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아레 기법을 이용한 지문인식 성능 개선 방안 제안

        서초롱 ( Cho-rong Seo ),강혁 ( Hyok Kang ),전유부 ( You-boo Jeon ),박진수 ( Jin-su Park ),이근호 ( Keun-ho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최근 보안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생체인증 기술 중 지문인식 기술은 높은 인식률과 빠른 시간 내에 검증이 되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지문 일부분이 손상된 사용자들에게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지문등록과 동시에 무아레 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지문을 더욱 더 세밀하게 분석하여 본 정보를 저장한다. 그런 후 지문인식 기술을 사용해오던 사용자가 도중에 지문이 손상되었을 시에도 지문인식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손상된 부분을 제외한 일부분만을 세밀하게 비교하여 무아레 기법으로 저장된 지문 정보와 일치할 경우 본인 인증에 성공하게 된다.

      • KCI등재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초롱(Cho-Rong Hwang),원택(Weon-Tack Seo),배원열(Won-Yoel Bae),강민정(Min-Jung Kang),신정혜(Jung-Hye Shin)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남해특화작목인 섬애약쑥의 활용도를 높이고 건강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음건한 섬애약쑥과 일정기간 발효시킨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하고, 물과 에탄올 추출물(30%, 50%, 70%, 100%)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및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율은 섬애약쑥 30%에탄올 추출물에서 29.74%로 가장 높았으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섬애약쑥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2.25 mg/g 및 33.34 mg/g으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섬애약쑥 70% 에탄올 추출물은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β-carotene linoleic 탈색 방지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00 μg/ml 농도에서 섬애약쑥 70% 에탄올 추출물이 50.01%로 가장 높았으나 100% 에탄올 추출물은 11.44%로 가장 낮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250 μg/ml 농도에서 섬애약쑥 물 추출물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은 발효하지 않았을 때 항산화 활성이 더 우수하였으며, 70% 에탄올로 추출할 경우 가장 항산화 효과가 높았다. 또한, 섬애약쑥 추출물은 tyrosinase 및 xanthine oxidase 저해에도 상당한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결과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and 30%, 50%, 70%, 100% ethanol extracts from Artemisia Argyi H. and fermented Artemisia Argyi H. The yield was the highest in the 30% ethanol extract with Argyi H. at 29.74%.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70% ethanol extract with Argyi H. at 72.25 mg/g and 33.34 mg/g,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 extrac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70% ethanol extract from Argyi H. show the highest level of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 in β-carotene linoleic acid system.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as also higher in the 70% ethanol extract, and the lowest in the 100% ethanol extract with Argyi H. at 50.01% and 11.44% at 5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At 250 μg/ml concentration, the xanthin oxidase inhibition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more than 60%, and it was higher than the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70% ethanol extract of Artemisia Argyi H. has a high rate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can be useful to develop functional food ingredients.

      • KCI등재

        감초추출물의 지방세포와 조골세포에 대한 분화효과

        서초롱(Cho-Rong Seo),변종선(Jong Seon Byun),안재진(Jae Jin An),이재환(JaeHwan Lee),홍정우(Joung-Woo Hong),장상호(Sang Ho Jang),박계원(Kye Wo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7

        창과감초(Glycyrrhiza inflata Batal)는 한약재의 조화를 돕고 해독, 항염증, 항궤양 등의 약리작용으로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는 약용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세포와 조골세포에서 감초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감초에탄올추출물(GBE)을 이용하여 세포분화 촉진여부를 조사하였다. GBE의 세포독성여부를 통해 안전하다고 확인된 1~30 μg/mL의 농도 내에서 실험이 진행되었고 지방세포 분화조건에서 다분화능 세포 C3H10T1/2과 지방전구세포 3T3-L1의 Oil Red O 염색을 통해 GBE의 지방세포분화 촉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세포의 핵심전사조절인자인 PPARγ와 그의 표지유전자 aP2, AdipoQ, C/EBPα의 발현량 증가를 통해 GBE의 지방세포분화 촉진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와 일관된 결과로서 조골세포 분화조건에서 다분화능 세포 C3H10T1/2과 조골전구세포 MC3T3-E1의 ALP 염색을 통해 GBE의 조골세포분화 촉진효과를 확인하였고 조골세포 표지유전자인 ALP, RUNX2, osterix, collagen의 발현량 증가를 통해 GBE의 조골세포분화 촉진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GBE의 지방세포와 조골세포 분화효과를 매개하는 감초의 구성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GA(glycyrrhizic acid)와 LA(licochalcone A)의 분화촉진 여부를 확인한 결과, GA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LA가 GBE의 세포분화효과를 매개한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와 그에 수반되는 골질환과 골다공증에 대한 치료 소재로서 GBE와 그의 생리활성을 매개할 수 있는 LA의 가능성을 보았으며 GBE에서 분리되는 다양한 화합물의 동정 및 생리활성 효과, LA와의 상승효과 등의 추후 연구가 기대된다. Glycyrrhiza inflata Batal, an important species of licoric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dicinal plants for over 4000 years. Glycyrrhiza plant species has been well known for its various therapeutic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d anti-ul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lycyrrhiza inflata Batal ethanol extracts (GBE) on adipocyte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Mesenchymal C3H10T1/2 cells were treated with sub-cytotoxic doses of GBE, and its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were assessed. We found that GBE dose-dependently increased lipid accumulation and also induced the expression of adipocyte markers, such as PPARγ and its target genes, aP2, and adiponectin, in C3H10T1/2 cells. Consistently, similar effects of GBE on lipid accumulation were also observed in preadipocyte 3T3-L1 cells that further supports the pro-adipogenic activities of GBE.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BE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C3H10T1/2 cells. As a results, we found that GBE increased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lso promoted the expression of osteoblast markers, such as ALP and RUNX2, dur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of C3H10T1/2 cells. Similar pro-osteogenic effects of GBE were also observed in preosteoblast MC3T3-E1 cells. Finally, our data show that a major bioactive compound found in Glycyrrhiza inflata Batal, licochalcone A (LA) but not glycyrrhizic acid (GA), can mediate the pro-adipogenic and pro-osteogenic effects of GBE. Taken together, this study provides data to show the possibility of GBE and its bioactive component LA as putative strategies for type 2 diabetes and bone diseases.

      • IoT 환경에서의 악성패킷 탐지 솔루션 모델 구축 제안

        서초롱 ( Cho-rong Seo ),양희탁 ( Hee-tak Yang ),이근호 ( Keun-ho Lee ),전유부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2

        최근 IT 기술이 눈에 띄게 발전해 가고 있는 가운데 그 중에서도 사물인터넷 또한 많은 발전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은 보안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그 중에서도 요즈음 사물인터넷을 대상으로 한 랜섬웨어 공격이 기승을 부린다고 전해진다. 그 중 웹에 접속하여 파일을 다운받는 경로가 가장 많이 감염되는 경우이다. 이처럼 사용자가 원치 않게 악성코드가 다운되는 경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IoT 기기를 통해 파일을 다운 받거나 위험성이 있는 사이트에 방문 시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먼저 분석하여 위험성 있는 구문을 삭제하거나 차단하여 안전한 데이터들만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보호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 디지털 영사식 무아레를 이용한 얼굴 인증 기반 출입자 탐지 개선 방법 제안

        서초롱 ( Cho-rong Seo ),이정필 ( Jeong-pil Lee ),이근호 ( Keun-ho Lee ),전유부 ( You-boo Jeon ),박진수 ( Jinsoo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생체인식 기술의 발달에 의해 생체 인증 수단 또한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을 이용한 인증방법이 점차 실용화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주변 환경에 제약받을 경우 완벽한 인식률을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얼굴인식 방법의 오탐지 부분에 대한 개선방법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영사식 방법을 통한 무아레 현상을 얼굴인증에 접목시켜 보다 정확한 얼굴 인증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인증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담배 연기에 의한 피부 지질 산화 방지 효과

        서초롱 ( Cho Rong Seo ),하태현 ( Tae Hyun Ha ),문지영 ( Ji Young Moon ),김정미 ( Jeong Mi Kim ),박병권 ( Byoung Kwon Park ),이지원 ( Ji Won Lee ),박진오 ( Jin Oh Park ),신진희 ( Jin Hee Shin ) 대한화장품학회 2018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4 No.2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 안티폴루션 효능이 있는 화장품은 새로운 피부 건강을 위한 해결책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부(대기) 오염물질에 의해 피부의 산화 기전을 매개하는 주요 원인 인자들로 오존, UV, 미세먼지 및 담배연기 등을 꼽을 수 있다. 담배 연기의 노출은 직·간접적으로 피부 표피 내 지질의 산화를 야기한다. 피부의 지질 산화에 의해 squalene과 squalene monohydroperoxide의 비율 변화가 발생하고, malondialdehyde (MDA)가 지질산화 산물로 생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배연기 노출 시 발생하는 피부 산화에 대하여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방지할 수 있는 효능이 있는지에 대하여 MDA의 생성량으로 관찰하였다. 시험대 상자 전박부를 세 영역(음성대조, 양성대조, 시험제품)으로 나누어 각 지름 3.3 cm의 원으로 구획하고, 15분간 담배연기에 노출 후 피부 표면으로부터 지질막을 걷어낸 후 TBARS assay를 통하여 MDA를 정량 하였다. 음성대조(무도포, 미노출)에 비해 양성대조(무도포, 담배연기 노출)의 MDA 생성량이 3.7배 증가된 결과로, 오염물질인 담배연기에 의한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을 미리 도포한 영역은 양성대조에 비해 MDA 생성량이 25%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담배연기 노출은 피부표피 내 지질 산화를 야기하며,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이러한 대기환경오염으로부터 방어적 효과(안티폴루션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cosmetics market, anti-pollution products recently come up with new solution for skin health. Environmental oxidation mechanisms are realized as bio-marker of atmospheric pollution upon skin by environmental pollutant such as ozone, UV rays, particulate matter (PM) as well as cigarette smoke. The exposure of cigarette smoke directly or indirectly causes the oxidation of the stratum corneum skin lipids, resulting in the conversion of squalene to squalene monohydroperoxide and/or generation of malondialdehyde (MDA) as a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whether new cosmetics product containing red beet has anti-oxidation effect on skin exposed by cigarette smoke. So as to determine oxidative damage to human skin at biochemical level, each unit area of volar forearms was exposed to cigarette smoke through device (3.3 cm, diameter) for fifteen minutes, then measured MDA using standardized TBARS assay kit. Compared to negative control (untreated and unexposed area), the level of MD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positive control (untreated and exposed area) more than 3.7 times, indicating the pollutant induced-oxidative damage on the skin barrier. Whereas, the pre-applied area with the cosmetics products containing red beet revealed a decrease of 25% compared with positive control. As reports,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cigarette smoke induce peroxidation of stratum corneum skin lipids. Conclusively, we suggest that anti-pollution effect of the cosmetics product containing red beet is beneficial to prevent the oxidation of skin lipids by atmospheric pollution.

      • KCI등재

        건조 및 침출 조건에 따른 섬애약쑥 침출물의 항산화활성

        초롱 ( Cho Rong Hwang ),원택 ( Weon Taek Seo ),강민정 ( Min Jung Jung ),신정혜 ( Jung Hye Shi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4

        경남 남해군에서 자생하며 황해쑥의 변종으로 확인되어 품종 출원 추진 중인 섬액약쑥(A.argyi)을 차로 음용하기 위하여 숙성기간과 침출온도에 따른 침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 하였다. 천일 건조한 쑥을 대조군(RC)으로 하고 60℃의 향온기에서 3.5(HA), 7(HB) 및 14(HC) 일간 숙성하여 제조한 쑥을 차로 음용 할 때의 최저 (60℃) 및 최고(95℃)온도에서 각각 침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60℃와 95℃에서 침출한 HA 시료에서 각각 0.52±0.18%와 0.92±0.18%로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환원당 함량은 침출온도가 높을 수록 더 높아 RC 시료의 경우 95℃ 침출시 9.55±0.18 mg/g으로 60℃ 침출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반명, 숙성기간에 따른 함량 차는 적어 60%에서 침출한 HA~HC 시료의 환원당은 10.08±0.03-10.64±0.03 mg/g의 범위였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60℃에서 침출하였을 때 2.30±0.21~7.02±0.22 mg/g이었고, 95℃에서 침출하였을 때는 3.36±0.13±~9.88±0.23 mg/g으로 높은 온도에서 침출할 때 더 높았다. 전처리 기간이 동일한 RC와 HA 시료를 각각 60℃에서 침출하였을 때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처리된 시료일수록 활성이 더 증가하였다. FRAP는 침출 온도가 높을 때 활성이 높아, RC 시료의 경우 60℃(83.88±0.43 μM) 보다 95℃에서 침출 하였을 때 181.28±2.90 μM로 활성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은 숙성 처리 후 높은 온도에서 침출하여 음용할 때 유용성분의 섭취가 더 용이하며, 항산화활설도 더 우수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unaeyaksuk (Artemisia argyi) tea extracts from different pre-treatment and extraction methods. Sumaeyaksuk was sun-dried for 3.5 days (control, RC) and aged at a temperature of 60℃ for 3.5 days (HA), 7 days (HB), and 14 days (HC), respectively. Each sample was extracted in 60℃ (: and 95℃ hot water for 2 minutes. The soluble scuds content of HA from the 60℃ and 95℃ hot water extraction were 0.52±0.18% and O.92±0.18% respectively. The soluble solids content was increased by the higher extraction temperature.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RC was 9.55±0.18 mg/g in the 95℃ extractio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60℃ extracted sample. However, the reducing sugar content did not show a remarkable difference based on aging periods,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95℃ extracted samples was 3.36±O.13-9.88±Q.23 mg/g,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60℃ extracted sample. The ABTS radical seavenging activity of the 60℃ extracted RA and HA samples were 35.63% and 95.10%, respectively. Moreover,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to 63.35%) and 96.78% respectively, in U1C 95℃ extracted samples. As a result of the high temperature, the. extracted sample showed an increase in the FRAP. III the RC sample, the FUAP was two limes higher in the 95℃ extracted sample (181.28±2.90 μM) than ill the 60℃ extracted sample (83.88±0,43, μ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