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산악부원과 일반대학생과 건강체력 비교

        성봉주,백형훈 한국학교체육학회 2001 한국학교 체육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산악부원 남자 대학생(n=10)과 일반 남자 대학생(n=10) 간의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최대산소섭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bruce treadmill protocol을 이용한 더글라스백법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근력면에서는 왼손 악력에서, 근지구력 면에서는 팔굽혀펴기에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최대산소섭취량과 단위 체중당 최대산소섭취량, 운동지속시간, 환기 당량, O_2 pulse 등에서도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대학산악부원이 일반대학생들보다 전체적인 체력면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규칙적이고 꾸준한 대학산악부 활동은 동 연령충의 일반 남자대학생보다 전체적인 건강체력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나마가 일부 능력에서는 운동선수들과 비슷하거나 그보다 약간 낮은 결과를 보여 운동강도가 낮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대학산악부 활동에 좀 더 체계적인 훈련프로그램을 도입한다면 운동상해 예방과 더불어 유리한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cardiopulmonary endurance of university male climbers and general university male students. By indirect gas-collecting method (Douglas bag), 20 subjects (each subject per ten) performed maximal treadmill work with Bruce protocol to examine V02max prediction. From the upper statistical procedure, results were made as follow; 1. Muscular strength(Left-arm pip strength)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ops(p<0.5). 2. Muscular endurance(Push-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p<.05). 3. Maximal oxygen uptake(VO_2max)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p<.05). 4. Maximal oxygen uptake in relation to body weight(VO_2/kg)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p<.05). 5. All-out time(min)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p<.05). 6. Ventilation equivalent(VE/VO_2)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p<.05). 7. Oxygen pulse(O_2, pulse; mℓ/beat)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p<.05).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 that in most of cardiopulmonary variables, muscular strength(Left-arm grip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push-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climber and general university male students).

      • KCI등재

        한국노인의 체력등급에 따른 혈압 및 비만도의 차이: 국민체력 100 어르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봉주,서지원,이정렬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체육과학연구 Vol.33 No.2

        PURPOSE High blood pressure and obesity pose significant health problems for older individuals.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regular exercise improves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decreases blood pressure and obesit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and obesity according to the physical fitness level of Korean older individuals using the National Fitness 100 data and used the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physical fitness through regular physical activity or exercise for older individuals. METHODS From 2013 to 2019, a total of 218,848 subjects (men=74,271, women=144,577) aged ≥65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Fitness 100 had their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balance, coordination, and flexibility measured, and they were ascribed a fitness level.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BMI), percentage of bodyfat,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fitness level.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older men, and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of older women by the fitness level (p<.001). In both older men and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percentage of bodyfat, and waist circumference according to the fitness level (p<.001). CONCLUSIONS In conclusion, men and women showed different aspects in blood pressure, but Korean older individuals with having a high level of fitness managed their weight and body fat well. The decrease in obesity and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through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could be a positive effect on maintaining health and extending healthy life years. [목적] 노인들에게 있어 고혈압과 비만은 매우 중요한 건강관련 문제로 여겨진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체력요소들이 향상되고 더불어 혈압과 비만이 감소하는 것이 사전연구들을 통해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체력100 데이터를 활용하여한국노인의 체력등급에 따른 혈압 및 체격의 차이를 알아보고, 노인들에게 규칙적인 신체활동 혹은 운동을 통한 체력수준유지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2013년부터 2019년까지 국민체력100에 참여한 65세 이상 성인 남녀 218,848명(남=74,271명, 여=144,577명) 을 대상으로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평형성, 협응력, 유연성을 측정하여 체력등급을 부여하였다. 혈압, 체질량지수(BMI), 체지방률,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체력등급별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남성노인은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에서, 여성노인은 이완기 혈압에서 체력등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p <.001). 남녀 노인 모두 BMI, 체지방률, 허리둘레의 체력등급별 차이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결론] 결론적으로, 혈압에서는 남녀가 다른 양상을 보였으나, 체력수준이 높은 한국 남녀 노인은 체중 및 체지방 관리를 잘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규칙적인 신체활동 및 운동을 통해 비만을 감소시키고 체력을 증진시킨다면, 건강을유지하고 건강수명을 연장시키는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엘리트 육상 투척 세부 종목별 나이, 체격요인과 기록의 특성 분석

        성봉주,고병구,서지원,정범철,유덕수,김봉주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e, record and physique of finalists(n = 130) in the 2016 Rio Olympic Games and the 2017 Athletics World Championships(shotput, discus, javelin, hammer throw).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ques(height, weight) and record. 1, Men's discus throwers were taller than men's javelin throwers and men's hammer throwers. The female discus thrower was taller than the female javelin thrower. 2. The male shotput was heavier than the male javelin thrower and the male hammer thrower. The male discus thrower weighed more than the male javelin thrower and the male hammer thrower. The male hammer thrower was heavier than the male javelin thrower. The female shot thrower was heavier than the female discus thrower and the female javelin thrower. The female hammer thrower was heavier than the female javelin thrower.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mong all the throwing events.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hysical physique(height, weight), age, and records of throwing events between the Olympic Games and the Athletic World Championships. 5. The male discus thrower's height and weight affected the record. The man hammer throw affected the record by his weight. The female shotput thrower's weight affected the record. 6. The most successful throwing events were in male hammer thrower (78.1%) and female hammer thrower(80.2%). 본 연구는 2016년 리우올림픽과 2017년 런던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참가한 남녀 육상 투척종목(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창던지기, 해머던지기) 결승진출자들(n=128)의 나이 및 신체조건(키, 체중)과 기록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자 원반던지기 선수는 창과 해머선수보다 키가 컸으며, 여자원반 선수는 창선수보다 키가 컸다. 2. 남자 포환선수는 창과 해머선수보다 체중이 무거웠으며, 원반선수는 창과 해머선수보다 체중이 무거웠다. 남자 해머선수는 창선수보다 체중이 무거웠고, 여자 포환선수는 원반과 창선수보다 체중이 무거웠으며, 여자 해머선수는 창선수보다 체중이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3. 남녀 모든 투척종목(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창던지기, 해머던지기) 간 나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 간 투척종목(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창던지기, 해머던지기)의 체격(신장, 체중), 나이와 기록 비교에서 남녀 모두 차이가 없었다. 5. 남자 원반던지기 선수는 신장과 체중이 기록에 영향을 주었고, 남자 해머던지기 선수와 여자 포환던지기 선수는 체중이 기록에 영향을 주었다. 투척종목 결승 6회 시기중 성공률은 남자해머던지기(78.1%)와 여자해머던지기(80.2%)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다.

      • KCI등재

        역대 올림픽대회 장대높이뛰기 결승진출자의 신체조건과 기록의 성차 및 상관관계

        성봉주,고병구,유덕수,정범철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1996년 아틀란타 올림픽부터 2016년 리우올림픽대회까지 총 6회의 올림픽 남녀(49명, 41명) 장대높이뛰기 결승진출자들의 경기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변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6번의 올림픽에서 결승전에 진출한 49명의 국가별 남자선수분포는 독일 24.5%, 러시아 16.3%, 미국 14.3%, 프랑스 8.2%, 호주 6.1% 순이었고, 이웃나라인 일본과 중국이 각각 1명이 있었다. 5번의 올림픽 결승전에 진출한 여자선수 41명은 독일 24.4%, 러시아 14.6%, 미국 14.6%, 폴란드 9.8%, 체코, 쿠바, 호주, 이스라엘 각 4.9% 순이었다. 장대높이뛰기 선수들의 남녀별 키, 체중, BMI, 나이에서 각각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대높이뛰기 기록(남: 5.79m, 여: 4.62m)은 남녀 성차가 20% 정도 차이를 보였으며, 시작기록도 남자 5.52m, 여자 4.33m로 1m 이상 차이가 났다. 그러나 총 시도 횟수는 남녀 각 8회로 성공 횟수(남자 3회, 여자 3.3회)와 더불어 남녀간 통계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녀 장대높이뛰 기 선수의 경기력 영향요인으로는 공통적으로 시작기록이 높을수록, 총 시도횟수(평균 7~8회)와 성공 횟수(평균 3~4 회)가 많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pole vault players(49 men and 41 women) who entered the Olympic Games(1996~2016) finals. In order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condition and records,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 Among the previous Olympic pole vault finalists, Germany had the most number(25.5 percent) and women(24.4 percent). followed by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Next, there were many Russian and American pole vault play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men 187.2cm, women 172.3cm), weight(men 80.8kg, women 60.6kg), BMI(men 23.0, women 20.4), and age(men 26.7yr, women 25.9yr) between male and female athletes. The pole vault records (men's 5.79 meters and women's 4.62 meters) show significant results (20 %). The starting record for pole vault was 5.52 meters for men and 4.33 meters for women, which is more than one meter. However, the total number of attempts (eight per gender) and the number of successes (three males and 3.3 females) did not show any gender differences. The higher the starting record, the higher the total number of attempts(7∼8 beats), and the greater the number of successes(3∼4 beats), the better the records of female pole vault players. The higher the starting record, the greater the total number of attempts and the number of successes, the better the record.

      • KCI등재

        사이클 우수 단거리선수와 중ㆍ장거리 선수들의 체격 및 근력과 근파워 중심의 체력특성 분석

        성봉주,이종백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8 체육과학연구 Vol.29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physique, strength, and power for cycling national athletes (Sprint cyclists and Road race cyclists). [Methods] We measured various factors (e.g., height, weight, body fat ratio, thigh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anaerobic power,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muscle power, squat jump by 1RM intensity, and so on) for a total 11 male cycling national athletes (5 Sprint cyclists and 6 Road race cyclists). [Results] First, the body composition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weight (p=0.31) and BMI (p=.001) for Sprint cyclists. Second, the values of the anaerobic power for the Sprint cycli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the Road race cyclists only at peak power (p=0.28),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power,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and muscle power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the isokinetic trunk flexion muscle (p = .016) for the Sprint cycli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the Road race cyclists. Fourth,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to Peak Torque was not found between two groups. Fifth, the values for the Sprint cyclis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5 intensity groups (0%, 30%, 50%, 60%, and 80%) (p=.001) of the squat jump.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0% velocity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exercise intensity. [Conclusions] From the various measures between two groups, the Sprint cyclists relatively showed the high weight, BMI (muscle mass), and maximum power. Additionally, the isokinetic trunk flexion muscle and the squat jump were higher in the Sprint cyclists than the Road race cyclists. These data may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physical fitness factors related to the athletic performance of the athletes by reflecting them in the effective training plan and evaluation of the athletes. [목적] 본 연구는 사이클 국가대표 단거리 및 중·장거리 선수들의 체격 및 근력과 파워를 중심으로 한 체력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방법] 총 11명의 남자 사이클 국가대표 선수(단거리 5명, 중·장거리 6명)를 대상으로 신장, 체중, 체지방률, 체중대비제지방률, 대퇴부둘레, 허리둘레 등의 체격요인과 무산소성파워, 등속성 각근력과 각근파워, 몸통근력과 몸통파워, 등척성 근력평가와 힘의 발생비율(Rate of Force Development), 1RM대비 강도별 Squat jump를 평가하였다. [결과] 첫째, 신체조성은 사이클 단거리 그룹에서 체중과 BMI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무산소성파워 측정에서 사이클 단거리 선수들이 중·장거리 선수들에 비해 최고파워(Peak Power)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평균파워(Average Power)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등속성 근력 및 근파워 평가에서, 각근력에서는 사이클 단거리 선수들과 중·장거리 선수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등속성 몸통 근파워 굴근에서 사이클 단거리 선수들이 중·장거리선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힘의 발생비율 평가(Time to Peak Torque)에서는 선수들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스쿼트점프(Squat Jump)에서는 운동강도별 5구간(0%, 30%, 50%, 60%, 80%) 모두 사이클 단거리선수들이 중·장거리 선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속도에서는 0%에서 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고, 나머지 운동강도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대표 사이클 선수들의 단거리와 중·장거리 선수들의 종목별 체격 및 체력의 특성의 차이를 분석결과, 단거리 선수들이 체중과 BMI가 상대적으로 높았고(근육량) 최고파워 또한 높았다. 등속성 몸통굴근에서 단거리 선수들이 우수하였고 스쿼트점프 운동강도별 비교에서도 단거리 선수들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향후 각 종목 선수들의 효율적인 훈련계획과 평가에 반영하여 선수들의 경기력과 관련 있는 체력요인의 향상을 이끌어 내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