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이 학생들의 무용몰입 및 무용성취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경희(Kyung Hee Sung),박인실(In Sil Park) 한국여성체육학회 2014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instructors` use of nonverbal communication on students` dance commitment and dance achievement ability. To achieve the foregoing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263 dance-majoring students attending K, S and D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conclusions from the above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on dance commitment, this study found out that only cognitive commitment affects physical appearance, spatial language and semantic language.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on dance achievement ability, achievement of creative ability turned out to have an influence on physical appearance and physical language, and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ability affects physical language and semantic language, and achievement of practical ability exerts an influence on spatial language and physical language respectively.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on dance achievement ability, only achievement of creative ability turned out to have an effect on behavioral commitment.

      • KCI등재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조사 연구

        성경희 ( Kyung Hee Sung ),조희진 ( Hee Jin Ch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4

        미래의 사회과 교실수업 실행가로서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중요하다. 특히 사회과 교과 성격을 이해함에 있어서 목표, 내용, 방법 간에 일관성을 보여 인식의 괴리가 없는지 살펴보는 것은 미래의 실제 사회과 수업의 혼란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Barr 외(1977, 1978)의 유형화에 따라 시민성 전달, 사회과학, 반성적탐구의 세 가지 모형으로 사회과 교과의 성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검토하였다. 우선 배경변인에 따른 예비교사의 인식 차이를 조사한 결과, 기술통계에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인 반성적 탐구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주로 시민성 전달 모형에서 집단 간 차이가 발생했다. 또한 사범대학 사회교육 전공 집단, 학년이 높은 집단, 사회과 교과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시민성 전달 모형에 대한 지지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사회과에 대한 태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예비교사의 사회과에 대한 관심도가 반성적 탐구 모형 전체와 방법적 측면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설명된 변화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과 교과 성격 인식에서 목표, 내용, 방법 간의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반성적 탐구 모형은 세 모형 중 유독 상관관계가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예비교사들이 반성적 탐구 모형을 가장 많이 지지함에도 불구하고, 반성적 탐구 모형 내 목적, 내용, 방법 간에 상관관계가 약하게 나타나 사회과 교과 성격을 이해함에 있어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학년이 높은 집단, 사회과 교과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이 시민성 전달 모형에 대한 지지도가 낮다는 점을 고려해본다면, 예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교육을 수업을 수강하고 사회과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쌓아갈수록 반성적 탐구모형에 대한 지지도는 증가하지만 교과 성격 이해에 대한 일관성은 오히려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과 교과교육이나 사회과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사회과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고려가 강조되어야 함을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The perception of student teachers as a practitioner in social studies class is important. Especially, the examination whether there is a gap between purpose, method and content about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nature is very significant for the prevention of confusion in the future social studies clas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student teachers` perception on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with ``Social Studies Preference Scale`` of Barr et al.(1978, 1979).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preception gap of student teacher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differences between groups have mainly appeared in the citizenship transmission tradition, not reflective inquiry tradition which is ranked number one in descriptive statistic. Lower supports of citizenship transmission tradition tend to appear in the groups of preservice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upper grade student teachers, and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Next, the disparity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social studies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interest in social studies has effect on reflective inquiry itself and the method of reflective inquiry. However, the explained deviation was very small. Finall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consistency between purpose, method and content, correlation of reflective inquiry tradition appeared to be low, strangely. This means that, even though students teachers support reflective inquiry tradition the best, there is lack of consistency on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nature. Considering the low preference of citizenship transmission in the group of upper grade student teachers and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t could mean that the more students teachers receive social studies education concentration, the more they have support for reflective inquiry, but consistency on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nature is lost.

      • KCI등재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성경희(Kyung-Hee Su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 경북. 경남, 대전 지역에 거주 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청각장애인 남·녀 118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총 자아존중감에는 청각장애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지도력과 인기에는 구화 사용 청각장애인이 더 높은 지도력과 인기 수준을 가졌다. 둘째, 청각장애 유형에 따라 청각장애인의 총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구화만 사용 청각장애인이 더 높은 사회성 수준을 가졌다. 셋째, 동정 수용적 성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구화만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이 더 높은 동정 수용적 성향을 가졌다. 마지막으로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상담 받을 희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문제 해결을 위해 청각장애인은 모두 상담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lf-esteem, sociality, personal relationship, and attitude to counseling among the groups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A total of 118 male and female hearing-impaired people, over 20 years old, in Daegu, Gyeongbuk, Gyeongnam and Daeje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remarkable statistical difference in overall self-esteem depending on Groups of the Handicapped with Hearing Impairment. However, in terms of leadership and popularity as sub factors of self-esteem, the hearing-impaired communicating only in spoken language had more ability and higher level of leadership and popularity than the others using only sign language. Second, the result of statistic showed that Groups of the Handicapped with Hearing Impairment only in spoken language achieved higher level of sociality than using only sign language. Third, also hearing-impaired using only spoken language showed higher sympathy-acceptive tendency than using only sign language. Lastly, regardless of Groups of the Handicapped with Hearing Impairment, all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need counseling to solve their problems.

      • KCI등재

        소비자 주권과 권리의 관계 검토 및 소비자 의무의 내용 설정

        성경희(Sung Kyung He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1

        본 연구에서는 경제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소비자 권리와 소비자 의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소비자 권리의 개념을 소비자 주권과의 관계 속에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권리의 기본권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 권리 실현에 대한 전제조건이자 보완조건인 소비자의 의무에 관한 내용을 소비 활동의 각 단계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 권리가 규정 근거 및 형식이라는 형식적 측면에서는 사회적 기본권, 규정 내용이라는 내용적 측면에서는 복합적 기본권의 양태로 드러남을 밝혔다. 또한 소비자 책임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합리성, 경제성, 책임성이라는 세 측면에서, 소비자 권리와 보완적 관계를 지닌 소비자 의무의 내용을 설정하였다. 합리성은 선택의 이유 측면에서, 경제성은 선택의 과정에서, 책임성은 선택의 결과와 사용 과정에서 발휘되는 소비자 의무이다. 소비자 주권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권리의 보장뿐만 아니라 소비자 의무의 충실한 이행도 필요하다. 따라서 경제적 합리성이라는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해 경제교육에서는 소비자 권리뿐만 아니라 소비자 의무를 상호보완적으로 교수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finitize the concepts of consumer rights in relationship with consumer sovereignty, and further aims to define characteristic of consumer rights as the basic human rights. Besides contents of consumer responsibility as prerequisite and supplemental conditions to realize consumer rights are established. Consequently, this study identifies that consumer rights is social fundamental rights in the formal aspect and is complex fundamental rights in the content aspect. Moreover, this study establishes minimal domains of consumer obligation, namely rationality, economical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which have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consumer rights. Rationality is related to the reason of choice, economical efficiency is related to the procedure of choice, and responsibility is related with the result of choice and the process of use. For the actualization of consumer sovereignty, the faithful discharge of consumer obligation as well as the guarantee of consumer rights are required. Therefore, consumer rights and consumer obligation should work complementarily for the actualization of consumer sovereignty.

      • KCI등재

        자동채점 프로그램을 적용한 대규모 평가 사회과 서답형 문항 채점 및 결과 분석

        성경희 ( Kyung-hee Sung ),송미영 ( Mi-young Song ),노은희 ( Eun-hee No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대규모 평가에서 서답형 문항의 활용을 제고하고 채점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사회과 문항을 포함한 단어. 구 수준의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동채점 프로그램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사회과 서답형 문항의 채점에 적용하기 위한 절차를 탐색하고, 그에 따라 채점한 결과를 바탕으로 채점자 간일치도 측면에서 자동채점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자동채점 프로그램과 적용절차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조사하여 향후 보완해야 할 사항을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채점자 간 채점 점수의 완전일치도가 평균 99.5%로 매우 양호하여 채점 결과의 정확성을 중시하는 고부담 대규모 평가에도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어·구 수준 자동채점 프로그램의 사용자인 채점자와 채점관리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기능, 화면 구성 및 조작, 채점절차 측면의 만족도 조사 결과, 대부분 만족하여 편의성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규모 평가의 자동채점 적용에 대한 선도적인 연구로 새로운 평가 체제에 대비하여 채점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automated scoring application as a way to reduce scoring cost. For that purpose, the process for applying word- and phrase-level automated scoring program to constructed-response items in NAEA 2015 Social Studies is investigated, and the validity of automated scoring program is examined in terms of the exact agreement among raters about scoring results. In addition, the current research surveyed user-friendliness of the automated scoring program and its application process, and then categorized future complements for those. Consequently, it was revealed that the exact agreement rate among raters was 99.5% on averag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utomated scoring is adequate for the large-scale high-stakes assessments. Furthermore, as a result of surveying satisfaction about function and screen composition of the program and automated scoring process, most raters and scoring supervisors show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s a leading research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automated scoring to large-scale assessment,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raise the efficacy of scoring in preparation for a new assessment system.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사회과 교수행위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성경희 ( Kyung Hee S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가 통합된 사회과 교실에서 교사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사회과 교수행위를 미시문화 기술지적 사례연구 방식으로 살펴본다. 주 연구문제는 "사회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사의 교수행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이며, 이를 교수행위의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사의 교수행위를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첫째, 교수행위의 형식적 측면에서, 디지털교과서로 인해 발생하는 방해요인을 극복하려는 질서유지 전략이 두드러졌으며, 그 결과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하는 사회과 수업에 비해 학생 행동에 대한 통제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행위의 내용적 측면에서,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가져온 새로운 학습 가능성에 주목하여 학생들의 개별 학습활동을 독려하는 수업이 전개되었다. 따라서 한 차시의 학습목표를 명시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습주제들을 논리정연하게 설명하는 선형적 수업 전개 방식보다는 여러 학습주제들을 학생활동 위주로 재편성하여 이를 학생의 흥미 요구에 맞추어 제시하는 비선형적 수업 전개 방식을 보였다. 학생 활동 중심의 비순차적 수업 진행에서 교사는 지식의 전달자가 아니라 학습 촉진 자로서 기능하지만, 학습주제 선정과 학습활동 조직에 있어 주도적 권한을 가지고 테크놀로지 활용 방식을 능동적으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의 이러한 주도적 입장을 보여주는 개념을 ``관리적 방목``이라고 명명하였다. 서책형 교과서를 사용하는 기존의 사회과 교수실행과 비교해볼 때, ``관리적 방목``이란 교사가 교실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수업 통제 전략을 더욱 엄격하게 사용하는 한편,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강화하고 학습 내용을 교실 밖까지 확장시키는 교수행위를 의미한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업 방해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교수행위는 더욱 엄격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또한 교사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학생 활동을 강화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테크놀로지가 통합된 사회과 교수 학습 과정에서 교사의 주도적 역할을 밝혔으며, 능동적·자율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교과교육 주체로서의 교사의 정체성을 확인하게 해준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eacher action with digital textbook in the social studies classes to understand what teachers` role should be after the emergence of educational media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Main research question for this purpose is that "How does the teacher`s teaching action appear in the social studies with digital textbook?" In this context, specific ques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how do the formal aspects of teaching action (i.e. instructional forms) appear? Second, how do the content aspects of teaching action appear? In other words, how is the subject matter taught? Third, how is the teacher`s role understood through teacher`s teaching action shown in the formal/ content aspect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current research conducts a qualitative case study, adopting microethnography, on 6th-grade social studies class at ``G``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followings have appeared as key findings. The teacher recognized the need for a change in teaching method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textbook. The order-maintaining strategies of instructional forms stood out to overcome the disturbing factors to instruction arose from digital textbook,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lassroom lesson. Besides, the teacher developed the lesson emphasizing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due to new chance brought by digital textbook. Therefore, nonlinear development among various subject matters was shown more often than linear development to accomplish learning goals. When the teacher led the lesson nonsequentially with students-centered activities, he played a role of learning facilitator, not a knowledge transmitter, However, this change in the teacher`s role does not mean that the initiative is transferred from the teacher to students. Rather, the teacher actively interprets and decides the selection of contents and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authority. The current study refers to the idea of teacher`s leading role as ``managerial grazier (shepherd)``. Compared to the existing instruction using traditional textbook, "managerial grazing" means teaching action that students`` activities are strengthened and the contents are expanded out of classroom, while teaching actions for maintaining-order is tightened. However, even whe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is strengthened, the initiative of class is on the teacher`s hand. This is because the teacher actively interprets potentiality of digital textbook for learning and strengthens students`` activities to promot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studies class for realizing the potential. As seen above, in the social studies class with new technology, the teacher still has a power to decide the process of instruction, so the leading role of teachers is still valid. The present research has significant implication that it provides a place for discussion to establish teachers``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 KCI등재

        PISA 금융소양 평가 도입 타당성 검토를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성경희(Sung, Kyung-Hee),박은아(Park, Eun-Ah)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1

        본 연구는 금융소양 평가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해, 금융교육의 국제 동향을 탐색하고, PISA 금융소양 평가틀 및 평가 문항과 2009/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계적으로 금융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평가틀 및 문항이 초·중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제 관련 영역과 관련성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ISA 금융소양 평가 참여는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 및 금융교육 정책 개선을 위해 유의미한 국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금융소양 평가 참여를 통해 금융소양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으며, 개인 및 사회적 수준에서 합리적인 금융생활을 통해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시민적 자질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examine the need for introduction of financial literacy test, this study explores international trends in financial education, and analyzes the relation with PISA financial literacy framework/items and 2009/2015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the result, global significance of financial education is confirmed, and it shows that the framework and item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economic domains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participation in PISA financial literacy test is able to provide meaningful and plentiful information for financial education policy improvement. Furthermore,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it, the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could be perceived and it is expected to raise citizenship which could contribute to community development by rational ordinary financial life at both personal and social levels.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인의 주요 호소 문제와 상담 활동에 대한 인식

        성경희(Sung Kyung-Hee),최성열(Choi Sung Yeol)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0 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의 주요 호소 문제와 상담 활동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청각장애인 남녀 1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주요 호소 문제를 살펴보면, 남자인 경우 자신의 성격문제, 여자인 경우 자녀 교육 및 양육 문제, 미혼인 경우 자신의 성격 문제, 기혼인 경우 자녀 교육 및 양육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주요 호소 문제의 해결 방법에 있어서는 가족이나 아는 사람으로부터 의논한다와 그냥 그대로 둔다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주요 호소 문제 해결에 가장 도움이 된 사람으로는 가족 및 친척과 수화통역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각장애인을 위한 상담가와 상담기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87.2%가 필요하다라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thesis aimed at understaning the major problems of the deaf and their attitude toward counselling servic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187 female and male deaf over in their 20s, who resided in Deagu and Kyungpook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according to the research for the major problems of the deaf, in the case of the male deaf surveyed, they had personality problems and in the case of the female deaf surveyed, if they were single they had the same problems as male, but if they were married, they had some difficulties in nurturing and educating their children. The second, the methods for solving their major problems were conducted only through having a conversation with their family and acquaintances or letting it be. The third, the family, relatives and sign language interpreters were the most helpful for solving their major problems. Lastly, the 87.2% deaf people needed the technical counsellor and association of counselling service.

      • KCI등재
      • KCI등재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학업성취 결과 분석

        성경희(Sung Kyung 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중학생의 일반사회 영역의 학업 성취가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사회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전체와 영역별(지리, 역사, 일반사회) 결과에 대한 기초 통계를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일반사회 하위 영역(사회‧문화, 정치, 경제)별로 문항 및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기초 통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과 세 영역 중에서 일반사회 영역의 성취도 점수와 정답률이 가장 낮게 나타나, 학생들이 특히 일반사회 영 역의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이 드러났다. 다음으로 선다형 문항 분석 결과, 추상적인 개념으로 이루어진 일반사회 개념 내에서도 특히 정치 영역의 개념 관련 학습이 약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정치 영역의 낮은 정답률(28.37%)과 변별도, 매력적인 특정 오답지에 대한 학생들의 유사한 반응이 이를 뒷받침한다. 마지 막으로 서답형 문항 분석 결과, 개념의 위계를 비롯하여 상하, 인접, 유사, 반의 등 개념 간의 관계 이해가 취 약하여 이로 인해 학습자가 오개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에 근거하여 사회과 개념 학습 강화 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서답형 문항에 대한 질적 분석 강화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in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especially focused on the ‘General Society’ domain which includes subjects such as economics, civics, sociology, and anthropology. In order to acheieve this aim, the research conducted analysis on items and scoring results in the sub-domains of ‘General Society’: ⒜ sociology & anthropology, ⒝ economics, ⒞ politics & govern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ation of the analyses of multiple-choice items, it appeared that learning for concepts of the politics & government domain was particularly weak. This was supported by a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28.37%) and item discrimination, and students similar responses to the attractive wrong answers. Next, after examination of the analyses of constructed-response items, it has been shown that students would build misconceptions because of their weak understanding for the relationship among concepts such as hierarchy, synonym, and antonym. Based on this, it was proposed to construct a database for reinforcing conceptu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and to strengthen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onstructed-response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