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구의 다문화교육과 아동의 정체성 문제

        성상환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본 글은 우선 서구사회에서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를 주요 국가들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간략히 고찰해 본다. 또한 이러한 역사적 배경 하에 다문화사회로 진전하고 있는 한국의 교육시스템 내에서 다인종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이 경험하는 정체성문제를 논의한다. 서구의 다문화교육전통은 그 사회가 이민사회인지 아니면 전통적인 민족국가에서 외국인을 받아들인 사회인지에 따라 다양한 이질적인 진화과정을 보여 준다. 이러한 국가 간의 상이한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정책의 전개과정은 그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의 시민의식과 문화적 정체성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에게 절실히 필요한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들을 우리 사회에 적응시키는 한편 이들을 당당한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의식적 기반을 형성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다문화정책 가운데서도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학생들과 다인종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다문화 사회에서 책임있게 행동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교육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것은 다문화적 사회에서 그 구성원들에게 다문화적 정체성의 발달을 증진시켜 주는 것을 의미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multiculturalism and education policies of the West have been evolving and discusses what they imply and suggest for the Korean society which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endeavor, the present author reviews the multicultural histories and major differences of immigration-based countries and nation-based ones. The next discussion will be given to the multicultural identity issues which the multiethnic children and youth might experience in the dominantly homogeneous school environments in the ethnic makeup. The critical overview of the Wester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evolution and the multicultural identity issues will shed light on how the Korean education system should successfully integrate the increasing multiethnic children and youth in the Korean school environments.

      • KCI등재

        외국어습득이론과 외국어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성상환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6 No.76

        Der Erwerb einer zweiten Sprache ist häufig das Produkt einer systematischen Intervention, d.h. das Resultat der Schulbildung. Je nach Unterrichtsmethode können wir unterschiedliche Formen annehmen. In Bezug auf die Methoden kann von unkontrolliertem und gesteuertem Zweit- sprachenerwerb gesprochen werden, wobei mit letzterer der Fremd- sprachenerwerb gemeint ist. Je nach Klassenalter und Unterrichtsmethode ergeben sich teilweise verschiedene Untertypen. Wenn über die Art des Spracherwerbs gesprochen wird, ist zu beachten, dass es dahingehend auch unterschiedliche Spektren gibt. Die Formen können sich fließend ändern, und es ist durchaus möglich, dass die eine oder andere in einer anderen koexistiert. Vor diesem Hintergrund wer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die traditionellen Theorien des Fremdsprachenerwerbs oder des Zweitsprachen- erwerbs kritisch beleuchtet. Am Ende der Arbeit wird der kogntiv-orientierte Ansatz auch diskutiert. 본 연구는 이미 진행된 선행연구들(Edmondson/House 2000; Klein 2001; Saville-Troike 2006; Ortega 2009; Auer 2013)을 비판적으로 참고하였음을 밝힌다. 특히 다음 장에서 논의할 제2언어습득이론의 전개과정은 시대별로 정리된 Saville- Troike의 기술을 순서대로 참고하였으나 해당 이론과 관련하여 타 연구 성과들을 비교하며 비판적으로 논의하기로 한다. 또한 독일어 예시들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여 중점적으로 다루며 제2언어습득론의 논의의 장을 확대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제2언어습득이론에 대한 개괄적 연구는 한국의 독어교육 분야에서는 충분하지 못했다(신형욱 2009 참조). 독일어에서는 이해욱(2015)의 ‘초기아동의 시상습득에 관한 연구’, ‘구문문법’과 특정 구문을 중심으로 한 성상환(2015)의 연구, 이성은(2017)의 ‘신경언어학적 연구’ 등 구체적인 방법론과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습득연구가 있다. 또한 영어와 한국어의 비교연구로서는 최근 부정극어(Negative Polarity Item: NPI)를 중심으로 한 김보경(2018), 한국어교육에서는 ‘한국어습득에 있어서 인지·심리적 요인이 L2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백준오 외(2016), ‘체류경험을 중심으로 영어와 한국어의 유창성습득’을 분석한 강석한(2018) 등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영어와 독일어, 한국어자료를 아우르는 비교를 통해 외국어/제2언어습득분야에서 발달한 이론들에 대한 개괄적인 접근을 한 경우는 국내연구에서 흔하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의 일부임을 밝힌다.

      • KCI등재

        구문문법의 원리와 쟁점들- 독일어와 영어의 논항구조를 중심으로 -

        성상환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4 獨語敎育 Vol.60 No.60

        본 글에서는 구문문법의 관점에서 독일어와 영어의 특정구문들을 중심으로 투사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생성문법과 생성문법에 기반을 둔 이론들이 주창하는 ‘서술어에 기반을 둔 논항구조의 분석의 문제점들’을 기존의 문헌들을 통해 비판적으로 정리하고 문법적 구문이 실재한다는 경험적 증거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또한 영어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논의들에서 더 나아가 독일어에서 구문이 어떻게 영어와는 상이하게 실현되는가를 비판적으로 제안해 보고자 한다. In diesem Artikel wird die Prinzipien und die Problematik der Konstruktionsgrammatik anhand des Deutschen und Englischen analysiert. Der Begriff Konstruktionsgrammatik (construction grammar, CxG) bezieht sich auf grammatische Theorien oder Modelle, die davon ausgehen, dass die grundlegenden Einheiten der Grammatik nicht atomare syntaktische Einheiten und deren Kombinationsregeln sind, sondern sogenannte Konstruktionen. Die gesamte Grammatik einer Sprache besteht aus taxonomischen Hierarchien solcher Einheiten.

      • KCI등재

        논항과 문장구조를 기반으로 한 교차 언어적 외국어습득연구 - 독일어와 영어를 중심으로

        성상환,이윤미,김엽,정고은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3 獨語敎育 Vol.88 No.88

        본 글에서는 우선 독일어와 영어에 나타난 직시어들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직시어들의 비교에서 드러난 차이점들이 통사구조와 의미부가 결합되는 방식에서 두 언어에 나타난 전치사구와 격체계의 쓰임, 분열문 Spaltsatz의 구성방식의 차이점들과 어떻게 논리적으로 연계가 되는지를 다양한 구문들을 통해 비판적으로 조명해 볼 것이다. 두 가지 이상의 언어들을 비교분석함에 있어 개별적인 문법구조들이 외견상 별개의 현상으로 보일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 시도하는 바는 최소한 아래에서 다루는 개별적 문법현상들이 사실은 언어구조의 보다 심층적인 차원에서 잘 드러나지 않는 근본적 원칙들에 의해 주도된 체계적으로 연관된 파생구조들이라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관점은 유럽언어들의 경우 주로 개별언어에만 집중해온 국내의 기존의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이며 외국어교육의 현장에서도 연구자들이 간과하고 있던 중요한 원리에 입각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In diesem Artikel wurde mittels einer sprachübergreifenden vergleichenden Analyse mit Schwerpunkt auf Deutsch und Englisch versucht, die Gemeinsamkeiten und Unterschiede spezifischer grammatikalischer Strukturen der Sprachen sowie die Besonderheiten jeder Sprache expliziter einzuordnen. Insbesondere konnte durch die grammatikalische Diagnose ähnlicher Strukturen der Grad des relativen Grammatikalisierungsprozesses für einzelne Sprachen in Verwandtschaft ermittelt werden. Es erfolgte der Vergleich der Verwendung von deiktischen Adverbien im Deutschen und Englischen in stativen und direktionalen Situationen. Dabei zeigte sich, dass die semantische Differenzierung im Deutschen in Bezug auf die Verwendung von deiktischen Adverbien stärker strukturiert war als im Englischen. Anschließend wurde die Verwendung von Präpositionen und Kasus im Deutschen und Englischen diskutiert, wobei der Fokus auf der Methode der räumlichen Teilung in den beiden Sprachen, der semantischen Differenzierung durch Präpositionen und dem Weglassen von Nominalphrasen lag. Es wurde bestätigt, dass Deutsch eine Sprache mit stärkerer semantischer Transparenz ist. Abschließend wurden Unterschiede in der Verwendung von gespaltenen Sätzen im Deutschen und im Englischen bezüglich der Fokussierungsstrategie verglichen. Bei jeder Verwendung von Zeitadverbien, Ortsadverbien und Modusadverbien wurde festgestellt, dass das Englische den Effekt der Fokussierung durch gespaltene Sätze zeigen konnte, während das Deutsche eine alternative Strategie der Wortstellungsänderung bevorzugte. Im Vergleich zum Englischen wurde bestätigt, dass die semantische Transparenz basierend auf einer präziseren morphologischen Struktur in der entsprechenden Syntax des Deutschen offenbart wurde, und im Fall des Englischen wurde bestätigt, dass der Prozess der syntaktischen Entwicklung viel produktiver war als der des Deutschen.

      • KCI등재후보

        독일의 이민전통과 언어/외국어 교육정책

        성상환 서울대학교 2009 외국어교육연구 Vol.12 No.-

        This paper discusses the tradition of migration in Germany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In particular we critically review the diverse types of migrants and the current situations in Germany. I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the relations among the migration, education and language policy will be dealt with. It is argued that teaching both mother tongue and German as a second language is an integral part of the education system contributing to the integration of the migrant children in Germany.

      • KCI등재

        Sprachwandel und die Schnittstelle zwischen Syntax und Semantik*1) - mit besonderer Bezugnahme auf Deutsch und Englisch -

        성상환 한국독어학회 2009 독어학 Vol.20 No.-

        본 논문은 통사부와 의미부의 접점이 게르만어유형론과 관련 문법규칙들이 통시적 인 문법화과정과 어떤 상관관계를 맺는지를 고찰해 본다. 독일어와 영어의 관련된 자료 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형태론 상 격표지가 된 구조들, 수동태 및 통합절 구조, 의문 사구 적출현상, 관계절 적출현상 등을 다룬다. 이러한 기능주의적 유형론에 입각한 연 구에서 영어에 나타난 주어중심적인 문법구조들은 게르만어 유형론에 비추어 가장 극 단적인 경우로 해석되어 질 수 있다. 또한 Li & Thompson의 연구에서 전통적으로 전 형적인 주어 중심적 언어로 분석되어온 독일어의 경우에도 보다 정밀하게 조사해 보면 주어중심적인 구조가 상당히 제한되어 있음을 경험적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점위적 유형론(prominence typology)에서 주어중심(subject-prominent)과 주제중심언어 (topic- prominent)로 구분하는 전통적인 이분법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이 유형론을 더 발전시켜 의미적 투명성을 보다 뚜렷하게 보여주는 독일어와 반대로 의미상 불투명 한 문법관계를 보이는 영어구조의 이면에 존재하는 서로 상반된 문법화방향을 제시한 다. 문법화과정에서 통사적 규칙이 더욱 발달하게 된 영어의 경우 주어의 영역이 격표 지와 상관없이 불투명하게 확대되며 반면에 독일어의 경우 문법화규칙은 보수적인 성 향을 띄게 된다. 결국 문법관계에서 의미적 투명성과 통사적 규칙의 발달방향은 서로 이질적이며 반비례적인 성격을 담지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은 언어적 표현을 통한 인간 의 인지과정과 문법규칙의 통시적 발달과정(문법화과정), 그리고 언어수행(language performance) 간에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 준다.

      • KCI등재

        구문문법과 제2언어습득 - 독일어의 동작동사구문을 중심으로

        성상환 한국독어학회 2015 독어학 Vol.31 No.-

        본 연구에서는 인지문법에서 최근 가장 정교한 설명모델을 제시하는 구문문법과 제2언어습득의 상관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어모어화자가 독일어를 제2언어로 습득할 때 드러내는 차이점과 특징들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이 연구에서 우선 필자는 보다 광범위한 영역인 인지언어학과 일반적 언어습득, 인지문법에서 바라본 제2언어습득, 구문문법과 언어습득/제2언어습득과의 상관관계를 핵심적인 연구 성과들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정리하고 특히 움직임/동작을 중심으로 경로/방식의 표현과 의무적으로 결합되는 독일어의 타동사구문이 한국어모어화자의 습득실험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현되는가에 초점을 두고 구문문법의 패러다임을 통해 분석하기로 한다. 본 논문은 1) 제2언어습득에 있어 인지문법/구문문법이라는 이론적 토대에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2) 한국어 모어화자의 독일어 동작동사구의 습득양상이라는 경험적 연구라는 두 부분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In diesem Artikel wird der L2 Erwerbsprozess der koreanischen Muttersprachler anhand der Konstruktionsgrammatik analysiert. Der Begriff Konstruktionsgrammatik (construction grammar, CxG) bezieht sich auf grammatische Theorien oder Modelle, die davon ausgehen, dass die grundlegenden Einheiten der Grammatik nicht atomare syntaktische Einheiten und deren Kombinationsregeln sind, sondern sogenannte Konstruktionen. Die gesamte Grammatik einer Sprache besteht aus taxonomischen Hierarchien solcher Einheiten. Der Erwerb einer Fremdsprache oder Zweitsprache bezeichnet den Lernvorgang eines Menschen oder einer Gruppe, der bzw. die nach dem Erlernen der ersten Sprache, der Muttersprache, erfolgt. In dieser Arbeit soll zuerst den maßgeblichen Theorien der kognitiven Grammatik zum Fremdsprachenerwerb, und der Beziehung zwischen der Erkennungs- oder Erfassungsphase sowie ihrer grammatikalischen Struktur durch eine “literaturfundierte Untersuchung” kritisch nachgegangen werden. Daraufhin werden durch empirische Experimente mit L1- und L2-Lernern der deutschen Sprache die Unterschiede im Spracherwerb untersucht und ihre Ergebnisse erörtert. Diese Versuche stellten koreanische Muttersprachler vor die Aufgabe Bilder, die den Vorgang der ,caused motion with path‘ Konstruktion darstellten, auf Deutsch zu beschreiben. Es war zu beobachten, dass die meisten Versuchspersonen es nicht nur äußerst mühsam fanden, die verschiedenen Verben mit präpositionalen Phrasen systematisch zu erfassen oder einen Unterschied in ihrer Bedeutung an sich zu erkennen, sondern auch dementsprechend die korrekte präpositionale Phrase im Akkusativ zu bilden. Dies ließ dann auch auf Lücken bei der Bildung des grammatikalischen Gerüsts schließen.

      • KCI등재

        비교언어학의 원리와 외국어교육에 대한 제언 -독일어와 영어를 중심으로-

        성상환 한국독어학회 2019 독어학 Vol.40 No.-

        본 연구에서는 독일어와 영어의 문법구조를 중심으로 비교언어학과 외국어교육과의 관계를 탐색해 보 고자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독일어와 영어의 대표적인 유형론적인 차이점과 특징들을 집중적으로 논 의하고 두 언어를 비교적 관점에서 교수할 때 주목해야할 차이점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 는 게르만어를 대표하는 독일어의 전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언어비교에 입각한 외국어교육의 관점에서 독일어와 영어의 부정사구문의 종류와 특징을 살펴본다. 이에 대한 논의가 게르만어 격체계의 역사적 변화 및 동사전철의 형태변화와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논의에서 도출된 비교문법적 원리가 외국어교육을 위해 어떠한 제언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본다. Der Zweck dieser Studie ist es, die Beziehung zwischen vergleichender Sprachwissenschaft und Fremdsprachenunterricht zu untersuchen, wobei der Schwerpunkt auf deutschen und englischen Grammatikstrukturen liegt. Insbesondere befasst sich dieser Artikel mit den typischen typologischen Unterschieden und Merkmalen von Deutsch und Englisch sowie mit den Unterschieden, die beim vergleichenden Unterrichten der beiden Sprachen zu beachten sind. In diesem Artikel werden die allgemeinen Merkmale des Deutschen, das die germanischen Sprachen vertritt, und die Arten und Merkmale der Infinitivphrasen des Deutschen und des Englischen im Hinblick auf die Übersetzung und den Fremdsprachenunterricht untersucht. Dieser Aufsatz untersucht kritisch, wie diese Diskussion mit den historischen Ver- änderungen des germanischen Systems und den Veränderungen in der Form von verbalen Präfixen zusammenhängt und schlägt Implikationen für den Fremd- sprachenunterricht v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