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르마냑파와 부르고뉴파의 내전-국가권력을 둘러싼 제후 당파들의 투쟁-

        성백용 한국프랑스사학회 2018 프랑스사연구 Vol.- No.38

        The Armagnac-Burgundian civil war from 1410 to 1435, provoked by the assassination of Louis, duke of Orléans on the 23th November, 1407, originated from heated rivalries between the royal princes to acquire more financial resources in order to conduct ambitious expansionist policies and power strife. The struggle of the two ‘parties’ resulted in a vicious circle of hysterical political violence. As much as the political violence, what stood out in this civil war was an intense propaganda war, the so-called ‘battle of symbols and words’, with various symbols, slogans and inflammatory rhetoric. This civil war, as a watershed in terms of the integration of the French kingdom, thus showed new dynamics in the field of political culture. Not to mention the military strength, the princely parties needed to receive the support of public opinion, so they tried to win over influential supporters who could mobilize public opinion. It was certainly a new phenomenon that the politically overheated moods appeared, rearranging under the name of parties the various people including ordinary citizens as well as nobles and urban elites irrespective of their status and using physical and verbal violences against each other. It was also an event that heralded a change of direction of political struggle in the French kingdom that would be henceforward more and more open to public space and public opinion. 1407년 11월 23일 오를레앙 공작 루이의 암살을 발단으로 하여 1410년부터 1435년까지 사반세기 동안 지속된 아르마냑파-부르고뉴파 내전은 이 시기 왕족제후들의 야심찬 팽창정책과 권력투쟁, 그리고 그에 따른 국왕 재정을 둘러싼 각축에서 비롯되었다. 중앙의 실권 장악을 위한 두 당파의 투쟁은 발작적인 정치폭력의 악순환을 낳았다. 이 같은 정치폭력 못지않게 이 내전에서 두드러진 점은 다양한 상징과 구호, 선동적 언설을 동원한 치열한 선전전, 이른바 ‘상징과 말의 전투’였다. 왕국의 통합이라는 면에서 하나의 분수령이 된 이 내전은 이와 같이 정치문화의 영역에서 새로운 역동성을 드러냈다. 제후 당파들은 군사력 못지않게 여론의 지지를 필요로 했고, 그래서 상징과 말을 동원한 여론전을 펼치는 동시에 여론의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는 유력한 지지자들을 포섭하는 데 열을 올렸다. 귀족과 도시 엘리트 계층만이 아니라 일반 시민에 이르기까지 신분을 가로질러 사람들을 당파의 이름으로 구별하고 서로에게 물리적·언어적 폭력을 행사하며 정치적으로 과열된 분위기를 보인 것은 분명 새로운 현상이었다. 그것은 차후 프랑스 왕국에서의 정치적 투쟁이 점점 더 공적 공간과 여론을 둘러싸고 펼쳐질 것임을 예고하는 사건이었다.

      • KCI우수등재

        13세기 중엽 서유럽의 연대기에 나타난 몽골의 이미지 -매튜 패리스의 연대기를 중심으로-

        성백용 한국서양사학회 2022 西洋史論 Vol.- No.154

        The so-called ‘furor Tartarorum’, which struck the Christian world in Western Europe in the mid-13th century, has long represented a psychological trauma to Europeans.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images and discourses of the Mongols in the chronicle of Matthew Paris, a Benedictine monk from Saint Albans. The myths and legends inherited from ancient and Christian traditions shaped the images of the Tartars in the writings of this brilliant monk. They were identified with Gog and Magog, Ishmaelites, and the Ten Lost Tribes of Israel, and described as monstrous cannibals. These grotesque images confirm that the apocalyptic or eschatological structure of consciousness dominated among intellectuals of the time. Matthew Paris’ record clearly shows that the Mongols were doomed to be kept in formidable prisons of such a symbolic world. 13세기 중엽 서유럽 기독교세계를 강타한 ‘타르타르의 공포’는 오래도록 유럽인들에게 정신적 트라우마가 되었다. 이 글은 세인트얼반스의 수도사 매튜 패리스의연대기에 나타난 몽골에 대한 이미지와 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영민한 베네딕투스회 수도사의 기록에서 타르타르인들의 이미지를 빚어낸 재료는 고대와 기독교 전통으로부터 물려받은 신화와 전설이었다. 이들은 곡과 마곡, 이스마일 지파, 사라진 열 지파 등과 동일시되었으며, 엽기적인 식인귀로 묘사된다. 이 괴기스러운 이미지들을 통해서 우리는 묵시록적 또는 종말론적 의식 구조가 그 시대 지식인들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매튜 패리스의 기록은 몽골인들이 그러한 상징세계의 견고한 감옥에 갇힐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맨드빌의 『여행기』와 동양

        성백용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0 동국사학 Vol.49 No.-

        It is doubtless that Mandeville’s Travels was a pastiche of miscellaneous facts and traditions extracted from ancient and medieval sources. Nowadays this work tends to be regarded as a ‘summa’, encyclopedia of travelogues, or a ‘romance of travels’. Nonetheles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rests on not only its unprecedented popularity due to an absorbing narrative but also its great influence on the world view of common people as well as many voyagers in the age of Exploration. But, beyond just satisfying readers’ curiosity, it intended to give a meaningful lesson through those entertaining stories, especially by satirizing and criticizing the corruption of Christendom. The satire and criticism of the degenerate Christendom implied self-objectification based on cultural relativism. In fact the author did not disparage nor blame so many different customs of heathens but keep his eyes on something in common between ‘us’ and ‘them’ beneath superficial differences. This article inspects such perspectives of the author exposed in two parts of Travels that covered far and strange ‘that side’(or ‘beyon half’) such as India, Cathay, and Prester John’s kingdom in the East as well as near and familiar ‘this side’(or ‘this half’) including Greece and the Holy Land. It focuses on author’s attitude toward the Orthodox Church and Islam, heathen idolatries and cannibalism, natural religion of ‘bon sauvages’, and also emphasizes that his argument of a spherical earth was closely related to his enlightened view of the Others. 맨드빌의 『여행기』는 고대와 중세의 다양한 전거에서 끌어낸 사실과 전승의 짜깁기임에 틀림없다. 오늘날 많은 학자들은 이 작품을 여행기들의 대전(大全)이나 백과사전, 또는 공상 여행소설로 자리매긴다. 그럼에도 이 작품의 역사적 가치는 그것이 사실과 허구를 넘나드는 흥미진진함으로 엄청난 인기를 끌어 대항해 시대의 탐험가들은 물론 일반 대중의 의식세계를 오래도록 사로잡았다는 데 있다. 하지만 대중의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것 이상으로 이 작품은 그런 재미 속에 깊은 교훈을 담았거니와, 그것은 곧 동양이라는 타자의 거울을 통해 기독교세계의 타락을 풍자하고 비판한 것이다. 자기를 향한 이 같은 풍자와 비판은 문화적 상대주의에 기반을 둔 주체의 객관화를 의미한다. 실제로 저자는 수많은 이교도 집단의 이질적인 관습을 폄하하거나 비난하기보다, 표면상으로 관찰되는 차이들의 저변에 깔린 근본적인 유사성에 주목한다. 이 논문은 <여행기>의 두 부분, 즉 가깝고 익숙한 ‘이쪽 편’의 세계인 그리스와 성지 일대를 다룬 앞부분과 멀고도 낯선 ‘저쪽 편’의 세계인 인도와 캐세이, 요한 사제의 나라 등지의 동양을 다룬 부분에서, 저자의 그러한 시각이 어떻게 나타나 있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그리스 정교와 이슬람, 이교도의 우상숭배와 식인 풍습, ‘선량한 야만인들’의 자연종교에 대한 저자의 태도에 초점을 맞추며, 아울러 저자의 지구구형설이 그의 계몽된 타자관과 무관하지 않음을 강조한다.

      • KCI등재

        두 왕국 최전선의 도시 칼레

        성백용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1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8

        칼레는 백년전쟁 동안 펼쳐진 수많은 장면과 사건들의 기억이 서려 있는 도시이다. 그중에서도 ‘칼레의 부르주아들’에 관한 유명한 에피소드는 장 르벨, 프루아사르 같은 연대기작가들의 극화에서 비롯된 말 그대로 전설에 불과한 것이지만, 프랑스 땅 안의 영국 도시로 변모한 칼레의 새로운 운명을 상징한다. 프랑스로 들어가는 열쇠이자 교두보로서 칼레는 적국 내의 항구적인 전초기지로서의 역할을 유지하기 위해 재정적 기반을 필요로 했다. 칼레에 상시 주둔한 수비대는 영국왕의 재정에 막대한 부담을 지웠다. 1363년에 칼레에 설치된 양모 스테이플과 상인들의 회사는 칼레가 오랫동안 군사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있게 해준 일거양득의 방책이었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칼레는 애초의 군사도시로서의 역할보다 상업도시로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장 파비에의 말처럼 “영국은 보르도의 번영을 낳았지만, 칼레는 영국의 번영을 낳았다.” 이 글은 두 왕국의 최전선에서 군(軍)・상(商) 복합도시로서 새로운 운명을 맞게 된 칼레의 이 같은 이중적 면모를 조명한다. Calais is a city fraught with the memories of numerous scenes and events that took place during the Hundred Years’ War. Among them, the famous episode about ‘The Bourgeoisie of Calais’ is literally just a legend from the dramatizations of chroniclers such as Jean Le Bel and Jean Froissart, but it symbolizes the new fate of Calais transformed into an English city in French soil. As the key and bridgehead into France, Calais needed a financial base to maintain its role as a permanent outpost within the enemy state. The garrison, permanently stationed at Calais, laid an enormous burden on the royal finances. The wool staples and merchants’ company established at Calais in 1363 were a win-win situation for the city’s long-standing military base. These developments allowed Calais to play a more important role as a trading base than its original military base. As Jean Favier puts it, “England begets the prosperity of Bordeaux, but Calais begets the prosperity of England.”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dual aspect of Calais, which met its new fate as a city of the military-commercial complex at the forefront of the two kingdoms.

      • KCI등재

        프랑스 국왕의 순례: 성왕 루이 9세의 순례 행적

        성백용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3 西洋中世史硏究 Vol.- No.51

        The era of Saint Louis witnessed the height of prosperity of the Mendicant Orders. Louis was not only the “father and benefactor” of the friars, but also tried to emulate their ideals and lives. His inner spirituality and passion for religious practices, such as listening to sermons, penitence, humility and charity, were the virtues of a lay saint inspired by the new devotion. The image of Louis as a friar-king, portrayed by royal confessors such as Guillaume de Saint-Pathus, was not entirely fictitious in the light of contemporary voices criticizing his friarly conduct. During the period when the popular religious practices of pilgrimage, along with confession and Eucharist, unfolded, the friar-king also appeared as a devoted pilgrim-king. In particular, the pilgrimage to Rocamadour in May 1244 clearly indicated that the pilgrimage, an extremely private and religious act, was extended to a reality of politics, to a certain extent. As Jacques Le Goff points out, efforts to reach religious goals and actions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were inextricably intertwined. Similarly, as an object of religious worship posthumously, Saint Louis also became a valuable political halo of the French dynasty. 성왕 루이의 시대는 탁발수도회의 번성기이기도 했다. 루이는 탁발수도사들의 “아버지요 은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이상과 삶을 본받고자 노력했다. 설교와 속죄, 겸양과 자선 등 내면의 영성과 실천에 대한 그의 열정은 새로운 신앙의 정신에 감화한 속인 성인의 성덕이었다. 기욤 드 생파튀스(Guillaume de Saint-Pathus) 같은 궁정의 고해신부들이 그려낸 수도사-왕 루이의 이미지는 수도사 같은 그의 처신을 비난한 당시의 목소리들로 보건대 완전히 허구는 아니었다. 고해, 성체성사와 더불어 순례라는 대중적인 종교 관행이 발달한 이 시기에 이 수도사-왕은 또한 헌신적인 순례자-왕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특히 1244년 5월 로카마두르 순례는 지극히 사적이고 종교적인 행위인 순례가 다소간 정치의 연장이고 현실이었음을 잘 보여준다. 자크 르고프의 지적처럼 종교적 목적에 도달하려는 노력과 왕권을 강화하려는 행동은 불가분하게 얽혀 있었다. 마찬가지로 사후에 종교적 숭배의 대상이 된 성 루이는 또한 프랑스 왕조의 정치적 후광이 되었다.

      • KCI등재

        14세기 말-15세기 초 프랑스 왕국의 ‘재정 혁명’과 재정 문제

        성백용 전북사학회 2010 전북사학 Vol.0 No.36

        During the reign of Charles V and Charles VI, the French royal revenue witnessed considerable changes, characterized by its remarkable and consistent increase, which might be called 'the financial revolution'. These changes were materialized by the permanent tax system and the royal monopoly of taxation. The royal regime also managed to appease the resistance of ruling classes to this practice by exempting them from paying the taxes and allowing great seigneurs and municipalities to take a portion of tax revenue from their jurisdictions. In the reign of Charles VI, however, when the royal control withered away and the influence of royal princes, so-called 'sires des fleurs de lys' grew, the increased royal revenue became a stake that instigated the ambition and struggle among the princes. The issues of this struggle consisted in: who would take the greater part of the government purse, and conversely, in order to be victors it was necessary for them to take more than their rivals. Consequently, the large reservoir filled with tax income was being transformed into private sources by which several factions of princes were able to maintain and increase their protégés who were eager to seek protection from the powerful. When the royal taxation was about to be a main channel to absorb resources of the subjects, in the root of the crises the French kingdom faced was the privatization of state finance and the consequent réféodalis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