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Ender nail 을 이용한 고령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

        이성종,이석하,이동기,유연식,심재익,김택선,설의상 대한골절학회 2000 대한골절학회지 Vol.13 No.2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 of femoral trochanteric fractures treated by using Ender nails in elderly patients. Material and Methods: Sixty seven patients of femoral trochanteric fractures treated at Korean Veterans Hospital from 1993 to 1997 were included in this study. Under the C-arm guided,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Ender nails was done within one week. According to Kyle classification, we classfied type I in 12 case, type II in 20 cases, type III in 25 cases, typeIV in 20 cases and analyzed duration of bone union, ambulatory abilit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Result: The duration of union was from 14 weeks to 17 weeks and the mean was about 15.5 weeks. Thirty seven(60.7%) patients maintained their prefracture ambulatory ability at a postoperative 1 year and twenty four(39.3%) patient lost some degree of ambulatory abilit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the knee pain and the limitation of the motion of the knee in 10 cases(14.9%), external rotation deformity in 7 cases(10.4%), distal migration of nails in 4 cases(5.9%), proximal migration of nails in 2 cases(2.9%), nonunion in 2 cases(2.9%).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treatment by using Ender nails is one of the proper methods in elderly femoral trochanteric fracture with associated medical complication.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통증

        조우신(Woo-Shin Cho),안형선(Hyung-Sun Ahn),김민영(Min-Young Kim),설의상(Eui-Sang Seol),이성우(Sung-Woo Lee),최지원(Ji-Wo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슬관절 통증의 연관인자, 양상, 통증의 정도와 지속 기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69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인 방법을 통하여 술 후 1년 간의 슬관절 통증을 분석하였다. 일상에서 느끼는 통증의 정도와 활동양상에 따른 통증의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이용하여, 수술 후 6주, 3개월, 6개월, 12개월에 외래방문 시 조사하였다. 수술 전 HSS 점수, 관절 변형 및 슬관절 운동범위와 수술시 치환물의 종류 및 수술과정, 술 후 1년에 HSS 점수, 슬관절 운동범위를 분석하여, 통증의 지속기간, 통증의 양상과 연관성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HSS 점수는 평균 61.4점에서 수술 6개월 후 평균 90.2점, 수술 1년 후 94.6점으로 향상되었다. 환자의 키, 체중, 체질량지수, 슬관절 변형정도, 수술 전후 슬관절 운동범위, 치환물의 종류 및 수술법 등은 통증의 변화정도와 연관성이 없었다. 통증의 정도는 visual analoge scale상 수술 후 6주에는 모두에서 조금이라도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이들의 VAS 점수는 4.3±1.0점, 3개월째는 58명으로 이들의 평균 접수는 2.7±0.9점, 6개월째는 9명으로 1.6±0.4점, 1년에는 5명으로 l.3±0.4점이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하는 통증은 대부분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드나, 술 후 1년까지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pain, the pattern of pain, as well as the intensity and duration after a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s a prospective study, 69 osteoarthritic knee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from Jan. 2004 to Nov. 2004, were examin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in order to determine the pain intensity, duration, pain character and pattern at 6 weeks,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We checked for possible factors such as height,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HSS score, deformity, range of motion preoperatively, prosthesis type and operation procedure intraoperatively, the HSS score and range of motion at postoperative one year. The Pearson correlation test and Kruskal-Wallis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and 1-year postoperative HSS score was 61.4 and 94.6, respectively. The height,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HSS score, deformity, range of motion, prosthesis type and surgical procedure were not related to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the pain. The mean postoperative VAS score at 6 weeks and 3, 6 and 12 months was 4.3±1.0, 2.7±0.9, 1.6±0.4, 1.3±0.4, respectively. Five patients had mild pain until postoperative one year. Conclusion: The pai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disappeared with time. However, mild knee pain sometimes remained even 1 year after surgery.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수술 중 수술 부위 국소 진통제 주사의 효과

        조우신(Woo-Shin Cho),김민영(Min-Young Kim),설의상(Eui-Sang Seol),염윤석(Yoon-Seok Youm),윤영선(Young-Sun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6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시 수술부위 국소 진통제 주사에 의한 술 후 통증의 감소 효과 및 환자의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한쪽 슬관절에는 morph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을 혼합한 50 cc를 봉합 직전에 절개부위를 중심으로 주변 연부조직에 주입하였고(실험군), 다른 한쪽은 동량의 생리 식염수를 주입하였다(대조군). 통증의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이용하여 수술 전, 수술 후 4시간, 12시간, 1일, 2일, 4일, 7일, 14일에 조사하였고, 술 후 4일, 7일, 14일에 측정한 운동 범위, 배액량 및 환자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부위 국소 진통제 주사를 시행한 실험군에서 술 후 4시간, 술 후 12시간, 술 후 1일에서 VAS의 유의한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고(p<0.05), 술 후 2일, 4일, 7일, 14일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술 후 4일, 7일, 14일에 측정한 운동 범위와 배액량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환자의 선호도에 있어서 90%에서 국소 진통제 주사를 시행한 슬관절을 선호하였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중 수술 부위에 국소 진통제 주사는 술 후 1일까지의 급성 통증기에서 환자의 슬관절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국소 진통제 주입을 선호하였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and complications of an intraoperative regional analgesic injection in primary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Materials and Methods : As a prospective study, 50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TKRA were injected with 50 cc of mixed analgesics (morphine, norepinephrine and epinephrine) into the joint capsule, muscles around the knee joint on one side (study side) and the same amount of the normal saline on the other side (control side) before closure. The level of postoperative pain was evaluated in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t postoperative 4 hours, 12 hours, 1, 2, 4, 7, 14 days. The range of motion at postoperative 4, 7, and 14 days, the amount of hemovac drainage and the patients preference were also evaluated.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VAS on the study side at postoperative 4 hours, 12 hours and 1 day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VAS thereafter. Patients preferred the injection site in 90% (45 side). The ROM at 4, 7, 14 days and hemovac drainage were similar in both sides (p>0.05). Conclusion : An intraoperative regional analgesic injection in primary TKRA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level of acute postoperative knee pain with minimal complications with the majority of patients preferring it.

      • KCI등재

        대퇴골 간부 골절 후 불유합의 수술적 치료

        심재익 ( Jae Ik Shim ),김택선 ( Taik Seon Kim ),이성종 ( Sung Jong Lee ),이석하 ( Suk Ha Lee ),김영배 ( Young Bae Kim ),윤정로 ( Jong Ro Yoon ),설의상 ( Eui Sang Seol ),박광열 ( Kwang Yeol Park ),강대웅 ( Dae Woong Kang )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3

        목적: 대퇴골 간부 골절치료 후 발생한 불유합의 수술적 치료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대퇴골 간부 불유합으로 수술한 환자 2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15개월이었다. 초기 골절의 원인, 형태와 분류 및 불유합의 원인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불유합의 수술 방법으로 자가골 이식술과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견고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골유합의 기간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골유합 기간은 22주이었으며 21예중 18예(85.7%)에서 골유합 소견을 보였고 합병증으로는 하지 단축과 파행이 2예, 관절 부분 강직이 2예, 천부 감염이 2예이었다. 결론: 대퇴골 간부 불유합의 치료시 그 원인과 형태에 따라 자가골 이식술과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견고한 내고정술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 of surgical treatment for femoral shaft nonun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3 to December 1999, 21 cases of femoral shaft nonunion were treated surgically and followed for an average of 15 months. We analyzed initial cause of injuries, classification of fractures, and cause of nonunion in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The authors analyzed the average time to union and results after surgical treatment by rigid internal fixation with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 and autogenous bone graft.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bony union was 22 weeks and bony union achieved in 18 cases(85.7%) of 21 cases. The complications were shortening of leg length and limping gait in 2 cases, partial limitation of knee joint in 2 cases, superficial infection in 2 cases. Conclusion: Rigid internal fixation with interlocking intrameduallary nail and bone graft is useful method of treatment for femoral shaft nonunion according to cause and type of non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