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트 개성의 차원과 척도개발 및 아트 인퓨전의 광고태도에 대한 효과

        서지영 고려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아트 개성의 차원과 척도를 개발하는 실증 연구 1과, 이를 바탕으로 아트 인퓨전 광고에서 소비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성향 변수를 규명하는 실증 연구 2와 실증 연구 3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증 연구 1에서는 아트 개성의 7가지 차원을 규명하고 척도를 개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결과, 아트 개성은 다정함, 트렌디함, 슬픔, 즐거움, 강인함, 고급성, 예술성 등 7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실증 연구 2와 실증 연구 3은 실증 연구 1에서 제시된 아트 개성의 차원과 아트 인퓨전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개인 성향 변수에 관한 연구이다. 실증 연구 2에서는 부정 감정과 감정이입 성향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규명하였고, 아트 인퓨전 효과가 일어나는 기저 메커니즘(underlying mechanism)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부정 감정을 유발하는 아트 인퓨전 광고를 본 후에 감정이입 성향이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더 많은 공감을 하게 된다. 하지만 중립감정과 긍정감정을 유발하는 아트 인퓨전 광고를 본 소비자들은 감정이입 성향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공감과 광고 태도를 지각된 예술성이 매개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즉, 부정 감정을 유발하는 광고를 본 소비자 중에서 감정이입 성향이 높은 집단은 아트 인퓨전 광고에 공감을 더 크게 하게 되고, 공감은 지각된 예술성에 영향을 주게 되며, 이는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실증 연구 3에서는 아트 개성의 또 다른 차원인 고급성에 대한 연구이다. 아트 인퓨전 광고에서 사용되는 아트의 유명도와 이를 조절하는 개인 성향 변수로 물질주의 성향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물질주의 성향과 아트의 유명도 제시 유무는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으며, 아트의 유명도를 제시했을때, 물질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은 아트의 고급성을 더 많이 지각하게 된다. 하지만 아트의 유명도를 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질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의 지각된 고급성에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아트를 활용한 아트 마케팅이 활발해 짐에 따라 아트 마케팅 연구도 증가하고 있지만, 아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현실이다. 선행 연구에서도 아트의 유형에 대한 공통적인 기준이 정립되지 않았으며, 실제 연구에서도 고전아트와 팝아트 정도로만 구분하고 있다(Hetsroni and Tukachinsky 2005; 박서정, 전종우 2017; 이은영, 서지영 2017). 본 연구에서는 아트의 성격, 즉 아트 개성의 차원을 규명하고 척도를 제시함으로써 아트 마케팅에서 활용되는 적합한 아트의 선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트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아트를 선택하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학문적인 시사점 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시사점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 화장품에서 1,3-부틸렌 글라이콜 및 알칸디올계 조성에 따른 방부력에 관한 연구

        서지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1,3-butylene glycol, ethylhexylglycerin, 1,2-hexanediol 및 1,2-pentanediol 등의 혼합에 따른 방부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먼저 기본처방에 1,3-butylene glycol을 함량별로 첨가하여 방부력을 나타내는 농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alkane diol계에 해당하는 1,2-hexanediol 및 1,2-pentanediol이 각각 첨가된 처방에서의 방부력과 혼합되었을 때의 방부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3-butylene glycol의 함량에 따른 방부력 평가 결과, 25%를 첨가한 크림 처방에서 모든 균주에 대하여 방부력을 나타내었으며, phenoxyethanol 0.3%와 ethylhexylglycerin 0.1%가 혼합된 처방에서 방부력을 나타내었다. 방부제인 phenoxyethanol의 0.3% 함량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방부제로 alkane diol계인 1,2-hexanediol과 1,2-pentanediol을 선정하여 방부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1,2-hexanediol과 1,2-pentanediol의 조성에 따른 방부력 평가 결과, 1,2-hexanediol 1%와 1,2-pentanediol 1%의 혼합 처방에서 방부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방부제가 첨가되지 않고 대체 방부제로 구성된 방부력을 가지는 크림 처방은 1,3-butylene glycol 25%와 ethylhexylglycerin 0.1%, 1,2-hexanediol 1% 및 1,2-pentanediol 1%의 혼합으로, 이러한 처방은 화장품 산업에서 무방부제 처방의 제조에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말뭉치를 활용한 중학교 국어과 학습 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 연구

        서지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교 국어과 학습 사전 편찬에 관한 기초 연구로 중학교 학습자들의 언어 발달과 학습 수준에 맞는 국어과 학습 사전의 정보 기술 방법 및 그 예를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중학교 국어과 학습 사전 편찬에 도움을 주고 실제 학습 장면에서 이를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학교 국어과 학습 사전의 편찬을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대상 및 방법 등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 편찬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본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국어과 학습 사전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2001년 이후 편찬된 국어사전의 머리말과 일러두기를 참고하여 현용 국어사전 편찬시에 학습자 수준 고려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두 19권의 국어사전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학습 사전 편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중학교 국어과 학습 사전 편찬의 기초 작업으로 사전 편찬을 위한 말뭉치 구축과 그에 따른 프로그래밍 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글잡이 Ⅱ(색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제어를 선정하고, 통합형 한글 자료 처리기(SYNthesized Korea Data Processor) 일명 ‘깜짝새’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어절별 용례 파일을 만들어 사전을 만들어가는 말뭉치 가공 과정을 다루었다. 먼저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말뭉치를 구축하기 위해 교과서의 원문을 한글로 입력하고 학년별, 학기별로 구별하여 각각의 파일을 만들었으며, ‘글잡이 Ⅱ(색인)’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품사별 어휘 목록을 작성하고, 용례를 조사하여 동형어 처리를 하고 ‘깜짝새’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어절별 용례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각 품사별 어휘 통계를 분석하여 중학교 국어 교과서 어휘의 빈도별, 품사별 특징을 알아보고, 제 6차 국어 교과서 어휘와도 비교해 보았다. 4장에서는 구축된 말뭉치를 이용하여 중학교 국어과 학습 사전의 편찬 지침을 국립국어연구원에서 개발한 「표준국어대사전」의 편찬 지침을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작성한 편찬 지침의 특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제어는 국어 교과서에 실린 낱말 전체를 수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중학교 학습자의 이해 어휘량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표제어는 45,000어 내외로 선정하였다. 둘째, 발음 정보는 표제어의 표기와 발음이 완전히 일치할 경우를 제외한 모든 표제어의 발음을 보여주고, 용언의 활용형도 발음이 다를 경우 보여주는 것으로 하였다. 셋째, 품사는 학교 문법에 따라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로 나누어 표시하고, 이에 더하여 의존명사, 보조동사, 보조형용사, 어미, 접사, 준말의 표시를 하였다. 넷째, 뜻풀이는 가급적 표제어의 의미를 정확하고 쉽게 풀이하기 위하여 뜻풀이용 어휘를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뜻풀이를 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용례 정보는 모든 표제어에서 교과서 용례를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교과서 용례가 없는 경우는 쉬운 용례를 찾아 제시하도록 하였다. 교과서의 용례는 학기와 쪽수를 표시한 출전을 용례 끝에 달아주어 학습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섯째, 문법 정보나 문형 정보는 문법적인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뜻풀이에 메타언어와 용언의 활용 및 연어 정보 등을 제시하였다. 일곱째, 관련 어휘 정보는 표제어를 통한 어휘력 확장에 도움이 되도록 유의어, 반의어, 관련어, 관용어, 속담, 사자 성어 등을 풍부하게 수록하도록 하였다. 5장에서는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사전을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6장에서는 결론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앞으로 해결해야할 남은 과제를 제시하였다. 중학교 국어과 학습 사전의 개발은 일반 사전과 달리 학습자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사전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중학교 국어과 학습 사전 편찬을 위한 사전 정보를 기술하는 구체적인 지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사전 편찬을 위해 실제적으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말뭉치를 구축하고 그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중학교 국어과 학습 사전의 편찬 지침을 제시하고 작성 예시를 자세하게 보여줌으로써 중학교 국어과 학습 사전 편찬의 일련 과정을 모색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basis for the compilation of a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dictionary using the Corpus. It presents the method to describe information and exam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dictionary as it pertains to language development and learning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final aim of this article is to create a study to be used as a basis for a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diction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use in the real studying place so as to exemplify that the information description method of korean studying dictionary which is fit to the cognitional level and language advanc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will progress in the following order. As an introduction, in the first chapter, I presented the following subjects ; a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subjects and method of it, a basic principle of the compilation of a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dictionary and the flow of this study. This was based on prior studies. In the second chapter, I present general fea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dictionary. And I survey living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at consider or not the level of the students. That is refer to the introduction and explanatory notes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be compiled posterior to the year 2001. I survey 19 books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have a grasp of the problem. I present necessity for the compilation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consider the level of students . In the third chapter, as a groundwork for the compilation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dictionary, I present collocation construction for the compilation and the process of programming step by step. First, the input of a original word from a textbook, and classification way of a part of speech according to words Second, the process of programming using keywords as examples Third, drawing up a vocabulary list for the choice of lemma Forth, analysis vocabulary statistical a part of speech and inquire into the frequency and a part of speech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vocabulary Fifth, compare with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vocabulary of the 6th Curriculum In the fourth chapter, I developed a guidance for the compilation of this dictionary by using the constructed collocation. This guidance draws on the guidance for compilation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developed by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Research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haracters for the guidance for compilation. First, all honorifics listed in a textbook are included in the dictionary by words. And 45,000's of lemma are selcec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vocabulary development. Second, the representation of pronunciation shows cases where an inflected word joins with a postposition and conjugation of inflected word. Third, a part of speech is divided and display by school grammar a noun, a pronoun, numerals, a verb, an adjective, a pre-noun, an adverb, an exclamation, a postpositional, in addition, a bound noun, an auxiliary verb, an auxiliary adjective, the ending of a word, an affix, a shortened word. Fourth, the interpretation of honorifics meaning is explained accurately and cleary if possible, but it is not only a recursive definition. Fifth, in the information of example, the sentences in a textbook are used as examples, the name of the term and page are explained. This will make it easier to utilize this dictionary for coursework. Sixth, in the information of sentence pattern and grammar, grammatical terms are not used. However in interpretation, metalanguage, a conjugation of inflected words and the information of collocation etc are presented. Seventh, in the information of vocabulary idioms are abundantly included in a synonymy, an antonym, a relation vocabulary, idioms for improvement vocabulary. In the fifth chapter, I survey the quality of education that make the best us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dictionary or Korean language dictionary in the 7th Curriculum. In the sixth chapter, as a conclusion and proposal, I arrang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nd presented a outlined problem which need to be solved. Unlike general dictionaries, an middle school learning dictionary must consider the level of the students. If an middle school dictionary is complied using the same guidelines as a general dictionary, it will be too difficult for most younger students. This study presents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by analysing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that were developed previously. Also, it presents the groundwork for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using the Corpus, especially the guideline for the compilation of an middle school learning dictionary for grade one students. Namely, this present study has some meaning for the first attempt to find a series of process for the compilation of an middle school a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ner's dictionary.

      •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이 건강한 성인 여성의 월경주기별 심박변이도 및 대사지표에 미치는 영향

        서지영 단국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HIIT)이 월경주기별 심박변이도 및 대사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규칙적인 운동을 주 3회 6개월 이상 수행하고 있고, 21~35일의 정상적인 월경주기를 가진 건강한 성인 여성 10명이었다. 연구대상자 분류는 무선할당을 이용한 교차설계방식을 이용하였고, 월경기(MP), 난포기(FP), 배란기(OP), 황체기(LP)의 월경주기에 각각 HIIT를 실시하였다. 심박변이도(SDNN, LF, HF, LF/HF ratio) 및 대사지표(TG, BL)는 HIIT 운동 전, 운동 직후, 운동 30분 후에 각각 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SDNN은 MP와 FP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 및 운동 30분 후에 감소하고, 운동 직후와 비교하여 운동 30분 후 증가하며, OP와 LP에서는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에 감소하고, 운동 직후와 비교하여 운동 30분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F는 MP, FP, LP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 및 운동 30분 후에 감소하고, 운동 직후와 비교하여 운동 30분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OP에서는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F는 MP와 FP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 및 운동 30분 후에 감소하고, 운동 직후와 비교하여 운동 30분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OP와 LP에서는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에 감소하고, 운동 직후와 비교하여 운동 30분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F/HF ratio는 MP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FP, OP, LP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에 증가하였고, 운동 직후와 비교하여 운동 30분 후에 감소하였으며, OP에서는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30분 후에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HIIT 실시에 따른 월경주기별 심박변이도(SDNN, LF, HF, LF/HF ratio)는 월경주기 및 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와 월경주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G는 MP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 및 운동 30분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FP, OP, LP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BL은 모든 월경주기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에 증가하였고, 운동 직후와 비교하여 운동 30분 후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P에서는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30분 후에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HIIT 실시에 따른 월경주기별 대사지표(TG, BL)는 월경주기 및 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와 월경주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SDNN, LF, HF는 HIIT 운동 직후에 각 월경주기별로 모두 감소하고, 운동 30분 후에는 회복되는 결과를 보이지만, OP와 LP에서 주요한 회복을 보이며, LF/HF ratio는 FP, OP, LP에서 운동 직후보다 운동 30분에 감소하지만, HIIT 운동 전과 비교하여 증가한 상태에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TG는 MP에서만 HIIT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에 증가하지만, 운동 30분 후 감소하는 특성이 있고, BL은 월경주기와 관계없이 HIIT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직후에 증가하고, 운동 30분 후에는 모두 감소하지만, FP에서는 운동 30분 후에도 HIIT 운동 전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지 않는 특성을 보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시적효과를 중심으로 한 시(詩) 번역 연구

        서지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poetry translation and to make a research on how to effectively transfer the poetic effects of source text. This thesis focuses on the poetic effects of translated poetic texts based on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Poetic effects are achieved through a wide array of weak implicatures in pursuing the principle of relevance. A poetic text is a chunk of cognitive strategies in which implicatures, standards of textuality, and various kinds of information-processing procedures are cooperating to represent the writer's intention or the outlook on the world. In short, it could be reasonably said, poetry is one of the most complicated types of text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ing. This thesis shows how text linguistics and relevance theory are related to the poetic effects reflected in poetry translation. Cohesive devices such as recurrence, ellipsis, or 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 help to yield cognitive effect in poetic texts. The poetic effects yielded by cohesive devices can be regarded as weak implicatures inferable from the surface style of texts. The poetic texts with third-order informativity are difficult to process but more likely to yield poetic effects than those with the first- or second-order(trivial and uninteresting). When the reader encounters some material which is a new creative problematic poetic expression, he/she activates the operation of downgrading and attempts to comprehend its actual meaning. It causes to yield poetic effect. Coherence concerns the ways each element of the textual world becomes relevant and acceptable with each other. In poetic texts, however, these relations are not often clearly revealed. If the continuity of senses of a given text is disturbed, the text is considered as including non-determinacy or ambiguity. The poetic texts activated in the reader's cognitive space cause to yield various implicatures, i.e. the poetic effects. However, the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lead to change the poetic effects of source text(ST) related to these standards of textuality in the course of translation. That is, grammatical, semantic, and expressional differences cause to change textuality and get to reduce the poetic effects in target text(TT). Starting from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at finding a way of keeping or creating poetic effects in translating poetry. The poetic effects in this thesis refer to cognitive effects obtained from processing poetic texts. These cognitive effects bear upon implicatures of linguistic expressions employed in texts. These implicatures may not be accessed because the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lead to form modification in favor of message communication. So this study examines the poetic effects after modifying 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 recurrence, and ellipsis in syntactic structure, connotation and denotation of words, collocation, metaphor in semantic system, and some words with local color when translating. In order to figure out those poetic effects this thesis has attempted to deduce the process of translation including poetic effects. This process of translation is applied for analyzing Korean poems and translating them into acceptable English ones through the three steps of analysis, transfer, and restructuring, which are combined with aspects of verbal communication with relevance theory (cf. figure 4). The first step is analyzing the exact meaning of ST and identifying propositional forms of an utterance after disambiguation and reference assignment through the contextual situation. When the contextual situation has become clear to the translator, the grasping of the original text is made good by going through the syntactic, semantic, and stylistic analysis. Once analyzed, ST must be transferred to TT according to semantic equivalence, considering poetic effects. The last step of restructuring is the process of recombining and rearranging the minimal logical unit of the target language obtained in the process of transfer, and making necessary modifications to produce poetic effects as much as possible at the poetic text. Translators would try restructuring it more creatively to enlarge poetic effects in the last step. This thesis distinguishes poetry translation as creative restructuring from as interlingual interpretive use. Sometimes translators' different interpretation of ST in the first step results in the translated poetic texts with each different expression. As mentioned earlier,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major problems of the poetic effects of translated poetic texts due to linguistic differences. This study has researched some problems after dividing the linguistic differences into grammar, meaning, and expression,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accessing of a wide range of implicatures as poetic effects. Even though the source language(SL) and the target language(TL) have the same cognitive structure, the ST expressions might not be translated in the same forms due to the linguistic differences including cultural background. Therefore, translators cannot but represent some implicatures of ST explicitly in TT to transfer the meaning to the readers of TT. The poetic effects in poetry come after the accessing of implicatures through inferencing. If implicatures are exposed in translated poetic texts, the TL readers interpret them without inferencing for implicature. That is, the TL readers can get to lose the poetic effects from a poem. To prevent these cases, the translators of poetry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expressions to convey implicatures of the ST implicitly and produce poetic effects. Producing poetic effects is as important as reducing the loss of meaning in poetic texts. Thus, the translator should revise the translated poetic expressions considering poetic effects until the final translation is completed at the last restructuring step. Finally, I insist again that 시 텍스트의 번역은 의미와 더불어 시적 효과가 전해져야 한다. 시적 효과는 시의 구조와 소리 및 어휘로부터 생성된다. 언어마다 이러한 부분들은 본질적인 차이와 독특한 특성이 있어 다른 언어로 번역되면 시적 효과가 반감되거나 상실될 수가 있다. 본 연구의 시적 효과는 시의 구조와 어휘에서 나타나는 함축의미와 관련한다. 시인은 압축된 구조와 시어를 사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모두 다 명시하지 않고 함축적으로 표현한다. 시적 효과란 명시되지 않은 함축의미를 추론을 통해 여분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얻게 되는 인지적인 효과를 말한다. 즉 축 어적 으로 말할 경우엔 하나의 의미만 전달하지만 은유나 상징적인 표현을 사용하면 하나 이상의 함축된 의미의 전달로 시적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시적 효과는 시 텍스트의 특별한 텍스트성에서 나타난다. 시 텍스트는 압축과 생략된 표현을 통한 시적 효과를 달성하고자 결속구조를 해치거나 결속구조 장치를 이용해 시적 효과를 더하기도 한다. 또한 시인은 의미의 흐름에 장애가 되는 결속성이 삭감된 표현을 통하여 독자의 관심을 유도하거나, 정서적 새로움으로 감성을 자극하는 높은 정보성을 통해 시적 효과를 나타낸다. 필자는 언어적 차이에서 오는 문법적 차이, 의미적 차이 및 표현상의 차이가 시의 결속구조, 정보성 및 결속성에 각각 영향을 미쳐 번역에서 시적 효과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점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분석과 원문의 시적효과를 번역문에서도 유지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에 앞서 시적 효과를 번역의 과정에서 어떻게 다루어야하는지 살펴보고자 분석, 전이, 재구성의 단계로 번역의 과정을 도출하여 실제로 두 편의 한국시의 번역 과정을 적용하여 보았다. 번역자는 마지막 재구성의 단계에서 시적 효과를 고려하여 어휘를 바꾸거나 추가 또는 삭제한다. 이러한 번역자의 창조적 재구성을 통하여 번역문의 시적 효과를 한층 더 살릴 수 있는 표현을 강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 번역의 과정을 탐구한 결과 하나의 원문에 대한 다양하게 번역된 시를 서로 비교 연구할 때에, 창조적 재구성으로서의 시 번역과 해석적 언어사용으로서의 시 번역의 경우를 구분하여 평가해야한다고 제시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요지는 원시를 목표언어로 된 시의 구조와 형태를 따라 자연스럽게 의역하여 한편의 창작시와 같이 목표언어 독자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번역하되, 가능한 한 원문 저자의 창작으로 된 표현은 직역을 하여 원문의 표현에서 주는 함축의미들을 통한 시적 효과를 번역문에서도 동일하게 얻도록 하는 것과 목표언어의 언어적 특성을 최대한 살려서 번역문에서 재창조된 시적 효과를 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번역자는 원문에 대한 정확한 해석 능력과 더불어 원문의 이미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언어적 감각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유연성(Resilience) 효과를 중심으로

        서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과, 자녀의 적응에 대한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이혼가족 자녀이며, 인천시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2명 중 이혼가족 자녀는 102명, 양부모가족 자녀는 160명이었다. 자료수집방법은 자기 기입식(self-administered)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는 2002년 5월 3일부터 5월 29일까지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조사대상자의 우울·불안과 공격성의 수준 정도를 임상적 개입을 요구하는 60T점(85% tile)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이혼가족 자녀의 남자아동 34%, 여자아동의 21.8%가 우울·불안에 있어서 임상적 개입이 필요한 집단으로 나타났고, 공격성에 있어서는 남자아동의 44.7%, 여자아동의 30.9%가 임상적 개입이 필요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부모가족 내에서는 우울·불안에 있어서 남자아동 14.3%, 여자아동 8.4%가 임상군에 속하였으며, 공격성에 있어서는 남자아동의 36.4%, 여자아동의 19.3%가 임상적 개입이 필요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비율적으로 살펴볼 때, 이혼가족의 자녀가 우울·불안과 공격성의 문제에 대해서 임상군에 더 많은 분포를 보였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이혼가족 자녀 중에서도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있어서 임상군에 해당하지 않는 아동들이 있다는 것을 볼 때,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아동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이혼은 자녀의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혼가족 자녀의 유연성이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유연성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과 유연성의 조절효과에서도 역시 아동의 유연성 수준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이혼을 경험한 아동들일지라도 그들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의 수준에 따라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연성이 아동의 적응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절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이혼가족 자녀의 유연성 특성에 따른 우울·불안과 공격성을 살펴보면, 아동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유능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에 대한 지각과 목표의식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이혼을 경험한 아동들일지라도 자신에 대한 지각과 목표의식이 높을수록 우울·불안과 공격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이혼과 자녀의 적응을 단순한 인과관계로 보지 않고, 부모이혼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부모이혼이라는 인생의 부정적인 사건에도 불구하고 다른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아동 적응이 긍정적이 될 수 있다고 밝힌 것은 사회복지적인 개입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유연성의 개념을 밝힘으로써, 실제로 사회복지사가 이혼가족 자녀에 대해서 무엇을 개입해야할지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해주고 있으며, 예방적인 차원에서도 아동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이혼가족 자녀를 편견으로 바라보기보다는 긍정적인 관점으로 바라봄으로써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인간이 가능성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은 본 연구가 기여한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arental divorce on children's adaptation and the effect of resilience on their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composed of children in the fifth grade and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city including male and female. The subjects was totally 262 children who were children of divorced family 102 and of two parents family 160. The data was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 from May 3 to 29 in 2002.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Although children of divorce exhibit more behavior problems an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the difference is small. It is found that children adapt differently to the impact of divorce. Second, it is found that parental divorce brings negative impact to children's adaptation. The children who have experience parental divorce have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veness problem. Third, Although the children have experience parental divorce, the higher resilience level of children, the lower adaptation level of. It is found that a resilience of children moderates the negative impact of parental divorce on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veness of them. Fourth, Among resilience traits, Autonomy and Sense of Self and Sense of Meaning of purpose moderate positively the influence of parental divorce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ven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implication for the social work are like following: Firs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not exploring simply the relation between an independent(parental divorce) variable and dependent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ggressiveness) but exploring moderator effects. It says that children can be adapted by interaction among variables. Therefore researcher and social worker must consider various factors and ways on a study of children's adaptation. Second, this study provides a social worker how to help children's adaptation of divorce and supports the moderator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impact of negative events in life. The children's adaptation is affected not only by parental divorce but also by personal traits. So social workers need to attempt to increase resilience as a personal traits, especially autonomy and sense of self and sense of meaning of purpose. Last, program for resilience should be provided to children of divorce and of never divorce and intensified. It can make them minimize negative effects on life event and children strong, resilient, and challen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chool and community social work programs for increasing resilience by continuous concern and screening.

      • 국내 대학교의 원어강의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서지영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s which have arisen out of the prevailing emphasis on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 and suggests a possible solution to them. The main dissatisfaction with English-medium instruction comes from the requirement to conduct English-only classes in universities regardless of whether students understand English or not, and the disregard for students' English development. An experimental class was conducted with 35 students where the instruction was in Korean but students did intensive writing in English and were also taught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fter four months of class,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Korean-medium instruc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nd requested feedback about their writing. Although little feedback was given, students requested more,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English-only classes were not necessary. Not only did students feel comfortable using Korean but also their English proficiency improved. The class was designed to integrate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but with a main focus on reading. Needless to say, excellent reading skill is required at the university level to understand textbooks, therefore a reasonable time was allocated. Writing was prioritized second as an alternative to speaking. Conversation strategies were provided for speaking, which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However, listening did not appeal as much to students because active participation was not required. This result indicates the importance of student participation. A bigger problem than the English-only emphasis is that of combining subject matter and language. Having to teach language presents a difficulty for professors whose major is not English. Although team teaching could be an option, this may not be financially viable and it may be difficult for team teacher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While it is not possible to explore all of the potential benefits and drawbacks of this experimental class, the conclusion reached was that it is necessary for suitable textbooks to be developed. This is a difficult task but one that needs the complete dedication of instructors if an effective English-medium class system is to be implemented. Textbooks made by subject specialists and ESL instructors will be helpful in implementing English-medium classes in the future. It is desirable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play an important part in this issue, however,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suggest effective solutions.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원어강의(English-medium instruction)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주제로 하였다. 현재 가장 심각한 문제는 최근 원어강의에 대한 불만들의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지 못하고 원어강의를 단순히 내용중심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이라고 간주하는 것이다. 원어강의와 내용중심교수법은 내용과 언어를 둘 다 아우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내용중심교수법은 초점을 내용에 맞추느냐 언어에 맞추느냐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고 종류마다 성격도 다르다. 현재 시행되는 원어강의는 교수자 입장에서 보면 내용과 언어 학습 중에 내용에 더 비중을 두고 있으므로 내용중심교수법 중에서 언어를 통한 내용강의(Language-based Content Instruction)와 가깝다(Straight, 1998). 반면에 정책수립자들과 학생들은 정반대의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이 원하는 원어강의의 형태는 내용중심교수법 중에서 내용과 언어 두 가지를 모두 다루는 내용을 통한 언어강의(Content-based Language Instruction)와 가깝다. 즉 현재 원어강의에 대한 불만은 내용에 더 비중을 둔 교수자와 내용과 언어 모두에 관심을 둔 정책수립자와 학생들 사이에 기대치가 맞지 않아 나오게 된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원어강의는 정책수립자와 학생이 원하는 내용과 언어를 둘 다 가르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리의 원어강의 현실에 맞게 적용될 수 있는 교수자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하면 전공을 가르치면서 언어를 가르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교수자들의 짐을 덜어주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내용중심교수법을 응용한 하나의 수업모형을 만들어 35명의 학생들에게 실험수업을 하고 그 반응을 조사해 보았다. 실험에서는 우리말로 강의를 하되 대신 쓰기를 강화하였고 학생들의 언어지도는 학습전략을 위주로 하였다. 4개월간의 실험을 마친 뒤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해 본 결과 우리말로 강의를 한 것에 대해서는 불만이 없고 학습전략 수업에 대해서 학생들은 만족해하였다. 그러나 쓰기활동에 대해서는 확실한 피드백을 요청 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원어강의를 위해 두 가지를 제안한다. 우선 우리말 사용이다. 일반 영어회화와는 달리 학구적인 언어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전면 영어강의로 나아가기 위한 단계적 지도가 필요하다. 그 첫 단계에서 현재 영어만을 사용할 것을 강요해 탈이 난 이상 우리말 사용이 필요하다. 단순히 편의를 위해서가 아니라 실험에서 학생들이 우리말 사용에 대한 불만이 없기도 했지만 우리말을 사용하였어도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충분히 볼 수가 있었다. 두 번째는 워크북(workbook) 개발이다. 원어강의의 제일 큰 문제는 교수들이 학생들의 언어를 지도하는 일이다. 교수들의 전공이 영어교육이 아닌 한 학생들의 언어를 지도하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현재의 전공 책으로 내용을 배우고 전공 내용을 가지고 언어를 지도할 수 있는 워크북(workbook)형식의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에 반영되기를 희망하는 부분은 우선 우리말로 강의를 하는 대신 쓰기를 강화하고 피드백과 정답을 제시한다. 듣기는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 필요하다. 말하기는 초보적인 따라하기 정도로만 다룬다. 전공서적의 요점찾아 골라읽기(scanning)나 주제찾아 훑어읽기(skimming)를 할 수 있도록 전공용어를 다시 정리하고 써보는 활동과 배운 내용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문제를 만들어 두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원어강의를 원만하게 진행하는 데에 일익을 담당하기를 바라고 있기는 하지만 후행연구를 통해서 더 합리적인 안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부정적 자기지각의 매개효과

        서지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self-percep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upon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the research model was proposed, in whic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two domains of adult attachment, was posi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negative self-percep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s a mediator, social anxiety as a dependent variable. To examine the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to a sample of 465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Seoul, Daegu and Busan, using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negative self-perception, and social anxiet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verifi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In addition,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analysis and Sobel test.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negative self-percep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n social anxiety, attachment anxiety had no direct effects on social anxiety, but attachment avoidance had direct effects on it. Thir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Fourth, negative self-percep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Specifically, it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an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ocial anxiety.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부정적 자기지각의 매개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선행연구와 관련 이론에 근거하여 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를 각각 예측변인으로 설정하고, 사회불안을 준거변인으로, 정서표현양가성과 부정적 자기지각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대구, 부산에서 465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 정서표현양가성 척도, 부정적 자기지각 척도, 사회불안 척도를 소책자로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SPSS 25.0 및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상관 분석, 요인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링(SEM)을 검증하였다. 또한 Bootstrapping 분석과 Sobel Test로 간접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은 사회불안, 정서표현양가성, 부정적 자기지각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애착불안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대학생의 애착회피는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정서표현양가성은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부정적 자기지각은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부정적 자기지각은 애착회피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애착불안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영성형성을 위한 '세례영성' 프락시스 모델 연구 : -생명수교회를 중심으로-

        서지영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영적정체성 약화를 세례영성의 문제로 인식하고, 영성형성을 위한 세례영성 프락시스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세례영성의 개념을 도출하고, 개혁주의생명신학의 7대 실천운동과 연계한 세례영성 실행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대교회의 영성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패턴대로 사는 삶이다. 연구자는 이를 성경의 세례 이미지와 연결시켰다(롬 6:5). 즉, 세례영성은 그리스도의 사건을 받아들이는 영적인 삶으로, 하나님과 연합을 추구한다. 영성형성은 그 과정이라고 할 때, 하나님과 연합을 추구하는 전 과정이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초대 교회의 영성형성은 세례의 과정이었다. 그들은 일평생 죽음과 부활의 신앙 안에서 살았으며, 이는 목회 현장에서 세례영성의 중요성을 한층 강화시켜 주는 근거가 된다. 구성으로는 세례영성의 통합적 이해를 위해 초대부터 근현대까지 세례영성의 역사를 고찰한 후, 세례영성 프락시스로서 교육과 훈련, 예식서를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과 연계하여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세례영성 실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으로는 ‘영적생명운동’을 통한 세례 전·중·후 교육으로 『디다케』, 『세례로의 초대』, 『개혁주의 신앙고백서』의 교육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훈련으로는 말씀과 기도훈련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개인적 훈련으로는 ‘신앙운동’을 통한 렉시오 디비나, 영성일기, 공동체적 훈련으로는 ‘기도성령운동’을 통한 잠언·시편읽기, 중보기도, 주기도문, 교회력 영성기도, 회중의 참여기도를 제시하였다. 셋째, 생명수교회의 세례예식 시행규칙과 세례영성을 강화한 예식서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치는 시대별 영성과 세례영성의 함의를 밝혀 간학문적 방법을 시도한 점과,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실천적 보고로서 교육과 훈련과 예식서를 제공하여 세례영성의 개념을 목회 현장에 실증화시켰다는 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