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반편견 교육 관련 내용 분석

        성영실 ( Sung Youngsil ),김경철 ( Kim Kyungchul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반편견 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유아를 위한 반편견 교육의 경향을 파악하고, 나아가 반편견 교육에 관한 기초 자료와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2012)에서 발행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에 수록된 696개의 활동이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준거는 생활주제, 내용범주, 활동유형 및 영역, 누리과정 관련 요소이다. 연구결과,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반편견 교육 관련 활동은 152개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교육 관련 활동의 생활주제별 경향은 ‘세계 여러 나라’ 64개(42.1%), ‘나와 가족’ 24개(15.8%), ‘우리 동네’ 19개(12.5%), ‘교통기관’ 13개(8.6%)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동식물과 자연’, ‘생활도구’, ‘우리나라’, ‘유치원/어린이집과 친구’, ‘봄·여름·가을·겨울’, ‘환경과 생활’, ‘건강과 안전’ 은 낮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내용 범주별 경향은 ‘문화적 다양성’ 127개(83.6%), ‘성 역할 및 정체성’ 10개(6.6%), ‘신체적 능력’ 6개(3.9%), ‘연령’ 5개(3.3%), ‘외모’ 4개(2.6%)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활동 유형 및 영역별 경향은 대·소집단 활동 82개(53.9%), 자유선택활동 62개(40.8%), 바깥놀이활동이 8개(5.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누리과정 관련 요소별 경향은 사회관계 영역이 127개(40.1.%), 의사소통 영역 57개(18.0%), 예술경험 영역 51개(16.1%), 자연탐구 영역 50개(15.8%), 신체운동·건강 영역 32개(10.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유아를 위한 반편견 교육의 바람직한 실천을 위한 다양한 제언과 시사점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anti-bias education in teacher’s guidebook for five years old of Nuri curriculum in South Korea and offer directions for studies related to anti-bias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otal 676 educational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five years old of Nuri curriculum were analysed. The analytical criteria were educational theme, the category of content, activity type and area, and factor related to Nuri curriculum.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re were 152 activities related to anti-bias education. First, there were 64 (42.1%) in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My family and me’ 24 (15.8%), ‘My neighborhood’ 19 (12.5%), ‘Transportation’ (8.6%), and it was found that ‘animals and plants’, ‘life tools’, ‘Korea,’ ‘Kindergarten / Daycare center and friends’,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Health and safety’ showed low frequency. Second, there were 127 (83.6%) of Cultural diversity, 10 (6.6%) of Sexual role and identity, 6 (3.9%) of Physical ability, and 3.9% ‘5 (3.3%) of age, and 4(2.6%) of ‘appearance’. Third, there were 82 (53.9%)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62 (40.8%) free choice activities, and 8 (5.3%) outside play activities. Fourth, the area tendency of activities related to anti-biased education were 127 (40.1%) in social relationship area, 57 (18.0%) communication, 51 (16.1%) in art experience, 50 (15.8%) in natural inquiry, and 32 (10.1%) in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various suggestions for the desirable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offer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영실(Sung, Young-Sil),최우수(Choi, Woo-Soo),이성주(Lee, Seong-J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의 각 변인에 대한 관계와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충청도에 소재한 4개의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61명을 대상으로 행복감,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에 대한 인식 정도는 평균 3.42~3.63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 간에는 .70이상의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으로 자아존중감, 낙관적 태도, 처음 관계 맺기, 자기노출, 자신감 등 5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과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 유아의 행복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nhancement of the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and effect of each variable of happiness, 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steem.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cales of happiness, 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elf-esteem for 26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at four colleges located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the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awareness of happiness, 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stee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3.42~3.63 on average, which was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of more than .70 between the happiness, 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stee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five factors such as self-esteem, optimistic attitude, first relationship, self-exposure, and self-confidence as sub-factors of 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steem affecting the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a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support the happiness and continuous growth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omotes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하늘반의 반편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성영실(Sung, Young Si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세반의 반편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나타난 변화를 탐구함으로써 반편견 교육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 유아교육현장의 반편견 교육 활성화에 기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A유치원의 하늘반 교사와 연구자, 유아들을 연구참여자로 협력적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 참여관찰, 교사저널, 연구자 일지, 교육과정 관련 문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반편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은 계획, 실행 및 관찰, 반성, 재실행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반편견 교육과정 실행으로 인한 하늘반 교사와 유아들의 변화는 ‘교사의 반편견 고민과 유아 질문의 시작’, ‘차이에 대한 관점의 변화’, ‘다양성이 반영된 경험’, ‘편견과 고정관념에 대한 비판적 사고’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하늘반의 반편견 교육과정 실행을 통해 반편견 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제고하고, 반편견 교육과정 실천으로 인한 변화를 교육현장에서 발견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that emerged through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the implementation of anti-bias curriculum for 3 year-old and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anti-bias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anti-bia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his end,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eacher, a researcher, and young children at A kindergarten in Northern Chungcheong province. Data was collected in various way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s, teacher journals, researcher journals, and documents related to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ooperative implementation research process for anti-bias curriculum is proceeded in order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observation, reflection, and re-implementation. Second, the changes resulting from implementation of the anti-bias curriculum are "the beginning of questions of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 "change of perspective on differences", "experience reflecting diversity", and "thinking critically for prejudice and stereotyp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value and importance of anti-bias education have improv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anti-bias curriculum, and that the changes caused by the anti-bias curriculum practice are found in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우울 예측 요인탐색

        성영실(Sung, Young-Sil),이성주(Lee, Seong-Joo)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의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관련요인들에 대해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7차(2014년) 조사 자료 중 어머니와 아버지의 우울 관련 문항에 응답한 1,474가구의 자료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양육 스트레스, 부부갈등, 배우자의 우울은 어머니의 우울과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행복감은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양육 스트레스, 부부갈등, 배우자의 우울, 행복감 모두 아버지의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영향 정도에서 어머니의 우울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우울 감소를 위한 다양한 부모교육, 사회적 지원방안, 우울 관련 사회문제 해결방안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ed factors that can predict depression in mothers and fathers of infancy children. For this purpose, data from 1,474 households who responded to questions related to depression in mothers and fathers among the 7th survey (2014)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and spouse"s depress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s depression, and happines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Second,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spouse"s depression, and happiness were all predictive factors for father"s depression, but the degree of influence was different from mother"s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various parent education, social support, and solutions of social problems related depression in parent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주말부부 아버지의 자녀 양육 경험 탐구

        성영실(Sung, Youngsil),김경철(Kim, Kyung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한 아버지가 주말부부로 살아가며 자녀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과 역할을 수행하는지 깊이 들여다봄으로써 그 삶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W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가족이 있 는 C시를 오가며 주말부부를 하는 최 아버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자료는 2016년 4월부터 8월까지 5개월 동안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 저널 쓰기, 가정 관찰, 연구자 일지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면담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사전 동의를 얻어 보이스 레코더로 녹음한 후 전사하였으며, 수집된 전사,저널 자료는 종합, 분석 및 범주화, 의미 발견 등 해석과 재해석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최 아버지의 내러티브는 주말 부부 아버지의 자녀 양육에 나타난 어려움, 두려움을 느끼면서도 소통을 위해 노력하는 아버지, 진정한 아버지 되어가기, 소망을 품고 사는 아버지라는 네 가지 의미로 나타났다. 최 아버지는 자녀들과의 짧은 만남의 과정 속에서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하면서 자녀를 양육하는 자아성찰의 시간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에 주말 부부, 아버지-자녀의 관계 형성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다양한 관련 연구의 수행을 제안하였다. This is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 of a father who has young children in a commuter couple. The purpose of this narrative inquiry is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a father who has young children in commuter couple and how he realizes the meaning within his role. The participant was a father who works in other place during weeks and commute at weekends. Narrative inquiry works to re-story the stories of the participant by gathering data, analyzing it, searching for themes, and rewriting it in a sequence that makes sense. For the result, narratives of a father who has children in a commuter couple are as followings.: Difficulties in raising children of a father who has young children in a commuter couple, a father who feels fear but tries to communicate with his children, becoming a true father, and a father who cherish a hope. A father who has children in a commuter couple has the time for insight through his children. This narrative was presented individually and uniquely, but this study will give understanding to fathers experiences in commuter couples and opened door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경험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성영실(Sung, Youngsil),최우수(Choi Woo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음악경험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바람직한 유아음악교육의 방향과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충청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의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24명이며 유아교사의 음악경험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연구대상 유아교사 중 192명(85.7%)이 음악관련 학원 및 개인교습 경험이 있었으며, 가요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주회 관람 경험은 1년 1회가 66명(29.5%)으로 가장 많았으며, 음악관련 교내⋅외 입상경험은 51명(22.8%), 노래 및 악기연주 경험은 95명(42.4%)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음악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사연수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rable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by examining the music experience and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4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do, Chungcheong-do, Daejeon, and Sejong C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experience and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192 (85.7%)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experiences in music academy and private lessons, and they preferred music the most. In addition, 66 (29.5%) had the experience for going a concert once a year, 51 (22.8%) had a prize-winning experience, and 95 (42.4%) had experience of singing and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generally have high awareness of music educ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and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 KCI등재

        부모의 부부갈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성영실(Sung, Young-Sil),이성주(Lee, Seong-Joo)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대한 가족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연구(PSKC) 자료중 7차 년도(2014) 조사에 응답한 1464명의 부모와 만 6세 유아들의 응답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부부갈등과가족 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가족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유능감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부부갈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은 완전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직⋅간접적 효과를 분석하고, 가족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가정과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arents’ marital conflicts on their young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specifically in relation to the sense of social compet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sponses of 1464 parents and 6-year-ol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year (2014) survey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family interaction, and between parents’ marital conflicts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herea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marital conflict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amily interaction functioned as a complete mediator. Overall, this study show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arital conflicts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implicated in finding ways to improv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oth in the home an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by cla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 KCI등재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효과

        성영실(Sung, Young-Sil),김경철(Kim, Kyung-Chul)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반편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반편견 교육과정의 개발 절차, 구성,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의 개발 절차는 문헌연구단계, 연구동향분석 및 조사연구단계, 교육과정 시안구성단계, 전문가 협의 및 수정단계, 교육과정 확정단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둘째, 교육과정 구성은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로 구성되었다. 셋째, 교육과정 적용 효과는 반편견 교육과정을 충청북도 소재 유치원의 만 3세반 학급에 적용한 결과 유아의 편견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반편견 교육 연구에서 초점을 두어왔던 인종과 장애뿐만 아니라 능력, 연령, 외모, 성별, 계층, 문화, 가족구성 등 편견의 다양한 내용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무엇보다 일반 교육과정에 반편견 교육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가 자연스럽게 통합된 반편견 교육과정을 통해 기존 교육과정과 협력적인 체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ti-bias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it in the fiel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research questions on the matter were set up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cess, composition, and effects of the anti-bia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ti-bias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sequentially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the analyses of research trends in those works, the conduction of research, the drafting of a curriculum,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finally the overall revision and completion of the curriculum. Second, this curriculum was composed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lso featured evaluation based on Tyler 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e anti-bias curriculum had an effect on reducing prejudice in young children of the ages of 3 by applying the curriculum to a kindergarten class located in Chungcheongbuk-do. The anti-bias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covered many types of prejudices such as skill, age, appearance, gender, class, culture, and family composition, as well as race and disabilities, which was covered in previous anti-bias education studies. The anti-bias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naturally integrates the purpose and objectives of anti-bias educ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evaluation of all of this into the general curriculum, providing a direction for cooperation with the existing curriculum.

      • KCI등재

        유아를 위한 반편견 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분석

        성영실 ( Sung Youngsil ),김경철 ( Kim Kyungchul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반편견 교육 관련 연구의 국내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반편견 교육 관련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반편견 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국내에서 유아를 위한 반편견 교육 연구가 처음으로 시작된 1995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 발행된 학위 논문 107편, 학술지 논문 27편, 총 134편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준거는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유형이며, 분석결과는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반편견 교육 관련 연구시기별 동향은 1995년 첫 연구가 수행된 이후로 2000년-2004년 사이에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다가 2005년도 이후로 차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유아가 80.6%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교사 11.2%, 부모 2.2%, 혼합 3.7%, 기타 2.2%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별 동향은 교수방법 66.4%, 인식 및 실태 조사 16.4%,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 14.2%, 그림책 반편견 특성 분석 1.5%, 교사교육 0.7%, 연구동향 분석 0.7%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가 93.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는 각각 2.2%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향후 유아기 반편견 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즉, 유아를 위한 반편견 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바르게 인식한 지속적인 연구수행, 반편견 교육 이론에 대한 재정립과 심도 있는 기초 연구, 다양한 연구대상과 주제, 유형의 폭넓은 연구 수행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South Korea and suggest directions for research in the future.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otal 134 research papers including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95 to 2015, were analyzed. The analytical criteria were research time, objects, theme, and method and the academic paper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study related to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arried out in 1995 and performed actively for 2000-2004 and then the studies for anti-bias education of young children grew down gradually. Second, the objects for research were young children (80.6%), teachers (11.2%), parents (2.2%), mixed objects including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3.7%), and etc. (2.2%) in order. Third, the theme for researches were instruction methods (66.4%), awareness and current status (16.4%),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program and curriculum (14.2%), etc. (2.2%), teacher education (0.7%) of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order. Fourth, the most common methods of the studies were quantitative research (93.3%). Qualitative, literature, and mixed methods were same percentage of 2.2%.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fundamental meaningful information on anti-bias education research and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유아를 위한 반편견 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성영실(Sung, Young Sil) 한국육아지원학회 2021 육아지원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유아를 위한 반편견 교육의 효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주요 조절변인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의 효과적인 반편견 교육 수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2월 1일에서 10일까지 RISS, KISS, DBpia 검색엔진에서 ‘유아 반편견’, ‘유아 반편견 교육’으로 검색하여 관련 문헌을 수집하였다. 최초 검색된 290편의 논문 중 PICOS 내용에 따라 41편 논문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어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를 위한 반편견 교육활동의 전체 효과크기는 긍정성 증가 1.72, 부정성 감소 –3.12로 큰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종속변인과 실험횟수, 처치기간에서는 범주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유아연령, 집단크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반편견 교육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간과 집단크기 등 다양한 조절변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effects of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meta-analysis and analyze the effects of major moderating variable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anti-bias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For the purpose, data search was conducted on the RISS, KISS, and DBpia with the key words of ‘anti-bias’and ‘anti-bias education’ from December 1 to 10, 2020. Among the first 290 studies collected, only 41 satisfying the PICOS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final meta-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as found to be quite large with 1.72 to increase positivity and -3.12 to decrease negativity. Looking at sub-are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ub-categori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number of experiments, and the duration of treatmen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y the ages and group sizes of young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make anti-bias education more effectiv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various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proper duration of program implementation and group sizes,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