifications was suggested, and education on neglect and the revitalization of publicity are required as well. 본 연구는 부모들이 경험한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한 부모교육 실태 및 가정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녀교육 실태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거주하고 있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302명의 부모들이며, 연구결과는 부모들이 응답한 설문지의 내용을 빈도분석하거나 카이검증을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먼저, 부모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하여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12.6%로, 네 가지의 학대 유형 각각에 대해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은 유아교육과 관련한 기관에서, 아동학대 및 유아교육관련 전문가에 의해 교육을 받았으며, 받은 교육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자녀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가정에서 자녀에게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부모들은 25.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학대와 학대 시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가정에서는 영아기부터 학대예방교육을 시작하고, 일상에서 수시로, 주로 대화를 통해서 교육을 실시한다고 부모들은 응답하였다. 부모들은 학대와 관련한 자료의 부족으로 가정에서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른 가정에서의 자녀의 학대예방교육 실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에서 바로 연계하고, 쉽게 활용 가능한 학대예방교육 매뉴얼의 개발과 방임에 대한 교육 및 홍보의 활성화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컴퓨터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성영화,임명희,박지현 한국보육학회 2012 한국보육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the relation to young children computer education. For this, the objects of study were selected from total of 95 articles in seven journals registered on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related of young children education and child care journals. The criteria of analysis were made reference to prior researches in study tren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f relation on young children computer education was steadily studied since 2001. Second, among those topics of researches on 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and computer, the majority of topics wer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ird, quantitative and experimental researches were the most frequent in type of research and the subjects were young children. The majority of the data collection was through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The method of difference like t-test and ANOVA was mainly used for the analysis. 본 연구는 유아컴퓨터교육과 관련한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및 보육과 관련된 학술지 중에서 한국진흥재단에 등재된 7개의 학술지에 실린 총 9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연구동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과 다중응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 이후 유아컴퓨터교육 관련 연구는 시기별로 꾸준히 나타났다. 둘째, 유아컴퓨터교육과 관련한 연구 주제를 보면, 유아 발달 관련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 중 연구유형에서는 양적연구와 실험연구가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연구대상은 주로 유아이었다. 자료수집은 검사나 질문지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고, 분석방법은 t-test나 변량분석과 같은 차이 검증이 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음악개념중심의 유아음악 예비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성영화,최진숙,정현영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4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perception on program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 based on musical concep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29 teacher in kindergarten, day care center, university and colleage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earch distributed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hi-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rogram goals enable teaching method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 were listening, singing, instrument handle. The method of education program were suitable for practice-oriented workshop and two semester. The evaluation of education program was appropriate for the demonstration. 본 연구는 음악개념중심의 유아음악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서울 및 경기도에 위한 유아교육기관 및 대학을 다니고 있는 교사 22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카이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프로그램의 목표가 유아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수방법을 습득하는데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듣고 감상하기, 노래부르기, 악기다루기 등과 같은 교육내용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프로그램의 방법은 실기중심의 워크샵이 적합하며, 2학기 과정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평가는 시연을 통해 교수지도방법에 대해 평가해야 한다고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