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X 디자인 워크숍 비대면 전환 프레임워크 연구

        성다인(Dain Seong),하광수(Kwang-Soo Ha)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확산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대면으로 이루어지던 일상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면서 빠른속도로 다양한 활동이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되거나 새로운 비대면 활동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면 방식의 활동을 단순히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비대면화하는데 한계가 존재하며 이는 역설적으로 그간 디지털을 중심으로 해결책을 제시해온 UX 디자인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협업을 강조하는 UX 디자인 특성에 기인한다. 특히 UX 디자인 분야에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집하고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등 생산적 활동 방법인 워크숍 활동에서 소통과 협업 측면에서 원활한 진행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UX 디자인 분야에서 워크숍 활동을 특징을 파악하고 워크숍 활동의 주요 행동에 대해 효과적으로 비대면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닐슨노먼그룹이 정의한 UX 디자인 분야의 워크숍 활동 유형 중 아이디어 생산 및 발산과 수렴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디자인 워크숍 유형을 대상으로 하여 표준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표준 프로세스에 워크숍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방법론과 소통 및 디자인 활동 협업을 위한 비대면 서비스를 조합하여 비대면 워크숍 활동을 구성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다양한 워크숍 유형에 대응하여 비대면화를 위한 적용 가능성과 효용성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UX 디자인 워크숍 활동에 대해 효율적인 비대면 전환과 워크숍 활동을 통한 이해관계자들의 협업 측면에서 활용을 기대한다. As the spread of COVID19 has compelled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to transform to adapt to the non-face-to-face environment, various activities have either already been transitioned into non-face-to-face methods or been searching for alternative methods to carry out activities in a non-face-to-face manner. However, there are apparent limits in handling this transition with the pre-existing digital technology. Ironically, said limitations are more apparent in the UX design field that has thus far emphasized resolution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e reason for this stems from the nature of UX design which strong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Especially, in the field of UX design, problems are expected to surface under areas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workshops, which are productive means of collecting the ideas of interested parties and coming up with other new idea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ise of necessity,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workshops in the field of UX design and suggest an effective method of transitioning UX workshops into a non-face-to-face environment. Along the line of this process, this study has created a standard process in regards to design workshops with active creation, suggestion, and acceptance of ideas, among the various types of workshops defined by the Nielsen Norman Group. This study also developed a framework consisting of non-face-to-face workshops by combining with the standard process the methodologies of workshop activation and non-face-to-face services meant for communication and designing activities, and confirmed the adapta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said transition against various types of workshops. Ap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effectively lead the transition into the non-face-to-face environment and improve the collaborative efforts of the interested parties via workshops.

      • 교육 환경에서의 언택트 워크숍 서비스 환경개선을 위한 디자인 제안

        성다인(Dain Seong),하광수(Kwangsoo Ha)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확산으로 인해 인구가 밀집되거나 대면으로 이루어지는 일상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이 커지며 언택트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비대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와 서비스가 다양하게 제공되면서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이에 따라 교육을 위한 워크숍과 세미나에서도 언택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언택트 서비스를 이용한 워크숍은 다양한 기술적 시도에도 불구하고 도입 과정과 운영프로세스, 환경 등 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실 예로 원격으로 화면을 공유하고 화상으로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이용 방식이 익숙치 않은 사용자들이 새로운 방식에 적응하지 못해 사용자들 간에 격차가 발생하고 이는 워크숍의 품질과 직결되기도 한다. 또한 여러 화면을 공유하다 보니 화면이 누락되거나 모든 사용자의 의견을 취합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실질적인 워크숍 진행이 어려워 교육 현장에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교육환경의 언택트 워크숍과 오프라인 워크숍 사이에 발생하는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언택트 워크숍 환경을 조성하여 사용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언택트 워크숍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언택트 워크숍 환경 구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교육현장에 적합한 언택트 워크숍 서비스와 프로세스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아동을 위한 체온 기반 출입 및 원생 관리 서비스 설계 및 구현

        최주희(Juhee Choi),성다인(Dain Seong),윤예진(Yeajin Yoon),김수림(Soorim Kim),김도윤(Doyun Kim),하광수(Kwangsoo Ha)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코로나 19 의 빠른 확산과 장기화로 인해 비대면을 중심으로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른 방안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행동 지침을 공고하고 세부 지침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세부 단계 신설,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시행하고 있다. 공공기관, 사업장 또한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한 체온 측정 및 체온기록을 통해 확산을 방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19 의 장기화로 다중 밀집 지역에서 비감염자와 감염자를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중 아동이 성인보다 표면적으로 감염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고, 감염 시 더 많은 바이러스를 배출한다는 측면에서 큰 위험요소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코로나 19 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다중 밀집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 다중 밀집지역에서 체온 기반 출입 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아동의 일반적인 이동 동선을 분석할 것이며, 위 내용을 기반으로 집중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조사, 분석한 후 사용성 평가를 실행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해 낸 문제점을 기반으로 향후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출입 시스템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시스템의 방향을 UX 디자인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 도시공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윤예진(Yeajin Yoon),성다인(Dain Seong),남유선(Youseon Nam),정태원(Taewon Jung),하광수(Kwangsoo Ha)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최근 공공기관에서는 도시공원을 활성화시키기위한 다양한 연구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도시공원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을 통해 도시공원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시공원 내에서 공원 이용자의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도시공원 안전 관리 현황과 서비스를 조사하고 도시공원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기술을 검토해 적용에 따른 장단점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UX 디자인 측면에서 도시공원 안전을 위한 해결책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개발될 효율적인 도시공원 안전 관리를 위한 기술과 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국립대전현충원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서비스 제안

        김수림(Soorim Kim),김도윤(Doyun Kim),성다인(Dain Seong),윤예진(Yeajin Yoon),최주희(Juhee Choi),하광수(Kwangsoo Ha)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국립대전현충원이 도시 내 공원으로서 가지는 확장적 가치를 제고하고 기술과 결합한 디지털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통해 국립공원 내 다양한 서비스의 도입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국립대전현충원의 이용객 유형과 시설 이용 분석을 통해 장소의 특성에 적합한 AR기술의 실효성을 검토하여 ‘모바일 길안내 서비스’ 형태의 서비스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