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글로벌 한상네트워크의 활동 및 발전 방안

        선봉규 ( Sun Bongkyu ) 한국민족연구원 2018 민족연구 Vol.0 No.72

        이 연구는 세계한인경제인대회, 세계한상지도자대회, 세계한상대회 등 글로벌한상네트워크의 주요 활동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자료와 세계한인무역협회,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 재외동포재단의 홈페이지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외동포사회는 정부기관보다 먼저 경제단체를 결성하여 한상네트워크 활동을 전개해오고 있다. 대표적인 재외동포 경제단체인 세계한인무역협회와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는 각각 1996년과 1993년부터 한상대회를 개최해왔다. 둘째, 정부기관인 재외동포재단은 2002년에 세계한상대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세계한상 대회는 점차 한상의 참여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세계한상대회에 참여한 기업들은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과 중국, 일본 등 몇 개 국가에 편중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다양한 국가에서 경제활동을 벌이고 있는 한상과 비즈니스 정보를 공유하거나 국내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한상네트워크의 발전방안으로는 첫째, 현재 여러 기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상대회를 4년에 한 번씩이라도 세계한상 통합대회를 개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아시아 한상대회, 중남미 한상대회, 아프리카ㆍ중동 한상대회, 미주한인 상공인 대회 등 지역별 한상대회를 활성화해야 한다. 지역별 한상대회는 한상과 한상 간, 한상과 국내기업 간, 모국과 거주국간의 교류협력을 강화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재외동포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한상넷 등 온라인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국가의 한상들이 비즈니스 정보를 공유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해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ain activities of the global Korean business networks, such as the World-OKTA (Overseas Koreans Traders Associations) Convention, the World Korean Business Leaders Convention and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nd also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Existing research and relevant data from the homepages of the World-OKTA, the World 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 of Commerce, as well as Overseas Koreans Foundation have been examined. The main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seas Koreans' society has established economic organizations earlier than government agencies and has been hosting the annual Korean business conventions. The representatives of such economic organizations as the World-OKTA and the World 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 of Commerce have been hosting business conventions since 1996. Second, being a governmental organization, Overseas Koreans Foundation has been hosting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s since 2002, but the participation of overseas Korean businessmen is decreasing gradually. Moreover, the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m are mainly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hina and Japan, including South Korea. This shows that there is a certain limit in sharing business information with Korean business circles that ar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in various countries or in acquiring information for the advancement of Korean companies in overseas markets.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global Korean business network are as follows. First, Korean business conven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held by various organizations, should be organized in an integrated way at least once every four years. Second, regional conventions, such as Global Korean Business Convention in China, Asia Korean Business Convention, and Convention of Korean-American Chamber of Commerce should be revitalized. Regional Korean business conventions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ing exchanges between Korean business and domestic companies, between home countries and countries of their residence, as well as promote cooperations among Korean business circles. Third, by actively utilizing online space, such as www.hansang.net operated by Overseas Koreans Foundation, Korean business circles in various countries should share business information and establish networks.

      • KCI등재

        한국에 귀환 이주한 고려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선봉규 ( Bongkyu Sun ),파르피에브스름 ( Syrym Parpiyev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이 연구는 한국으로 귀환 이주한 고려인의 정체성을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귀환 이주 고려인들은 한국어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녀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의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귀환 이주 고려인들은 한국의 음식과 문화(드라마, 음악, 영화 등)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셋째, 귀환 이주 고려인들은 일상생활에서 한국 사람들과 교류하거나 관계를 형성하기보다는 고려인들을 더 선호하고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무엇보다, 귀환 이주 고려인들은 한국어를 배우는데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언어는 사회적응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필수요소이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다음으로, 귀환 이주 고려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국내 NGO들과 연대하여 지역사회 내 원주민 및 다른 이주민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of Koreans from CIS, who returned to Korea. A brief summary of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orean Returnees from CIS in Korea are still having difficulty with using Korean language, but their children’s commitmen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Second, Korean Returnees from CIS showed a high interest in Korean food and culture (drama, music, movies) and overall attitude to understand and accept Korean culture. Third, Korean Returnees from CIS seem to prefer their compatriots from same countries and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among themselves rather than interacting or forming relationships with Koreans in their everyday liv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Korean Returnees from CIS should actively try to learn Korean, as a language is an essential element of social adaptation and social interaction. So,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not be overemphasized. At last, Korean Returnees from CIS should cooperate with domestic NGOs in daily life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local people and other migrants in the community.

      • 재일코리안의 디아스포라적 삶과 적응기제

        선봉규(Sun Bong Gyu),이정인(Lee Jung I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5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aspect of Diaspora life and local adjustment mechanism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living at Ikuno-ku, Osaka Korean town forcusing on the problem of local social adjustment mechanism of alienation meanwhile the stud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s, I analyse interview data from local visit. Ikuno-ku, Osaka region is a place that symbolize of ethnic Korean residents in Japan. After the 1980s, new migrants from Korea introduce as living with a variety of actors and transform into a community where on the one hand they maintain a comflictual relationship and on the other hand they form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Korean residnet in Japan living at Ikuno-ku, Osaka is trying to form different types of stable adjustment mechanism. Korean residents in Japan possess adjustment mechanism with remains a national identity, form the necessary mechanisms for inheritance, and interact with members of the community or plan a joint program. However, it is necessary that community members of Korean should try to resolve the active invisible conflict to adapt and to settle in a stable communit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현황 및 과제: 광주광역시 거주 고려인동포 자녀를 중심으로

        선봉규 ( Sun Bong Kyu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오늘날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문제는 한국사회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이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교육 정책과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실태, 광주 고려인마을에 거주하고 있는 고려인동포 자녀들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교육부를 중심으로 지자체·민간기업·NGO·대학 등과 연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향상과 한국문화 이해 증진을 위해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학생, 특히 중도입국 학생의 경우 학교생활에 안정적으로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광주 고려인마을은 대안위탁교육기관인 새날학교를 포함하여 자생적인 단체들을 중심으로 고려인동포 자녀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과 한국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고려인동포 자녀들은 학교생활에 부적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의 경우 학생들로부터 따돌림 당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인동포 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이 함께 어울리고 친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가정 학생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정부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한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직업 교육, 취업 지원에 관한 법·제도적 개선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The issue of education for youths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ver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status of Koryein youths living in `Koryeinmaeul`, Gwangju metropolitan. The Korean government engag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private enterprises, NGOs, and universities. However,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immigrated youths are experiencing maladjustment in school life. The `Koryeinmaeul` has a program for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Koryein youths an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centering on self-help groups including the Saenal school which is an alternative commissioned educational institution. However, the problem of adapting to school life of Koryein youths is still continuing, and in some cases students have been bullied by other students. The policy measures to solve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actively run a program that allows Koryein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o get together and become friends.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not only for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but also for promoting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among all students. Final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law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employment support as well as school education in order for the youths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settle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주류언어 사용 실태 연구: 중국조선족, 재일한인, 카자흐스탄 고려인을 중심으로

        선봉규 ( Bong Kyu Su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3

        이 연구는 중국조선족, 재일한인, 카자흐스탄 고려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거주국의 주류언어 사용 수준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방법은SPSS Statistic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류언어의 사용 수준은 중국조선족과 재일한인이 카자흐스탄 고려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현재 카자흐스탄이 체제전환기에 놓여 있는 특수한 상황과 연관이 있다. 즉 카자흐스탄은 1991년 독립 이후 카자흐어를 국가어로 지정하였지만, 소련시기 주류언어인 러시아어를 여전히 공용어 및 민족간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류언어의 사용 수준은 40대와 4년제 대학 졸업 이상자, 전문관리직 및 공무원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한국의 재외동포들이 거주국의 주류사회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주류언어를 습득하는데 노력해야 하며, 주류사회의 구성원들과 다양한 교류활동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mainstream language used by Korean Diaspora in China, Japan and Kazakhstan. The mainstream language means the principal language of mainstream society in host country. The quantitative data gathered from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using SPSS 20.0 for frequency, T-test an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evels of mainstream language by host countries are higher in those who live in China and Japan than those live in Kazakhstan. This fact is related to the specific situation in Kazakhstan where currently is undergoing a system transition. Although Kazakhstan has designated Kazakh as the national language since independence, Russian is stillused as the official language and the major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ethnicity groups; and 2) the levels of mainstream language by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higher in those who are 40s,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or more, professionals and officials than those who are in the other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overseas Koreans should make an effort to learn mainstream language in order to advance into the mainstream society in host country successfully, and continue interacting activities with members of the mainstream society

      • KCI등재

        재미한인의 문화다양성 수용에 관한 연구: 동부지역 거주 한인을 중심으로

        선봉규 ( Bong-kyu Sun ),안상윤 ( Sang-yun 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이 논문은 미국 동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의 문화다양성 수용에 대한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미한인은 미국사회가 인종, 종교, 사회경제적 배경 등 이민자의 문화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한인의 미국정부의 이민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정부의 이민정책은 더욱 개방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셋째, 재미한인은 전반적으로 같은 한국인들과 친하게 지내고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미한인 1세는 모국의 정치문제에 관심이 많은 반면, 2세는 미국의 정치문제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재미한인사회는 세대별로 나타나는 행동양식과 정체성의 차이를 좁혀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1.5세와 2세의 참여를 보강하여 세대 간 문화다양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reality of cultural diversity acceptance of Koreans living in the eastern part of the United States through a survey.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Americans showed that American society recognizes the cultural diversity of immigrants, such as race, religion, and socioeconomic background. Second, the satisfaction of Korean-Americans with the immigration policy of the US government was below average, and it is believed that the US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should be more open. Third, it was found that Korean-Americans are generally friendly and trusting with the same Korean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American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political issues of their home country, while the second generation was more interested in the political issues of the United Stat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Korean-Americans society should narrow the differences in behavioral patterns and identities that appear by generation. Last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cultural diversity between generations by reinforcing the participation of 1.5-year-olds and 2-year-olds.

      • KCI등재

        한국의 이주민 건강정책의 제도화 및 쟁점에 관한 탐색적 고찰

        선봉규 ( Bongkyu Su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이주민 건강정책의 제도화 실태와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로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기존의 연구자료와 법률, 조례 관련 자료를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 이 연구에서는 건강권에 대한 개념과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한국에서의 이주민 건강정책의 근거가 되고 있는 법률 제정 현황과 적용 대상, 지방정부의 이주민 건강 관련 조례 제정 현황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외국인 건강보험제도의 주요 쟁점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결론 및 제언: 첫째, 한국에서 이주민은 기본권으로서의 건강권을 향유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둘째, 최근 개정된 외국인 건강보험제도에서도 이주민은 내국인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불평등한 대우를 받고 있다. 셋째, 이러한 제도적 차별과 함께 한국사회의 이주민에 대한 내재화된 편견, 혐오, 차별배제적인 태도는 이주민의 인권과 건강권 실현에 장애요소로 작동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이주민의 건강정책은 국제사회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건강권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국가와 지역사회, 이주민과 선주민이 함께 참여하고 협력하는 새로운 건강체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major issues of migrant health policy, which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after COVID-19,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looked at existing research data, laws and ordinance-related data mainl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perception of the right to health was examined, and the current status of migrant health-related laws in Korea was reviewed. In addition, the main issues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for foreigners were explored.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igrants in Korea have many difficulties in enjoying the right to health as a basic right. Second, even in the recently revised health insurance system, migrants are treated very unequal compared to natives. Third, the internalized prejudice, hatred, and anti-discrimination attitude toward migrants in Korean society act as obstacles to the realization of migrants' right to health. Lastly, future health policies for migrants should be shifted towards establishing a new health system in which the country, local communities, migrants and natives participate and cooperate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