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철학적 이해와 교육공학 - 교육공학에서 인공지능의 적용을 위한 시사점 탐색

        설동준,임상훈,유영만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4차산업혁명에 더해진 인공지능에 대한 열풍은 미래에 대한 유토피아적 혹은 디스토피아적 전망을 양산하면서 전 사회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교육 분야에서도 인공지능과 교육의 관계, 인공지능에 대한 대응 등 다각도의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인공지능과 교육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연구로서 의미가 있지만,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적 이해와 기술철학적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⑴인공지능에 대한 기술적 이해와 기술철학적 이해를 통해 ⑵인공지능이 교육공학 분야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인공지능은 인간지능과 동일한 방식으로 세계에 대한 표상(representation)을 획득 하지 않으며, 기술적 입장에서도 인간지능의 모방을 추구할 이유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지능과 인간지능의 이러한 차이 수용은 인공지능을 '낯선 지능'으로 바라보는 포스트 휴머니즘적 입장으로 조망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포스트 휴머니즘 입장에서의 인공지능은 교육공학 분야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육공학은 인공지능을 인간지능 학습의 협력 대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둘째, 교육공학은 인공지능을 인간 행위자(agent)의 도구(tool)가 아닌 또 다른 행위자(agent)로 바라보아야 한다. 셋째, 교육공학은 인공지능과 차별화되는 인간 전문성과 지식관에 대 한 연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결 구도 속에서 인공지능이 침범할 수 없는 인성교육 혹은 창의성교육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인문주의적 편향을 극복하고, 인공지능과 인간 학습자 모두를 포함하는 지식생태계적 사고로 전환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하비프러너(Hobby-preneur) 사례를 통해 본 일-삶 균형(WLB)의 의미 연구

        설동준(Seol, Dongjun),하선민(Ha, Sunmin),송은영(Song, Eunyoung),윤내리(Yoon, Naeree) 한국여가문화학회 2021 여가학연구 Vol.19 No.4

        일-삶 균형(WLB) 연구는 일-가정 ‘갈등’(WFC)에서 출발해 ‘균형’에 대한 담론으로, 가정 외 여가(leisure), 성장(growth) 등을 포함하는 삶(life) 전반을 다루는 분야로 확장되어왔다. 또, 최근에는 ICT의 발달로 원격-유연근무가 확대되고, 1인 창업이 활성화되는 등 일을 둘러싼 환경이 변하면서 일-삶 균형에 대한 지속적인 재해석이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삶 균형이 당대의 일과 삶의 양태를 반영하는 동시대적 개념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여가의 의미와 중요성이 커지는 지금 시대의 맹아적 현상인 취미를 직업으로 발전시킨 하비프러너(hobby-preneur)를 통해, 일-삶 균형의 현재적 의미를 탐색해보았다. 특히 하비프러너는 좋아서 하는 여가와 직업으로서의 일이 내용상 중첩되는 사례인데, 이로부터 외견상 같은 활동 안에서 일과 삶(여가)의 경계는 어디인지, 균형의 의미는 무엇이고, 일의 본질은 무엇인지에 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하비프러너에 해당하는 4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기법으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현상학적 방법론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4가지 주제묶음과 12가지 주제를 발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삶 균형 경험의 본질은 일과 삶의 물리적 균형이 아닌, 내용적, 가치적 통합 상태에 있다. 둘째, 이와 같은 일-삶의 내용적, 가치적 통합을 만드는 데 있어서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과 삶에 대한 통제력의 소유 유무이다. 셋째, 이처럼 일-삶의 내용적, 가치적 통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성장(growth)의 의미와 여가의 의미도 그 본질에 가까운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그 외 최근에 학술지에 처음 소개된 하비프러너의 개념에 관한 재해석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WLB) has been expanded from work-family conflict (WFC) to discourse on balance including life, leisure, and growth. Recently, the change in working environments such as remote and flexible working, solo-entrepreneur emerged from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thus continuous reinterpretation of work-life balance is being carried out. This study explores the present meaning of work-life balance through Hobby-preneur who developed hobby as a profession. Hobby-preneur can be interpreted as a embryonic figure of life in the present era which expands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leisure, given that work-life balance is a contemporary concept that reflects daily work-life style. Hence, Hobby-preneur is a case of whose work is the same as life (leisure) activity.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look deeply from the internal experience of the parties on where the boundary between work and life is, what is the meaning of balance, and what is the essence of wo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four themes and 12 meaning units by collecting qualitative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and analyzing data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for four participants who can be named as Hobby-preneu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essence of work-life balance (WLB) experience is in a state of content and value integration, not a physical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Second, the determinant factor in creating such content and value integration of work-life is whether they have the control over work and life. Third, 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state of work-life, the meaning of individual growth and the meaning of leisure also change in the direction close to its essence. The study includes a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Hobby-preneur,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a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수학습 양상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디어의 속성변화에 대한 통시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은택,설동준,유영만,임상훈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2

        The keywor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ccepted as a new boom in the education industry, and discussions for future education are constantly being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media attribute change on teaching - learning from the existing instrumental media research, and analyzed through the center of knowledge and learning center. As a result, teaching - learning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firstly aimed at educating the ability to accept and agree on diversity, rather than accepting truth as it is based on ‘consensus;’. Second, the boundary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will be dismantled. The distinction of those who communicate and accept knowledge will disappear and ask questions in their context. Third, the education method will be the main education method to enter into the situation itself, not to acquire knowledge separate from the situ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at kind of form of teaching - learning would b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spect of teaching - learning. Through this, we could find meaningful implications I expect to present it. ‘4차 산업혁명’이라는 키워드는 교육계에도 새로운 열풍으로 받아드리고, 미래교육을 위한 논의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도구주의적 미디어 연구에서 벗어나, 미디어 속성변화가 교수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지식관과 학습관을 중심으로 통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에 대한 관점을 교수와 학습 활동에 관련된 구성 요인으로 정의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수자, 학습자,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환경으로 접근하였다. 4차 산업혁명 이전까지의 미디어 변화가 교수학습의 주요 구성요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미디어 속성이 교수학습의 구성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수학습은 첫째, ‘합의성’에 근거하여 진리를 전달하고,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닌 다양성을 수용하여 합의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교육목적이 될 것이다. 둘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계가 해체될 것이다. 지식을 전달하고 수용하는 자의 구분이 사라지고 각자의 맥락에서 필요한 것을 질문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셋째, 교육방법은 상황과 분리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닌, 상황 자체로 들어가는 것을 주요한 교육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수학습의 양상의 통시적 분석한 결과에 따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수학습이란 어떠한 모습을 가질 것인지 탐색하였고,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 분야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기반한 지식생태학의 개념적 확장

        임상훈,김정이,설동준,유영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2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a positivist perspective that seeks to understand learning and knowledge as an objective entity has been mainstream. Knowledge ecology is meaningful in that it criticizes the limitations of this perspective and tries to ecologically design the process of creation, sharing,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based on the principle of circulation of an ecosystem. However, the existing knowledge ecology focused on presenting the ideal at the macro level, and it was insufficient on what kind of practical effort should be made to realize it.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f knowledge ecology, this study tried to expand the concept of knowledge ecology based on the actor network theory. First,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existing knowledge ecology were diagnosed. Second, the core concepts of ANT were derived as actor, irreduction, translation, network, and black box. Third, based on the core concept of ANT, the practice strategy in knowledge ecology was reinterpreted as a learning as a translation, a learner as an actor who exerts action ability, knowledge as one of the actor, and tacit knowledge as a black box as a stable knowledge network.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the middle voice was used to explain the essential properties of an action.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working principle inside the knowledge ecosystem, which could not be revealed in the existing knowledge ecology, was theorized. In addition, the discussion of learning was expanded by applying object-oriented ontology to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which is familiar with subject-oriented approach. Lastly, the focus was on the learner's situation and context, which was lacking in the learner-centered discourse. 교육공학 분야에서는 학습 및 지식을 객관적 실체로써 이해하려는 실증주의적 관점이 주류를 이루었다. 지식생태학은 이러한 관점이 가진 한계를 비판하고 생태계의 순환원리를 기반으로 지식의 창조, 공유 그리고 활용 과정을 생태학적으로 설계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지식생태학은 거시적 차원에서 이상을 제시하는데 초점이 있고, 그것을 구현하기 위해 어떠한 실천적 노력을 해야 하는지는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본 연구는 지식생태학이 가진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지식생태학의 개념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를 탐구하였다. 첫째, 기존 지식생태학의 성과와 한계를 진단했다. 둘째, ANT의 핵심개념을 행위자, 비환원, 번역, 동맹, 블랙박스 등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ANT의 핵심개념에 비추어 번역으로서 학습, 행위능력을 발휘하는 행위자로서의 학습자, 행위자의 하나로서 지식과 안정된 지식 동맹으로서의 블랙박스로서 암묵적 지식을 재해석했다. 특히 행위의 본질적 속성을 설명하기 위해 중동태의 개념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지식생태학에서 밝히지 못했던 지식생태계의 내부적 작동원리를 이론화시켰다. 또한, 주체 지향 존재론에 익숙한 교육공학 분야에 객체지향 존재론을 적용하여 학습에 대한 논의를 확장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 담론에서 결여되어 있던 학습자가 처한 상항 및 맥락에 주목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사회역학적․행동경제학적 관점에 비추어 본 대안적 수업설계 방향과 전략수립 논의

        유영만,최수진,이은택,설동준,이정훈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by combin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social-epidemiology and behavioral economics to instructional design. Social epidemiology is a methodology that takes the approach of finding the cause of an illness in the social structural context. Behavioral economics is a theory focus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who choose and act on the basis of limited rationality. Insight of social epidemiology is to be able to reflect 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instructional design in the view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methodology of behavioral economics provide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healthy learning.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social epidemiology in instructional design are as follows: (1) ecological instructional design, (2) social instructional design (3) multi-level instructional design (4) lifelong instructional design. In addition, in the methodology of behavioral economics, (1) default design to provide essential experience to learners, (2) affordance design to desig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environment, (3) feedback loop design to support continuous growth of learners, (4) coherent design that focuses on the early experience which constructs a learner's thinking frame. The four directions and four strategies are matched in the order of direction and strategy, and finally it is derived as a guide for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this study, we presented to existing instructional designs (1) the change in instructional design as a change in underlying theory (2) the possibility of methodological changes in instructional design (3) the role of ISDer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수업설계의 이론적, 방법론적 혁신을 위해 의학 분야의 사회역학 연구의 문제의식과 경제학 분야의 행동경제학적 방법론을 수업설계에 접목하는 것을 통해 대안적 수업설계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역학은 질병의 원인을 개인의 생리학적 특성보다는 그 사람이 속한 사회구조적 맥락 속에서 찾아야 한다는 접근법을 취하는 방법론이며, 행동경제학은 인간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계산 주체라는 고전경제학의 전제를 의심하면서 제한된 합리성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인간에 주목한 경제학 이론이다. 사회역학의 문제의식은 학습장애를 바라보는데 있어서 기존의 수업설계의 한계가 무엇인지 성찰할 수 있게 하며, 행동경제학의 방법론은 건강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역학의 시사점에서 (1) 학습 생태계라는 총체적 관점을 기초로 하는 생태학적 수업설계 (2) 학습자 행동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는 사회적 수업설계 (3) 학습자 및 학습환경 분석을 다양한 위계에서 진행하는 다수준적 수업설계 (4) 한시적 효과 발휘를 넘어서기 위한 통시적 접근으로서의 생애과정적 수업설계라는 4가지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행동경제학의 방법론에서는 (1) 학습자가 얻어야 할 필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디폴트 설계 (2) 학습자와 학습환경의 상호작용을 디자인하는 어포던스 설계 (3) 탈맥락적 보상이 아닌 학습자의 지속적 성장을 지원하는 피드백루프 설계 (4) 사고틀을 형성하는 초기 경험에 주목하는 일관성 설계의 전략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방향-전략을 토대로 수업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존의 수업설계에 대해 (1) 기저 이론의 변화가 주는 수업설계의 변화 (2) 수업설계의 과정 및 방법의 변화 가능성 (3) 수업설계자의 역할 및 핵심역량의 변화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미래의 수업설계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