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Role of Entrepreneurship and Internet Network Technology in the International Expansion of Internet-based Firms

        선종학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3

        The classical views on internationalization provide useful insights about not only why firms internationalize their businesses, but also how they decide a particular foreign market entry mode and international expansion strategy. These views, however, appear to be inadequate in explain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firms that target the international markets immediately after their bir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new theoretical perspectives in explaining motives and drivers of the Internet-based firms’ internationalization. This paper proposes a theoretical research model and tests it empirically for incorporating why perspectives and how perspectives on Internet-based firms’ internalization process. The results show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Internet network resour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In addition with the significant direct impa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Internet network resourc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organizational capability significantly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Internet network resources and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

        역동적 능력, 경쟁전략,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선종학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3 기업과 혁신연구 Vol.46 No.4

        수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자원기반 관점(RBV: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과 역동적 능력(Dynamic Capability) 이론을 이용하여 기업의 자원과 능력이 경쟁우위와 경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지속적인 연구노력을 기울여 왔다. 즉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능력이 기업의 장기적 성장과 경쟁력, 그리고 혁신의 원동력이라는 가정을 실증분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기업 자원과 능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던 선행연구 대부분은 자원과 능력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대기업만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았기에 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능력과 경영성과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중소벤처기업을 연구대상으로 이들의 능력-경쟁전략-기업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세 가지 유형의 기업능력(연구개발 능력, 생산 능력, 마케팅 능력)이 기업의 경쟁전략(원가우위 전략, 고부가가치 전략)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또한 이들 경쟁전략이 기업성과 즉 재무적 성과(매출액)와 비재무적 성과(장기적 성장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생산 능력과 마케팅 능력은 원가우위 전략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으나, 연구개발 능력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고부가가치 전략에는 세 능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어서 경쟁전략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원가우위 전략은 매출액과 성장 가능성 모두와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부가가치 전략은 매출액과 성장 가능성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자원기반 관점 이론과 역동적 능력 이론을 토대로 중소벤처기업에 있어 자원-경쟁전략-성과의 관계가 어떻게 이뤄지는 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Numerous studies, based on the theoretical lens from both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and Dynamic Capability, have invested extensive research efforts to examine how business resources and capabilities improve competitive advantages and business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prior literature has focused only on investigating the proposition that the resources and capabilities owned by a firm are the key deriver of long-term growth, competitiveness, and innovation. However, since these works examined mainly large corporation as a unit of empirical analysis, there is an issue of generalizing their findings. To overcome previous limitation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capabilities, strategies, and performance. Particularly, the relations between three different types of capabilities (R&D capabilities, production capabilities, and marketing capabilities) and two distinct competitive strategies such as cost leadership and high value-added strategy were empirically examined vi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n the links between competitive strategies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erms of sales revenue and long-term growth potential were also analys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production and marketing ability is positively related to cost leadership strategy, while R&D capability is not. It also suggests that all three different capabilit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high value-added strategies. Further, cost leadership strategy was foun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oth sales revenue and growth potential, while high-added value strategy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Consequently, this study helps expand our conceptu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s on the relations among capabilities, competitive strategy, and performance in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의 브랜드 자원과 시장점유율의 관계

        선종학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1

        Recently, academics and practitioners have invested extensive research efforts to understand the true impacts of brand marketing assets and market share. As a result,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a brand makes decisive contributions to creating competitive advantages and improving firm performance.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were centered only on large companies, not on small-medium-sized ventures. In an attempt to bridge the research gaps, this paper seeks to more through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marketing resources and market share within the small-medium ventures, based on the theoretical lens of RBV(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and dynamic capability theor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to analyze not only brand design and brand marketing capabilities, but also how other market-based resources such as price, quality, and technology are related to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shares. This research uses the dataset of 2,114 small-medium ventures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by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brand design, price, quality, and technology of small-medium venture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domestic market share. Surprisingly, the research findings observed that only technology has a negative effect on overseas market share. Going beyond the perspective of large firms,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oretical scope, by suggesting empirical results obtained from small-medium ventures. Moreover, the results help SMVs in formulating realistic plans to improve their market shares via brand design and brand marketing capability. 수많은 선행연구에서 기업의 브랜드 자산과 시장점유율의 관계를 밝히고자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로서, 브랜드는 기업의 경영성과 향상과 경쟁우위 창출에 결정적 기여를 할 수 있는 무형자원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주로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뤄졌을 뿐, 중소벤처기업에게 브랜드 자원이 어떤 역할과 중요성을 가지는지를 분석한 실증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과 동적 능력의 시각에서 브랜드 디자인 및 브랜드 마케팅 능력과 함께 다른 시장기반 자원(가격, 품질, 기술)이 중소기업의 시장점유율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중소기업청의 설문조사에 포함된 2,114개의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소벤처기업의 브랜드 디자인, 가격, 품질, 기술이 국내시장점유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흥미롭게도, 해외시장점유율에는 오직 기술요인만이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결과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대기업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중소벤처기업 대상의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선행 이론의 적용범위를 확대하였으며, 또한 중소벤처기업들이 브랜드 디자인과 브랜드 마케팅 경쟁력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 전략을 고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SNS의 지식공유 태도 및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

        선종학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1

        Because of the explosive growth and popularity of SNS (Social Networking Systems), not only individual users, but organizations have changed the ways to connect to each other and to earn work-related information-knowledge. Extant studies have focused on both the motivations and the consequences of SNS use at individual, departmental, and organizational level. However, by employing public SNS (e.g., Facebook, LinkedIn) as a unit of analysis, the majority of this work has limits to have focused only on public SNS’s technical features and individuals’ personal psychological attributes. This study responds to the research call for capturing the dynamics of the way enterprise SNS are used by knowledge workers at the organizational context. In fact, knowledge workers’ attitude toward knowledge sharing and communica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public individuals’ (e.g., teenagers, college students), due to the features of enterprise SNS that reflect workers’social interactions such as job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norm at work. To address the research gap, this study aims to examine knowledge workers’ knowledge sha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using enterprise SNS at the organizational context, by adopting social capital theory, social influence theory, and knowledge sharing literature as theoretical foundations.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n effective and efficient research framework incorporating social capital theory, social influence theory, and knowledge management literature. Additionall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c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knowledge workers’knowledge sha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with more comprehensive view of social interactions at the organizational context. 오늘날 SNS(Social Networking Systems)의 폭발적 성장과 인기는 개인 사용자의 일 상뿐만 아니라 기업이 업무관련 지식을 획득하고 처리하는 과정 자체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 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에서는 개인, 부서 및 조직 수준에서 SNS 사용의 동기와 효과(예: 커뮤니케이션, 생산성, 효율성, 협업, 혁신 및 가치 창출)에 연구의 초점을 둠으로써, SNS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 대부분은 공개형 SNS(예. Facebook, LinkedIn)를 연구분석 대상으로 대중 공개형 SNS의 기술적 특징과 사용자의 심리적 속성 및 동기만을 강 조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실제로 기업내부용 SNS 사용자는 자신이 처리하고 있는 업무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면서 전문 지식과 능력을 효율적으로 획득, 확산시키려는 지식 근로자 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기업내부용 SNS를 사용하는 지식 근로자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조직 내의 커뮤니케이션과 지식공유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되었 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 이론, 사회적 영향 이론, 지식 공유 문헌을 이론적 토대로, 기업내부용 SNS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지식 공유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사회적 유대감, 신뢰, 공유된 가치, 정보제공적 영향이 지식공유 태도에 유의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커뮤니케이션에는 신뢰, 공유된 가치, 규범적 영향, 정 보제공적 영향이 유의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소셜 미디어-브랜드 팬 페이지 이용과 브랜드 자산의 관계

        선종학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3

        소셜 미디어(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등장과 확산은 브랜드 기업으로 하여금 소비자와 정보를 교환하고, 소통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브랜드 팬 페이지 이용이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Customer-Based Brand Equity)과 구체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한 브랜드 팬 페이지 이용이 어떤 과정을 거쳐 브랜드 공명에 이르는지를 고객-브랜드 관계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Keller(2011)의 CBBE 피라미드 모형을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하였고, 이를 PLS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기법으로 수집된 총 206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 팬 페이지 이용은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에 소비자의 이성적 판단과 직감적 감성, 둘 모두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와 만족도에 유의적 효과가 있다는 실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성적 판단보다는 직관적 감성이 브랜드 공명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소셜 미디어에서의 고객-브랜드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브랜드 자산의 가치를 향상시키려는 브랜드 관리자에게 보다 현실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and Tweeter have dramatically changed not only consumers’ daily lives, but the way brand firms exchang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with their customers. Paying extensive research efforts to the potential effects of brand fan pages(BFP) on customer-brand relationships, prior literature has extensively investigated individual’s BFP adoption, interaction and dynamics among users within a BFP community, and the influence of brand marketing activities on consumer behavior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to examine the genuine relationship between BFP use and customer-based brand equity(CBBE) and to explain in the process in which BFP users reach to stage of brand resonance. This study is. thus designed to answer the question of through what processes BFP use influence the critical components in CBBE. In accomplishing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based on Keller(2011)’s CBBE pyramid model were proposed and then tested by PLS technique. The results of analyzing a total of 206 responses from a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BFP use is positively related to Brand Awareness. Further, it is also found that both Rational Judgments and Emotional Feelings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Satisfaction and Loyalty.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Emotional Feelings have greater impacts on both Brand Satisfaction and Loyalty than Rational Judgments do. In conclusion, it’s believed that this study, by employing CBBE perspective, paves a road to understand in depth the customer-brand relationships in BFP use. Besides,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concrete insights to brand managers who seek to improve the value of brand equity through social media BFP.

      • KCI등재

        브랜드와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브랜드 능력의 매개효과

        선종학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3

        It is widely believed that a brand as a critical business resource, can paly a significant role in earning and sustaining competitive advantages. However, resource-based view and dynamic capability theory suggest that acquiring resources does not automatically generate competitiveness for firms. Rather, when a firm is capable of exploiting a resource by combining with other resources internally resided in the organization, it would help the firm elevate competitiveness and performance. Therefore, going beyond the prior view focusing on the direct effect of brand resource on performance, this study is to examine not only the relation between brand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but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capability between brand and performance. With the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in-depth questionnaire survey by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in 2020, this research employed PLS (partial least squares) technique to test the reasrch model. The PLS results show that brnad capabi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revenues, market shares, and growth potentials. Additional tests on the mediating effects suggest that brand capa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brand accounting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revenues and market shares. It is also found that brand capability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non-accounting performance measure, growth potential of a firm.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s a statistical evidence that brand capability rather than brand resource has a greater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particularly on growth potentials. Further, the research results not only expand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s of brand capability, but managerial insights on the causal link of brand-brand capability-performance. 브랜드는 기업의 핵심적 경영자원으로서 경쟁력 확보와 유지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자원기반 관점 이론과 역동적 능력이론에서는 자원의 단순한 보유가 기업의 경쟁력과 성장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해당자원을 조직 내의 다양한 유·무형자원과 결합하여 활용할 때 기업의 경쟁우위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자원이 경영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이전의 관점에서 벗어나, 브랜드 능력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한편, 브랜드 자원-경영성과 사이에서 브랜드 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 벤처기업협회에서 실시한 심층설문 자료를 PLS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브랜드 능력은 기업의 전반적 경영성과(매출액, 시장점유율, 미래성장가능성)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능력이 브랜드 자원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유의적으로 매개하는지를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 회계성 성과지표인 매출액과 시장점유율 사이에는 유의적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회계성 성과지표인 미래 성장가능성에 대해서는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 능력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한편, 브랜드 자원-브랜드 능력-경영성과로 이어지는 인과관계에 이론적, 실증적 타당성을 더하였다.

      • KCI등재

        브랜드 자원과 브랜드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선종학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4

        Brand resource is one of the most critical assets for creating firm value and sus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Most prior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resources and performance hav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resources and brand performance, via employing the perspective of customer-based brand equity(CBBE) model. Going beyond CBBE, this research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resouce-based view and core competency attempts to examine if brand resource and brand capabil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irm performance.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brand resource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brand capability, while it is non-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ales revenues. Further, brand resource i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les revenues. However, brand resource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arket shares. Besides, brand capability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sales revenues with a low significance level. Mediating effect of brand cap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them is also tested. These research finding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argument that brand resources are the essential source of developing brand capability for firms. Moreover, the results are also partialy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y suggesting that brand capability differentiated from competito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financial performance. Consequently, the findings that brand capability has a greater effect on sales revenue than market share, not only expand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s of the role and impact of brand capability in the link of brand resource-firm performance, but also suggest brand managers to develop brand capability with a strategic direction. 브랜드 자원은 기업의 가치창출과 경쟁우위 유지에 가장 중요한 핵심 자산이다. 브랜드와 기업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던 선행연구 대부분은 고객기반 브랜드자산 모형을 주로 이용하여, 브랜드 자원과 브랜드 성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집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기반 관점의 연구 중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기업의 전략적 관점에서 자원과 브랜드 역량이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 관점 이론과 핵심역량 이론을 토대로, 브랜드 자원-브랜드 역량-기업성과의 관계가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계층적 회귀분석 결과, 브랜드 자원은 브랜드 역량에 정(+)의 유의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출액과는 유의적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브랜드 역량은 매출액과 정(+)의 유의적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브랜드 자원과 시장점유율의 관계는 비유의적이었으며, 브랜드 역량은 시장점유율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낮은 유의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브랜드 자원은 브랜드 역량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원천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또한 경쟁사와 차별화된 브랜드 역량은 기업의 재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즉 브랜드 역량이 시장점유율보다는 매출액 증가에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결과는 브랜드 역량의 역할과 효과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브랜드 관리자에게 브랜드 역량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경영자원과 기업성과의 관계에서 브랜드의 조절효과

        선종학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4

        오늘날의 치열한 시장경쟁에서 강력한 브랜드는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 러나 브랜드 자원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직접적 선형관계로만 파악하는 것은 브랜드의 다양한 역할과 범위에 대한 통찰과 이해를 제한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기업성과의 관계를 직접적 선형관계에서 접근했던 이전의 관 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경영자원과 기업성과의 관계에서 브 랜드 자원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 구에서는 벤처기업협회에서 2,500개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 로 2020년에 실시한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계층적 회귀분석 기법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 자원은 기업의 매출액 증가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 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자원은 총자산과 매출액의 관계는 물론, 지적재산권과 매출액의 관계를 유의 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브랜드 자원은 해외 시장점유율에는 정(+)의 유의적 영향을 보였으나, 국내 시장점유율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브랜드 자원이 국내외 시장점유율에 미치는 조절 효과의 분석결과는 엇갈렸다. In today's fierce market competition, a strong brand cou 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attaining competitive advanta ges. Focusing on the direct effects of brand resources on firm performance, numer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 dies have paid extensive research efforts to explain how firm performance chang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br ands owned by firms. However, it would restrict our und erstandings, if the direct linear relationship is the only ex planation to scrutinize the role and impact of brand resou rces. Going beyond the prior perspective, this study seek s to examine various roles and scopes of brand resources, especially by focusing on the possible moderating effect of it between other resources (tangible assets, intangible intellectual property, human resource capital) and firm pe rformance(sales revenues, domestic-overseas market sha res). By employing the data collected by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from a detailed survey of 2,500 Kor ean small-medium ventures in 2020, this research examin ed not only the direct linear effect of brand, but the mode rating effect of it between them via a hierarchical regress ion techniqu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brand, like other resources (total assets, intellectual property), has a positive effect on sales revenu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rand significantly moderates the link between total assets and sales revenue, as well as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sales revenue. Yet, the direct effect of brand was reported to be insignificant with domestic market share, while brand resource was found to be posit ively significant with overseas market share. Furthermor 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were mixed regardin g the moderating effect of brand resources, overseas mar ket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brand, while domestic market was not.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 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브랜드 유착의 인과관계

        선종학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1

        The onset of Online Brand Community(OBC) not only implies the shift in marketing paradigm, but attracts thematic attention from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in brand management. Thus, this research explor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brand engagement(BE) in the context of OBC. The research examined utilitarian experience(informativeness) and hedonic experience(entertainment), as the antecedents of BE in an OBC. Additionally, brand love and intention to recommend a brand were measured as the outcomes of BE. To analyze the hypothesized relations among the constructs, a dataset of 25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ested via PLS technique. As the empirical results, while the effect magnitude of informativeness on BE was found to be slightly greater than that of entertainment, both experiential construct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E. Besides, Brand Love and Intention to Recommend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E. Particularly, BE and Brand Love were found to be highly related to each other. The research results concluded that utilitarian-hedonic experiences in OBC are positively related to BE which in turn, has significant impacts on both brand love(emo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a brand(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s about brand engagement in OBC, and further to provide brand managers with strategic implications for brand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OBC.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Online Brand Community: OBC)의 등장은 브랜드 마케팅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왔으며, 브랜드 경영자와 연구자의 많은 관심을 이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OBC에서의 브랜드 유착(Brand Engagement)을 중심으로 원인과 결과의 전반적인 인과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유착의 원인으로서 소비자의 OBC 실용적 경험(정보성)과 OBC 쾌락적 경험(오락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브랜드 유착의 결과로서 브랜드 사랑과 브랜드 추천의도를 측정하였다. 이들 구성개념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OBC 소비자로부터 254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PLS(Partial Least Squares) 기법으로 검증하였다. 실증결과 정보성이 브랜드 유착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오락성의 영향력 보다 미세하게 컸으며, 두 요인 모두 브랜드 유착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브랜드 유착 또한 브랜드 사랑 및 브랜드 추천의도, 두 요인 모두와 유의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C 환경에서 소비자의 실용적-오락적 경험은 브랜드 유착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며, 또한 브랜드 유착이 브랜드 사랑(감정) 및 브랜드 추천의도(행위의도)를 이끌어 내는 선행조건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OBC의 브랜드 유착을 둘러싼 구성개념에 대한 우리의 이론적 이해를 확장시키는 한편, OBC 관리에 필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브랜드 경영자에게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기술혁신의 선행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선종학,김승운 한국산업정보학회 2019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4 No.6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을 유발하는 선행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기술혁 신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기업의 외부환경 (국내·해 외 시장 점유율, 정부의 규제 및 지원, 경쟁의 격화정도)과 기업의 내부 경영자원으로서 유형자원 (R&D 투자규모, 기업크기, 기업의 연령), 무형자원 (기업의 능력, 의사결정의 중앙집중화 정도), 및 인 적자원 (R&D 관련 인력의 질적 수준)과 기술혁신의 관계를 검토하였으며, 또한 기술혁신과 기업의 재무성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해외시장 점유율, R&D 투자규모, 기업의 규모, 기업능력, 중앙집중화 등의 요인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특허권, 지적재산권)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기술혁신은 기업의 매출액 및 총자산과 유의적 관계가 있다는 분석결과가 제시되었 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이 기술혁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그 성과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을 모색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