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O-α-D-Glucopyranosyl L-Ascorbic acid 생산을 위한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고정화

        성경혜,김성구,장경립,전홍기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 2003 김치의 과학과 기술 Vol.9 No.-

        AA를 AA-2G로 전환하는 CGTase를 고정화하여 AA-2G 대량 생산의 가능성을 고찰한 결과, CNBr-sepharose 4B가 가장 효과적인 담체로 판명되었고, CGTase의 고정화 최적 조건과 고정화 CGTase에 의한 AA-2G 생산의 최적조건 및 재사용성을 검토하였다. 최적 고정화 조건은 효소량 24,000 units/g resin으로 9시간 반응하여 약 18,000 units/g resin의 최고 고정화율을 얻을 수 있으며, pH 5.0(50 mM sodium citrate buffer)용액에 12% AA-Na와 8% soluble starch를 기질로 하여 800 units/ml의 고정화 CGTase를 첨가한 후 37℃에서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25시간 반응하여 약 18 mM의 AA-2G 최고량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0.015 mM의 CaCl₂를 첨가하여 고정화 CGTase의 재사용성을 관찰한 결과, 5회까지 50% 이상의 AA-2G 생산율로서 그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그리고 효소의 재사용성이란 측면에서, 본 고정화의 다른 한 방법인 ultrafiltration(한외 여과)에 의해서는 Millipore사의 YM10 membrane을 이용하여 먼저 단백질량과 효소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그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기질 20 ml을 사용하여 AA-2G를 생성시킨 후, 한외여과에 의해 효소만을 회수하여 연속 반응해 본 결과 8회까지 50% 의 생성률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한외 여과는 CNBr-sepharose 4B와 함께 효율적인 고정화의 한 방법으로 판명되었으며, 앞으로 이들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연속 반응 시스템의 구축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e) from Paenibacillus sp. JB-13 was immobilized on various carriers by several immobilization methods such as ionic binding, covalent linkage and ultrafiltration to improve the process performance. The ultrafiltration and covalent linkage with CNBr-activated sepharose 4B were found as the best method for immobilization of CGTase. The ability of was as follows: contact time 6 hrs at 37℃, pH6.0, 100rpm and enzyme loading 24,000 units/g resin. The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2-O-α-D-Glucopyranosyl L-Ascorbic acid by immobilized CGTase turned out to be: pH 5.0, temperature 37℃. 20% substrate solution containing 8%(w/v) of soluble starch and 12%(w/v) of L-ascorbic acid sodium salt, 100 rpm, for 25 hrs and with 800 units of immobilized CGTase/ml substrate solution. More over the CGTase activity could be stably maintained for 8 times of repetitive reactions after removing products by ultrafiltration through YM 10 membrane.

      • KCI등재

        Molecular detection and genotype analysis of Kudoa septempunctata from food poisoning outbreaks in Korea

        성경혜,박인지,구희수,박은희,이미옥 대한기생충학ㆍ열대의학회 2023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Vol.61 No.1

        Concerns about foodborne illnesses caused by Kudoa septempunctata are steadily growing, but reports of K. septempunctata in clinical and food specimens related to food poisoning in Korea are limited. This study aimed to genetically identify K. septempunctata in patients with acute diarrhea and in clinical and food samples related to food poisoning caused by sashimi consumption. Both real-time and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s were performed to detect K. septempunctata 18S and 28S rDNA genes in the stools of 348 patients with acute diarrhea, 11 samples (6 stool and 5 rectal swab samples) from patients with food poisoning, and 2 raw Paralichthys olivaceus samples collected from a restaurant where a food poisoning incident occurred. K. septempunctata was identified in 5 clinical specimens (4 stools and 1 rectal swab) and 1 P. olivaceus sashimi sample. All detected K. septempunctata were of genotype ST3. This is the first study to identify K. septempunctata in both patients and food samples with epidemiological relevance in Korea, providing evidence that it is a pathogen that causes food poisoning. Also, this is the first study to confirm the presence of K. septempunctata genes in rectal swabs. Despite continuing suspected occurrences of Kudoa foodborne outbreaks, the rate of identification of K. septempunctata is very low. One reason for this is the limitation in obtaining stool and vomit samples for the diagnosis of Kudoa infection. We strongly suggest the inclusion of rectal swabs among the diagnostic specimens for Kudoa food poisoning.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유통 단순가공 농산물의 위생지표세균 및 식중독균 오염실태 조사연구

        성경혜(Gyunghye Sung),황인영(Inyeong Hwang),박소현(So Hyun Park),박선희(Sunhee Park),김병준(Byung Jun Kim),이주현(Ju Hyun Lee),민상기(Sang Kee Min)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6

        부산지역 마트 및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구매한 단순가공 농산물 258건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오염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일반 세균수 및 대장균군수를 측정하였고 이를 세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먼저 단순가공 농산물을 가공식품과 농산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농산물의 일반세균수 평균값이 약 2배가량 높고, 최고값 또한 약 5배나 높았다. 단순가공채소류, 건나물류, 단순가공과일류로 분류하여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우 높은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단순가공채소류의 경우 일반세균수 7.1 log CFU/g, 대장균군 4.1 log CFU/g, 건나물류의 경우 일반세균수 6.8 log CFU/g, 대장균군 3.5 log CFU/g, 단순가공과일류는 일반세균수 6.2 log CFU/g, 대장균군 2.9 log CFU/g의 평균값을 나타내어 가식부가 토양과 가까울수록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의 오염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단순조리용으로 분류된 단순가공 농산물 185건 중 일반세균수가 5,000,000 CFU/g 이상인 제품은 67건(36.2%), 대장균군수가 1,000 CFU/g 이상인 제품은 43건(23.2%)이었고, 즉석섭취용 단순가공 농산물 73건 중 일반세균수가 500,000 CFU/g 이상인 제품은 32건(43.8%), 대장균 군수가 100 CFU/g 이상인 제품은 총 12건(16.4%)이었다. 식중독균 7종에 대한 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살모넬라, 캠필로박터제주니/콜리,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는 모두 음성, 황색포도알세균은 0 CFU/g으로 모두 불검출되었다. 병원성대장균의 경우 분리된 대장균 4건(1.6%) 모두 건나물류에서 검출되었고 독소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분변 오염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는 2건(0.8%) 모두 50 CFU/g 검출되었고 독소유전자는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41건(16.3%) 검출되었으며 분리된 바실러스 세레우스 60주에 대한 1종류의 구토독소와 9종류의 장독소 유전자 확인 결과 모두 1종류 이상의 독소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9종류 장독소 유전자를 모두 보유하는 경우가 15주(25%)로 가장 많았고, 구토독소는 1주(2%)가 검출되었다. 현재 유통되는 단순가공농산물은 그 형태와 범위가 방대하여 이를 모두 식품위생법으로 관리하기에는 과한 규제이며 가공 공정이나 용도 등과 같은 명확한 기준으로 농산물과 가공식품을 나누어 관리하는 것을 제안한다. 즉 즉석섭취가 가능한 다진 마늘, 절단 과일 등은 식품위생법의 가공식품으로 관리하는 등 통일된 규제가 필요하며, 세척, 가열 조리하여 섭취하는 단순가공 농산물의 경우 위생적 생산 관리, 냉장 유통, 세척 문구 표시의무화 등과 같은 구체적인 위생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ethod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quality and safety of simple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in Busan. We tested 258 samples of simple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for distribution of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and identified food-borne pathogens. The average aerobic bacterial and coliforms counts were 7.1 and 4.1 log CFU/g in simple processed vegetables, 6.8 and 3.5 log CFU/g in dried vegetables, and 6.2 and 2.9 log CFU/g in simple processed fruits. Additionally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Campylobacter jejuni/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in any samples. However,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E. coli were detected in 41 samples (16.3%), 2 samples (0.8%), and 4 samples (1.6%), respectively. This analysis revealed that none of C. perfringens and E. coli isolates harbored pathogenic toxic genes. However, all of B. cereus isolates carried at least 1 toxin gene.

      • KCI등재

        부산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Campylobacter jejuni의 항균제 감수성과 유전자형 분석

        박선희,김병준,권영희,황인영,성경혜,박은희,진성현 대한임상미생물학회 2019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Vol.22 No.2

        부산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Campylobacter jejuni 의항균제 감수성과 유전자형 분석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연구부 미생물팀박선희, 김병준, 권영희, 황인영, 성경혜, 박은희, 진성현배경: Campylobacter는 식품매개질환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Campylobacterjejuni의 분리경향, 항균제 내성률, 유전자형 분석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2014년부터 2017년 9월까지 급성설사질환 감시사업 및 5건의 식중독 사례에서 97주의 Campylobacter jejuni를 분리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9종류의 항균제(ciprofloxacin (CIP), nalidixic acid (NAL), tetracycline (TET), chloramphenicol,azithromycin (AZI), erythromycin (ERY), streptomycin (STR), gentamicin, telithromycin)에 대하여 액체배지미량희석법으로 실시하였고, 유전자형은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로 분석하였다. 결과: Campylobacter jejuni의 4년간 평균 분리율은 2.0%였으며 해마다 분리율은 증가하였다. 항균제 내성률은 NAL90.9%, CIP 89.4%, TET 13.6%, AZI와 ERY 각 3.0%, STR 1.5% 순이었고, 다제내성률은 18.2%였으며 다제내성균주 모두quinolone계 항균제(CIP-NAL)를 포함하고 있었다. SmaI 제한효소로 처리한 PFGE 패턴은 모두 17개 cluster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 cluster 11이 부산지역에서 분리되는 Campylobacter의 주요 유전자형 패턴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적절한 항균제 사용과 항균제 내성 관리를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며, 향후 증가가 예상되는Campylobacter로 인한 식중독의 역학 조사를 위한 자료 축적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유통 향신식물 및 천연향신료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정민기,김현진,성경혜,조현노,정지윤,이서윤,이태하,김진아,박연경 한국농약과학회 2023 농약과학회지 Vol.27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sticide residues on herbs and spices. A total of 84 samples were purchased in Busan and online markets from January to October 2022. 84 samples were analyzed for 478 residual pesticides using the multi-residue method of the korean Food Code. The results showed that pesticide residues were detected in 27 samples (32.1%) and out of these, 12 samples (14.3%) exceeded the Maxium Residues Limits (MRLs). Out of the 12 samples exceeded MRLs include 4 samples of Korean mint, 3 samples of mint, a sample of dill, a sample of basil, a sample of Thyme, a sample of Bay leaf and a sample of Chinese Pepper. Of the 12 samples, 19 types of pesticide residues exceeded the MRLs, and 17 of these were unregistered pesticides for herbs and spices. Those pesticides are under Positive List System (PLS). The risk assessment of these 19 pesticide residues that exceeded limits was evaluated using %ADI (the ratio of EDI to ADI), with results ranging from 0.0000% to 0.1089%.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supervise herb producers on the appropriate use of pesticides. Also, establishing MRLs on herbs and spices needs to be considered.

      • KCI등재

        부산지역 중·고등학생 휴대전화에서 분리한 식중독균의 특성 연구 -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중심으로 -

        박선희,박연경,황인영,박혜영,성경혜,조현철 한국환경보건학회 2016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2 No.4

        Objectives: Mobile phone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essential accessories in daily life. However, they mayact as reservoir of infectious pathogens if they are used without hygienic practices in their handling. Therefore,this study aimed to isolate food-borne pathogens from mobile phones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oxin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patterns. Methods: A total of 146 mobile phones were collected from 83 middle- and 63 high-school students in Busan. The surfaces of the mobile phones were aseptically swabbed. Results: Among the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Escherichia coli weredetected in 26 (17.8%), 20 (13.7%) and four (2.7%) sampl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level, gender or phone type. None of four E. coli strains had pathogenic toxicgenes. All of the B. cereus strains carried at least three different toxin genes among the nine enterotoxin andemetic toxin genes. Three out of 20 B. cereus strains (15%) possessed emetic toxin genes, which are rarelydetected in food-poisoning cases in Korea. Among the 26 strains of S. aureus, the detection rate ofstaphylococcal enterotoxin genes, toxic shock syndrome toxin (tsst) and factors essential for methicillinresistance (femA) were 84.6%, 7.7% and 100%, respectively. In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there was no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or vancomycin-resistant S. aureus (VRSA).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mobile phones in Busan were contaminated by food-bornepathogens which carried various toxic genes. Therefore, regular phone disinfection and hand hygiene isimportant in order to reduce cross-cont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