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림지역에서의 2023년 봄철 꽃나무 개화시기 예측

        서지희,김수경,김현석,천정화,원명수,장근창 한국농림기상학회 202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5 No.4

        Changes in flowering time due to weather fluctuations impact plant growth and ecosystem dynamics. Accurate prediction of flowering timing is crucial for effective forest ecosystem management. This study uses a process-based model to predict flowering timing in 2023 for five major tree species in Korean forests. Models are developed based on nine years (2009-2017) of flowering data for Abeliophyllum distichum, Robinia pseudoacaci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and Sorbus commixta, distributed acro ss 28 regions in the country, including mountains. Weather data from the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MOS) and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re utilized as inputs for the models. The Single Triangle Degree Days (STDD) and Growing Degree Days (GDD) models, known for their superior performance, are employed to predict flowering dates. Daily temperature readings at a 1 km spatial re solution are obtained by merg ing AMOS and KMA data. To impro ve prediction accuracy nationwide, random forest machine learning is used to generate region-specific correction coefficients. Applying these coefficients results in minimal prediction errors, particularly for Abeliophyllum distichum, Robinia pseudoacaci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with root mean square errors (RMSEs) of 1.2, 0.6, and 1.2 days, respectively. Model performance is evaluated using ten random sampling tests per species, selecting the model with the highest R2. The models with applied correction coefficients achieve R2 values ranging from 0.07 to 0.7, except for Sorbus commixta, and exhibit a final explanatory power of 0.75-0.9.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seasonal changes in plant phenology, aiding in identifying honey harvesting seasons affected by abnorm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those of Robinia pseudoacacia. Detailed information on flowering timing for various plant species and regions enhances understanding of the climate-plant phenology relationship. 이상기상으로 인한 봄꽃 개화 시기의 변화는 식물의 생장기간 뿐 아니라 생물계절을 포함한 생태계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봄꽃 개화 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산림 생태계의 효과적인 관리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464곳의 산림에서 수집된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산림의 대표적인 5가지 수종(미선나무, 아까시나무, 철쭉, 산철쭉, 마가목)의 2023년 개화 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과정 기반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28개 지역의 9년간(2009-2017) 개화 시기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화 시기는 식물의 세 개 이상의 위치에서 처음으로 꽃이 피는 것을 기준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TDD와 GDD 과정 기반 모형을 사용하여 개화 시기를 예측하였으며, 두 모형 모두 일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과정 기반 모형의 주요 입력변수인 날씨 자료는 산악기상관측시스템과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온 정보를 융합하여 1km의 공간 해상도로 일 단위 기온 자료를 생성하였다. 지역별 보정 계수를 생산하고 적용하기 위해 랜덤포레스트 기계 학습을 활용하여 STDD와 GDD 모형을 기반으로 예측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정 계수가 적용될 때 대부분의 수종에서 개화 시기의 예측 오차가 작았으며, 특히, 미선나무, 아까시나무, 철쭉에서 평균제곱근오차가 각각 1.2, 0.6, 1.2일로 매우 낮았다. 모형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0회의 무작위 샘플링 테스트를 실시하고, 최적의 결정계수 값을 가진 모형을 선택하여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마가목을 제외한 모든 수종에서 보정 계수가 적용된 모형에서 결정계수가 최소 0.07에서 최대 0.7 증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75%에서 90%의 설명력을 가졌다. 이를 기반으로 수종별 보정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1km 해상도의 전국 단위 개화시기 예측 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식물의 계절 변화에 대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수종 및 지역별로 개화 시기를 상세히 설명하여 기후 변화로 인한 계절 변화를 연구하는 데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우리나라 산림의 주요 수종에 대한 정확도 높은 개화 시기 예측 서비스는 산림 방문객들의 산림 경험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양봉업 등 임업 종사자들의 경제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폐석탄광 하류 밭토양 및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과 광물조성에 따른 분광학적 특성

        서지희,유재형,고상모,이범한,Seo, Jihee,Yu, Jaehyung,Koh, Sang-Mo,Lee, Bum Ha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6

        본 연구는 폐석탄광산인 옥동탄광 하류에 위치한 밭토양과 논토양을 대상으로 중금속함량, 광물조성, 분광특성을 고찰하였다. X선 형광분석 결과 밭토양과 논토양 모두 비소가 토양환경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으며 밭토양이 논토양보다 중금속오염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X선 회절분석 결과 밭토양과 논토양 모두에서 석영, 방해석, 고령토, 일라이트, 스멕타이트, 자철석 그리고 적철석 광물이 검출되었다. 또한 유기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밭토양의 유기물 함량 변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광분석 결과 밭토양과 논토양의 전체적인 반사도 곡선의 양상과 흡광특성은 유사하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490nm 부근과 900nm 부근에서 토양 내 산화철에 의해, 1410nm, 1910nm 부근과 2200nm 부근에서 점토광물인 고령토와 스멕타이트군에 의한 흡광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반사도가 감소하였다. 흡광 깊이는 밭토양과 논토양 모두 흡광특성이 발현되는 곳에서 오염 지수가 높아짐에 따라 흡광깊이는 얕아졌으며, 유기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490nm 부근과 1916nm 부근의 흡광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heavy metal concentration, mineral composition,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samples of cropland and rice field located in downstream of abandoned Okdong coal mine. X-ray fluorescence analysis detected heavy metal elements including cadmium, copper, arsenic, lead, zinc and nickel in the soils. Both cropland and rice field samples were severely contaminated with arsenic showing higher concentration over the concerned standard. The pollution index of cropland samples was higher than that of rice field samples. X-ray powder diffraction analysis identified that the mineral composition of cropland and rice field samples is similar with quartz, calcite, kaolinite, illite, smectite, magnetite and hematite. The range of organic matter content were more widely distributed in cropland samples. The spectral analysis showed that the reflectance spectra and the absorption features of cropland and rice field samples were alike. The absorption features that appeared near 490nm and 900nm were attributed to the ferric iron, and clay minerals such as kaolinite and smectite caused the absorption features at 1410nm, 1910nm and 2200nm. The reflectance of the soil spectral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organic content. The absorption depths of both types of soil samples decreased with higher organic matter content at 490nm and 1916nm as well as higher heavy metal concentration.

      •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언어치료 및 부모 교육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의 만족도와 요구 조사 예비연구

        서지희,장희정,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5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0

        본 연구는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치료에 대한 영역별 만족도와 부모 교육 의 현황 및 요구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어머니 11명, 아버지 1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 시한 결과 언어치료에 대한 만족도에서 어머니 집단은 아버지 집단보다 언어치료의 방법적 측면에 대 하여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치료를 통하여 ‘가족의 스트레스가 경감되었다’는 응답 이 가장 많은 아버지 집단에 비하여 어머니 집단은 ‘가족이 심리적으로 안정을 얻었다’는 항목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부모 교육에 있어서 현재는 치료 후 상담과 함께 이루어지는 교육의 형태에 참 여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조사되었으나, 추가적으로 정기적인 워크샵 형태의 교육에 대한 부모의 요구 가 높았다. 따라서 현재 치료 후 이루어지는 10분 내외의 부모 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적인 형태 의 교육과 정기적인 워크샵 형태의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이 예비 연구는 본 연구를 진 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어머니와 아버지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와 내용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연구되고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a pilot study to measure the demand of speech language therapy’s sectional satisfaction rate and parental education along with current status of the treatment aimed at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fter conducting a survey to 11 mothers and 11 fathers, it shows the mother group is more satisfied with methodical aspect of language therapy. The father group answered the most at ‘the family’s stress reduces’ through language therapy whereas the mother group answered the most at ‘the family has earned mental stability’. It also shows that the current parental education is mostly conducted after the treatment along with counseling although the demand of additional long-term education in a workshop form seems quite high. Thus it seems the additional education and a long-term workshop education are in need to complement the current parental education that only takes 10 minutes or less after the treatment. This pilot study has a fundamental purpose to proceed the main study implying the need of researching and developing the various types of parental education programs with many different contents to cover the demand of the parents hencefort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 읽기 정확도 향상을 위한 음운변동중재 사례연구

        서지희,고선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집 Vol.26 No.1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phonological rule-based instruction improved word reading accurac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decoding difficulty. Therefore, one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e did not have a problem in reading regular words but phonological change words. This study applied the AB design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and evaluated the accuracy of phonological change non-word reading in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In addition,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check the progress in reading phonological change word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intervention continued, the reading accuracy of non-words with phonological change improved gradually compared to the baseline, and the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finished. In addition, the reading accuracy of words with phonological change also improved compared to the result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ed the phonological rule-based instruction is effective to improve reading accuracy for students who have decoding difficulty. However, since the results have been obtained based on a single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not enough to generalize, 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gather more ev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