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양측난관폐쇄 환자에서 시험관아기 시술 후 복벽 반흔에 발생한 복강임신

        석현하 ( Hyun Ha Seok ),이우식 ( Woo Sik Lee ),윤태기 ( Tae Ki Yoon ),김수희 ( Soo Hee Kim ),원형재 ( Hyung Jae Won ),김유신 ( You Shin Kim ),유상우 ( Sang Woo L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3

        Abdominal pregnancy is a rare event following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n case of early abdominal pregnancy, it is difficult to diagnose and treat early because of nonspecific symptoms. The abdominal pregnancy in a woman with tubal obstruction is very exceptional and an abdominal pregnancy on abdominal scar have not been reported. We reported the first abdominal pregnancy on abdominal scar following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n a woman with unilateral salpingectomy and contralateral tubal obstruction.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시 발생한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의 임상양상 및 위험요인

        석현하 ( Hyun Ha Seok ),원형재 ( Hyung Jae Won ),윤태기 ( Tae Ki Yoon ),이우식 ( Woo Sik Lee ),곽인평 ( In Pyung Kawk ),조정현 ( Jung Hyun Cho ),한지은 ( Ji Eun Han ),김수희 ( Soo Hee Kim ),김유신 ( You Shin Kim ),유상우 ( Sang W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6

        목적: 대규모의 환자군을 바탕으로 체외수정시술시 발생하는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의 발생률 및 예측인자, 임상양상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과배란유도에 의한 체외수정 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중증의 난소과 자극증후군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발생률 및 임상양상을 조사하였다. 예측인자로 hCG 주사 당일에 시행한 질초음파상 총 난포의 개수, 혈청 에스트라디올 농도, 채취된 난자의 수를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에서 비교하여 chi-square 검정과 Student`s t-검정을 이용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늑막삼출의 예측인자도 동일한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과배란유도에 의한 체외수정 시술을 시행한 환자는 6,292예였으며 이 중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은 133예 발생하여 2.11%의 발생률을 보였고 과배란유도 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환자의 나이, hCG 주사 당일에 시행한 질초음파상 총 난포의 개수, 혈청 에스트라디올 농도, 채취된 난자의 수 모두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이 발생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이 중 지발성으로 발생한 환자 63명은 모두 임신한 환자였다.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 환자의 43.6%에서 다낭성 난소증후군을 관찰할 수 있었다. 늑막삼출은 28명에서 발생하여 0.45%의 발생률을 보였고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 환자 중 늑막삼출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없었다. 결론: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의 발생률은 2.11%이며 과배란유도 방법에 따른 발생률 차이는 없었고 hCG 주사 당일에 시행한 질초음파상 총 난포의 개수, 혈청 에스트라디올 농도, 채취된 난자의 수, 다낭성 난소증후군, 임신여부가 위험인자로 의미가 있었다. 늑막삼출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없었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ncidence, clinical predictors, clinical manifestations of severe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in a large group.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all IVF-ET cycles was performed from January 2005 to October 2007. We analysed incidence of severe OHSS and clinical manifestation. We assessed transvaginal number of follicles on hCG, serum estradiol, numbers of oocytes as the predictive factors comparing severe OHSS group and control group. Chi-square test and Student`s t-test were used. Pleural effusion group was assessed identically. Results: 6,292 IVF-ET cycles were undertaken in which 133 cycles of severe OHSS was developed (incidence: 2.11%). Patients age, transvaginal number of follicles on hCG, serum estradiol, numbers of oocytes were high in severe OHSS group and lately developed OHSS patients were all pregnant. 43.6% of severe OHSS were diagnosed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leural effusion was develop in 28 patients (incidence : 0.45%) and there were no predictive factor of pleural efusion.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severe OHSS was 2.11%. The protocol of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did not affect the incidence of severe OHSS. Transvaginal number of follicles on hCG, serum estradiol, numbers of oocytes, PCOS, pregnancy were meaningful risk factors. There were no predicting factor for the pleural effusion of severe OHSS.

      • KCI등재

        The Optimal Time for Embryo Transfer in Fresh IVF: Comparison between Day 3 and Day 5 on Pregnancy Outcomes

        유상우,김아리,석현하,김유신,이우식,윤태기,원형재,Lyu, Sang-Woo,Kim, A-Ri,Seok, Hyun-Ha,Kim, You-Shin,Lee, Woo-Sik,Yoon, Tae-Ki,Won, Hyung-Jae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2

        목 적: 본 연구는 체외수정술 후 배양 3일째 2개의 난할단계 배아 (D3ET)와 배양 5일째 2개의 포배기단계 배아(D5ET)를 이식했을 때 각각의 임신예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강남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에서 체외수정술 후 D3ET을 시행한 90명의 환자를 나이와 체외수정 주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D5ET군 90명과 비교한 후향적 환자군-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두 군 모두 2개씩의 양질의 배아를 이식하였다. 각각의 임신율, 착상률, 다태임신율을 비교하였다. 결 과: 환자의 특성, 체외수정주기 및 배아의 특징은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신예후를 비교했을 때, D3ET군과 D5ET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착상률 (39.4% vs. 32.8%), 임신율 (57.8% vs. 46.7%), 임상적임신율 (53.3% vs. 45.6%), 진행임신율 (50.0% vs. 42.2%), 유산율 (13.5% vs. 9.5%). 두 군 모두 높은 다태임신율을 보여주었다 (37.5% vs. 34.1%). 결 론: 체외수정술 후 배양 5일째 포배기단계 배아이식이 배양 3일째 난할단계 이식보다 더 좋은 임신예후를 보여주지 못한다. 또한 나이가 젊고, 양질의 배아를 가진 좋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여성에서는 다태임신율을 줄이기 위해 단일배아이식을 고려해야 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ay 3 embryo transfer (D3ET) with day 5 ET (D5ET) in fresh in vitro fertilization (IVF) cycle on pregnancy outcome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matched case control study that included 90 women with D3ET and 90 women with D5ET from January 2007 to June 2009. Subjects were matched for reproductive profiles and IVF cycle characteristics. Two good quality embryos were transferred in both groups. Pregnancy rates (PR), implantation rate, and multiple PR were compared. Results: Demographics, stimulation parameters and embryological data were comparable in both groups. Main pregnancy outcomes with D3ET and D5ET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mplantation rate (39.4% vs. 32.8%), positive PR (57.8% vs. 46.7%), clinical PR (53.3% vs. 45.6%), ongoing PR (50.0% vs. 42.2%), respectively. Both groups showed high multiple PR (37.5% vs. 34.1). Conclusion: D5ET may not be beneficial and necessary in comparison with D3ET on pregnancy outcomes, and elective single ET should be considered to decrease multiple pregnancies in women with favorable conditions and good quality embryos undergoing IVF.

      • KCI등재

        시험관아기 시술 후 자궁천골인대에 발생한 일차성 복강임신 1예

        원형재,윤태기,석현하,김유신,이경주,권태희,Won, Hyung-Jae,Yoon, Tae-Ki,Seok, Hyun-Ha,Kim, Yu-Sin,Lee, Kyung-Ju,Kwon, Tae-Hee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2

        시험관아기 시술 후 발생한 복강임신은 난관이나 난소 이외에 생기는 매우 드문 자궁외 임신으로 다른 자궁외 임신에 비해 특이증상이 없기 때문에 진단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복강임신이 생기는 대표적인 부위는 간, 비장, 장간막, 횡격막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저자들은 시험관아기 시술 후 발생한 복강임신 중 자궁천골인대에 발생한 자궁의 임신을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Abdominal pregnancy is a very rare form of ectopic pregnancy following IVF-ET procedure. Because the symptoms of abdominal pregnancy is not typical, it is difficult to diagnose early and the mortality rate is higher than other ectopic pregnancies. Liver, spleen, omentum and diaphragm are main implantation sites of abdominal pregnancy. We reported an unusual first case of an etopic pregnancy on uterosacral ligament following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체외수정술시 난할단계 배아 2개와 3개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예후의 비교

        유상우,원형재,이우식,한지은,김아리,김유신,석현하,윤태기,Lyu, Sang-Woo,Won, Hyung-Jae,Lee, Woo-Sik,Han, Ji-Eun,Kim, A-Ri,Kim, You-Shin,Seok, Hyun-Ha,Yoon, Tae-Ki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1

        Objective: To compare the respective pregnancy outcomes of cycles undergoing elective two cleavage-stage embryos transfer (2ET) and three cleavage-stage embryos transfer (3ET) in fresh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program.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matched case control study that included 100 women with 2ET and 100 women with 3ET from January 2007 to June 2009. Subjects were matched for reproductive profiles and cycle characteristics. All of transferred embryos in both groups had good qualities. Pregnancy rates (PR), implantation rate, and multiple PR were compared. Results: Demographics, stimulation parameters and embryological data were comparable in both groups. Main pregnancy outcomes with 2ET and 3ET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mplantation rate (41.0% vs. 35.3%), positive pregnancy rate (58.0% vs. 60.0%), clinical PR (55.0% vs. 59.0%), ongoing PR (51.0% vs. 55.0%), respectively. However, the 3E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ultiple pregnancy and triplet pregnancy rates (30.9% vs. 50.8%, p=0.031; 1.8% vs. 11.9%, p=0.036, respectively). Conclusion: In women with favorable conditions and good quality embryos undergoing IVF, 2ET can get pregnancy outcomes comparable to those of 3ET and reduce multiple pregnancy (especially, triplet pregnancy). 목 적: 본 연구는 체외수정술에서 배양 3일째 2개의 난할단계 배아 (2ET)와 3개의 난할단계 배아 (3ET)를 이식했을 때 각각의 임신성적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한 명의 불임전문 의사에게 시술받은 2ET군 100명을 환자의 나이와 체외수정 주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3ET군 100명과 비교한 후향적 환자군-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두 군 모두 양질의 배아만을 이식하였다. 각각의 임신율, 착상율, 다태임신율을 비교하였다. 결 과: 환자의 특성, 체외수정 주기 및 배아의 특징은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ET군과 3ET군 모두 비슷한 임신성적을 보여주었다; 착상율 (41.0% vs. 35.3%), 임신율 (58.0% vs. 60.0%), 임상적임신율 (55.0% vs. 59.0%), 진행임신율 (51.0% vs. 55.0%). 두 군 모두 높은 다태임신율을 보여주었으나, 3ET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전체 다태임신율과 삼태임신율을 보여주었다 (30.9% vs. 50.8%, p=0.031; 1.8% vs. 11.9%, p=0.036). 결 론: 나이가 ??고 양질의 배아를 가진 좋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여성에서 체외수정술 시행 시 배양 3일째 2개의 배아를 이식하더라도 3개의 배아를 이식했을 때와 비슷한 임신성적을 얻을 수 있고, 다태임신 (특히, 삼태임신)을 줄일 수 있다.

      • SCOPUSKCI등재

        임상연구 : 불임 환자에게 시행되는 난자 채취 시 Fentanyl과 Alfentanil을 이용한 정맥 마취의 비교

        강용인 ( Yong In Kang ),방은치 ( Eun Chi Bang ),이현숙 ( Hyun Sook Lee ),조경숙 ( Kyung Sook Cho ),김수연 ( Su Yeon Kim ),설정호 ( Jung Ho Sul ),김준영 ( Jun Young Kim ),윤태기 ( Tae Gi Yoon ),석현하 ( Hyun Ha Seok ) 대한마취과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5 No.5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ect of intravenous anesthesia with fentanyl or alfentanil on the hemodynamic profile, sedation, recovery and side effect in the patients undergoing oocyte retrieval. Methods: The patients were designed to receive alfentanil (group A, n=70) or fentanyl (group F, n=70) intravenous anesthesia. The patients were given midazolam 0.6 mg/kg and alfentanil 15 μg/kg in group A or fentanyl 1.5 μg/kg in group F. Propofol 0.7 mg/kg was given if patient was awaken during procedure. Hemodynamic changes, propofol used dosage and initial propofol injecting time, Ramsay Sedation Scales, cough reflex on opioid injection, recovery time, duration of apnea and postoperative nausea, vomiting at the recovery room were recorded. Results: Group A had rapid onset, deep sedation, less amount of propofol used, more frequent apnea than group F.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nausea, vomiting and recovery tim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intravenous anesthesia with fentanyl or alfentanil are suitable for oocyte retreival but apnea happened more frequent in alfentanil group, so the use of alfentanil needs to monitor ventilation and hemodynamic changes carefully. (Korean J Anesthesiol 2008;55:543~8)

      • KCI등재

        임신 초기 시행한 질식초음파의 전치태반 예측에 대한 연구

        김아리 ( A Ri Kim ),박병준 ( Byung Joon Park ),최정수 ( Chung Soo Choi ),유상우 ( Sang Woo Lyu ),석현하 ( Hyun Ha Seok ),박인양 ( In Yang Park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8

        목적: 임신 초기 초음파는 임신낭의 크기와 모양뿐 아니라 임신낭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보 연구는 임신 초기질식초음파로 파악한 임신낭의 위치와 전치태반의 상관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임신의 결과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부터 2007년까지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와 부평성모자애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하여 전치태반을 진단받은 산모를 대상으로 차트 분석을 통해 71명의 연구군을 선정하여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동일 기간 분만한 산모 중 전치태반이 진단되지 않은 산모 중 무작위 추출로 선정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SPSS 11.0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군에서 자궁내막의 하부에 착상되었던 경우는 17예 (23.9%), 중부에 착상되었던 경우는 22예 (31.0%), 상부에 착상된 경우는 32예 (45.1%)로, 전치태반을 진단받지 않은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0). 전치태반의 유형과 임신낭의 착상부위와의 상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임신 7주 이전의 질식초음파로 확인한 임신낭의 위치가 자궁내막의 하부로 내려가 있을수록 분만 시 전치태반, 조기 분만, 조산의 위험성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Ultrasonography was used to determine not only the size but also the shape and site of gestational sac (GS) in early pregnanc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ole of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to predict placenta previa in early pregnancy, and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GS location with pregnancy outcomes. Methods: From 1995 to 2007, medical records of pregnant women who had diagnosed placenta previa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and Our Lady of Mercy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71 patients with placenta previa had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evidences within 7 weeks of gestation. As a control group, randomized sampling among pregnant women without placenta previa was performed, and 102 patients were selected and review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version 11.0 statistically. Results: 23.9% of GS (n=17) were found in lower 1/3 of the uterine cavity, 31.0% (n=22) were in middle 1/3, while 45.1% (n=32) were in upper 1/3. The distribution of GS in placenta previa patients leans to the lower in uterine cavity compared to normal pregnancies significantly (P=0.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G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placental previ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there would be higher risk for placenta previa, preterm labor, and early delivery when ultrasonographic finding of GS within 7 weeks of gestation reveals lower implantation in uterine ca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